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245B1 -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245B1
KR102558245B1 KR1020230036784A KR20230036784A KR102558245B1 KR 102558245 B1 KR102558245 B1 KR 102558245B1 KR 1020230036784 A KR1020230036784 A KR 1020230036784A KR 20230036784 A KR20230036784 A KR 20230036784A KR 102558245 B1 KR102558245 B1 KR 10255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anagement
equipment
managing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동
Original Assignee
김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동 filed Critical 김민동
Priority to KR102023003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PC와 통신하는 PC용 API 서버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모바일용 API 서버와; 청소와 관련된 장비 또는 소모품, 인력, 청소 작업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PC용 UI를 상기 관리자 PC에 제공하도록 상기 PC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용 UI를 상기 관리자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도록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개별 지점을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하여 각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PC용 API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통하여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고객 및 복수의 청소 구역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청소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장비 또는 소모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자 PC 버전용과 모바일 버전용 UI를 활용할 수 있어, 복수의 고객, 복수의 지점 및 복수의 청소 구역을 관리해야 하는 청소 관리 업체가 효과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청소 및 장비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 CLEANING MANAGEMENT SYSTEM AND CLEAN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본 실시예들은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기술에 대한 것이다.
청소 현장 관리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2144786호에 ‘청소서비스 운영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서비스 공급자의 매출을 극대화하고 서비스 수요자에게 양질의 청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서비스 운영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신청일자, 청소대상장소의 주소를 포함한 청소신청 현황, 이사청소, 입주청소, 준공청소, 가전제품청소를 포함한 신청된 청소의 종류, 대기중, 비교중, 청소중, 완료1시간전, 청소완료를 포함한 현재 청소서비스 진행상태, 받은 견적서 보기, 청소사례 보기, 필요서비스 선택부를 제공하는 메인화면부; 청소지역이 선택되면 해당 지역의 청소서비스가 가능한 업체의 팀장을 서치하여 평당 청소가격을 포함한 기본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팀장선택부; 팀장선택부를 통해 팀장이 선택되면 청소서비스에 대한 견적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청소대상장소의 사진첨부가 가능하며, 청소날짜, 주소, 방 및 베란다의 수를 포함한 세부사항, 요청사항 및 사진설명을 포함한 메뉴를 제공하는 견적요청부; 견적요청부와 연계되어 서비스 수요자가 서비스 공급자에게 요청하는 세부사항을 입력함으로써 향후 발생가능한 분쟁을 사전에 차단하는 요청사항 입력부; 및 메인화면부에 연계되어 서비스 수요자에게 현재 청소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서비스 수요자가 청소진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진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청소서비스 운영서버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청소 운영 시스템은 수요자 입장에 대한 것으로서, 복수의 수요자, 즉 복수의 고객에 대한 복수의 지점에 청소 용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43799호 등록특허공보 제10-21447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고객 및 복수의 청소 구역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가능한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의 청소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장비 또는 소모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 PC 버전용과 모바일 버전용 UI를 활용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PC와 통신하는 PC용 API 서버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모바일용 API 서버와; 상기 개별 지점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작업자용 단말과 통신하는 작업자용 API 서버와; 청소와 관련된 장비 또는 소모품, 인력, 청소 작업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PC용 UI를 상기 관리자 PC에 제공하도록 상기 PC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용 UI를 상기 관리자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도록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개별 지점을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하여 각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PC용 API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통하여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C용 UI는 고객사 관리, 고객사 별 복수의 지점 관리, 청소 작업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는 고객사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대상 지점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태블릿 단말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태블릿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태블릿 관리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장비 관리를 위한 장비 관리 UI 또는 소모품 관리를 위한 소모품 관리 UI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관리 UI는 장비 분류, 장비 이력 정보, 장비 매입처 정보, 장비 금액, 장비 세부 정보, AS 정보, 장비 점검 주기, 장비 점검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품 관리 UI는 소모품 상세 정보, 소모품 등록, 소모품 입고 및 출고, 소모품 재고, 소모품 이력 정보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작업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청소 작업 현황 UI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 작업 현황 UI는 청소 구역 별 청소 현황, 청소 구역 별 점검 현황, 청소 체크 리스트, 소모품 교체 현황, 습득물 관리, 시설물 점검 및 고객 민원 접수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PC용 UI는 업무 일지 항목을 포함하는 경영 정보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용 UI는 특정한 개별 지점에 대한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 장비 이력 및 청소 점검에 대한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소 작업에 대한 UI는 화장실용 UI와 화장실외 청소 현황 UI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용 UI는 습득물 관리, 소모품 체크, 