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024B1 -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024B1
KR101215024B1 KR1020090124655A KR20090124655A KR101215024B1 KR 101215024 B1 KR101215024 B1 KR 101215024B1 KR 1020090124655 A KR1020090124655 A KR 1020090124655A KR 20090124655 A KR20090124655 A KR 20090124655A KR 101215024 B1 KR101215024 B1 KR 10121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giver
information
call
patient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236A (ko
Inventor
김영훈
연규항
Original Assignee
연규항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항, 김영훈 filed Critical 연규항
Publication of KR2011006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방법은, 요양보호사가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콜의 수신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집에 방문하여 환자를 수발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출퇴근을 자동으로 체크하고 요양보호사의 수가 계산과 환자별, 요양보호사별, 기관별, 공단별, 기간별 요양 현황을 자동으로 정리하며 요양보호사의 출퇴근 상황과 환자의 요양 현황을 장기요양기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Figure R1020090124655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국민건강보험공단

Description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silver medica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집에 방문하여 환자를 수발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출퇴근을 자동으로 체크하고 요양보호사의 수가 계산과 환자별, 요양보호사별, 기관별, 공단별, 기간별 요양 현황을 자동으로 정리하며 요양보호사의 출퇴근 상황과 환자의 요양 현황을 장기요양기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의학의 발전으로 노인들의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노인들을 보호해야할 자녀들은 바쁜 사회생활로 인해 노인들을 직접 돌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인들에 대한 복지 차원에서 노인들이 요양기관이나 집에서 장기적인 요양을 하고 요양보호사들이 이러한 노인들을 돌보며, 일부 비용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요양보호사가 수급 대상자의 집에 방문하여 노인들을 수발하는 재가 장기 요양 서비스는, 요양보호사의 근무가 노인의 집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예컨대, 요양보호사가 환자의 집에 방문하지 않았으면서도 출근을 했다고 보고하여 수가를 타내는 등의 불법적인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빠른 인프라 구축을 위해 별 다른 교육을 받지 않은 자에게도 요양기관 허가를 내주고 요양보호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요양보호사가 환자의 집에 방문하면, 환자 집의 전화를 이용하여 출근과 퇴근을 보고하도록 시도해 보았으나, 환자 집에 통신비 부담을 안기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됐다.
한편 상급기관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각 요양기관에서 보고하는 자료만 믿고 수가를 지급할 수밖에 없으며, 실시간으로 요양보호사들의 근태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의 집에 방문하여 환자를 수발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출퇴근을 자동으로 체크하고 요양보호사의 수가 계산과 환자별, 요양보호사별, 기관별, 공단별, 기간별 요양 현황을 자동으로 정리하여 장기요양기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체크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방법은, 요양보호사가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콜의 수신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근 및 퇴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요양보호사의 수가를 산출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양보호사가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일일 처음으로 수신된 콜을 출근으로, 마지막으로 수신된 콜을 퇴근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상기 요양보호사 정보는 기 입력된 상기 요양보호사의 일일 출근 예정 시간 정보 및 퇴근 예정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콜의 수신 시간이 상기 일일 출근 예정 시간(또는 퇴근 예정 시간) 전후의 특정 구간 내의 시간일 경우 상기 수신된 콜을 출근으로(또는 퇴근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콜은 상기 요양보호사의 휴대단말 또는 상기 요양보호사가 방문한 환자 집의 전화단말에서 발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이 발신된 상기 요양보호사가 사용하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근 또는 퇴근 정보와 매칭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은, 요양보호사가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면 상기 콜의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는 발신자 정보 확인부; 상기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및 상기 콜의 수신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전화단말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나 전화발신을 통해 콜을 수신하여 자동으로 요양보호사의 출퇴근을 체크하여 근무 태도를 관리할 수 있다.
둘째, RFID 태그와 전화단말에 연계된 RFID 리더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가 방문할 시에만 콜이 발신되도록 하거나, 요양보호사 단말의 위치정보를 함께 출퇴근 정보에 저장함으로써, 허위 출근 보고를 차단할 수 있다.
