KR20040110400A -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400A
KR20040110400A KR1020030039718A KR20030039718A KR20040110400A KR 20040110400 A KR20040110400 A KR 20040110400A KR 1020030039718 A KR1020030039718 A KR 1020030039718A KR 20030039718 A KR20030039718 A KR 20030039718A KR 20040110400 A KR20040110400 A KR 2004011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maintenance
equipment
server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인재
곽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3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400A/ko
Publication of KR2004011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40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유지보수 업체 서버 및 감시 센터를 포함한다.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고객의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한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로서,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 관련 사항과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유지보수 업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및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와 접속되며, 고객 장비에 대한 출동 명령에 따라 출동하여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로서,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 분담 계약을 체결하고, 체결된 업무 분담 계약 관련 정보와 고객 및 고객의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감시 센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및 유지보수 업체 서버와 접속되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고객 장비의 감시 및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때부터 고객 장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업무를 수행하고, 현황 리포트를 고객에게 전달하며, 고객 장비의 고장이 원격 감시 및 제어에 의해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 유지보수 업체 서버를 통해 유지보수 업체로 고객 장비에 대한 유비보수 출동을 명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장수리 이장시간의 최소화를 통한 대고객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전문 인력의 원격 감시/제어를 통해 유지보수 업체의 현장 출동횟수의 축소 및 관리의 효율화로 유지보수 업체의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REMOTE AFTERSERVICE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은 유지보수(AfterSer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지의 고객 장비를 감시/제어하는 업무와 현장 출동 업무를 분담 및 전담화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지보수 서비스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10)이 직접 유지보수 업체(20)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한 후 해당 고객 장비의 점검 때가 되거나 또는 고장 등이 발생할 때 유지보수 업체(20)에 연락하면 해당 유지보수 업체(20)의 전문 인력이 고객 장비가 있는 곳으로 현장 출동하여 고객 장비를 점검하거나 또는 고장을 수리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한편, 최근 인터넷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양한 장비가 개발되고, 이들이 유지보수를 이용하는 고객의 망에 적용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단지 고객(10)의 유지보수 요청 등에만 사용되고, 또한 서비스가 다양화되면 될수록 이들 장비의 운용을 위한 인력을 필요로 하나 기존의 유지보수 체계에서는 유지보수 업체(20)의 영세성 등으로 인해 이러한 인력의 보유가 힘든 실정에 있으며, 잦은 출동으로 인해 유지보수 계약을 통한 수익을 얻지 못함은 물론이고, 소수 인력에 의해 운용되므로 긴 이장시간을 초래하고 있으며, 교통이 불편한 원격지의 경우 이러한 고장으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 인력으로 원격지에서 고객 장비를 감시 및 제어하는 업무를 별도로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유지보수 업체에서 현장 출동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고장의 이장시간을 최소화하고, 관리를 효율화시키며 또한 출동 회수를 축소시키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지보수 서비스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시 센터가 고객의 장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고객의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한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 관련 사항과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 및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출동 명령에 따라 출동하여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 분담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체결된 업무 분담 계약 관련 정보와 고객 및 고객의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업체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의 장비,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상기 고객 장비의 감시 및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때부터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업무를 수행하고, 현황 리포트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며, 상기 고객 장비의 고장이 원격 감시 및 제어에 의해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를 통해 상기 유지보수 업체로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비보수 출동을 명령하는 감시 센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고객의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출동 명령에 따라 출동하여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 관련 사항과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업체 서버;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출동 명령에 따라 출동하여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상기 고객에 대해 체결된 업무 분담 계약 관련 정보와 고객 및 고객의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업체 서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 및 상기 유지보수 업체와 접속되며, 상기 유지보수 업체와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업무 분담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체결된 업무 분담 계약 관련 정보와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의 장비,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상기 고객 장비의 감시 및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때부터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업무를 수행하고, 현황 리포트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며, 상기 고객 장비의 고장이 원격 감시 및 제어에 의해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를 통해 상기 유지보수 업체로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비보수 출동을 명령하는 감시 센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 센터는 상기 유지보수 업체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를 통해 출동 명령을 내리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 업체를 검색하여 상기 고객에 근접한 유지보수 업체를 선택하여 상기 출동 명령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시 센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고객 장비 가까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객 장비의 동작을 감시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감시 센터에 전달하고, 상기 감시 센터로부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고객 장비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은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200), 유지보수 업체 서버(300) 및 감시 센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객(100),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200), 유지보수 업체 서버(300) 및 감시 센터(40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200)는 고객(100)이 구비한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A/S)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이다.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는 고객(100)과 직접 고객 장비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A)을 체결하고 고객(100)으로부터 원격 A/S 서비스 이용료를 받는다.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200)에는 유지보수 계약(A) 관련 사항과 유지보수 계약(A)을 체결한 고객(10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또한,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200) 내에는 고객(100)의 장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감시 센터(400)와 실질적인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유지보수 업체 서버(300)는 고객(100)이 소유한 고객 장비에 대해 출동하여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이다. 이 유지보수 업체는 고객(100)과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한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고객(100)에 대한 업무 분담 계약(B)을 체결하고, 감시 센터(400)로부터 출동 명령이 접수되는 경우 해당 고객(100)의 고객 장비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인력이 직접 고객(100)에게 출동한다. 유지보수 업체 서버(300)에는 유지보수 업무 분담 계약(B) 관련 사항과 고객(10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며, 또한 감시 센터(400)로부터의 출동 명령을 접수하여 해당 인력이 출동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알리는 기능이 포함된다. 유지보수 업체는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가 고객(100)에게 받은 원격 A/S 서비스 이용료에서 이익 분배를 받는다. 한편, 여기에서는 유지보수 업체가 고객과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한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과 업무 분담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유지보수 업체가 직접 고객(100)과 유지보수 계약(C)을 체결한 후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업무 분담 계약(B)을 체결할 수 있다.