청소 상태 체크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용 UI에 표시되는 항목 중 일부를 포함하는 작업자용 UI가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표시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용 UI는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은 상기 청소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동선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시간 당 사람들의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이동량이 많을수록 상기 청소 구역의 청소 시간 간격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소 업무는 청소 대상이 되는 청구 구역, 청소의 종류, 청소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PC와 통신하는 PC용 API 서버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모바일용 API 서버와, 상기 개별 지점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작업자용 단말과 통신하는 작업자용 API 서버와, 청소와 관련된 장비 또는 소모품, 인력, 청소 작업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DB 서버를 포함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의 청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PC용 UI를 상기 관리자 PC에 제공하는 단계와;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용 UI를 상기 관리자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지점을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PC용 API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통하여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의 청소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고객 및 복수의 청소 구역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에 의하면, 작업자의 청소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장비 또는 소모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에 의하면, 관리자 PC 버전용과 모바일 버전용 UI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고객, 복수의 지점 및 복수의 청소 구역을 관리해야 하는 청소 관리 업체가 효과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청소 및 장비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관리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모품 관리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작업 현황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구역 및 이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고객, 하나의 고객에 소속된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또는 관리자의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제어 및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관리 시스템은 PC용 API 서버(100), 모바일용 API 서버(200), 작업자용 API 서버(300), DB 서버(40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지점에서 복수의 청소 대상 구역에 대한 인력 및 장비에 대한 제어 및 실시간 데이터 피드백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PC용 API 서버(100)는 관리자 PC(A)와 통신하고, 모바일용 API 서버(200)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B)과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PC(A)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B)은 도시하지 않은 저장부에 전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청소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용 소프트웨어를 내려받기하여 설치함으로써, 관리 업무에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PC(A)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B)은 사용자 입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있고, 입력부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버튼 또는 키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표시부와 일체형의 터치스크린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여, 청소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PC(A)에 제공되는 UI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B)에 제공되는 UI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관리자 모바일 단말(B)에 제공되는 UI는 관리자 PC(A)에 제공되는 UI보다 간략화될 수 있다.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UI를 선택 및 삭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최소한의 검토 또는 체크가 필요한 UI는 디폴트 창으로 삭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C용 API 서버(100) 및 모바일용 API 서버(200)는 IP망에 접속하기 위한 TCP/IP 프로토콜, 이더넷 등과 같은 유선인터페이스와, FTTH 인터페이스와, 무선인터넷 WIFI 인터페이스와, WIBRO 인터페이스, LTE 모뎀 등과 같이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청소 관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2개 이상의 통신망을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DB 서버(400)는 관리자 PC(A)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B)에 제공되고 표시될 청소와 관련된 장비 또는 소모품, 인력, 청소 작업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PC용 API 서버(100) 및 모바일용 API 서버(200)를 통하여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임시 또는 일정 시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DB 서버(4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PC용 UI를 관리자 PC(A)에 제공하도록 PC용 API 서버(100)를 제어하고,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용 UI를 관리자 모바일 단말(B)에 제공하도록 모바일용 API 서버(2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는 마이컴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용 UI는 고객사 UI, 태블릿 관리 UI, 장비 관리 UI, 소모품 관리 UI, 청소 작업 현황 UI 및 경영 정보 U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용 UI는 복수의 지점이 아닌 특정한 개별 지점에 대한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 장비 이력 및 청소 점검에 대한 UI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청소 관리 시스템은 개별 지점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작업자용 단말(C)과 통신하는 작업자용 API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용 단말(C)에 제공되는 UI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B)에 제공되는 UI와 다를 수 있고, 예컨대 더 간략화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작업자용 UI는 모바일용 UI에 표시되는 항목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용 단말(C)은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작업자용 API 서버(300) 또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B)과 통신 또는 데이터를 업로드 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용 