셋째, 전화발신으로 콜을 발신할 시 호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출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출퇴근 체크를 위한 전화요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장기요양기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출퇴근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요양보호사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급기관에서의 관리감독이 수월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도1에 도시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은 요양보호사가 사용할 수 있는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출퇴근을 체크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요양보호사를 관리하는 장기요양기관(150)과 국민건강 보험공단(145) 측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를 정리하여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장기요양기관(15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45) 측에 제공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부(105),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 정보 확인부(115), 정보 저장부(120), 수가 산출부(125), 정보 수신부(130) 및 정보 제공부(135)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5)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요양보호사 단말(155)과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콜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장기요양기관(15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45)에 구비된 시스템 또는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는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수신된 요양보호사 단말(155)의 콜에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콜이란 환자 집의 전화단말 또는 요양보호사의 휴대폰을 통해 발신된 전화발신이거나, 또는 환자 집의 전화단말 또는 요양보호사의 휴대폰을 통해 발신된 문자메시지일 수 있으며, 발신자 정보란 이러한 전화발신 또는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이며,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에서 이를 확인한다.
요양보호사가 환자 집에 방문하여 출근 또는 퇴근을 체크하기 위해 콜을 발신하는 방법에 대해 더 설명하면, 요양보호사는 환자 집에 방문하여 출근할 시 및 퇴근할 시 환자 집에 설치된 전화단말을 통해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 측으로 전화발신을 시도함으로써 출퇴근을 체크한다. 환자 집의 전화단말을 통해 출근 및 퇴근을 보고함으로써 환자 집에 방문하였다는 사실이 명확히 증명된다.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는 요양보호사 단말(155)에서 발신된 콜이 전화발신일 경우, 호를 연결하기 위해 전화를 받지는 않으며, 호를 연결하지 않고 콜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만을 확인한 다음 콜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전화발신을 통해 출퇴근을 보고하더라도 호 연결에 따른 전화요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요양보호사의 출퇴근 보고를 위한 전용회선을 마련하고 그 전용회선은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일반전화기를 설치하지 않고 발신자 정보 확인부 만을 구비하는 것이 전화요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데 좋다. 호 연결을 하지 않는 이러한 특징은 후술할 휴대폰을 이용한 전화발신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는, 요양보호사는 환자를 돕기 위해 환자의 집이 아닌 병원 등으로 출근할 시 및 환자의 집이 아닌 곳에서 퇴근할 시 요양보호사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 측으로 전화발신을 시도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출퇴근을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은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구성을 포함하며,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는 이렇게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전화발신으로부터 발신자 번호를 확인한다.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은 콜을 수신하기 위한 고유의 수신번호를 개통해 두거나, 또는 기 개통된 수신번호와 연계하여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환자 집에 설치된 전화단말을 통해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 측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출퇴근을 체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요양보호사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전화발신 을 시도하는 것보다는, 환자 집에 설치된 전화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발신을 시도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요양보호사가 실제 환자 집에 방문했다는 것을 더욱 명확히 증명해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특성상 요양보호사는 반드시 환자의 집에서 출퇴근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즉, 요양보호사가 환자 집에 출근하여 환자를 수발한 이후, 환자의 병원 치료(또는 입원)를 위해 환자를 모시고 병원에 방문한 이후, 병원에서 바로 퇴근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환자 집의 전화단말을 이용한 콜보다는 요양보호사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콜을 할 수 있는 여지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요양보호사는 