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312B1 - 자산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산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312B1
KR101247312B1 KR1020120112525A KR20120112525A KR101247312B1 KR 101247312 B1 KR101247312 B1 KR 101247312B1 KR 1020120112525 A KR1020120112525 A KR 1020120112525A KR 20120112525 A KR20120112525 A KR 20120112525A KR 101247312 B1 KR101247312 B1 KR 10124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branch
main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명철
Original Assignee
마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명철 filed Critical 마명철
Priority to KR102012011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12B1/ko
Priority to PCT/KR2013/002961 priority patent/WO20140581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지점의 CCTV 자산에 관한 장비현황을 관리하고 본점에서 전체 지점의 CCTV 자산현황 및 이력을 관리하며 지점별 CCTV 자산의 설치현황을 도면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은행 전용망의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는 본점시스템(20)과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는 지점시스템(10)이 은행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어; 상기 지점시스템(10)에서 CCTV 자산등록은 자산등록 프로그램에서 CCTV자산을 도면에 배치 및 설정하고, 해당 지점 저장서버(15)에 웹을 통해 자산등록으로써 전체 자산정보, 평면도 및 설치위치좌표를 저장서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로써 저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산관리시스템{ASSET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지점의 CCTV 자산에 관한 장비현황을 관리하고 본점에서 전체 지점의 CCTV 자산현황 및 이력을 관리하며 지점별 CCTV 자산의 설치현황을 도면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은행망의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예컨대 IT(Information Technology)의 기술발달로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전자장치 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전자장치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으며, 유형 자산으로서 장치 사용자나 소유자의 자산에 포함되고 있다. 따라서, 그 장비 자체로 유형 자산으로서의 평가되어야 한다.
상기 전자 장치로써 많이 설치되고 운용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장치는 그 특성상 설정 상태의 변경이 가능하며 설치자의 구매, 매각에 의하여 시스템에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CCTV 장치가 네트워크에 추가되거나 네트워크에서 삭제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예컨데, 은행의 본점과 각 지점사이에서 유형 자산인 CCTV 장치의 추가와 삭제는 실질적으로는 자산의 변동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CCTV 장치의 변경 사항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들은 CCTV 장치로서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반적인 자산과 동일하게 취득과 매각에 기초하여 관리되어 왔다.
그러므로, 은행에서 자산 관리의 효율성이 낮으며, 빈번한 추가와 삭제에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은행에서의 CCTV 자산에 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본점 및 지점에서 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고려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자료전송의 은행 전용망을 통해 지점시스템과 본점시스템이 네트워킹되어 은행지점의 CCTV 자산에 관한 장비현황을 관리할 수 있으며, 본점에서 전체 지점의 CCTV 자산현황 및 이력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지점별 CCTV 자산의 설치현황을 도면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 자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는 본점시스템(20)과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는 지점시스템(10)이 은행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어; 상기 지점시스템(10)에서 CCTV 자산등록은 자산등록 프로그램에서 CCTV자산을 도면에 배치 및 설정하고, 해당 지점 저장서버(15)에 웹을 통해 자산등록으로써 전체 자산정보, 평면도 및 설치위치좌표를 저장서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로써 저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특징은,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는 본점시스템(20)과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는 지점시스템(10)이 은행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어; 상기 지점시스템(10)에서 CCTV 자산등록은 자산등록 프로그램에서 CCTV자산을 도면에 배치 및 설정하고, 해당 지점 저장서버(15)에 웹을 통해 자산등록으로써 전체 자산정보, 평면도 및 설치위치좌표를 저장서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로써 저장하고; 상기 본점시스템(20)에서 프로그램의 자산관리는 등록된 전체 지점에 대한 정보리스트를 표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지점의 도면 모드와 리스트 모드로 표출하며, 선택자산에 대한 상세 이력을 표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적인 특징은,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는 본점시스템(20)과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는 지점시스템(10)이 은행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어; 지점자산을 등록하거나 본점자산을 등록하게 되며, 상기 지점자산등록은 신규 자산정보 또는 기존 자산정보로 구분되고, 상기 신규자산을 추가하여 도면상의 자산을 배치하게 되고; 상기 기존 자산정보는 저장된 자산 데이터베이스(DB)의 위치에 따라, 원격네트워크를 이용한 본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점자산정보, 로컬네트워크를 이용한 표출프로그램 PC에 저장된 지점자산정보 및, USB를 이용한 자산정보에서 선택하게 되며; 이렇게 선택후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본점에서 지점별 CCTV 자산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장비별 이력 조회가 가능하며, 또한 지점별 CCTV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산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에서 중앙관제용 구성화면을 도시해 놓은 GUI 화면들,