단말(C)은 청소 대상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태블릿 단말과 같은 무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NFC 태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들은 기능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구분되어 도시되었을 뿐,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서버 및 제어부는 하나의 모듈로 머지되어 구현될 수 있고, 각 API 서버(100, 200, 300)가 개별적인 DB와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관리를 위한 통합 서버는 PC와 서로 API 연동하여 통신하거나 현장 상황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즉, PC는 클라이언트가 되어 통합서버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어부, DB 서버, API 서버는 도 2의 통합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도 1의 관리자 PC는 도 2의 PC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일 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은 통합 서버, 또는 통합 서버에 추가하여 PC와 서로 API 연동되어 통신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은 통합 서버가 아닌 관리자 PC만과 통신하면서 현장 상황 등과 같은 데이터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되어 관리자 PC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다양한 UI를 제공함으로써, 청소 진행 상황의 실시간 변화 및 각종 분석 사항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 및 고객사가 청소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청소 구역/시간 별 청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고객 불만이 접수되어 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소모품 교체주기를 확인하거나 교체를 확인하고, 재고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장 특성 상 청소 완료 후 작업구역 오염으로 청소진행 유무를 파악하거나 휴지류 및 세정제류와 같은 소모품의 소모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고, 작업자의 지정 구역 청소 소요 시간 및 정비 품질을 관찰할 수 있고, 고객 분실물이나 파손 또는 분실되는 장비 등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다양한 UI들이 도 3 내지 9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라, 관리자 PC(A)에 표시되는 PC용 UI는 도 3과 같은 고객사 UI를 포함할 수 있고, 고객사 UI는 고객사 관리, 고객사 별 복수의 지점 관리, 청소 작업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는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고객사가 복수의 지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현황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관리자는 로그인 정보 입력과 같은 로그인 창을 거쳐, 고객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고객사 정보 관리에는 고객사명, 청소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 고객 등록일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지점별 정보 관리에는 지점명, 청소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 지점 등록일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는 청소 용역에 대한 주요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출근부 항목에는 작업자의 출근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관리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라, 관리자 PC(A)에 표시되는 PC용 UI는 태블릿 관리 UI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소 대상 지점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태블릿 단말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태블릿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관리 UI는 태블릿 비고 관리 및 태블릿 광고 이미지 관리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태블릿 비교 관리 항목이 활성화되면 도 4과 같은 UI가 생성될 수 있다.
태블릿 비고 관리 창을 통하여 화장실 디지털 사이니비 비고란의 관리가 가능하고, 시설물 이상 및 특이 사항이 발생했을 경우 실시간으로 이를 파악 및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태블릿 비고 관리 창에는 비고 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항목과 비고 내용을 게재하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UI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모품 관리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장비 관리 UI는 장비 분류, 장비 이력 정보, 장비 매입처 정보, 장비 금액, 장비 세부 정보, AS 정보, 장비 점검 주기, 장비 점검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소모품 관리 UI는 소모품 상세 정보, 소모품 등록, 소모품 입고 및 출고, 소모품 재고, 소모품 이력 정보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에 대한 사항은 고객사별로, 지점 별로, 대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될 수 있고, 장비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 및 매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관리 UI는 도 5b와 같이, 소모품 재고 조회, 입고 관리, 출고 관리, 재고 조정 및 장비 이력 관리와 같은 세부적인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은 UI를 통하여 신규 장비와 기존 장비의 상태 관리가 가능하고, 장비 별 세부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AS 및 유지 보수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의 입/출고량이 전산화 및 DB화 되기 때문에 장비나 소모품의 교체 시 이력 관리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소모품의 자동 발주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한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장비 관리 UI 및 소모품 관리 UI는 상위 창을 공유하는 UI로 생성될 수도 있고, 유사한 특징을 같은 항목들을 포함하는 UI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자주 사용하거나 관리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장비 또는 소모품에 대한 관리 항목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작업 현황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라, 관리자 PC(A)에 표시되는 PC용 UI는 청소 작업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청소 작업 현황 UI를 포함할 수 있고, 청소 작업 현황 UI는 청소 구역 별 청소 현황, 청소 구역 별 점검 현황, 청소 체크 리스트, 소모품 교체 현황, 습득물 관리, 시설물 점검 및 고객 민원 접수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항목에 대한 세부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구역 별 점검 현황에 대한 세부 항목은 청소 대상에 대한 체크리스트 항목, 청소 구역 별로 시간 대별 청소 유무에 대한 항목, 점검 상태에 대한 항목, 작업자 이름 등의 세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 PC용 UI는 청소 작업 현황 UI 이외에, 청소 작업에 대한 마스터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마스트 정보 U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마스트 정보 UI는 청소 구역 관리, NFC 타입 관리, 관리자 점검항목 관리, 체크리스트 관리, 청소지시작업 구역, 청소지시작업 현황 등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 PC용 UI는 업무 일지 항목을 포함하는 경영 정보 UI를 포함할 수 있다. 