고유의 RFID 태그를 소지하고, 환자 집에는 전화단말과 연계된 RFID 리더가 구비되어, 요양보호사가 RFID 태그를 소지한 상태로 환자 집에 방문하면 RFID 리더가 요양보호사의 태그를 읽고, RFID 리더에 연결된 전화단말이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 측으로 자동으로 문자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전화발신을 시도함으로써 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를 통해 확인된 발신자 정보는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퇴근 정보에 함께 저장되며, 향후 장기요양기관(150)에서 출퇴근 정보를 확인하면서 휴대폰을 이용한 콜에 대해서는 사유를 묻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5)와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를 통해 수신된 요양보호사 단말(155)의 콜이 2회가 아닌 경우 예를 들면 출근시 또는 퇴근시의 1회의 콜만이 수신된 경우 관리 시스템은 해당 요양보호사의 출근, 퇴근 또는 근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 해당 요양보호사에게 정상적으로 근무하였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여 정상근무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한편,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요양보호사 정보 및 환자 정보는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과 연계된 관리자 단말을 통해 또는 장기요양기관(150)에 설치된 관리자 단말을 통해 기본적인 사항이 입력되어 저장되며, 필요시 수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양보호사 정보는 요양보호사의 이름, 연락처(휴대폰 번호), 담당 환자, 근무 시간(출근 예정 시간 및 퇴근 예정 시간), 출퇴근 정보, 수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퇴근 정보는 요양보호사 단말(155)에서 발신된 콜에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며, 필요시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수가 정보는 업데이트 된 출퇴근 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산출되어 저장된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변동사항이나 오류 등의 기타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환자 정보는 환자의 이름, 연락처(집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비상연락처(보호자 휴대폰 번호), 주소, 담당 요양보호사, 질병 정보, 장기요양급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기요양급여 정보는 환자가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해 장기요양기관(150)에 지급해야할 비용에 관한 정보이며, 이는 서비스 시간과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산출되어 업데이트 되며, 필요시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 정보 및 환자 정보는 반드시 하나의 저장매체(140)에 저장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저장매체(140)는 요양보호사 정보 D/B, 환자 정보 D/B를 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 DBMS)을 구비하거나, DBMS가 구비된 데이터 서버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정보 확인부(115)는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에서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저장매체(140)에서 확인한다. 즉, 확인된 발신자 번호와 매칭되는 환자 정보의 연락처가 확인될 경우 해당 환자의 담당 요양보호사의 출근(또는 퇴근)을 위한 콜인 것을 확인한다. 또는 확인된 발신자 번호와 매칭되는 요양보호사 정보의 연락처가 확인될 경우 해당 요양보호사의 출근(또는 퇴근)을 위한 콜인 것을 확인한다.
발신자 정보 확인부(110)에서 확인된 발신자 정보와 매칭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정보 확인부(115)에서 확인하면, 정보 저장부(120)는 확인된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퇴근 정보에 발신자 번호와, 콜 수신 시간을 포함하여 저장함으로써 출근 또는 퇴근을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정보 저장부(120)는 출근 또는 퇴근을 업데이트할 시 정보 확인부(115)와 연계하여 수신된 콜이 출근을 위한 콜인지 퇴근을 위한 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예컨대, 정보 확인부(115)에서 확인 결과 요양보호사 단말(155)로부터 수신된 콜이 해당 요양보호사로부터 해당 일자에 처음으로 수신된 콜일 경우 정보 저장부(120)는 해당 콜을 출근으로 업데이트하고, 해당 일자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콜일 경우 퇴근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정보 확인부(115)에서 확인 결과 해당 콜이 수신된 시간이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근 예정 시간 전후의 특정 구간 내의 시간일 경우 정보 저장부(120)는 해당 콜을 출근으로 업데이트하고, 퇴근 예정 시간 전후의 특정 구간 내의 시간에 수신된 콜일 경우 해당 콜을 퇴근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요양보호사가 환자 집에 방문하여 근무하는 시간이 10:00 ~ 15:00 일 경우, 09:40 ~ 10:20 사이에 수신된 콜은 출근으로 업데이트 하고, 14:40 ~ 15:20 사이에 수신된 콜은 퇴근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이다.
한편 요양보호사로부터 출근 또는 퇴근 콜이 수신되지 않거나 구간 내의 시간에 콜이 수신되지 않아 출퇴근 정보에서 출근 또는 퇴근이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관리자가 해당 요양보호사에게 사유를 확인하고 메모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수가 산출부(125)는 요양보호사 단말(155)로부터 수신된 콜에 의해 저장된 출퇴근 정보를 기반으로 요양보호사에게 지급할 수가를 산출한다. 즉, 요양보호사가 근무한 시간에 기 지정된 시간당 급여를 곱하여 요양보호사에게 지급할 수가를 산출하면, 정보 저장부(120)가 산출된 수가를 저장한다. 이렇게 산출된 수가 정보는 향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급여를 청구할 자료로 사용된다.