도 12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에서 지점용 구성화면을 도시해 놓은 GUI 화면들,
도 16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에서 장비배치용 구성화면을 도시해 놓은 GUI 화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산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용 자산관리시스템인 바, 이는 은행지점의 CCTV 자산에 관한 장비현황을 관리하고, 본점에서 전체 지점의 CCTV 자산현황 및 이력을 관리하며, 지점별 CCTV 자산의 설치현황을 도면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은행망의 자산관리시스템인 것이다.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은 자료전송의 은행 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는 지점시스템(10)과 본점시스템(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점시스템(20)은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지점시스템(10)은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고 있다.
상기 지점시스템(10)에서 CCTV 자산등록은 자산등록 프로그램에서 CCTV자산을 도면에 배치 및 설정할 수 있다. 지점 저장서버(15)에 웹을 통해 자산등록, 즉 전체 자산정보, 평면도, 설치위치좌표 등을 저장서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지점용 프로그램에서의 자산관리는 해당 지점의 도면 및 자산정보를 표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면 모드와 리스트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선택 자산에 대한 상세이력을 표출할 수 있다.
중앙의 본점 프로그램에서의 자산관리는 은행전용망(30)을 통하여 각 지점 저장서버(15)에 저장된 데이터를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로 전송한다.
등록된 전체 지점에 대한 정보리스트를 표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지점의 도면 모드와 리스트 모드로 표출하며, 선택자산에 대한 상세이력을 표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네트워크의 은행 전용망을 통해 지점자산을 등록하거나 본점자산을 등록하게 되는 바, 상기 지점자산등록은 신규 자산정보 또는 기존 자산정보로 구분되고, 상기 신규자산을 추가하여 도면상의 자산을 배치하게 된다.
기존 자산정보는 저장된 자산 데이터베이스(DB)의 위치에 따라, 1. 원격네트워크를 이용한 본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점자산정보, 2. 로컬네트워크를 이용한 표출프로그램 PC에 저장된 지점자산정보 및, 3. USB(Universal Serial Bus) 및 기타 정보를 이용한 자산정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후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되는 바, 여기서 네트워크의 은행전용망을 통해 본점자산등록에서도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되고, 지점 자산등록에서 도면상의 자산배치와 지점 자산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통해 자산정보, 평면도 및 좌표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점자산의 등록은 본점자산 또는 지점자산으로 구분되는 바, 먼저 지점등록은 전술한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되고, 자산정보, 평면도 및 좌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후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되돌아 간다.
상기 지점자산 또는 본점자산은 신규 자산정보 또는 기존 자산정보로 구분되고, 상기 신규자산을 추가하여 도면상의 자산을 배치하게 된다.
기존 자산정보는 저장된 자산 데이터베이스(DB)의 위치에 따라, 2. 로컬네트워크를 이용한 표출프로그램 PC에 저장된 지점자산정보 및, 3. USB 및 기타 정보를 이용한 자산정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후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되는 바, 여기서 네트워크의 은행전용망을 통해 본점자산등록에서도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되고, 지점 자산등록에서 도면상의 자산배치와 지점 자산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통해 자산정보, 평면도 및 좌표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표출과정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데 자산표출을 지점목록의 표출여부에 따라 지점목록을 통해 지점을 선택하거나 자산 및 평면도목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이어 자산이력이나 자산 상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 본점에서 지점별 CCTV 자산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장비별 이력 조회가 가능하며, 또한 지점별 CCTV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에서 중앙관제용 구성화면을 도시해 놓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들이다. 본 발명은 자료전송의 은행 전용망을 통해 지점시스템과 본점시스템이 네트워킹되어, 상기 본점시스템에서 중앙관제용 구성화면은 다음과 같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4 는 중앙관제용 로그인 창으로, 로그인 아이디 입력(1a), 비밀번호 입력(1b), 정보확인후 메인페이지 표출(1c) 및 취소시 설정페이지 조작불가(1d)가 있다.