경영 정보 UI는 고객사명, 지점명 및 특정 날짜와 업무 일지를 기록할 수 있는 세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업무 일지를 기록할 수 있는 세부 항목에는 일일 인원 현황을 입력함으로써 인력 운영의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고, 금일/익일 업무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업무 진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른 모바일용 UI는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UI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개별 지점에 대한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 장비 이력 및 청소 점검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간략화된 모바일용 UI를 통하여 습득물 등록 및 목록 확인이 가능하고, 구역 별 청소 현황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다. 또한, 장비 별 세부 정보 및 이력 조회가 가능하도록 세부 항목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득물 등록 항목이 선택되면, 습득물 명칭 및 습득 장소를 상세히 입력할 수 있는 항목과 습득물 사진 촬영 및 업로드가 가능한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진 등록이 선택되면, 습득물 등록이 완료되고, 습득물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창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7의 청소 현황에 대한 항목이 선택되면, 청소 구역 선택을 통한 작업자의 담당 층을 선택할 수 있고, 담당 층의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세부 UI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청소 구역 별 청소 전후를 알려주는 UI를 통하여 청소 주기 대비 청결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작업자 투입 주기 및 배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청소 작업에 대한 UI는 도 7의 청소 시작 항목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으며, 청소 작업에 대한 UI는 화장실용 UI와 화장실외 청소 현황 UI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실외 청소 현황 UI는 상술된 청소 현황에 대한 항목과 동일할 수 있다. 즉, 화장실외 청소 현황은 청소 구역 선택을 통한 작업자의 담당 층 선택, 담당 층의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세부 항목으로 파악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UI를 도시한 것으로, 화장실에서는 습득물이 많이 발견되는 것을 시스템에 반영하여, 습득물 등록 항목을 화장실용 UI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타입 청소 구역에 대한 UI는 습득물 관리(a), 소모품 체크(b), 청소 상태 체크(c)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습득물을 발견한 경우, (a)의 UI를 이용하여 습득물에 대한 사진을 업로드 하고 습득물을 등록할 수 있다. 습득물 등록이 완료되면 (b)와 같은 UI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고, 소모품 체크에 대한 입력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소모품 교체 수량 확인이 완료되면, (c)와 같은 체크리스트 UI가 생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c)의 UI를 통해 시설물 고장 시 상태를 점검으로 변경하고, 점검이 필요한 시설물에 대한 알림톡을 통하여 관리자와 시설물에 대한 상황을 공유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르면, 도 7과 같이 모바일용 UI에 표시되는 항목 중 일부를 포함하는 작업자용 UI가 작업자용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UI 중 일부만을 제공 받을 수 있고, 관리자와 상이한 메뉴 구성을 통하여 업무를 이원화하고, 이로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용 UI는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에 대한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b)와 같이 작업자는 습득물 등록 UI를 통하여 습득물을 등록할 수 있고, 일 별로 습득물에 대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복수의 청소 대상 구역에 대한 청소 상황을 체크하여 관리자에게 보고 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 모바일 단말은 청수 구역에 NFC태그가 설치되어 있는지 유무를 파악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용 UI는 작업자용 UI를 통하여 업데이트된 청소 현황, 소모품 현황 및 점검 항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점검 U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용 UI는 청소 용역 작업이 수행되는 지점의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NFC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NFC 정보 U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FC 정보 UI는 고객사명, 지점명, 청소 구역, NFC 타입명, NFC 명, NFC 주소 등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개별 지점을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하여 각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업무를 작업자용 단말(C)에 전송하도록 작업자용 API 서버(300)를 제어하고, PC용 API 서버(A) 또는 모바일용 API 서버(B)를 통하여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하면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작업자용 단말(C)에 전송하도록 작업자용 API 서버(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청소 구역 및 이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사의 개별 지점은 복수의 청소 구역(A-1~A-8), B-1~B-8)으로 나뉠 수 있고, 이러한 청소 구역은 제어부(500)를 통하여 작업자용 단말(C)에 전송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PC용 API 서버(A) 또는 모바일용 API 서버(B)를 통하여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청소 요청에 대응하여 작업자용 단말(C)에 각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구역 마다 구역 청소를 담당하는 작업자가 설정될 수 있고, 구역 마다 이루어져야 하는 청소 업무 내용이 UI로 작업자용 단말(C)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는 청소 대상이 되는 청소 구역, 청소의 종류, 청소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청소 업무는 관리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미리 청소 구역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한 명의 작업자를 할당하고, 관리자가 청소 현황을 확인해서 어떤 특정한 구역의 청소가 필요하다고 입력하면 해당 구역의 작업자의 작업자용 단말(C)에게 청소 업무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지정한 특정한 구역은 미리 구획된 청소 구역에 제한되지 않으며, 관리자 PC에서 마우스를 이용하거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영역을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지정된 청소 구역은 해당 구역의 작업자에게 우선적으로 업무가 할당되지만, 이 과정에서 관리자는 작업자에게 할당된 청소 일정현황 및 작업자의 동선에 따라 해당 특정 구역의 작업자를 새롭게 지정할 수 있으며, 해당 청소 구역과 청소 종류에 대응하는 이력이 가장 많은 담당자에게 우선적으로 업무가 할당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 예에 따라, 청소 업무는 청소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동선 정보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0)는 해당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동선 정보를 기반으로 청소 구역에 대한 시간 당 사람들의 이동량을 파악하고, 이동량이 많을수록 청소 구역의 청소 시간 간격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청소 