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708A -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708A
KR20100076708A KR1020080134837A KR20080134837A KR20100076708A KR 20100076708 A KR20100076708 A KR 20100076708A KR 1020080134837 A KR1020080134837 A KR 1020080134837A KR 20080134837 A KR20080134837 A KR 20080134837A KR 20100076708 A KR20100076708 A KR 20100076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management
task
data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식
정성윤
서명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6708A/ko
Publication of KR2010007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공시설물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예방적 유지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인 자산관리 체계를 제공하며,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업무 아키텍쳐, 서비스 아키텍쳐, 데이터 아키텍쳐 및 기술 아키텍쳐로 이루어지며, 공공시설물의 자산 관리 업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 공공시설물에 대한 신규 자산의 등록 및 자산 가치평가 업무들을 수행하는 자산관리 기획부; 상태 점검, 성능등급 산정, 위험 평가, 예측 모델링 및 생애주기 비용분석 업무들을 수행하는 자산 평가부; 대안파악 및 비용산정, 대안별 비교평가, 작업계획 합리화(수립) 및 결과기록 업무들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계획부;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도급관리, Job/자원관리, 재고관리 업무들을 수행하는 공사 관리부; 및 처리되는 업무들의 입출력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자산관리 기획부, 자산 평가부, 유지보수 계획부 및 공사 관리부는, 중복항목의 배제와 필요항목의 추가를 위해서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관리, 공공시설물, EA, 아키텍쳐, 프레임워크

Description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SOCIAL INFRASTRUCTURES}
본 발명은 자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공시설물의 자산관리에 있어서, 자산관리 기술과 정보 기술을 융합하여 종합적인 자산관리(Total Asset Management) 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시설물이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생활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공공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 개념은 20세기 후반에 여러 선진국에서 공공시설물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 하던 데서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그 도입 방안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자산관리는 시설물의 최적화된 관리를 위한 경영전략으로서, 시설물 상태에 대한 공학적, 해석적 분석을 넘어 대상물을 자산으로 인식 및 평가하고, 시설물의 가치유지 및 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하며, 사용자의 최대 만족을 얻기 위한 것이다. 국내의 경우, 현행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를 넘어 효율성 증대 및 예산 절약 을 위해서 공공시설물에 자산관리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국내의 경우, 공공시설물의 자산관리 시스템으로서, 도로관리통합 시스템, 포장관리 시스템, 교량관리 시스템, 상수도 관련 시스템 및 하수도 관련 시스템 등이 있다.
도로관리통합 시스템(Highway Management System: HMS)은 국토해양부의 위임을 받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개발, 운영하고 있다. 도로, 교량, 포장, 사면관리 등 기존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자산형태 및 개발주체에 따라 개별 시스템으로 개발되었으므로 자료공유가 어렵고 동일한 자료를 중복 관리하는 등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소비되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자 통일된 이정((Milestone) 관리체계를 근간으로 개별 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이 HMS이다. 그런데, HMS는 기존 시스템들의 전산체계와 위치정보 관리방법 등을 통합하여 연계성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자산관리 시스템으로 확장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포장관리 시스템(Pavement Management System: PMS)은 도로포장을 적정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포장유지보수 예산을 절감하고 업무를 효율화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으로, 현재 국토해양부, 한국도로공사, 서울시 등에서 운영 중이다. 이 기관들은 정기적으로 포장상태를 조사하여 보수우선순위 선정, 최적공법 선정 및 유지관리 등 단계별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PMS는 일부 자료를 HMS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시키는 방식으로 자료를 공유하고 있으며, 유지보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HDM-4와 같은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PMS의 개발로 포장관 리의 기능이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으나 자산관리까지 그 개념을 확산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교량관리 시스템(Bridge Management System: BMS)은 국토해양부가 일반국도상 교량을 대상으로 교량의 유지관리 방법과 보수 및 보강, 우선순위 선정을 지원하고 합리적인 투자를 산출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 도로구조물과, 국토해양부 산하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개발하였다. BMS는 전체 교량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 교량의 유지관리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BMS 시스템은 향후 교량 유지관리에 필요한 수요를 최적의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BMS는 2002년에 HMS와 통합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교량의 기본 정보와 입력 및 출력 정보 조회 수준의 활용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한 경제적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BMS를 통해 교량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교량 상태 파악 및 이력관리의 체계화, 합리적인 유지관리 예산의 배분 등 체계적인 교량 유지관리는 가능하다. 그러나 도로, 포장, 교량 등 각각의 공공시설물 관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개별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시스템간의 자료공유 및 교환이 어려워 모든 자산 유형에 대해 포괄적인 투자 전략대안을 제시하는 종합관리 시스템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서울시 상수도 관련 시스템으로서, 서울시 상수도본부는 취수장, 정수장, 도수관로와 같은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도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을 사용하고 있다. GIS는 자산의 속성, 점검계획, 작업계획을 입력, 조회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엑셀로도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울시가 운영하는 하수도 시스템은 하수도관리 시스템, 하수장 관리 시스템, 편집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수도 시스템은 하수관의 속성자료와 도시기반시설물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고 하수관거 조사 및 정비 대장조서와 속성파일을 구조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유지보수 우선순위는 하수관 연식비교를 통해 결정하고 있으며 주로 외부용역을 통해 수행한다. 대부분의 시설물이 지중시설물이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상태조사 및 성능평가 작업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공공시설물의 자산관리 시스템으로서, 도로관리통합 시스템, 포장관리 시스템, 교량관리 시스템, 상수도 관련 시스템 및 하수도 관련 시스템 등이 있지만, 예방적 유지관리 시스템이 아니라 대응적 유지관리 체계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공시설물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예방적 유지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인 자산관리(Total Asset Management) 체계를 제공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설물별 보수, 보강, 개축 계획 및 예산책정의 과학성과 합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업무 아키텍쳐, 서비스 아키텍쳐, 데이터 아키텍쳐 및 기술 아키텍쳐로 이루어지며, 공공시설물의 자산 관리 업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 공공시설물에 대한 신규 자산의 등록 및 가치평가 업무들을 수행하는 자산관리 기획부; 상태 점검, 성능등급 산정, 위험 평가, 예측 모델링 및 생애주기 비용분석 업무들을 수행하는 자산 평가부; 대안 파악 및 비용산정, 대안별 비교평가, 자산의 가치예측, 작업계획 수립 및 결과 기록 업무들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계획부;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도급관리, 작업관리 및 이력관리 업무들을 수행하는 공사 관리부; 및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 자산 평가부, 유지보수 계획부 및 공사 관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업무들의 입출력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 자산 평가부, 유지보수 계획부 및 공사 관리부는, 중복항목의 배제와 필요항목의 추가를 위해서 상기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공시설물은 교량, 포장, 도로, 상수도 및 하수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무 아키텍쳐는, 자산 등록 및 자산 가치평가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자산 정보관리 업무; 자산의 상태 