도 5 는 중앙관제용 메인 창으로, 정렬(2a), 엑셀저장(2b), 검색방법 설정(2c) 및 지점리스트목록(2d)이 있는 바, 상기 정렬(2a)은 리스트 정렬창이 표출되고, 상기 엑셀저장(2b)은 현재 리스트 엑셀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지점리스트 목록(2d)은 표출된 리스트중 하나를 더블 클릭할 경우 맵 모드로 화면 전환한다.
여기서, 저장서버, 운영서버, 카메라, 네트워크, 센서, 모니터 및 기타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도 6 는 정렬 창으로서, 정렬기준(2e)을 선택하고, 정렬방식(2f)을 선택하고 있다.
도 7 은 중앙관제용 맵(Map) 창으로, 선택된 지점의 장비 배치도표시(3a), 지점장비 리스트 보기 전환(3b), 메인페이지로 전환(3c), 도면맵(3d), 선택에 따라 표출방법변환(3e) 및 지점장비 리스트(3f)가 있다.
상기 도면 맵(3d)은 아이콘 더블 클릭시 해당 장비 자세히보기 창 팝업하고, 아이콘 접근시 아이콘 확대 및 기본정보 표출한다.
상기 지점장비 리스트(3f)는 리스트 선택후 더블클릭시 상세보기 창 팝업한다. 그리고 장비구분은 저장서버, 운영서버, 카메라, 모니터 및 PoE(Power over Ethernet)스위치가 있다.
도 8 은 지점리스트 창으로, 지점 맵모드 전환(4a)과 지점장비리스트(4b)가 있는 바, 상기 지점장비 리스트(4b)는 리스트 선택 후 더블 클릭시 상세보기 창 팝업하고 있다.
도 9 는 상세보기 창으로, 장비별 현황조회(4c), 과거이력 리스트(4d) 및 엑셀저장(4e)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 과거이력 리스트(4d)는 과거의 장비이력을 표출하고, 상기 엑셀저장(4e)은 장비의 이력을 엑셀로 저장한다.
도 10 은 설정 창(계정)으로, 부호 5a 는 저장되어 있는 계정리스트 목록을 보여주고, 부호 5b 는 계정을 추가, 수정 및 삭제하게 한다.
도 11 은 설정 창(DB)으로, 부호 5c는 데이터베이스(DB)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수정한다.
도 12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에서 지점용 구성화면을 도시해 놓은 GUI 화면들이다. 본 발명은 자료전송의 은행 전용망을 통해 지점시스템과 본점시스템이 네트워킹되어, 상기 지점시스템에서의 지점용 구성화면은 다음과 같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도 12 는 지점용 로그인 창으로, 로그인 아이디 입력(6a), 비밀번호 입력(6b), 정보확인후 메인페이지 표출(6c) 및 취소시 설정페이지 조작불가(6d)가 있다.
도 13 은 지점용 메인 창으로, 지점의 장비 배치도표시(7a), 지점장비 리스트 보기 전환(7b), 메인페이지로 전환(7c), 도면맵(7d), 선택에 따라 표출방법변환(7e) 및 지점장비 리스트(7f)가 있다.
상기 도면맵(7d)은 아이콘 더블 클릭시 해당 장비 자세히보기 창 팝업하고, 아이콘 접근시 아이콘 확대 및 기본정보 표출한다.