관리 시스템은 청소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동선에 대한 정보를 감지 및 수집하고, 사람들이 붐비는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시간 간격은 짧게 설정하고 붐비지 않는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시간 간격은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든 청소 구역에 대한 청결도를 전반적으로 일정하고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청소 관리 시스템은 청소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동선 정보를 감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는 청소 구역 마다 또는 복수의 청소 구역 마다 설치될 수 있고, 적외선 센서, 카메라, 라이더, 레이더, 객체 인식 센서 등 움직이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관리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 관리 시스템은 DB 서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PC용 UI를 관리자 PC에 제공하고(1100),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용 UI를 관리자 모바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1110).
또한, 청소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개별 지점을 도 10과 같이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하고(1120), PC용 API 서버 또는 모바일용 API 서버로부터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1130).
그런 후, 청소 관리 시스템은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여 작업자용 UI가 작업자용 단말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1140).
청소 업무는 청소 대상이 되는 청구 구역, 청소의 종류, 청소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청소 업무는 사용자의 이동량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를 통하여 청소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동선 정보가 감지될 수 있고, 동선 정보를 기반으로 청소 구역에 대한 시간 당 사람들의 이동량이 파악될 수 있다. 이동량이 많을수록 청소 구역의 청소 시간 간격이 짧게 설정되는 청소 업무 정보가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PC용 UI, 청소 작업 현황 UI, 모바일용 UI, 청소 작업에 대한 UI 및 작업자용 UI 등은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내용과 대동소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청소 관리 방법은 복수의 고객, 복수의 지점 및 복수의 청소 구역을 관리해야 하는 청소 관리 업체가 효과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청소 및 장비 현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 관리 시스템에 의한 청소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는 청소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 상에서 청소 관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명령어,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PC와 통신하는 PC용 API 서버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모바일용 API 서버와;
    개별 지점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작업자용 단말과 통신하는 작업자용 API 서버와;
    청소와 관련된 장비 또는 소모품, 인력, 청소 작업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PC용 UI를 상기 관리자 PC에 제공하도록 상기 PC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용 UI를 상기 관리자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도록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개별 지점을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하여 각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PC용 API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통하여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동선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시간 당 사람들의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이동량이 많을수록 상기 청소 구역의 청소 시간 간격을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고객사 관리, 고객사 별 복수의 지점 관리, 청소 작업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는 고객사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대상 지점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태블릿 단말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태블릿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태블릿 관리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장비 관리를 위한 장비 관리 UI 또는 소모품 관리를 위한 소모품 관리 UI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관리 UI는 장비 분류, 장비 이력 정보, 장비 매입처 정보, 장비 금액, 장비 세부 정보, AS 정보, 장비 점검 주기, 장비 점검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품 관리 UI는 소모품 상세 정보, 소모품 등록, 소모품 입고 및 출고, 소모품 재고, 소모품 이력 정보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작업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청소 작업 현황 UI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 작업 현황 UI는 청소 구역 별 청소 현황, 청소 구역 별 점검 현황, 청소 체크 리스트, 소모품 교체 현황, 습득물 관리, 시설물 점검 및 고객 민원 접수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업무 일지 항목을 포함하는 경영 정보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용 UI는 특정한 개별 지점에 대한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 장비 이력 및 청소 점검에 대한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작업에 대한 UI는 화장실용 UI와 화장실외 청소 현황 UI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용 UI는 습득물 관리, 소모품 체크, 청소 상태 체크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용 UI에 표시되는 항목 중 일부를 포함하는 작업자용 UI가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표시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용 UI는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업무는 청소 대상이 되는 청소 구역, 청소의 종류, 청소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
  12. 관리자 PC와 통신하는 PC용 API 서버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모바일용 API 서버와, 개별 지점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작업자용 단말과 통신하는 작업자용 API 서버와, 청소와 관련된 장비 또는 소모품, 인력, 청소 작업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DB 서버를 포함하는 청소 관리 시스템의 청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PC용 UI를 상기 관리자 PC에 제공하는 단계와;
