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810B1 -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810B1
KR101953810B1 KR1020190004815A KR20190004815A KR101953810B1 KR 101953810 B1 KR101953810 B1 KR 101953810B1 KR 1020190004815 A KR1020190004815 A KR 1020190004815A KR 20190004815 A KR20190004815 A KR 20190004815A KR 101953810 B1 KR101953810 B1 KR 10195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fare
recipi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085A (ko
Inventor
이승민
전병현
이권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Priority to KR102019000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가 현재 상태를 복지사에게 보고하는 경우, 복지사에게 직접적으로 연락을 취하지 않고 전산상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복지사의 복지대상자 관리업무를 전산상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가능하며, 복지대상자가 운용하는 복지대상자 통신단말; 및,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하는 복지대상자DB,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안부등록 여부에 관한 안부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하는 안부DB,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과 연동하며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송신시에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및 안부정보의 입력정보를 ARS로 송출하는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 상기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에서 제공하는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지대상자DB에서 해당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에 입력하는 안부정보를 상기 안부DB에 등록하는 안부등록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CALL MANAGEMENT SYSTEM FOR WELFARE PERSON}
본 발명은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가 현재 상태를 복지사에게 보고하는 경우, 복지사에게 직접적으로 연락을 취하지 않고 전산상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복지사의 복지대상자 관리업무를 전산상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취약계층 대상인 복지대상자는 하루에 한 번씩 담당 복지사에게 전화를 하여, 건강상태나 생활 정보를 보고하고 있다.
이 경우, 복지사는 담당하고 있는 복지대상자 가운데 일정기간동안 연락이 없는 대상자에게 일일이 연락하거나 또는 직접 방문하는 형태로 복지대상자를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복지사의 업무는 관리하는 복지대상자의 현재 건강 상태나 생활정보를 보고받아 관리하는 업무 이외에, 보고받은 복지대상자의 건강 상태나 생활정보에 관한 서류 작성 업무 및 복지대상자의 장기출타시에 장기출타자에 대한 서류 작성업무와 같은 서류 업무등을 부수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이 경우, 현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은 복지사가 관리하는 복지대상자들에게 일일이 보고를 받는 업무를 수행함과 더불어 그에 관한 서류를 작성하는 도중에, 연락이 되지 않는 복지대상자에게 연락을 하거나 직접 방문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연락이 없는 복지대상자에게 연락을 하거나 직접 방문하는 상황에서 다른 복지대상자의 보고 전화를 못 받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복지사가 다시 전화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업무가 중복적으로 누적되고, 그에 따른 서류 업무도 지체되므로 인해서 복지사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더욱이, 복지사는 상기한 업무를 진행하는 도중에 휴가, 월차 및, 출장과 일정이 계획되는 경우, 전화를 받는 보고 업무 및 서류 업무가 다른 담당 복지사들에게 이관되기 때문에, 다른 복지사들의 업무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또한, 업무를 이관받은 복지사는 이전 담당 복지사로부터 담당하고 있던 복지대상자의 서류를 전달받는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서류 분실이나 서류 혼동 발생에 의한 업무 지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복지사는 복지대상자의 전화를 받는 보고 업무와 서류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 연락이 없는 복지대상자를 관리하는 동안 보고 업무와 서류 업무가 누적되는 문제점과, 서류 분실이나 서류 혼동에 따른 업무 지체와 더불어, 휴가, 월차 및, 출장과 같은 출타할 일의 발생시에 보고 업무와 서류 업무가 중복적으로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236호(2011.06.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지사가 복지대상자들과 직접적으로 연락을 취하지 않고도 복지사가 복지대상자들의 안부현황을 알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복지대상자의 등록, 복지대상자의 현황, 복지대상자의 이관, 복지대상자의 출타, 복지대상자의 이상발생, 기관 및 복지사관리 및, 복지대상자와의 연락 내용에 관한 서류 업무를 전산상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되, 복지사들간에 서류 업무가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은, 통신가능하며, 복지대상자가 운용하는 복지대상자 통신단말;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하는 복지대상자DB,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안부등록 여부에 관한 안부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하는 안부DB,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과 연동하며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송신시에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및 안부정보의 입력정보를 ARS로 송출하는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 상기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에서 제공하는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지대상자DB에서 해당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에 입력하는 안부정보를 상기 안부DB에 등록하는 안부등록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 및 통신가능하며, 복지사가 운용하는 복지사 통신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대상자DB에 등록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들과 상기 안부DB에 등록된 안부정보를 비교하여 안부정보에 등록되지 않은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추출하되, 추출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가운데 기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복지대상 