한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에서 콜 수신에 따라 업데이트 되는 출퇴근 정보는 실시간으로 장기요양기관(150)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145)에 전송되어 장기요양기관(150)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145)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또는 장기요양기관(150)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145)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해당 기관 또는 공단의 시스템이나 서버로 전송해줄 수 있다.
물론 장기요양기관(150)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145)의 시스템 및 서버에서는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으로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미리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아 설치된다.
예컨대,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이 요양보호사 단말(155)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출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면, 해당 요양보호사의 출퇴근 정보가 발생하는 즉시 정보 제공부(135)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출퇴근 정보를 해당 요양보호사와 환자를 관리하는 장기요양기관(150) 측으로 제공해준다.
또는, 요양보호사의 급여를 지급할 시기가 도래하여 장기요양기관(150)에서 요양보호사의 근무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장기요양기관(150)의 관리자가 요양보호사의 근무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제공 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부(105)와 정보 수신부(130)가 정보 제공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확인부(115)는 정보 제공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저장매체(140)에서 확인 및 추출하고 정보 제공부(135)와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장기요양기관(150) 측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편리하게 요양보호사의 근무 정보를 확인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145)에 급여를 청구할 수가 있다.
물론, 이러한 정보의 흐름은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 장기요양기관(15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45) 상호간 실시간으로 또는 정보 제공 요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공되는 정보는, 요양보호사/환자 기본 정보, 요양보호사의 출퇴근 정보, 수가 정보, 환자별/요양보호사별/장기요양기관(150)별/기간별 현황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기 지정된 서식에 의해 제공되고 출력된다.
또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은 국민건강보험공단(145)으로 전송하는 정보들을 국민건강보험공단(145)의 각 지역의 공단지사에도 전송하여 각 공단지사에서 환자와 요양보호사들의 현황을 감독 및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도1에 도시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요양보호사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출퇴근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2에서는 도1에 도시된 휴대폰이나 전화단말 등의 요양보호사 단말(155)을 '단말'이라 하고,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을 '시스템'이라 한다.
요양보호사가 환자 집에 방문하면 환자 집의 전화단말 또는 요양보호사의 휴대폰을 통해 전화발신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의 방법으로 시스템 측으로 콜을 발신<S205>한다. 또는 요양보호사가 RFID 태그를 소지하고 환자 집에 방문하면, 환자 집의 전화단말과 연계된 RFID 리더가 요양보호사의 RFID 태그를 인식하고 전화단말이 시스템 측으로 콜을 발신한다.
이후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고, 수신된 콜의 발신자 정보를 확인<S210>한다. 발신자 정보란 전화발신이나 문자메시지의 발신자 번호 이다.
시스템에서 수신된 콜의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면, 저장매체에 저장된 환자 정보 또는 요양보호사 정보와 비교하여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 또는 요양보호사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S215>한다. 즉, 발신자 번호와 일치하는 환자 연락처나 요양보호사 연락처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시스템은 수신된 콜에 대해 호를 연결하지는 않는다.
만약 확인된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연락처의 환자 정보나 요양보호사 정보가 확인되면<S220>, 확인된 해당 요양보호사(환자 집의 전화단말로 콜이 수신되어 환자 정보가 확인될 경우에는 담당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퇴근 정보 중 해당 일의 출근 정보가 업데이트 되어 있는지 확인<S225>한다.
만약 해당 일의 출근 정보가 업데이트 되어 있지 않다면<S230> 해당 콜은 일일 최초로 수신된 콜인 것으로 판단하여, 시스템에서 콜의 수신 시간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여 출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S235>한다.