모니터링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상태 파악 업무; 자산의 성능 모니터링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성능 파악 업무; 위험평가, 예측 모델링 및 생애주기 비용분석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분석 업무; 최적 의사결정, 및 대안과 비용평가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의사 결정 업무; 유지보수 관리 및 작업계획 수립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계획 업무; 도급관리, Job/자원관리 및 제고관리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 관리 업무; 및 기본 데이터 설정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전 설정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상기 업무를 분단하여 처리하기 위한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 및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은 상기 자산 정보관리 업무, 상태 파악 업무, 성능 파악 업무 및 작업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은 상기 분석 업무, 의사 결정 업무, 및 유지보수 계획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산정보 관리 업무는, 자산의 속성 및 관계를 기록/관리하기 위한 자산등록 업무를 수행하고, 자산평가와 대차대조표를 생성하기 위한 자산 가 치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파악 업무는 자산의 피로도를 산정하고, 상태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성능 파악 업무는 자산의 성능 등급을 산정하기 위한 성능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석 업무는, 위험 영향요소 및 위험에 따른 손실을 파악하기 위한 위험평가 업무를 수행하고, 자산의 열화 및 붕괴에 대한 예측을 위한 예측 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며, 민감도 시나리오 파악 및 비용 분석을 위한 생애주기 비용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의사 결정 업무는, 대안/비용 파악을 위한 대안 및 비용평가 업무를 수행하고, 대안들의 상대적 장점을 평가/비교하여 최적대안을 선정하고 유지보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최적의사 결정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는, 보수 일정 및 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제안된 작업 기록, 작업계획 합리화 및 실행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작업계획 수립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관리 업무는, 일정 생성, 도급 정보관리 및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도급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Job 생성, 스케줄링 및 모니터링을 위한 Job 자원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재고 정보관리와 재고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재고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아키텍쳐는, 자산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응용 시스템의 구성 및 정의, 상기 응용 시스템 간의 관계, 데이터 흐름, 응용 시스템의 기능구조 및 수행기능을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자산 정보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일반정보, 자산 상세정보 및 자산 가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기본정보 DB; 상기 상태 파악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현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상태 DB; 상기 성능 파악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현재 성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성능 DB; 상기 분석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생애주기 최적비용, 예측 및 위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석 결과 DB; 상기 의사 결정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대안/비용 및 유지보수 우선순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우선순위 DB;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유지보수 작업목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목록 DB; 상기 작업 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유지보수 작업, 도급, Job/자원, 및 생애주기 비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유지보수 DB; 상기 작업 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재고현황 및 판매자/생산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재고 DB; 및 상기 사전 설정 업무에 대한 기본 데이터로서, 제기준 및 분석 매개변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데이터 D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아키텍쳐는, 자산 일반정보, 자산 상세정보, 자산 가치, 자산 현재 상태, 자산 현재 성능, 생애주기 최적비용, 예측, 위험, 대안/비용, 유지보수 우선순위, 유지보수 작업목록, 유지보수 작업, 도급, Job/자원, 생애주기 비용, 재고현황 및 판매자/생산자, 제기준 및 분석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19개 데이터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 아키텍쳐는, 웹 환경을 관리하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수행환경을 관리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록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파일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산 평가부는, 외부 시스템인 자산 특수상태 측정을 위한 3rd Party 상태모니터링 시스템, 자산상태정보를 입력하는 현장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자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계측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상태파악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는 외부 시스템인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 및 지도정보를 이용한 자산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지도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과 연동하여 상기 자산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지보수 계획부는 외부 시스템인 예산회계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부가 권장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 방법론을 준용함으로써, 도로, 교량, 상하수도 시설물 이외의 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을 표준화된 체계와 방법에 따라 개발할 수 있다. 즉, 자산관리 핵심기술과 최신의 정 보기술을 융합한 자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효율적 시스템 통합뿐 아니라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시설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을 향후 타 시설물로 확대 적용시킬 수 있으며, 유사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따른 중복투자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과학적인 자산관리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공공시설물의 유지관리 예산 배정과 집행, 및 성과 측정이 계량화되어 국가예산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공공시설물의 자산관리는 정부기관 및 지자체, 공사, 공단 등 다양한 기관과 인력이 참여하고, 건설공사의 전체 생애주기에 걸쳐 다양한 정보가 생산되고 교환된다. 따라서 데이터 교환 및 공유시에 데이터 정합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분류 체계, 업무절차, 문서 및 도면 작성 방법 등의 업무적인 관점의 표준화, 및 소프트웨어, 데이터 포맷, 하드웨어, 통신 프로토콜 등을 정의하는 정보인프라 관점의 표준화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표준화와 병행하여 최상의 자산관리를 위한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을 위해서, 최신 정보기술을 접목하여야 하며, 또한 타 기관의 공공시스템들과 유기적인 연계를 이루면서 다양한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공공시설 자산관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는 범국가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표준을 통해 공공시설 정보의 수집과 관리를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로 목표에 부합하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다양한 공공시설물을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상태예측, 상태평가, 성능평가, 자산 가치평가와 공법, 의사결정 및 생애주기 비용 등의 자산관리 핵심기술과 이들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최신의 정보기술을 상호 접목한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100)은, 정보기술 아키텍쳐(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Enterprise Architecture: EA) 프레임워크(150~180), 자산관리 기획부(110), 자산 평가부(120), 유지보수 계획부(130), 공사 관리부(140) 및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190)를 포함한다. 공공시설물(10)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생활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로서, 예를 들면, 교량(11), 포장(12), 도로(13), 상수도(14) 및 하수도(15) 등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150~180)는 업무 아키텍쳐(150), 서비스 아키텍쳐(160), 데이터 아키텍쳐(170) 및 기술 아키텍쳐(180)로 이루어지며, 공공시설물의 자산 관리 업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자산관리 기획부(110)는 공공시설물에 대한 신규 자산의 등록 및 가치평가 업무들을 수행한다.