상기 지점장비 리스트(7f)는 리스트 선택후 더블클릭시 상세보기 창 팝업한다. 그리고 장비구분은 저장서버, 운영서버, 카메라, 모니터 및 POE(Power Over Ethernet)스위치가 있다.
도 14 는 설정 창(계정)으로, 부호 8a 는 저장되어 있는 계정리스트 목록을 보여주고, 부호 8b 는 계정을 추가, 수정 및 삭제하게 한다.
도 15 는 설정 창(HTTP)으로, 부호 8c 는 저장되어 있는 HTTP 정보를 표출하고, 부호 8d 는 HTTP 를 추가, 수정 및 삭제하게 한다.
도 16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에서 장비배치용 구성화면을 도시해 놓은 GUI 화면들이다. 본 발명은 자료전송의 은행 전용망을 통해 지점시스템과 본점시스템이 네트워킹되어 장비배치용 구성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16 은 장비배치용 메인 창으로, 도면이 표출되는 부분(9a), 기존 이미지 표출 창로드(9b)에서의 설정할 지점명(9d)와 도면 불러오기(9e), 배치될 장비 아이콘목록(9c), 도면맵(9f), 배치장비 리스트(9g)가 있다.
상기 도면맵(9f)은 원하는 장비 선택후 마우스 클릭으로 장비 배치하고, 표출된 이미지 클릭시 파란색 테두리, 선택된 이미지에 한하여 좌표수정 가능하며, 도면확대 기능이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9h 는 장비배치가 끝나면 이미지와 좌표를 저장하고, 부호 9i 는 장비명 수정 창팝업이다.
도 17 은 장비명 입력으로, 취소(11a), 장비명 입력(11b) 및 입력완료(11c)가 있다.
도 18 은 장비명 수정창으로, 기존 장비명(11d), 취소(11e), 수정할 장비명(11f) 및 수정완료(11g)가 있다.
도 19 는 기존 이미지 표출창으로, 기존이미지(11h)가 있다.
이상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후 결과확인은 도면 이미지 jpg는 예컨데 C 드라이브에 '명동'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했을 경우에는 C : \명동.jpg 이다.
또, 장비 좌표 XML 은 예컨데 C 드라이브에 '명동'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했을 경우에는 C : \명동data.xml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본점에서 지점별 CCTV 자산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장비별 이력 조회가 가능하며, 또한 지점별 CCTV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자산관리시스템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지점시스템
15 : 지점저장서버
20 : 본점시스템
25 :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
30 : 은행망

Claims (6)

  1.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는 본점시스템(20)과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는 지점시스템(10)이 은행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어;
    상기 지점시스템(10)에서 CCTV 자산등록은 자산등록 프로그램에서 CCTV자산을 도면에 배치 및 설정하고,
    해당 지점 저장서버(15)에 웹을 통해 자산등록으로써 전체 자산정보, 평면도 및 설치위치좌표를 저장서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로써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시스템(10)에서 프로그램의 자산관리는 해당 지점의 도면 및 자산정보를 표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면 모드와 리스트 모드를 지원하며, 선택 자산에 대한 상세이력을 표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점시스템(20)에서 프로그램의 자산관리는 은행전용망(30)을 통하여 각 지점 저장서버(15)에 저장된 데이터를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로 전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점시스템(20)에서 프로그램의 자산관리는 등록된 전체 지점에 대한 정보리스트를 표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지점의 도면 모드와 리스트 모드로 표출하며, 선택자산에 대한 상세 이력을 표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시스템.
  5.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는 본점시스템(20)과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는 지점시스템(10)이 은행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어;
    상기 지점시스템(10)에서 CCTV 자산등록은 자산등록 프로그램에서 CCTV자산을 도면에 배치 및 설정하고, 해당 지점 저장서버(15)에 웹을 통해 자산등록으로써 전체 자산정보, 평면도 및 설치위치좌표를 저장서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로써 저장하고;
    상기 본점시스템(20)에서 프로그램의 자산관리는 등록된 전체 지점에 대한 정보리스트를 표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지점의 도면 모드와 리스트 모드로 표출하며, 선택자산에 대한 상세이력을 표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시스템.