반면 해당 일의 출근 정보가 업데이트 되어 있다면<S230> 해당 콜은 일일 최초로 수신된 콜이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에서 콜의 수신 시간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여 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S240>한다. 물론 콜은 하루에도 3회 이상 수신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최초로 수신된 콜은 출근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콜이며, 마지막으로 수신된 콜은 중간에 수신된 콜에 의해 업데이트 된 퇴근 정보를 다시 업데이트함으로써 최종적인 퇴근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된 과정은 단말에서 수신된 콜이 일일 최초의 콜일 경우 출근 으로 업데이트하고 마지막 콜일 경우 퇴근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 것이며, 수신된 콜의 출퇴근을 구분하여 업데이트하는 다른 방법은 이하의 도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요양보호사 단말(155)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출퇴근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또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3에서는 도1에 도시된 휴대폰이나 전화단말 등의 요양보호사 단말(155)을 '단말'이라 하고,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을 '시스템'이라 한다. 또한, 단말에서 시스템으로 콜을 발신하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S305~S315)은 도2를 통해 설명한 과정(S205~S215)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시스템에서 확인된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연락처의 요양보호사 정보나 환자 정보가 확인되면<S320>, 시스템은 확인된 해당 요양보호사(환자 집의 전화단말로 콜이 수신되어 환자 정보가 확인될 경우에는 담당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근 예정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콜이 수신된 시간이 해당 요양보호사의 일일 출근 예정 시간 전후의 특정 구간 내의 시간인지 확인<S325>한다. 예컨대, 일일 출근 예정 시간이 10시일 경우, 콜이 수신된 시간이 9시 40분에서 10시 20분 사이의 시간인지 확인하며, 이렇게 출근 구간 내에 콜이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S330> 시스템에서 콜의 수신 시간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여 출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S335>한다.
반면 콜의 수신 시간이 출근 구간 내의 시간이 아닐 경우<S330>, 시스템은 확인된 해당 요양보호사 정보의 퇴근 예정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콜이 수신된 시간이 해당 요양보호사의 일일 퇴근 예정 시간 전후의 특정 구간 내의 시간인지 확인<S340>한다. 예컨대, 일일 퇴근 예정 시간이 15시일 경우, 콜이 수신된 시간이 14시 40분에서 15시 20분 사이의 시간인지 확인하며, 이렇게 퇴근 구간 내에 콜이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S345> 시스템에서 콜의 수신 시간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여 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S350>한다.
그러나 도3의 과정에 의하면 요양보호사로부터 출근 또는 퇴근 콜이 구간 내의 시간에 수신되지 않아 출퇴근 정보에서 출근 또는 퇴근이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관리자가 해당 요양보호사에게 사유를 확인하고 메모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의 과정을 통해 단말에서 콜이 수신되면 자동으로 출근 또는 퇴근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 된 정보들은 수가를 산출하여 급여 지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장기요양기관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요양보호사들의 근무 태도를 관리 감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도4에 도시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은 요양보호사가 사용할 수 있는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출퇴근을 체크할 시, 요양보호사 단말(460)의 위치정보를 함께 확인하여 출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의 위치정보 확인부(415)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도1에 도시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줄이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은 인터페이스부(405), 발신자 정보 확인부(410), 위치정보 확인부(415), 정보 확인부(420), 정보 저장부(425), 수가 산출부(430), 정보 수신부(435) 및 정보 제공부(44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05)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요양보호사 단말(460)과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콜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장기요양기관(455) 및 국민건강보험공단(450)에 구비된 시스템 또는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발신자 정보 확인부(410)는 인터페이스부(405)를 통해 수신된 요양보호사 단말(460)의 콜에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콜이란 요양보호사가 소지한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을 통해 발신된 문자메시지이거나, 또는 전화발신이거나, 또는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전송한 출근 확인 정보일 수 있다.
위치정보 확인부(415)는 콜을 발신한 요양보호사 단말(46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위치정보 확인부(415)는 요양보호사 단말(460)이 콜을 발신할 시의 위치정보를 GPS(Global Position System)를 이용하여 좌표 정보로 확인한다.