자산 평가부(120)는 상태 점검, 성능등급 산정, 위험 평가, 예측 모델링 및 생애주기 비용분석 업무들을 수행한다.
유지보수 계획부(130)는 대안 파악 및 비용산정, 대안별 비교평가, 자산의 가치예측, 작업계획 수립 및 결과 기록 업무들을 수행한다.
공사 관리부(140)는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도급관리, 작업관리 및 이력관리 업무들을 수행한다.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190)는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 자산 평가부, 유지보수 계획부 및 공사 관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업무들의 입출력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110), 자산 평가부(120), 유지보수 계획 부(130) 및 공사 관리부(140)는, 중복항목의 배제와 필요항목의 추가를 위해서 상기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150~180)에 기반하여 구축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범정부 표준모형인 정보기술 아키텍처 방법론을 준용하고, 관련 산출물을 최적화하기 위해 업무 아키텍처(150), 서비스 아키텍처(160), 데이터 아키텍처(170) 및 기술 아키텍처(180)의 Level 1(CEO 관점) 및 Level 2(관리자 시각) 수준을 근간으로 중복항목을 병합하고, 필요한 부분을 신규로 추가함으로써, 기존 범정부 표준 산출물을 재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아키텍처는 도로, 교량, 포장, 상하수도 자산관리체계 수립 시 시스템 아키텍처의 근간이 될 수 있고, 공공시설물 유지관리 조직의 성격이나 업무 특성에 맞게 재조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정보기술 아키텍처(EA) 프레임워크 모델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일반적인 정보기술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모델 및 산출물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기술 아키텍처는 국내외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전 산업계에서 미래 조직의 전략과 목표 달성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화 접근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당초 EA의 도입 목적은 조직의 정보기술 전략을 위한 핵심적인 IT 자산에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EA는 조직의 바람직한 청사진 제시,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능력 강화, IT 투자 효율성 극대화, 정보자산의 효율적 관리 및 사용, 올바른 IT 의사결정 체제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현재 중앙정부를 비롯한 많은 공공기관에서 EA 도입을 위한 발명을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정부가 제시한 범정부 정보기술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모델은 자원대상별로 업무 아키텍처, 서비스 아키텍처, 데이터 아키텍처, 기술 아키텍처 및 보안 아키텍처로 구분된다. 또한, 정보기술 아키텍처(EA) 프레임워크 모델은, 수준별로 CEO/CIO, 책임자, 설계자 및 개발자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업무 아키텍처는 조직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략 및 사업영역을 분석한 결과물을 말한다. 기존의 정보 시스템은 특정 업체에 종속되어 시스템의 확장성 및 개별성이 제한되고, 시스템 통합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서비스 아키텍처이다. 이러한 서비스 아키텍처는 단위시스템과 단위시스템 사이의 연관 관계가 정의되어 있다. 데이터 아키텍처는 최상위 개념 단계에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현 단계까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체계를 정의한 것을 말한다. 또한, 기술 아키텍처는 정보시스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구조화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보안 아키텍처는 조직의 정보 시스템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구축, 운영하기 위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보안을 다룬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제시한 EA 프레임워크 산출물을 이용하여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구성하기에는 산출물 종류가 너무 많고 복잡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을 위한 산출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공공시 설물을 관리하는 대다수의 기관에서 관련 산출물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고 향후 확대보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범정부 EA 프레임워크의 산출물을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아키텍처 산출물에서 보안 관점을 제외한 업무 관점, 서비스(응용) 관점, 데이터 관점, 기술 관점의 Level 1(CEO 관점) 및 Level 2 (관리자 시각)의 산출물을 중심으로 중복 항목을 병합하고, 필요한 부분을 신규로 추가한다. 