감시 센터(400)는 고객(100)이 소유한 유지보수 대상인 고객 장비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하고, 전문 인력에 의한 고객 장비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감시 및 제어 현황을 리포팅한다. 감시 센터(400)는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한 고객의 장비에 대한 감시/제어 명령을 받은 후 고객 장비에 대한 감시/제어 및 현황 리포트 업무를 수행한다. 감시 센터(400)는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200)와 고객(100)의 장비를 감시 및 제어하고 현황을 리포팅하는 업무 계약(D)을 체결하고, 추후 이익 분배를 받는다. 감시 센터(400)는 계약(D) 관련 사항과 고객(400) 및 고객 장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감시 센터(400)는 고객 장비의 감시 및 제어에 대한 현황 리포트를 고객(100)에게 제출한다. 감시 센터(400)는 고객(100)의 장비를 감시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고객 장비의 고장이 회복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지보수 업체 서버(300)에게 유지보수를 위한 출동 명령을 전달한다. 이 때, 감시 센터(400)는 고객(100)과 가장 근거리에 있는 유지보수 업체를 선택하여 출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감시 센터(400)가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감시 센터(400)가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계약(D)이나 이익 분배가 필요하지 않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시 센터(400)가 고객(100)의 장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객(100)은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유지보수 계약(A)이 체결된 유지보수 위탁 장비(110, 120)를 소유하고 있다.
감시 센터(400)는 고객(100)이 소유하고 있는 유지보수 대상인 위탁 장비(110, 120)에 각각 접속되어 각 위탁 장비(110, 120)의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가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410)를 포함하며, 이 원격 제어 장치(410)는 위치적으로 고객(100)의 위탁 장비(110, 120)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 제어 장치(410)는 위탁 장비(110, 120)를 감시하여 그 감시 정보를 감시 센터(400)로 전달하고, 감시 센터(400)는 감시 정보에 따라 제어하여할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410)로 전달하면, 원격 제어 장치(410)는 감시 센터(4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위탁 장비(110, 120)를 제어한다.
이 원격 제어 장치(410)는 고객의 위탁 장비(110)에 대해서는 콘솔(console)로 동작하여 위탁 장비(110)에 대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고, 또 다른 위탁 장비(120)에 대해서는 동작 전원(power)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감시 센터(400)의 원격 제어 장치(410)는 직접 고객의 위탁 장비(110)에 접속되거나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위탁 장비(120)에 접속될 수 있다.
감시 센터(40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인터넷(internet)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41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원격 제어 장치(410)를 통해 전문 인력이 고객의 위탁 장비(110, 120)의 장애 및 동작 현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감시 과정에서 위탁 장비(110, 120)의 고장이 감지되거나 고객(100)으로부터 고장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감시 센터(400)는 원격 제어 장치(410)를 이용하여 해당 장비(110, 120)의 고장을 점검하고 제어한다.