    개별 지점에 대한 청소 용역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용 UI를 상기 관리자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지점을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PC용 API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용 API 서버를 통하여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청소 요청에 대응하는 청소 업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 구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동선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동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시간 당 사람들의 이동량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량이 많을수록 상기 청소 구역의 청소 시간 간격은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고객사 관리, 고객사 별 복수의 지점 관리, 청소 작업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는 고객사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대상 지점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태블릿 단말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태블릿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태블릿 관리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장비 관리를 위한 장비 관리 UI 또는 소모품 관리를 위한 소모품 관리 UI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관리 UI는 장비 분류, 장비 이력 정보, 장비 매입처 정보, 장비 금액, 장비 세부 정보, AS 정보, 장비 점검 주기, 장비 점검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품 관리 UI는 소모품 상세 정보, 소모품 등록, 소모품 입고 및 출고, 소모품 재고, 소모품 이력 정보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청소 작업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청소 작업 현황 UI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 작업 현황 UI는 청소 구역 별 청소 현황, 청소 구역 별 점검 현황, 청소 체크 리스트, 소모품 교체 현황, 습득물 관리, 시설물 점검 및 고객 민원 접수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C용 UI는 업무 일지 항목을 포함하는 경영 정보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용 UI는 특정한 개별 지점에 대한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 장비 이력 및 청소 점검에 대한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작업에 대한 UI는 화장실용 UI와 화장실외 청소 현황 UI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용 UI는 습득물 관리, 소모품 체크, 청소 상태 체크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용 UI에 표시되는 항목 중 일부를 포함하는 작업자용 UI가 상기 작업자용 단말에 표시되도록 상기 작업자용 API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용 UI는 습득물 관리, 청소 현황, 청소 작업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21. 삭제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업무는 청소 대상이 되는 청소 구역, 청소의 종류, 청소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관리 방법.
KR1020230036784A 2023-03-21 2023-03-21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KR10255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784A KR102558245B1 (ko) 2023-03-21 2023-03-21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784A KR102558245B1 (ko) 2023-03-21 2023-03-21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245B1 true KR102558245B1 (ko) 2023-07-20

Family

ID=8742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784A KR102558245B1 (ko) 2023-03-21 2023-03-21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2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799B1 (ko) 2018-07-20 2019-01-29 김재현 청소서비스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144786B1 (ko) 2020-02-17 2020-08-14 이승민 청소서비스 운영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22072809A (ja) * 2020-10-30 2022-05-17 zens株式会社 清掃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799B1 (ko) 2018-07-20 2019-01-29 김재현 청소서비스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144786B1 (ko) 2020-02-17 2020-08-14 이승민 청소서비스 운영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22072809A (ja) * 2020-10-30 2022-05-17 zens株式会社 清掃管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56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US10313281B2 (en) Delivery of automated notifications by an industrial asset
US20150120388A1 (en) Work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CN109523111A (zh) 一种设施设备管理系统
CA2878466C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ity guidance and monitoring
US201100875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delivery of remote and local technical support via a centralized service
KR102284176B1 (ko) 중앙 집중식 물류 모니터링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254653B1 (ko) 레거시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라벨링 시스템 및 방법
JP6460932B2 (ja) 画像処理装置、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79118B1 (ko) 설비의 최적관리기법을 이용한 시설자산관리 및 에이에스피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EP3864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ynamic websites with hypermedia elements
WO2008144797A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50110985A (ko) 건물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건물통합관리 방법
KR102558245B1 (ko)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KR100638837B1 (ko) 객실관리시스템
CN110640751B (zh) 一种基于变电站远程巡检平台的巡检机器人交互方法
US200201841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questing job for apparatus in use via network, job request receiving apparatus, their methods,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2257343B1 (ko)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방법 및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시스템
KR101166920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축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5873913B2 (ja) 業務復旧支援システムおよび集約管理システム
US10623266B2 (en) Cross entity association change assessment system
JP2016099952A (ja) 帳票データ管理装置、帳票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帳票データ管理方法
KR102471034B1 (ko)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04213218A (ja) 施設統合管理センタ装置、および施設統合管理方法
KR101247312B1 (ko) 자산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