이에 따라 기존 범정부 표준 산출물 28개를 19개로 재구성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에 대한 프레임워크 산출물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및 도 3b는 업무(프로세스) 아키텍쳐의 조직 구성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100)은 자산관리 업무를 수행할 조직의 구조와 그 업무를 정의한 것으로, 수행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은 4개의 조직, 즉, 자산관리 기획부(110), 자산 평가부(120), 유지보수 계획부(130) 및 공사 관리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업무 아키텍처는 자산관리 조직의 구조와 역할, 기관의 업무와 업무간의 관계, 업무간의 정보흐름을 정의한 것으로 정의된 업무와 업무간의 정보흐름은 서비스 아키텍처와 데이터 아키텍처와 상호 연관관계를 갖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자산관리 기획부(110)는 신규 자산의 등록, 가치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자산 평가부(120)는 상태점검, 성능등급 산정, 위험 평가, 예측 모델링, 생애주기 비용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보수계획부(130)는 대안 파악 및 비용산정, 대안별 비교평가, 자산의 가치예측, 작업계획 수립 및 결과 기록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공사 관리부(140)는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도급 관리, 작업관리, 이력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때, 각각의 조직은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관의 조직 구성에 맞게 재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아키텍쳐에서 업무기능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업무 기능 관계는 기관의 업무와 업무간의 관계 및 정보 흐름을 정의한 것으로, 업무 기능 및 이들 간의 연결 관계를 통해 어떠한 정보가 교환되는지를 제시하며, 업무 기능에 따른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서로 교환되는 업무간의 정보는 크게 일반 자산관리(150a) 및 상급 자산관리(150b)로 구분되며, 이때, 일반 자산관리(150a)는 자산 정보관리 업무(151), 상태 파악 업무(152), 성능 파악 업무(153) 및 작업 관리 업무(154)로 구성되며, 상급 자산관리(150b)는 분석 업무(155), 의사 결정 업무(156) 및 유지보수 계획 업무(157)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업무 아키텍쳐에서 업무 기능 분할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업무 기능 기술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업무 및 조직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산관리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고유 기능을 식별하고 이를 세분화된 기능으로 분할하여 기능간의 계층구조와 기능별 역할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업무 기능 분할은, 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요소인 업무 기능, 업무 활동, 활동 간의 입/출력 정보의 흐름 등을 정의하기 위해 이들의 계층 구조를 정의한다.
일반 자산관리(150a)의 자산정보 관리 업무(151)는, 자산의 속성 및 관계를 기록/관리하기 위한 자산등록 업무를 수행하고, 자산평가와 대차대조표를 생성하기 위한 자산 가치평가 업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자산등록은 자산의 속성 및 관계를 기록/관리하며, 자산 가치평가는 자산평가 및 대차대조표를 생성한다.
일반 자산관리(150a)의 상태 파악 업무(152)는 자산의 피로도를 산정하고, 상태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자산상태 점검이나 상태 모델링에 의한 자산의 현재 상태 점거 시에 수행된다.
일반 자산관리(150a)의 성능 파악 업무(153)는 자산의 성능 등급을 산정하기 위한 성능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예를 들면, 자산이 현재 상태에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성능 파악 시에 수행된다.
일반 자산관리(150a)의 작업 관리 업무(154)는 일정 생성, 도급 정보관리 및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도급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Job 생성, 스케줄링 및 모니터링을 위한 Job 자원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재고 정보관리와 재고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재고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상급 자산관리(150b)의 분석 업무(155)는 자신의 열화 및 붕괴에 대한 예측을 위한 예측 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며, 민감도 시나리오 파악 및 비용 분석을 위한 생애주기 비용분석 업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향후 자산의 상태에 대한 예측, 위험정도와 그에 따른 생애주기 최적비용에 대한 의사결정 필요시에 수행된다.
상급 자산관리(150b)의 의사 결정 업무(156)는 대안/비용 파악을 위한 대안 및 비용평가 업무를 수행하고, 대안들의 상대적 장점을 평가/비교하여 최적대안을 선정하고 유지보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최적의사 결정 업무를 수행한다.
상급 자산관리(150b)의 유지보수 계획 업무(157)는 보수 일정 및 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제안된 작업 기록, 작업계획 합리화 및 실행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작업계획 수립 업무를 수행한다.
이때, 기본 데이터 설정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전 설정 업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업무 기능 기술은 업무 기능, 업무 활동, 활동 간의 정의된 계층 구조 중에서 업무 기능의 내용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무 기능은 크게 일반 자산관리와 상급 자산관리 업무로 이루어지며, 자산 등록은 자산의 속성 및 관계를 기록/관리하고, 자산 가치평가는 자산평가와 대차대조표를 생성한다. 또한, 상태 모니터링은 자산의 피로도를 산정하고, 상태 점수를 산정하며, 성능 모니터링은 자산의 성능등급을 산정한다. 또한, 예측 모델링은 자산의 열화 및 붕괴에 대한 예측을 위해 수행된다. 또한, 생애주기 비용분석은 민감도 시나리오 파악 및 비용분석을 위해 수행되고, 대안 및 비용평가는 대안/비용 파악 시에 수행된다. 또한, 최적의사 결정은 대안들의 상대적 장점을 평가/비교하여 최적대안 선정 및 유지보수 우선순위 선정 시에 수행된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는 보수일정 및 결과 관리를 위해 수행되고, 작업계획 수립은 제안된 작업 기록, 작업계획 합리화, 실행결과 분석을 위해서 수행된다. 또한, 도급관리는 일정생성, 도급 정보관리, 성과 모니터링을 위해 수행되고, Job/자원관리는 Job 생성, 스케줄링 및 모니터링을 위해 수행되며, 재고관리는 재고 정보관리 및 재고상황 제공을 위해 수행된다.