등록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미연락대상정보를 생성하는 미연락 대상 알림부; 상기 미연락 대상 알림부와 연동하여 상기 미연락대상정보의 수신시에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미연락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 관리부; 및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의 요청시 상기 복지대상자DB내에 신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의 등록, 상기 복지대상자DB내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의 검색 및,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에 지정된 복지담당자의 이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복지대상자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미연락알림 메세지가 다수의 복지사로 회신되고, 복지대상자 이관시에 이관을 알리는 메세지가 발송되도록 하는 이관알림 메세지를 설정가능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복지대상자가 안부등록을 위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기지정된 전화번호 정보에 전화를 걸어 송신요청을 하고,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에 의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수신을 허락한 상태에서,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확인(이 경우,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가 발신번호 표시를 이용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 발신번호를 확인하거나, 복지대상자에게 복지사와의 통화를 원하시면 특정번호를 누르라는 ARS 음성안내멘트를 송출하여 복지대상자가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를 토대로 복지대상자의 등록정보를 확인함)하며,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를 통하여 확인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안부등록부로 전송하고, 안부등록부를 통하여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안부정보를 안부DB에 등록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복지사가 복지사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복지대상자마다 전화 미수신 기간정보를 미연락 대상 알림부에 설정하고, 미연락 대상 알림부는 전화 미수신 기간정보가 설정된 복지대상자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전화 미수신 기간동안 해당 복지대상자로부터 안부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미연락대상정보를 생성하여 메세지관리부로 송출하며, 미연락대상정보를 입력받은 메세지관리부는 해당 복지대상자를 담당하는 복지사 통신단말에 미연락알림 메세지를 송출하고, 상기 복지대상자DB에는 각각의 상기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마다 날짜별 안부등록 유무정보, 복지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및, 생활문제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대상자DB와 연동하며, 날짜별 안부등록 유무정보, 상기 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및, 생활문제정보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로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선택적으로 정렬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에 출력하는 안부현황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복지대상자마다 특이사항과 같은 대상정보가 복지대상자DB와 연동하는 상태로 기록되어 복지사 통신단말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복지사가 별도의 서류를 작성하지 않고도 복지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내용을 담당 복지사뿐만 아니라, 다른 복지사들도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시킬 수 있으며, 복지대상자의 등록, 검색 및, 이관 작업을 공유된 형태로 운용하여 복지사들간에 업무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의 요청시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각각을 담당하는 기관등록정보 및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각각을 담당하는 담당복지사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등록하는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의 의 로그인 수행시에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의 등록 및 수정에 관한 권한을 각각의 복지사별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로그인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지사가 복지대상자들과 직접적으로 연락을 취하지 않고도 복지사가 복지대상자들의 안부현황을 알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복지대상자의 등록, 복지대상자의 현황, 복지대상자의 이관, 복지대상자의 출타, 복지대상자의 이상발생, 기관 및 복지사관리 및, 복지대상자와의 연락 내용에 관한 서류 업무를 전산상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서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전산상에서 처리된 업무 내용들이 복지사들간에 공유되도록 하여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의 안부정보를 등록하는 구동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의 복지대상자 미연락시의 구동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메세지관리부의 문자 전송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메세지관리부의 설정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안부현황관리부의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복지대상자관리부의 복지대상자 등록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복지대상자관리부의 복지대상사 검색에 대한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복지대상자관리부의 복지대상사 이관에 대한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의 기관등록에 대한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의 복지사관리에 대한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에서 로그인관리부의 로그인 접속에 대한 기능을 관리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예에 대한 화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은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 운영서버(20) 및, 복지사 통신단말(30)을 포함한다.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은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가 운용하며, 스마트폰, 일반 유선전화 및, 전화송수신 가능한 피씨와 같은 통신단말로써,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지대상자가 운영서버(20)에 안부등록을 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장치이다.
