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871A -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871A
KR20160104871A KR1020150027699A KR20150027699A KR20160104871A KR 20160104871 A KR20160104871 A KR 20160104871A KR 1020150027699 A KR1020150027699 A KR 1020150027699A KR 20150027699 A KR20150027699 A KR 20150027699A KR 20160104871 A KR20160104871 A KR 20160104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api
information
data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634B1 (ko
Inventor
강태현
김선민
김영환
성낙민
Original Assignee
(주) 지토피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토피아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지토피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2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63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시설물에 대한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시설물 데이터에 대한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위치 기반의 전자 지도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지도 데이터부(111)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0)와,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공개 API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중앙 통제부(120)를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 및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이용자로부터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검색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10)와, 상기 입력부(210)에 의한 상기 검색 정보와 매칭하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ublic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y citizen participation using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본 발명은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시민)에게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서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상황을 입력하고 관리자(공공기관, 지자체)에서 이를 확인하여 공공시설물 활용의 편리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공공시설물에 대한 신속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여러 시설물들이 생겨났고, 시설물에 대한 지자체의 유지보수 관리 범위가 넓어졌다.
현재, 시설물에 대한 유지 보수는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시민들이 직접 지자체에 전화나 방문을 통한 불편 민원의 신고하는 것과,
또 다른 하나는 지자체 자체에서 불편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대응하는 것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들이 직접 지자체에 전화나 방문을 통한 불편 민원의 신고하는 경우에는, 시설물에 대한 문제점을 정확하게 표현하기에 미흡한 부분이 존재하며,
지자체 자체에서 불편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대응을 하는 경우에는, 시민들에게 전파할 수 있는 부분의 부재로 인해 지자체와 시민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공시설물이 새롭게 추가되거나, 추가되었으나 시설물에 관한 정보에 이 사실이 업데이트되지 않을 경우, 시민들의 불편을 야기 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편의를 위한 시설물이 오히려 불편과 위험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의 불편함이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 지자체가 관리하는 전기 시설물 중 그 일부는 감전위험에 노출된 채 방치되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시민들이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확인한 후,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시민들로부터 입력받은 추가 정보를 공공기간에서 확인 작업을 거친 후 이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의 공유로 인한 시민과 공공기관(지자체) 간의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국내 공개 특허 제2010-0076708호("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공공시설물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예방적 유지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인 자산관리 체계를 제공하며,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76708호(공개일자 2010.07.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시민)에게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서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상황을 입력하고 관리자(공공기관, 지자체)에서 이를 확인하여 공공시설물 활용의 편리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공공시설물에 대한 신속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에게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지리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공간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공간정보 신설 또는 갱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신속하게 분석 및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공시설물 데이터에 대한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위치 기반의 전자 지도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지도 데이터부(111)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0)와,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공개 API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중앙 통제부(120)를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 및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이용자로부터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검색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10)와, 상기 입력부(210)에 의한 상기 검색 정보와 매칭하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 관리부(13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 이용자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전달받은 상기 이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131) 및 상기 정보 관리부(131)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의 접속을 원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인증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추가 데이터부(112)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변경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변경 데이터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추가 데이터부(112) 및 변경 데이터부(113)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해 발생하는 이상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매뉴얼 데이터부(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 통제부(12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에 의해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매뉴얼 데이터부(114)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 중 상기 이상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20)로 전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에서 기설정된 이상 정보 입력 항목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하여 전달한,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이상 데이터부(1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전달받은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를 통해서 기설정된 대응 완료 입력 항목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입력하여 전달한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대응 데이터부(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응 데이터부(116)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은, 공공시설물 데이터에 대한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이용자 인증 단계(S100), 상기 이용자 인증 단계(S100)에 의해, 접속 인증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 요청 단계(S200), 제공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위치 기반의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 제공 단계(S300)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 표시 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은 상기 공공시설물 데이터 표시 단계(S400)를 수행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공개 API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를 입력하거나,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변경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하는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에 의해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에 의해 제공받은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한 후,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입력하는 대응 보고 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용자(시민)에게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제공한 후, 이를 통해서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상황을 입력함으로써, 관리자(공공기관, 지자체)에서 신속하게 이에 대한 확인 작업을 거쳐 신속하게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이용자와 공공기관(지자체) 간의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고, 정보공유에 의한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직접 참여하는 안전관련 초동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상호간의 소통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공공시설물 활용 및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공공시설물에 대한 최적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상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존의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업데이트함으로써 현행화가 용이하고, 공공시설물의 유지 관리와 안전관리를 위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용자(시민)에게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 후, 이를 통해서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상황을 입력함으로써, 관리자(공공기관, 지자체)에서 신속하게 이에 대한 확인 작업을 거쳐 신속하게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은 표준화된 공개 API를 활용하여 통신 기능을 컴퍼넌트화하고, 네트워크 망의 자원을 일반 사용자에게도 개방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이용자(시민)가 직접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 및 이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공개 API를 이용한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 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백업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백업하여, 만약의 사고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가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이용자(시민)가 직접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0)와 중앙 통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위치 기반의 전자 지도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지도 데이터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는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출력한 예시도이다.