한편, 자산관리 조직인 자산관리 기획부(110), 자산 평가부(120), 유지보수 계획부(130), 공사 관리부(140)와 각각의 업무 기능 간의 상관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자산관리 및 상급 자산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조직 및 업무 기능으로 구성된 관계도를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직과 업무기능간의 관계는 각 조직의 담당 업무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아키텍처는 자산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응용 시스템의 구성 및 정의, 응용 시스템 간의 관계, 데이터 흐름, 응용 시스템의 기능구조 및 수행기능을 정의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아키텍쳐에서 응용 시스템 정의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서비스 아키텍처 개발범위를 한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기관의 업무를 지원하는 응용 시스템의 구성 현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술정보로서, 컴퓨팅 형태는 웹(Web)으로 구현되고, 운영체제로는 UNIX, LINUX 또는 Window Server가 사용되며, 개발언어는 Java 또는 C#로 구현되고, 사용 DB는 Oracle 또는 MS-SQL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정보에 따라 사용조직이 정해지며, 운영정보에 따라 업무 주관 조직 및 운영조직 등이 정해질 수 있다.
도 9는 서비스 아키텍쳐에서 응용 시스템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서비스 아키텍쳐에서 응용 시스템 기술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응용기능 기술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응용 시스템 간의 관계 및 연관정보, 연관된 외부 서비스를 정의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정보 시스템(100)은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100a) 및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10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100a) 은 연관된 외부의 응용 시스템인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200), 지도정보 시스템(300) 및 상태측정 시스템(400)과 연동하며,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100b)은 예산회계 시스템(500) 등과 연동할 수 있다. 이때,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100a) 및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100b)은 외부의 응용 시스템과 함께 연동하면서 전술한 여러 업무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응용 시스템 관계도를 근간으로 응용 시스템들 간에 주고받는 정보의 내용 및 송/수신 응용시스템을 도 10과 같은 응용 시스템 기술서로 정의할 수 있다.
용용 서비스간 정보는 자산 일반정보, 자산 상세정보, 자산 현재 상태 및 대안/비용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응용 서비스 간의 정보가 자산 현재 상태인 경우, 응용 서비스 간의 정보 설명은 별도 상태측정 시스템에서 측정되거나, 관리현장에서 입력된 상태정보이고, 이때, 송신응용 시스템은, 상태측정 시스템(3rd party로 개발된 특수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계측시스템(SCADA)등의 별도 상태측정 시스템 또는 관리현장에서 사용하는 현장데이터 입력 시스템일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수신응용 시스템은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11c는 자산관리 응용 시스템의 세부 기능별 정의를 나타내는 응용기능 기술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크게 일반 자산관리 및 상급 자산관리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 자산관리를 위한 자산속성 관리는 자산을 구분하기 위한 속성을 기록하며, 자산 상세속성은 관리 자산 형식별로 가지는 상세속성을 관리하고, 성능지표 목록은 자산형식별 성능지표를 목록화한 것이고, 성능 등급은 각각의 성능지표에 대해 성능을 등급화한 것이다. 또한, 자산 상태 기록은 자산의 상태의 상한/하한과 성능 한계를 기록한 것이고, 사전 영향요소는 자산 붕괴로부터 예상되는 피해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사전 영향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응용 시스템의 기능과 주고받는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2는 자산관리 응용 시스템의 기능과 주고받는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러한 데이터 흐름도는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에 필요한 핵심 업무, 데이터베이스(190), 조직(110, 120, 130, 140) 및 연관된 응용 시스템과의 관계를 도식화함으로써 자산관리 체계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다. 즉, 업무 기능 간의 관계, 업무 기능 간의 데이터 흐름, 업무 수행 조직, 업무와 관련된 외부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기술 관점의 Level 1,2(CEO, 관리자 시각)의 산출물만으로는 파악하기 힘든 조직, 외부 시스템, 업무 기능, 데이터의 복합적인 상관 관계 및 흐름을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다.
자산 평가부(120)는, 외부 시스템인 자산 특수상태 측정을 위한 3rd Party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자산상태정보를 입력하는 현장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자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계측 시스템 등의 상태측정 시스템(400)과 연동하여 상기 상태파악 업무를 수행한다.
자산관리 기획부(110)는 외부 시스템인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 및 지도정보를 이용한 자산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지도정보 시스템(GIS)(300)과 연동하여 상기 자산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유지보수 계획부(130)는 외부 시스템인 예산회계 시스템(500)과 연동하여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를 수행한다.
이때,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190)는, 상기 자산 정보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일반정보, 자산 상세정보 및 자산 가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기본정보 DB(191), 상기 상태 파악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현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상태 DB(192), 상기 성능 파악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현재 성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성능 DB(193), 상기 분석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생애주기 최적비용, 예측 및 위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석 결과 DB(194), 상기 의사 결정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대안/비용 및 유지보수 우선순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우선순위 DB(195),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유지보수 작업목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목록 DB(196), 상기 작업 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유지보수 작업, 도급, Job/자원, 및 생애주기 비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유지보수 DB(197), 상기 작업 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재고현황 및 판매자/생산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재고 DB(198) 및, 상기 사전 설정 업무에 대한 기본 데이터로서, 제기준 및 분석 매개변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데이터 DB(19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응용기능 및 데이터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자산관리 데이터와 응용 기능 간의 상관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응용기능으로 구성된 관계도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와 응용기능간의 관계표는 크게 일반 자산관리 및 상급 자산관리를 위해서 각 기능별로 생성, 검색, 수정, 삭제되는 데이터와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아키텍쳐의 데이터 정의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아키텍처는 주요 데이터의 구성과 상호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데이터 표준화 및 데이터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공유 환경을 구축하고, 조직의 업무에 필요한 주요 데이터의 구성 현황과 계획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 참조모형에 따라 그룹핑하여 정의한 것으로, 자산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들 간의 개념적 상호관계를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아키텍쳐는, 자산 일반정보, 자산 상세정보, 자산 가치, 자산 현재 상태, 자산 현재 성능, 생애주기 최적비용, 예측, 위험, 대안/비용, 유지보수 우선순위, 유지보수 작업목록, 유지보수 작업, 도급, Job/자원, 생애주기 비용, 재고현황 및 판매자/생산자, 제기준 및 분석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19개 데이터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아키텍쳐의 기반구조 구성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술 아키텍처는 조직의 정보 시스템 및 기반구조의 표현 을 통해 응용 시스템의 물리적 배치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자산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의 정보시스템과 관련 인프라로서, 기반구조의 현황 및 계획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100a) 및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100b)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100a) 및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100b)은 인트라넷 또는 파일 시스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100a) 및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100b)은 각각 웹 서버(Web Server: 181a, 181b),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182a, 182b),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 183a, 183b) 및 파일 서버(File Server: 184a, 184b)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웹 서버(181a, 181b)는 자산관리 시스템의 Web 환경을 관리하는 서버이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182a, 182b)는 자산관리시스템의 Web Application 수행환경을 관리하는 서버이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83a, 183b)는 자산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기록 관리하는 서버이며, 파일 서버(184a, 184b)는 자산관리시스템의 도면 등의 파일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외부 시스템으로서, 제1 상태측정 시스템(410), 제2 상태측정 시스템(420), 제3 상태측정 시스템(430),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200), 지도정보 시스템(300) 및 예산회계 시스템(5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정보 시스템(100)과 연동하도록 구현된다.