운영서버(20)는 복지대상자DB(20a), 안부DB(20b),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20c), 안부등록부(20d), 미연락 대상 알림부(20e) 및, 메세지 관리부(20f)를 포함한다.
복지대상자DB는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한다. 여기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는 복지대상자의 이름, 연락처 및, 주소를 포함한다.
안부DB(20b)는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의 안부등록 여부에 관한 안부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한다. 이러한 안부DB(20b)는 복지대상자DB(20a)와 연동하며, 후술하는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20c)를 통해 안부정보를 복지대상자DB(20a)내의 복지대상자 각각에 생성한다.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20c)는 기지정된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과 연동하며 기지정된 전화번호 정보로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의 송신시에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의 입력 및 안부정보의 입력에 관한 ARS 음성 안내 멘트를 송출하고,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에서 입력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및 안부정보를 안부등록부(20d)에 전송한다.
안부등록부(20d)는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20c)와 연동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에서 제공하는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토대로 복지대상자DB(20a)에서 해당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에 입력하는 안부정보를 안부DB(20b)에 등록한다.
미연락 대상 알림부(20e)는 복지대상자DB(20a)에 등록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들과 안부DB(20b)에 등록된 안부정보를 비교하여 안부정보에 등록되지 않은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추출하되, 추출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가운데 기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복지대상 등록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미연락대상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미연락대상정보는 메세지관리부로 송출된다.
메세지 관리부(20f)는 복지대상자DB(20a)와 연동하며, 복지대상자DB(20a) 내의 연락처로 메세지를 발송하거나, 후술하는 복지사DB(20j) 내의 복지사 연락처로 메세지를 발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메세지 관리부(20f)는 복지사가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임의로 선택되는 복지대상자의 연락처로 각종 메세지를 발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관리부의 메세지 발송 기능에 대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프로그램에서는 메세지 발메세지 제목 입력창, 메세지 내용 입력창, 이름 및 연락처 입력창, 메세지 전송창 및, 예약발송창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복지사 통신단말(30)에 제공하여, 복지대상자 또는 복지사에게 메세지를 발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송된 메세지는 운영서버(20)에 DB형태로 기록을 남겨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세지 관리부(20f)는 미연락 대상 알림부(20e)와 연동하여 미연락대상정보의 수신시에 복지사 통신단말(30)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미연락알림 메세지를 송출한다. 이러한 메세지 관리부(20f)의 미연락알림 메세지에 대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프로그램의 환경설정창에서 미통보시에 문자메세지로 수신되도록 선택아이콘을 제공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연락알림 메세지에 대해 예를 들면, 미연락알림 메세지는 " 연락처 OOO-OOOO-OOOO 인 복지대상자 OOO님께서 3일동안 연락을 취하지 않으셨습니다."가 될 수 있다. 또한, 관리프로그램은 미연락알림 메세지가 다수의 복지사로 회신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회신번호 등록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프로그램은 복지대상자 이관시에 이관을 알리는 메세지가 발송되도록 하는 이관알림 메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복지사 통신단말(30)은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를 담당하는 복지사가 운용하며, 스마트폰과 타블릿패드 및 피씨(PC)와 같은 통신단말로써, 복지사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지대상자, 기관 및, 복지사들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지대상자가 안부 등록을 하는 구동 및, 복지대상자가 연락을 취하지 않는 경우의 구동 각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복지대상자가 안부 등록을 하는 구동>
먼저, 복지대상자가 안부등록을 하는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가 안부등록을 위하여 자신이 운용하는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로 기지정된 전화번호 정보에 전화를 걸어 송신요청을 하는 단계(S11)를 진행하게 되면,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20c)는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의 수신을 허락한 상태에서,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복지대상자 확인단계(S12)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복지대상자 확인단계(S12)에서는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20c)가 발신번호 표시를 이용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의 발신번호를 확인하거나, 복지대상자에게 복지사와의 통화를 원하시면 특정번호를 누르라는 ARS 음성안내멘트를 송출하여 복지대상자가 복지대상자 통신단말(10)을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를 토대로 복지대상자의 등록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다음,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20c)는 확인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안부등록부(20d)로 전송하는 단계(S13)를 진행하고, 안부등록부(20d)는 전송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안부정보를 안부DB(20b)에 등록하는 안부정보 등록 단계(S14)를 진행하게 된다.