상기 중앙 통제부(120)는 이용자(시민)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공개 API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Javascript API 또는, ANDROID API, IOS API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관리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관리부(130)는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접속 관리부(130)는 정보 관리부(131) 및 접속 인증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관리부(131)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 이용자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전달받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인증부(132)는 상기 정보 관리부(131)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의 접속을 통해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이를 확인하여,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 변경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접속 관리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망 접속을 관리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이용자에 대해서만 공개 API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정보 관리부(131)를 통한 이용자 등록이 선행된 이후, 상기 접속 인증부(132)에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의 접속을 원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용자 정보와, 미리 선행된 이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될 경우에만 공개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용자 정보로는, 이용자의 식별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별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는 입력부(210)와 출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관리부(130)에 의한 접속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0)는 이용자로부터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 검색을 위한 검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220)는 상기 입력부(210)에 의한 상기 검색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통합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210)에서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검색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의 지도 데이터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 중 상기 검색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220)로 전달하여, 도 5와 같이, 이용자가 웹 또는, 앱을 통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 외에도 추가 데이터부(112), 변경 데이터부(113), 매뉴얼 데이터부(114), 이상 데이터부(115) 및 대응 데이터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추가 데이터부(112)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받은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확인하던 중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없는 신규 공공시설물을 발견할 경우, 이에 대한 신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신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신규 정보 입력 양식에 따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변경 데이터부(113)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변경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확인하던 중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이 삭제되거나, 변경될 경우, 이에 대한 변경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변경 정보 또한, 상기 신규 정보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변경 정보 입력 양식에 따라, 입력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통합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추가 데이터부(112) 및 상기 변경 데이터부(113)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공공시설물의 추가 정보와,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입력한 상기 공공시설물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을 신속하게 업데이트함으로써, 이용자(시민)에 의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뉴얼 데이터부(114)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관리자(공공기관, 지자체)에 의해서 상기 공공시설물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매뉴얼 데이터부(114)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중앙 통제부(120)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에 의해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매뉴얼 데이터부(114)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 중 상기 이상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20)로 전달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데이터부(115)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이상 정보 입력 항목에 따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공개 API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통제부(120)에서 상기 이상 정보에 따라, 상기 이상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전달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공공시설물의 이상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응 데이터부(116)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상기 표시부(220)로 전달받은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안전관리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대응 완료 입력 항목에 따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공개 API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통합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응 데이터부(116)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입력한 상기 공공시설물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을 신속하게 업데이트함으로써, 이용자(시민)에 의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인증 단계(S100), 공공시설물 데이터 요청 단계(S200), 공공시설물 데이터 제공 단계(S300) 및 공공시설물 데이터 표시 단계(S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이용자 인증 단계(S10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이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접속 관리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관리부(130)의 정보 관리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입력받은 상기 이용자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되는 경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공개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판단 결과에 따라, 일치되는 이용자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용자 등록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용자 인증을 위한 이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공공시설물 데이터 요청 단계(S200)는 상기 이용자 인증 단계(S100)에 의해 접속 인증된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서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공공시설물 데이터 중 원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공공시설물 데이터 제공 단계(S300)는 상기 공공시설물 데이터 요청 단계(S200)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공개 API 이용하여,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요청한 후, 이에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공시설물 데이터 표시 단계(S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20)로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 및 대응 보고 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는 상기 공공시설물 데이터 표시 단계(S400)를 수행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받은 공개 API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를 입력하거나,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변경 정보 또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를 통해서, 상기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 변경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는 상기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에서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할 경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통제부(120)에서 상기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에 의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할 경우, 상기 이상 정보에 따라, 상기 이상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20)로 전달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공공시설물의 이상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응 보고 단계(S70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상기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에 의해서 제공받은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에 따라, 공공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수행한 후,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상기 중앙 통제부(120)는 상기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에 의해서 입력받은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 변경 정보와, 상기 대응 보고 단계(S700)에 의해서 입력받은 상기 안전관리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제공되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입력한 상기 공공시설물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을 신속하게 업데이트함으로써, 이용자(시민)에 의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용자(시민)에게 공개 API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제공한 후, 이를 통해서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관리자(공공기관, 지자체)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하게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