제1 상태측정 시스템(410)은 3rd Party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자산 특수상태 측정을 위한 상태측정 시스템이고, 제2 상태측정 시스템(420)은 자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계측 시스템(SCADA)이며, 제3 상태측정 시스템(430)은 RFID, PDA등을 이용한 자산상태정보를 입력하는 현장데이터 입력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200)은 예를 들면, 상수도, HMS, PMS 및 BMS 등의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지도정보 시스템(300)은 지도정보를 이용한 자산위치 정보관리 시스템이고, 예산회계 시스템(500)은 디지털 예산회계 시스템(dBrain)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공공시설물을 관리하는 대다수의 기관에서 관련 산출물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고, 향후 확대보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범정부 EA 프레임워크의 산출물을 재구성함으로써, 도로, 교량, 상하수도의 자산관리체계 수립시 표준화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대응적 유지관리 체계를 예방적 유지관리 체계로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정보기술 아키텍처(EA) 프레임워크 모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업무(프로세스) 아키텍쳐를 수행하기 위한 조직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아키텍쳐에서 업무기능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업무 아키텍쳐에서 업무 기능 분할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업무 기능 기술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업무 및 조직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아키텍쳐에서 응용 시스템 정의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서비스 아키텍쳐에서 응용 시스템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서비스 아키텍쳐에서 응용 시스템 기술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응용기능 기술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응용 시스템의 기능과 주고받는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3은 응용기능 및 데이터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아키텍쳐의 데이터 정 의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아키텍쳐의 기반구조 구성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00a: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
100b: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 110: 자산관리 기획부
120: 자산 평가부 130: 유지보수 계획부
140: 공사 관리부 150: 업무 아키텍쳐
160: 서비스 아키텍쳐 170: 데이터 아키텍쳐
180: 기술 아키텍쳐 190: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DB)
151: 자산정보 관리 업무 152: 상태 파악 업무
153: 성능 파악 업무 154: 분석 업무
155: 의사 결정 업무 156: 유지보수 계획 업무
157: 작업 관리 업무
181a, 181b: 웹 서버 182a, 182b: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183a, 183b: 데이터베이스 서버 184a, 184b: 파일 서버
191: 자산 기본정보 DB 192: 자산 상태 DB
193: 자산 성능 DB 194: 분석 결과 DB
195: 우선순위 DB 196: 작업목록 DB
197: 유지보수 DB 198: 재고 DB
199: 기본 데이터 DB 200, 300, 400, 500: 외부 연동 시스템

Claims (18)

  1. 업무 아키텍쳐, 서비스 아키텍쳐, 데이터 아키텍쳐 및 기술 아키텍쳐로 이루어지며, 공공시설물의 자산 관리 업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
    공공시설물에 대한 신규 자산의 등록 및 가치평가 업무들을 수행하는 자산관리 기획부;
    상태 점검, 성능등급 산정, 위험 평가, 예측 모델링 및 생애주기 비용분석 업무들을 수행하는 자산 평가부;
    대안 파악 및 비용산정, 대안별 비교평가, 자산의 가치예측, 작업계획 수립 및 결과 기록 업무들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계획부;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도급관리, 작업관리 및 이력관리 업무들을 수행하는 공사 관리부; 및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 자산 평가부, 유지보수 계획부 및 공사 관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업무들의 입출력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 자산 평가부, 유지보수 계획부 및 공사 관리부는, 중복항목의 배제와 필요항목의 추가를 위해서 상기 정보기술 아키텍쳐 프레임워크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시설물은 교량, 포장, 도로, 상수도 및 하수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아키텍쳐는,
    자산 등록 및 자산 가치평가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자산 정보관리 업무;
    자산의 상태 모니터링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상태 파악 업무;
    자산의 성능 모니터링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성능 파악 업무;
    위험평가, 예측 모델링 및 생애주기 비용분석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분석 업무;
    최적 의사결정, 및 대안과 비용평가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의사 결정 업무;
    유지보수 관리 및 작업계획 수립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계획 업무;
    도급관리, Job/자원관리 및 제고관리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 관리 업무; 및
    기본 데이터 설정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전 설정 업무를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은 상기 업무를 분단하여 처리하기 위한 일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일반 자산관리 시스템은 상기 자산 정보관리 업무, 상태 파악 업무, 성능 파악 업무 및 작업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상급 자산관리 시스템은 상기 분석 업무, 의사 결정 업무, 및 유지보수 계획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정보 관리 업무는, 자산의 속성 및 관계를 기록/관리하기 위한 자산등록 업무를 수행하고, 자산평가와 대차대조표를 생성하기 위한 자산 가치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파악 업무는 자산의 피로도를 산정하고, 상태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파악 업무는 자산의 성능 등급을 산정하기 위한 성능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업무는, 위험 영향요소 및 위험에 따른 손실을 파악하기 위한 위험평가 업무를 수행하고, 자산의 열화 및 붕괴에 대한 예측을 위한 예측 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며, 민감도 시나리오 파악 및 비용 분석을 위한 생애주기 비용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결정 업무는, 대안/비용 파악을 위한 대안 및 비용평가 업무를 수행하고, 대안들의 상대적 장점을 평가/비교하여 최적대안을 선정하고 유지보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최적의사 결정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는, 보수 일정 및 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제안된 작업 기록, 작업계획 합리화 및 실행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작업계획 수립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업무는, 일정 생성, 도급 정보관리 및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도급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Job 생성, 스케줄링 및 모니터링을 위한 Job 자원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재고 정보관리와 재고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재고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아키텍쳐는, 자산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응용 시스템의 구성 및 정의, 상기 응용 시스템 간의 관계, 데이터 흐름, 응용 시스템의 기능구조 및 수행기능을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자산 정보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일반정보, 자산 상세정보 및 자산 가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기본정보 DB;
    상기 상태 파악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현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상태 DB;
    상기 성능 파악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자산 현재 성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산 성능 DB;