다음, 복지사는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안부DB(20b)내에 자신이 담당하는 복지대상자들의 안부등록 여부를 운영서버(20)로 요청하는 단계(S15)를 진행하게 되면, 운영서버(20)는 안부DB(20b)내의 담당 복지대상자들의 안부정보를 복지사 통신단말(30)로 전송하는 단계(S16)를 진행하게 되고, 복지사 통신단말(30)에서는 요청한 복지대상자들의 안부정보를 출력하여 확인하는 단계(S17)를 진행함으로써, 복지사들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복지대상자들의 안부정보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지대상자들은 자신들의 안부에 대한 정보를 안부DB(20b)에 등록함으로써, 복지사와 직접적으로 연락을 취하지 않고도 안부 상태를 등록할 수 있으며, 복지사들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복지대상자들의 안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복지대상자가 연락을 취하지 않는 경우의 구동>
먼저, 복지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복지대상자마다 전화 미수신 기간정보를 미연락 대상 알림부(20e)에 설정하는 단계(S21)를 진행한다.
이 경우, 미연락 대상 알림부(20e)는 전화 미수신 기간정보가 설정된 복지대상자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만약, 설정된 전화 미수신 기간동안 해당 복지대상자로부터 안부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미연락대상정보를 생성하여 메세지관리부로 송출하는 단계(S22)를 진행하고, 미연락대상정보를 입력받은 메세지관리부에서는 해당 복지대상자를 담당하는 복지사 통신단말(30)에 " 연락처 OOO-OOOO-OOOO 인 복지대상자 OOO님께서 3일동안 연락을 취하지 않으셨습니다."와 같은 미연락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S23)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담당자 복지사는 자신의 복지사 통신단말(30)로 전송된 미연락알림 메세지를 확인하는 단계(S24)를 진행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지사는 복지대상자와 직접적으로 연락을 취하지 않고도, 담당하는 복지대상자들 가운데 안부가 등록되지 않은 복지대상자들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영서버(20)는 안부현황관리부(20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지대상자DB(20a)에는 전술한, 복지대상자의 이름, 복지대상자 연락처 및, 복지대상자 주소에 관한 정보 이외에, 각각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마다 날짜별 안부등록 유무정보, 복지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및, 생활문제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부현황관리부(20g)는 복지대상자DB(20a)와 연동하며, 복지대상자의 이름, 복지대상자 연락처, 복지대상자 주소, 날짜별 안부등록 유무정보, 상기 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및, 생활문제정보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로 복지대상DB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선택적으로 정렬하여 복지사 통신단말(30)에 출력한다.