110 : 데이터베이스부
111 : 지도 데이터부 112 : 추가 데이터부
113 : 변경 데이터부 114 : 매뉴얼 데이터부
115 : 이상 데이터부 116 : 대응 데이터부
120 : 중앙 통제부
130 : 접속 관리부
131 : 정보 관리부 132 : 접속 인증부
200 : 이용자 단말기
210 : 입력부 220 : 출력부
300 : 백업 서버

Claims (9)

  1. 공공시설물 데이터에 대한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위치 기반의 전자 지도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지도 데이터부(111)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0)와,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공개 API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중앙 통제부(120)를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 및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이용자로부터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검색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10)와, 상기 입력부(210)에 의한 상기 검색 정보와 매칭하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는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로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 관리부(13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 이용자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전달받은 상기 이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131); 및
    상기 정보 관리부(131)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와의 접속을 원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인증부(1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추가 데이터부(112);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로부터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변경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변경 데이터부(11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추가 데이터부(112) 및 변경 데이터부(113)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해 발생하는 이상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매뉴얼 데이터부(11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 통제부(12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에 의해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매뉴얼 데이터부(114)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 중 상기 이상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20)로 전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에서 기설정된 이상 정보 입력 항목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하여 전달한,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이상 데이터부(11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자가 전달받은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를 통해서 기설정된 대응 완료 입력 항목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입력하여 전달한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대응 데이터부(11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응 데이터부(116)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부(111)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7. 공공시설물 데이터에 대한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이용자 인증 단계(S100);
    상기 이용자 인증 단계(S100)에 의해, 접속 인증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원하는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 요청 단계(S200);
    제공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위치 기반의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 제공 단계(S300);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 표시 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은
    상기 공공시설물 데이터 표시 단계(S400)를 수행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공개 API를 이용하여, 공공시설물의 신규 정보를 입력하거나, 제공받은 상기 공공시설물의 데이터에 대한 변경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를 입력하는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은
    상기 이용자 안전관리 참여 단계(S500)에 의해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공공시설물 공개 API 제공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공공시설물의 이상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대응 매뉴얼 제공 단계(S600)에 의해 제공받은 상기 대응 매뉴얼 정보에 따라,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수행한 후, 상기 공공시설물의 안전관리 정보를 입력하는 대응 보고 단계(S7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방법.
KR1020150027699A 2015-02-27 2015-02-27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699A KR102342634B1 (ko) 2015-02-27 2015-02-27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699A KR102342634B1 (ko) 2015-02-27 2015-02-27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871A true KR20160104871A (ko) 2016-09-06
KR102342634B1 KR102342634B1 (ko) 2021-12-23

Family

ID=5694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699A KR102342634B1 (ko) 2015-02-27 2015-02-27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857B1 (ko) * 2018-05-02 2019-09-11 (주)이지지오 공공 체육 시설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708A (ko) 2008-12-26 2010-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KR20120090158A (ko) * 2011-02-06 2012-08-17 김경중 위험요소/ 설치물/ 시설물/ 시설의 안전, 보안, 위생 점검 보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21512A (ko) * 2011-08-23 2013-03-06 (주)지캠프 공공 이용 시설물의 정보 공개 시스템
KR101290824B1 (ko) * 2011-11-28 2013-07-29 조태준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KR20140116296A (ko) * 2013-03-21 2014-10-02 모젼스랩(주) 개인인식코드를 이용한 참여자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708A (ko) 2008-12-26 2010-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 시스템
KR20120090158A (ko) * 2011-02-06 2012-08-17 김경중 위험요소/ 설치물/ 시설물/ 시설의 안전, 보안, 위생 점검 보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21512A (ko) * 2011-08-23 2013-03-06 (주)지캠프 공공 이용 시설물의 정보 공개 시스템
KR101290824B1 (ko) * 2011-11-28 2013-07-29 조태준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KR20140116296A (ko) * 2013-03-21 2014-10-02 모젼스랩(주) 개인인식코드를 이용한 참여자 안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857B1 (ko) * 2018-05-02 2019-09-11 (주)이지지오 공공 체육 시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634B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0043B (zh) 具访客身份验证的时限门禁管理系统及其方法
US9641596B2 (en) Home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home appliance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home appliance information sharing system
CN105976471B (zh) 一种门禁设备、访客管理方法及系统
BR112017009867B1 (pt) Método para fornecer acesso controlado a um visitante em um prédio e aplicação para dispositivo móvel
CN109901533A (zh) 用于在过程控制系统中使用的方法和设备
US11594092B2 (en) Multi-site building access using mobile credentials
JP2016500185A (ja) 勤怠管理記録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0026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s a secure electronic emergency response portal on a network
CN103493518B (zh) 信息处理设备、通信系统及信息处理方法
JP6889965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136627A (zh) 区域物业智能管理系统
CN105431881A (zh) 分布式储物柜服务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130120A (ko) Nfc 또는 qr을 이용한 웹 기반 정비 이력 관리 시스템
CN107454046B (zh) 跨设备的认证方法及装置
CN203165005U (zh) 区域物业智能管理系统
JP6433612B1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108246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incident response profiles across distinct computing platforms
CN104156807A (zh) 流动人口、出租屋和三小场所信息管理方法和系统
KR20130142646A (ko) Qr코드를 이용한 그룹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871A (ko) 공개 api를 이용한 공공시설물 참여형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5024B1 (ko)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1328B1 (ko) 범죄예방환경설계에 대한 공개 api를 이용한 참여형 공공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106713289A (zh) 一种用于物品借用的通信方法及系统
US20230326612A1 (en) Methods and Software for Contact Tracing and Exposure-Event Suppression Using Indoor Positioning
US202400139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