    상기 분석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생애주기 최적비용, 예측 및 위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석 결과 DB;
    상기 의사 결정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대안/비용 및 유지보수 우선순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우선순위 DB;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유지보수 작업목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목록 DB;
    상기 작업 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유지보수 작업, 도급, Job/자원, 및 생애주기 비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유지보수 DB;
    상기 작업 관리 업무에 대한 데이터로서, 재고현황 및 판매자/생산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재고 DB; 및
    상기 사전 설정 업무에 대한 기본 데이터로서, 제기준 및 분석 매개변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아키텍쳐는, 자산 일반정보, 자산 상세정보, 자산 가치, 자산 현재 상태, 자산 현재 성능, 생애주기 최적비용, 예측, 위험, 대안/비용, 유지보수 우선순위, 유지보수 작업목록, 유지보수 작업, 도급, Job/자원, 생애주기 비용, 재고현황 및 판매자/생산자, 제기준 및 분석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19개 데이터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아키텍쳐는,
    웹 환경을 관리하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수행환경을 관리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록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파일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 서버를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평가부는, 외부 시스템인 자산 특수상태 측정을 위한 3rd Party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자산상태정보를 입력하는 현장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자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계측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상태파악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관리 기획부는 외부 시스템인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 및 지도정보를 이용한 자산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지도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과 연동하여 상기 자산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계획부는 외부 시스템인 예산회계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유지보수 계획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 템.
KR1020080134837A 2008-12-26 2008-12-26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KR20100076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837A KR20100076708A (ko) 2008-12-26 2008-12-26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837A KR20100076708A (ko) 2008-12-26 2008-12-26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708A true KR20100076708A (ko) 2010-07-06

Family

ID=4263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837A KR20100076708A (ko) 2008-12-26 2008-12-26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6708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312B1 (ko) * 2012-10-10 2013-03-25 마명철 자산관리시스템
KR101278299B1 (ko) * 2011-11-30 2013-06-25 주식회사 엑센솔루션 실시간 협업 기업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4047555A1 (en) * 2012-09-21 2014-03-27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maintenance of alternative energy systems
KR101386074B1 (ko) * 2012-05-08 2014-04-16 (주)에스엔건설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이용한 도로포장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398031B1 (ko) * 2011-12-20 2014-05-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공시설의 자산 가치 극대화를 위한 예산 수립 시스템 및 방법
CN105474252A (zh) * 2014-05-09 2016-04-06 株式会社日立系统 资产管理系统及资产管理方法
KR20160081366A (ko) 2014-12-31 2016-07-08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범죄예방환경설계에 대한 공개 api를 이용한 참여형 공공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095237A (ko) 2015-02-02 2016-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회기반시설물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871A (ko) 2015-02-27 2016-09-06 (주) 지토피아시스템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2412B1 (ko) * 2015-10-30 2016-11-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정수처리장의 자산관리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71584A1 (en) 2015-06-05 2016-12-22 Uptake Technologies, Inc. Local Analytics at an Asset
KR101699381B1 (ko) * 2016-02-15 2017-01-24 주식회사 태영건설 하수처리장 자산관리 시스템
KR101816770B1 (ko) * 2017-11-13 2018-01-09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Bim 기반 철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WO2018213617A1 (en) * 2017-05-18 2018-11-22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predictive models and time-series values
US10176279B2 (en) 2015-06-05 2019-01-08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and workflows
US10261850B2 (en) 2014-12-01 2019-04-16 Uptake Technologies, Inc. Aggregate predictive model and workflow for local execution
US10579750B2 (en) 2015-06-05 2020-03-03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US10878385B2 (en) 2015-06-19 2020-12-29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xecution of a predictive model
KR20210082633A (ko) * 2019-12-26 2021-07-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도시 수자원 분배 네트워크의 누수 관리를 위한 gis 기반 모델링 접근 방식
CN113223678A (zh) * 2021-03-19 2021-08-06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医疗物资保障调度系统
WO2021167726A1 (en) * 2020-02-19 2021-08-26 Copperleaf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t management
KR20220126303A (ko) 2021-03-08 2022-09-16 주식회사 피엠씨지 지식 기반 지능형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KR102570507B1 (ko) * 2022-11-29 2023-09-01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상하수도 자산관리 시스템
CN116881325A (zh) * 2023-06-26 2023-10-13 北明成功软件(山东)有限公司 一种水运数据资产采集方法及系统
CN118153963A (zh) * 2024-04-18 2024-06-07 天创信用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资产安全风险管理系统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99B1 (ko) * 2011-11-30 2013-06-25 주식회사 엑센솔루션 실시간 협업 기업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98031B1 (ko) * 2011-12-20 2014-05-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공시설의 자산 가치 극대화를 위한 예산 수립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074B1 (ko) * 2012-05-08 2014-04-16 (주)에스엔건설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이용한 도로포장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WO2014047555A1 (en) * 2012-09-21 2014-03-27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maintenance of alternative energy systems