이러한 안부현황관리부(20g)에 대한 예를 들면, 안부현황관리부(20g)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프로그램은 복지대상자를 대상별, 일별 및, 유형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안부현황아이콘(20g1)들이 생성된 화면을 제공하고, 복지사가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대상별, 일별 및, 유형별로 각각의 아이콘을 선택시에 복지대상자DB(20a) 및 안부DB(20b)내에서 복지대상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날짜별 안부등록 유무정보, 복지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및, 생활문제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검색 요청을 하여, 각각의 정보에 대해 정렬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지사는 자신의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복지대상자들을 대상별, 일별 및, 유형별로 정렬하여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담당하고 있는 복지대상자들의 현황을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정렬된 정보들은 엑셀과 같은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복지사 통신단말(30)에 출력될 수 있으며, 담당 복지사가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각각의 복지대상자와 통화한 이력을 복지대상자DB(20a)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복지대상자마다 특이사항과 같은 대상정보가 복지대상자DB(20a)와 연동하는 상태로 기록되어 필요시 복지사 통신단말(30)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복지사가 별도의 서류를 작성하지 않고도 복지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내용을 담당 복지사뿐만 아니라, 다른 복지사들도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하여 복지사들간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20)는 복지대상자관리부(20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지대상자관리부(20h)는 복지사 통신단말(30)과 연동하여 복지사 통신단말(30)의 요청시 복지대상자DB(20a)내에 신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의 등록, 복지대상자DB(20a)내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의 검색 및, 복지대상자DB(20a)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에 지정된 복지담당자의 이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이러한 복지대상자관리부(20h)에 대해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프로그램에서는 등록, 검색 및, 이관에 각각에 대한 아이콘이 생성된 화면을 제공하며, 복지사가 자신의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등록아이콘(20h1)을 선택하여 신규 복지대상자에 대한 복지대상자의 이름, 복지대상자 연락처, 복지대상자 주소, 생년월일, 계좌번호, 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생활문제정보 및, 경고주기정보와 같은 등록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아이콘(20h2)을 선택하여 복지대상자DB(20a)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관아이콘(20h3)을 선택하여 복지대상자 각각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 복지사를 다른 기관이나 다른 복지사로 이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지대상자관리부(20h)는 복지사들이 복지대상자의 등록, 검색 및, 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복지대상자의 등록, 검색 및, 이관 작업을 하나의 시스템상에 일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서류 작업을 줄여 복지사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며, 복지대상자의 등록, 검색 및, 이관 작업을 공유된 형태로 운용하여 복지사들간에 업무가 중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복지사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20)는 기관DB(20i), 복지사DB(20j) 및,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관DB(20i)는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에 의해 등록되는 기관등록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한다.
복지사DB(20j)는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에 의해 등록되는 담당복지사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한다.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는 복지사 통신단말(30)과 연동하여 복지사 통신단말(30)의 요청시 복지대상자DB(20a)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각각을 담당하는 기관등록정보를 기관DB(20i)내에 저장하고, 복지대상자DB(20a)내의 복지대상자 각각을 담당하는 담당복지사정보를 복지사DB(20j)내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의 기관등록정보 및 담당복지사정보의 등록 방식에 대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프로그램에서 기관등록에 대한 기관등록아이콘(20k1)을 선택시에 기관명, 대표자 이름, 기관유형, 기관주소,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팩스번호, 기관 연락처 및, 관리자 이름과 같은 기관등록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제공하고, 관리자 로그인 권한을 가지는 복지사 통신단말(30)로 각각의 기관등록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프로그램에서 복지사관리아이콘(20k2)을 선택시에 복지사 관할 기관명, 복지사 이름, 복지사 로그인 아이디, 복지사 로그인 비밀번호 및, 복지사 전화번호, 복지사 직책과 같은 담당복지사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제공하고, 복지사 통신단말(30)로 각각의 담당복지사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는 복지사들이 기관등록정보와 담당복지사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상에서 복지대상자들을 관리하는 복지사들을 상황에 따라 등록하거나 추가함으로서, 기관 및 복지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서버(20)는 로그인관리부(20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관리부(20m)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지사 가운데 복지사들을 관리하는 관리복지사와 일반 복지사들 각각이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운영서버(20)에 ID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경우, 관리복지사와 일반복지사의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의 운용 권한을 설정하며, 각 복지사들이 복지사 통신단말(30)을 이용하여 할당된 ID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할 수 있는 로그인창(20m1)을 제공한다. 