감시 센터(400)는 원격 제어 장치(410)를 통해 위탁 장비(110, 120)의 고장을 보수하는 중에 고장이 회복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300)를 통해 유지보수 업체로 연락하여 해당 전문 인력이 직접 출동하여 고장난 위탁 장비(110, 120)에 대한 유지보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보수 계약된 장비를 전문 인력이 감시/제어하고, 고장 발생 시점에서 고장의 원인을 파악하여 대처하며, 고객과 근거리에 위치한 유지보수 업체로 하여금 출동하게 하므로, 고장수리 이장시간의 최소화를 통한 대고객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전문 인력의 원격 감시/제어를 통해 유지보수 업체의 현장 출동횟수의 축소 및 관리의 효율화로 유지보수 업체의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고객의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한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 관련 사항과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 및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출동 명령에 따라 출동하여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 분담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체결된 업무 분담 계약 관련 정보와 고객 및 고객의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업체 서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의 장비,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상기 고객 장비의 감시 및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때부터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업무를 수행하고, 현황 리포트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며, 상기 고객 장비의 고장이 원격 감시 및 제어에 의해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를 통해 상기 유지보수 업체로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비보수 출동을 명령하는 감시 센터
    를 포함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고객의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출동 명령에 따라 출동하여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 관련 사항과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업체 서버;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출동 명령에 따라 출동하여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업체의 서버로서,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와 상기 고객에 대해 체결된 업무 분담 계약 관련 정보와 고객 및 고객의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업체 서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 및 상기 유지보수 업체와 접속되며, 상기 유지보수 업체와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업무 분담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체결된 업무 분담 계약 관련 정보와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의 장비,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상기 고객 장비의 감시 및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때부터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업무를 수행하고, 현황 리포트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며, 상기 고객 장비의 고장이 원격 감시 및 제어에 의해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를 통해 상기 유지보수 업체로 상기 고객 장비에 대한 유비보수 출동을 명령하는 감시 센터
    를 포함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센터는 상기 유지보수 업체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유지보수 업체 서버를 통해 출동 명령을 내리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 업체를 검색하여 상기 고객에 근접한 유지보수 업체를 선택하여 상기 출동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센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고객 장비 가까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객 장비의 동작을 감시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감시 센터에 전달하고, 상기 감시 센터로부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고객 장비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PSTN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감시 센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고객 장비의 콘솔(console)로 동작하여 상기 고객 장비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고객 장비에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고객 장비의 전원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KR1020030039718A 2003-06-19 2003-06-19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KR20040110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718A KR20040110400A (ko) 2003-06-19 2003-06-19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718A KR20040110400A (ko) 2003-06-19 2003-06-19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400A true KR20040110400A (ko) 2004-12-31

Family

ID=3738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718A KR20040110400A (ko) 2003-06-19 2003-06-19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04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717A (ko) * 2003-11-06 2004-01-16 허용석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의 실시간 원격 제어방법
KR20180123733A (ko) * 2016-05-17 2018-11-19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보수관리장치, 보수관리시스템 및 프로그램
US10616039B2 (en) 2017-09-25 2020-04-07 Dasan Zhone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intenan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717A (ko) * 2003-11-06 2004-01-16 허용석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의 실시간 원격 제어방법
KR20180123733A (ko) * 2016-05-17 2018-11-19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보수관리장치, 보수관리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09074525A (zh) * 2016-05-17 2018-12-21 三菱电机大楼技术服务株式会社 维护管理装置、维护管理系统和程序
CN109074525B (zh) * 2016-05-17 2022-08-23 三菱电机大楼技术服务株式会社 维护管理装置和维护管理系统
US10616039B2 (en) 2017-09-25 2020-04-07 Dasan Zhone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inten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3111A (zh) 一种设施设备管理系统
JP2004164389A (ja) 保守サービス方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A23852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geographic visual displays of broadband network data
JP2002106930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遠隔保守監視システム
JP2002132987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集中保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70935A (ko) 현장 작업자 할당 장치 및 방법
JP2006106861A (ja) 保守管理方法及び保守管理プログラム
US75433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fficient use of broadband network resources
JP5245990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提供サービス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40110400A (ko)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KR100378527B1 (ko) 고객지원센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4936A (ko) 방송장비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339985B2 (ja) ビル群遠隔管理装置
JP2010224829A (ja) 運用管理システム
JP4539094B2 (ja) 修理結果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100664836B1 (ko) 가입자망 통신시설 종합운용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01257788A (ja) 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2005031820A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KR102558245B1 (ko)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JP2004213218A (ja) 施設統合管理センタ装置、および施設統合管理方法
JP2007143227A (ja) 災害時情報受付システム
JP2002132540A (ja) システム監視・運用支援サービス方法
JP3264774B2 (ja) ビル遠隔管理装置
JP2002042218A (ja) 自動販売機の保守方法および自動販売機の保守システム
JP2001249717A (ja) リモート管理センターおよび広域設備保全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