KR101247312B1 (ko) * 2012-10-10 2013-03-25 마명철 자산관리시스템
CN105474252A (zh) * 2014-05-09 2016-04-06 株式会社日立系统 资产管理系统及资产管理方法
US10261850B2 (en) 2014-12-01 2019-04-16 Uptake Technologies, Inc. Aggregate predictive model and workflow for local execution
KR20160081366A (ko) 2014-12-31 2016-07-08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범죄예방환경설계에 대한 공개 api를 이용한 참여형 공공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095237A (ko) 2015-02-02 2016-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회기반시설물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871A (ko) 2015-02-27 2016-09-06 (주) 지토피아시스템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71584A1 (en) 2015-06-05 2016-12-22 Uptake Technologies, Inc. Local Analytics at an Asset
US10176279B2 (en) 2015-06-05 2019-01-08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and workflows
US10254751B2 (en) 2015-06-05 2019-04-09 Uptake Technologies, Inc. Local analytics at an asset
US10579750B2 (en) 2015-06-05 2020-03-03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US11036902B2 (en) 2015-06-19 2021-06-15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and workflows
US10878385B2 (en) 2015-06-19 2020-12-29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xecution of a predictive model
WO2017073860A1 (ko) * 2015-10-30 2017-05-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정수처리장의 자산관리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672412B1 (ko) * 2015-10-30 2016-11-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정수처리장의 자산관리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699381B1 (ko) * 2016-02-15 2017-01-24 주식회사 태영건설 하수처리장 자산관리 시스템
WO2018213617A1 (en) * 2017-05-18 2018-11-22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predictive models and time-series values
KR101816770B1 (ko) * 2017-11-13 2018-01-09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Bim 기반 철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210082633A (ko) * 2019-12-26 2021-07-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도시 수자원 분배 네트워크의 누수 관리를 위한 gis 기반 모델링 접근 방식
WO2021167726A1 (en) * 2020-02-19 2021-08-26 Copperleaf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t management
US11748813B2 (en) 2020-02-19 2023-09-05 Copperleaf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t management
KR20220126303A (ko) 2021-03-08 2022-09-16 주식회사 피엠씨지 지식 기반 지능형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CN113223678A (zh) * 2021-03-19 2021-08-06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医疗物资保障调度系统
CN113223678B (zh) * 2021-03-19 2024-01-23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医疗物资保障调度系统
KR102570507B1 (ko) * 2022-11-29 2023-09-01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상하수도 자산관리 시스템
CN116881325A (zh) * 2023-06-26 2023-10-13 北明成功软件(山东)有限公司 一种水运数据资产采集方法及系统
CN118153963A (zh) * 2024-04-18 2024-06-07 天创信用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资产安全风险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6708A (ko)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Sinha et 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 the new millennium: continuing issues, and emerg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bu Samra et al. Multiobjective framework for managing municipal integrated infrastructure
Shahata et al. Integrated risk-assessment framework for municipal infrastructure
Gopalakrishnan et al. Sustainable and resilient critical infrastructure systems: simulation, modeling, and intelligent engineering
Garramone et al. BIM and GIS integration for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a bibliometric analysis
Goh et al. Importance of sustainability-related cost components in highway infrastructure: perspective of stakeholders in Australia
Adey A road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process: Gains i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loater et al. Co-benefits of urban climate action: A framework for cities
Daulat et al. Challenges of integrated multi-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a review of pavement, sewer, an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Akofio-Sowah et al. Managing ancillary transportation assets: The state of the practice
Hegazy et al. MOST‐FIT: Support techniques for inspection and life cycle optimization in building asset management
Fu et al. Assessment of urbanization impact on cultural heritage based on a risk-based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method
Koo et al. Development of a sustainability assessment model for underground infrastructure projects
Deelstra et al. Characterizing uncertainty in city-wide disaster recovery through geospatial multi-lifeline restoration modeling of earthquake impact in the district of north vancouver
Le Gat et al. Water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state of the art and emerging research themes
Tabesh et al. Prioritization of non-revenue water reduction scenarios using a risk-based group decision-making approach
Chen et al. A dynamic system approach to risk analysis for megaproject delivery
Salman Reliability-based management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Kerwin et al. Exploiting digitalisation to plan interventions on large water distribution networks
Pashapour et al. A resource allocation model to choose the best portfolio of economic resilience plans: a possibilistic stochastic programming model
Kerwin et al. Integrated planning of operational maintenance programs for water and gas distribution networks
Yoon et al. Multitiered prioritizing method using urgency scale for bridge deck rehabilitation
Eryuruk et al. Comparision of logistics and clothing sectors for a logistics center site selection using AHP
Valencia Network interdependency modeling for risk assessment on built infrastructur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