이 경우, 로그인관리부(20m)는 관리복지사에 운용 권한을 부여하여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20k)와 연동하는 기관등록정보 및 담당복지정보의 등록 및 수정할 수 있도록 로그인 권한을 설정하고, 일반 복지사들은 기관등록정보 및 담당복지정보를 등록 및 수정 하지 못하도록 권한을 박탈함으로써, 관리자와 복지사간에 업무를 분담함으로써 업무효율을 향상시키고, 책임권한이 없는 복지사가 기관DB(20i) 및 복지사DB(20j)를 수정할 수 없도록 하여 업무 혼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복지대상자 통신단말 20 ; 운영서버
20a ; 복지대상자DB 20b ; 안부DB
20c ;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 20d ; 안부등록부
20e ; 미연락 대상 알림부 20f ; 메세지 관리부
20g ; 안부현황관리부 20h ; 복지대상자관리부
20i ; 기관DB 20j ; 복지사DB
20k ;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 20m ; 로그인관리부
30 ; 복지사 통신단말

Claims (1)

  1. 통신가능하며, 복지대상자가 운용하는 복지대상자 통신단말;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하는 복지대상자DB,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안부등록 여부에 관한 안부정보를 DB형태로 구비하는 안부DB,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과 연동하며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송신시에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및 안부정보의 입력정보를 ARS로 송출하는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 상기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에서 제공하는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지대상자DB에서 해당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상기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에 입력하는 안부정보를 상기 안부DB에 등록하는 안부등록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 및
    통신가능하며, 복지사가 운용하는 복지사 통신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대상자DB에 등록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들과 상기 안부DB에 등록된 안부정보를 비교하여 안부정보에 등록되지 않은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추출하되, 추출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가운데 기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복지대상 등록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미연락대상정보를 생성하는 미연락 대상 알림부;
    상기 미연락 대상 알림부와 연동하여 상기 미연락대상정보의 수신시에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미연락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 관리부; 및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의 요청시 상기 복지대상자DB내에 신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의 등록, 상기 복지대상자DB내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의 검색 및,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에 지정된 복지담당자의 이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복지대상자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미연락알림 메세지가 다수의 복지사로 회신되고, 복지대상자 이관시에 이관을 알리는 메세지가 발송되도록 하는 이관알림 메세지를 설정가능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복지대상자가 안부등록을 위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기지정된 전화번호 정보에 전화를 걸어 송신요청을 하고,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에 의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수신을 허락한 상태에서,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확인(이 경우,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가 발신번호 표시를 이용하여 복지대상자 통신단말 발신번호를 확인하거나, 복지대상자에게 복지사와의 통화를 원하시면 특정번호를 누르라는 ARS 음성안내멘트를 송출하여 복지대상자가 복지대상자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를 토대로 복지대상자의 등록정보를 확인함)하며, 복지대상자 ARS 구동부를 통하여 확인된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안부등록부로 전송하고, 안부등록부를 통하여 복지대상자 등록정보와 함께 안부정보를 안부DB에 등록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복지사가 복지사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복지대상자마다 전화 미수신 기간정보를 미연락 대상 알림부에 설정하고, 미연락 대상 알림부는 전화 미수신 기간정보가 설정된 복지대상자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전화 미수신 기간동안 해당 복지대상자로부터 안부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미연락대상정보를 생성하여 메세지관리부로 송출하며, 미연락대상정보를 입력받은 메세지관리부는 해당 복지대상자를 담당하는 복지사 통신단말에 미연락알림 메세지를 송출하고,