발신자 정보 확인부(410)와 위치정보 확인부(415)에서 수신된 콜에 대한 발신자 정보가 확인되고 해당 단말의 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정보 확인부(420)는 발신 자 정보 확인부(410)에서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저장매체(445)에서 확인한다. 즉, 확인된 발신자 번호와 매칭되는 요양보호사 정보의 연락처가 확인될 경우 해당 요양보호사의 출근(또는 퇴근)을 위한 콜인 것을 확인한다. 또는 확인된 발신자 번호와 매칭되는 환자 정보의 연락처가 확인될 경우 해당 환자의 담당 요양보호사의 출근(또는 퇴근)을 위한 콜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정보 확인부(420)는 위치정보 확인부(415)에서 확인한 요양보호사 단말(460)의 위치가 해당 요양보호사가 담당하는 환자의 주소 정보와 대응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정보 확인부(420)는 환자 정보의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여 확인된 요양보호사 단말(460)의 좌표와 비교함으로써, 요양보호사 단말(460)이 환자 집에 방문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확인부(410)에서 확인된 발신자 정보와 매칭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정보 확인부(420)에서 확인하고, 콜을 발신한 단말의 위치가 해당 요양보호사가 담당하는 환자의 주소지에 대응하는 것이 확인되면, 정보 저장부(425)는 확인된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퇴근 정보에 발신자 번호와, 콜 수신 시간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함으로써 출근 또는 퇴근을 업데이트한다.
물론 요양보호사 단말(460)의 위치가 환자 집의 주소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니더라도, 정보 저장부(425)는 출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며, 향후 관리자에 의해 위치정보 오류에 따른 사유를 묻고 메모를 함으로써 관리감독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 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에 의하면, 요양보호사 단말(460)로부터 콜을 수신할 시, 요양보호사 단말(46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함께 출퇴근 정보에 업데이트함으로써, 허위 출근을 방지토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4에 도시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의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1에 도시된 도면과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한 내용들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도4에 도시된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을 통해 요양보호사 단말(460)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출퇴근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5에서는 도4에 도시된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요양보호사 단말(460)을 '단말'이라 하고,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400)을 '시스템'이라 한다.
요양보호사가 환자 집에 방문하면 요양보호사의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을 통해 문자메시지 발신, 전화발신 또는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근 확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콜을 발신<S505>한다.
이후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고, 수신된 콜의 발신자 정보와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S510>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란 단말의 발신자 번호이고, 위치정보란 예컨대 GPS를 이용하여 확인한 단말의 좌표 값이다.
시스템에서 수신된 콜의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면, 저장매체에 저장된 요양보호사 정보 또는 환자 정보와 비교하여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 또는 환자 정보가 있는지 확인<S515>한다. 즉, 발신자 번호와 일치하는 요양보호사 연락처나 환자 연락처를 확인한다. 여기서, 시스템은 수신된 콜에 대해 호를 연결하지는 않는다.
만약 확인된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연락처의 요양보호사 정보나 환자 정보가 확인되면<S520>, 확인된 해당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퇴근 정보 중 해당 일의 출근 정보가 업데이트 되어 있는지 확인<S525>한다.
만약 해당 일의 출근 정보가 업데이트 되어 있지 않다면<S530> 해당 콜은 일일 최초로 수신된 콜인 것으로 판단하여, 시스템에서 콜의 수신 시간, 발신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출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S535>한다.