  6. 운영서버를 이용하여 본점 데이터베이스서버(25)와 컴퓨터시스템(PC)이 구성되는 본점시스템(20)과 운영서버로 다수의 지점저장서버(15)와 다수의 컴퓨터시스템(PC)이 각각 구성되는 지점시스템(10)이 은행전용망(30)으로 네트워킹되어;
    지점자산을 등록하거나 본점자산을 등록하게 되며, 상기 지점자산등록은 신규 자산정보 또는 기존 자산정보로 구분되고, 상기 신규자산을 추가하여 도면상의 자산을 배치하게 되고;
    상기 기존 자산정보는 저장된 자산 데이터베이스(DB)의 위치에 따라, 원격네트워크를 이용한 본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점자산정보, 로컬네트워크를 이용한 표출프로그램 PC에 저장된 지점자산정보 및, USB를 이용한 자산정보에서 선택하게 되며;
    이렇게 선택후 지점 자산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시스템.
KR1020120112525A 2012-10-10 2012-10-10 자산관리시스템 KR10124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25A KR101247312B1 (ko) 2012-10-10 2012-10-10 자산관리시스템
PCT/KR2013/002961 WO2014058119A1 (ko) 2012-10-10 2013-04-09 자산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25A KR101247312B1 (ko) 2012-10-10 2012-10-10 자산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312B1 true KR101247312B1 (ko) 2013-03-25

Family

ID=4818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525A KR101247312B1 (ko) 2012-10-10 2012-10-10 자산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7312B1 (ko)
WO (1) WO20140581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908A (ko) 2020-11-25 2022-06-03 (주)소프트체인 자산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452A (ko) * 2004-06-21 2006-05-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조명광학계, 노광장치 및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KR20060055854A (ko) * 2004-11-19 2006-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6708A (ko) * 2008-12-26 2010-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2906A (ja) *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資産情報管理装置、資産管理システム、及び、資産管理方法
JP2006048452A (ja) * 2004-08-05 2006-02-16 Kokuyo Co Ltd ビル管理システム、ビル管理用のプログラム及びビル管理用のデータ構造
US10248914B2 (en) * 2005-11-29 2019-04-02 The Boeing Company Sustaining a fleet of configuration-controlled assets
KR101044075B1 (ko) * 2008-12-04 2011-06-27 동국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통합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452A (ko) * 2004-06-21 2006-05-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조명광학계, 노광장치 및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KR20060055854A (ko) * 2004-11-19 2006-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6708A (ko) * 2008-12-26 2010-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908A (ko) 2020-11-25 2022-06-03 (주)소프트체인 자산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8119A1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1761A1 (en) Mobile tasks
US20210357833A1 (en) Role-based access control with building information data model for managing building resources
KR20130056672A (ko)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31372A1 (en) Wire Diagram Tagging System
US9141958B2 (en) Method for providing data to a user
US20180041401A1 (en) System Diagram GUI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9336617B1 (en) Assigning values to objects using a two-dimensional data input plane
CN111800454A (zh) 一种可视化数据展示系统及可视化页面投屏方法
KR20140117711A (ko) Sns서버를 이용하여 주택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스마트 워크 플랫폼 및 그 지원 방법
KR101247312B1 (ko) 자산관리시스템
KR100956142B1 (ko) 도식 형태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지식 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922546B2 (en) Real-time location tagging
CN114065248A (zh) 用户访问权限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686168B1 (en) Managing component capacity
KR100802096B1 (ko)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114675921A (zh) 一种自定义界面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0979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31448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제시스템
KR20210051817A (ko)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인증 확인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378588A (zh) 保证实时通信的集中监控管理系统
US2012004708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al Estate Resource Consolidation
US20170017910A1 (en) License Management System That Ensures Effective Use of License Considering Time Zone of Installed Device and License Management Method
KR102558245B1 (ko) 청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관리 방법
KR20190031608A (ko)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에서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ux 다양성 제공방법
JP2002300319A (ja) 情報収集・編集・配信システム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