    상기 복지대상자DB에는 각각의 상기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마다 날짜별 안부등록 유무정보, 복지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및, 생활문제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대상자DB와 연동하며, 날짜별 안부등록 유무정보, 상기 복지대상유형정보, 보호구분정보, 세대유형정보, 복지제공서비스정보 및, 생활문제정보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로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를 선택적으로 정렬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에 출력하는 안부현황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복지대상자마다 특이사항과 같은 대상정보가 복지대상자DB와 연동하는 상태로 기록되어 복지사 통신단말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복지사가 별도의 서류를 작성하지 않고도 복지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내용을 담당 복지사뿐만 아니라, 다른 복지사들도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시킬 수 있으며, 복지대상자의 등록, 검색 및, 이관 작업을 공유된 형태로 운용하여 복지사들간에 업무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의 요청시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등록정보 각각을 담당하는 기관등록정보 및 상기 복지대상자DB내의 복지대상자 각각을 담당하는 담당복지사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등록하는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복지사 통신단말의 로그인 수행시에 기관 및 복지사관리부의 등록 및 수정에 관한 권한을 각각의 복지사별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로그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KR1020190004815A 2019-01-14 2019-01-14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KR10195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15A KR101953810B1 (ko) 2019-01-14 2019-01-14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15A KR101953810B1 (ko) 2019-01-14 2019-01-14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642A Division KR20180036266A (ko) 2016-09-30 2016-09-30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085A KR20190007085A (ko) 2019-01-21
KR101953810B1 true KR101953810B1 (ko) 2019-05-22

Family

ID=6527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815A KR101953810B1 (ko) 2019-01-14 2019-01-14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8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800A (ja) * 2000-11-29 2002-08-02 Toshiba Corp 統合型在宅介護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統合型在宅介護サービス支援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0942828B1 (ko) 2008-10-14 2010-02-18 주식회사 국민은행 전자바우처를 이용한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우처 정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623B1 (ko) * 2003-03-04 2005-11-15 (주)실비토스 독거노인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215024B1 (ko) 2009-12-03 2012-12-24 연규항 요양보호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420B1 (ko) * 2014-11-07 2017-01-03 류현수 노인 복지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800A (ja) * 2000-11-29 2002-08-02 Toshiba Corp 統合型在宅介護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統合型在宅介護サービス支援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0942828B1 (ko) 2008-10-14 2010-02-18 주식회사 국민은행 전자바우처를 이용한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우처 정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085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4336C (zh) 一种控制系统帐号权限的方法
USRE47029E1 (en) Messaging system and method with dead man switching
US20080088428A1 (en) Dynamic Emergency Notification and Intelligence System
US20100161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wo-way anonymous communication
US201101612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ocial internetwork services
US20110145356A1 (en) Communication Device
JP6831537B2 (ja) チャット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06027460A (zh) 电子通讯方法及访问第三方数据库系统中的数据的方法
KR101953810B1 (ko)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CN101155025B (zh) 隐私保护系统及方法和全局许可管理服务器和客户端
KR20180036266A (ko) 복지대상자 콜 관리 시스템
KR101892881B1 (ko) 연락 시스템
KR101884652B1 (ko) 공동주택의 용역 인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용역 인력 관리 방법
JP7018808B2 (ja) メール監視装置および方法
US11715550B1 (en) Business to customer communication portal
KR20210029376A (ko)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JP7282454B2 (ja) 本人管理情報通知システム
KR102374389B1 (ko) 직접적인 개인정보 교환없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7021426B1 (ja) メッセージ変換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変換プログラム
KR102259529B1 (ko) 이메일을 이용하여 친구들의 반응을 시스템적으로 수집하는 방법
US20210112151A1 (en) Method and System that Mitigates Digital Address Book Data Decay [TetherTap]
KR20240075063A (ko) 고객사와 유지보수 업체 간 비상연락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65045B1 (ko) 긴급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JP2018005585A (ja) メッセージ伝達システム、メッセージ伝達方法、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23146313A (ja) 防火防災web管理台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