반면 해당 일의 출근 정보가 업데이트 되어 있다면<S530> 해당 콜은 일일 최초로 수신된 콜이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에서 콜의 수신 시간, 발신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S540>한다. 물론 콜은 하루에도 3회 이상 수신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최초로 수신된 콜은 출근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콜이며, 마지막으로 수신된 콜은 중간에 수신된 콜에 의해 업데이트 된 퇴근 정보를 다시 업데이트함으로써 최종적인 퇴근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과정은 단말에서 수신된 콜이 일일 최초의 콜일 경우 출근으로 업데이트하고 마지막 콜일 경우 퇴근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 것이며, 출근 예정 시간과 퇴근 예정 시간의 전후 특정 구간의 콜을 확인하여 출퇴근을 구분하되 위치정보를 함께 확인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3과 도5를 통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105 : 인터페이스부 110 : 발신자 정보 확인부
115 : 정보 확인부 120 : 정보 저장부
125 : 수가 산출부 130 : 정보 수신부
135 : 정보 제공부 140 : 저장매체
145 : 국민건강보험공단
150 : 장기요양기관 155 : 요양보호사 단말

Claims (7)

  1. 요양보호사가 소지한 RFID태그와, 상기 RFID태그를 인식하는 RFID리더가 연결된 환자 집의 전화단말과, 상기 전화단말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상기 요양보호사의 출퇴근을 관리하는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을 통한 요양보호사 관리 방법이며,
    상기 RFID태그를 소지한 요양보호사가 상기 환자 집에 방문하여 상기 RFID리더에서 상기 RFID태그를 인식하면 상기 RFID리더와 연계된 상기 환자 집의 전화단말이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측으로 콜을 발신하는 단계;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의 발신자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수신된 콜을 통해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의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확인된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요양보호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의 정보 저장부에서 상기 콜의 수신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요양보호사 정보의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의 발신자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시, 상기 콜의 호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콜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만을 확인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의 정보 확인부는 미리 지정된 상기 요양보호사의 출근 또는 퇴근 예정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콜이 수신된 시간이 상기 요양보호사의 출근 또는 퇴근 예정 시간 전후의 특정 구간 내의 시간인지 확인하여 출근인지 또는 퇴근인지 구분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상기 환자 집의 상기 전화단말에 의해 상기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측으로의 상기 콜의 발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요양보호사의 허위 출근 보고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보호사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24655A 2009-12-03 2009-12-15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15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68 2009-12-03
KR20090118968 2009-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36A KR20110063236A (ko) 2011-06-10
KR101215024B1 true KR101215024B1 (ko) 2012-12-24

Family

ID=4439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655A KR101215024B1 (ko) 2009-12-03 2009-12-15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10B1 (ko) 2019-01-14 2019-05-22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US20200293996A1 (en) * 2019-03-15 2020-09-17 Coupang, Corp.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mobile worker tracking
KR20200110904A (ko) 2019-03-18 2020-09-28 좋은기분 주식회사 노인 장기 요양 기관 실시간 관리 평가 시스템
KR102553942B1 (ko) * 2020-10-12 2023-07-10 새샘사회적협동조합 노인장기요양기관용 통합 솔루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8189A (ja) * 2005-10-20 2006-08-31 Creative Do:Kk ヘルパー稼動管理システム
JP2008269556A (ja) * 2006-10-24 2008-11-06 Ihc:Kk 個人認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8189A (ja) * 2005-10-20 2006-08-31 Creative Do:Kk ヘルパー稼動管理システム
JP2008269556A (ja) * 2006-10-24 2008-11-06 Ihc:Kk 個人認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36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8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response
US20110010087A1 (en) Home Health Point-of-Care and Administration System
KR102293933B1 (ko)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090125332A1 (en) Automated execution of health care protocols in an integrated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US201102159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reminders
US20080058615A1 (en)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CA278227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estination-based care services model
US20140096140A1 (en) Managing a service provider&#39;s customer queue
US9055167B1 (en)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from a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KR20180029544A (ko) 병원 동행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US20120191488A1 (en) Use of Location Aware Check-In by Visitors to Support Emergency Services
KR101215024B1 (ko)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093993B1 (ja) 救急手配システム及び救急手配プログラム
CA2579081A1 (en) Home health point-of-care and administration system
KR101612304B1 (ko) 보호자 동행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2006236010A (ja) 外国人の管理方法
JP2012068838A (ja) 共通診察券管理システム
KR20160011033A (ko) 통합 의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JP7178691B2 (ja) 入居者送信による賃貸住宅の退去管理システム
KR102025862B1 (ko) 노쇼 고객 대응 시스템 및 방법
WO20151034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gagement, logistics, and technology for health services
JP6388223B1 (ja) 民泊管理支援方法、民泊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民泊管理支援装置
KR20100011405A (ko) 실시간 맞춤형 케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3030337A (ja) 地域在宅医療ケアシステム
KR101146290B1 (ko) 위험신호 시멘틱 자동송신시스템 및 송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