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034B1 -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034B1
KR102471034B1 KR1020220060610A KR20220060610A KR102471034B1 KR 102471034 B1 KR102471034 B1 KR 102471034B1 KR 1020220060610 A KR1020220060610 A KR 1020220060610A KR 20220060610 A KR20220060610 A KR 20220060610A KR 102471034 B1 KR102471034 B1 KR 10247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repair
information
client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주) 위드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위드와이티 filed Critical (주) 위드와이티
Priority to KR102022006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어, 실제 집수리 의뢰 시에 의뢰인 집에 대한 집수리 정보를 바로 제공하도록 구현한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업체 단말기가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 정보와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며; 집수리 서비스 서버가 업체 단말기로부터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주며,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아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판독하여 제공하며; 데이터베이스가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등록되는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의뢰인 단말기가 집수리 의뢰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요청한 후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준다.

Description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Home repair service system, server and method}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어, 실제 집수리 의뢰 시에 의뢰인 집에 대한 집수리 정보를 바로 제공하도록 구현한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수리 업체들은 영세한 소규모 업체로 금전적인 문제와 인력적인 문제로 인해 건물 청소, 하자 보수, 고장 수리 등의 관리 위주 업무만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종합적인 수리 업무에 불만과 불편한 사항들이 많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정된 업무 공간 개념을 탈피하여 다양한 장소와 이동 환경에서도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의 도입이 갈수록 필요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집수리 업체들은 소규모 업체들로서 시스템의 직접적인 운용과 관리를 하기에는 자금적인 여력이 부족하고 전문성도 결여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리 업무는 대부분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서, 좀 더 효율적이고 편리하며 체계적인 집수리 서비스를 원하는 회원들을 만족시킬 수 없는 실정이다.
하자 보수, 고장 수리 등의 요청은 대부분 음성전화를 통해 진행되고 있어, 잦은 전화 응대로 인해 본업에 많은 지장이 있고, 집수리 업체들도 업무 도중 전화 응대로 업무 집중도가 저하되는 등의 고충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음성전화를 통해서 세입자의 요청을 접수하고 관리하다 보니 사후 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잦은 분쟁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현장 업무에 의존하는 특성상 하자 보수, 고장 수리 등의 서비스 후 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아 회원들은 현장 사진 등을 통해 처리 결과를 확인하도록 요구하기도 하고 업무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지연되고 있다. 이에 집수리 업체는 서비스를 원하는 회원들의 수리 요청 서비스를 한 눈에 파악하기를 원하고 서비스 정보나 타 집수리 업체의 수리현황 등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리포팅을 원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032호(2017.08.31. 공개)는 집수리가 필요한 곳이 있을 때 근처 수리업체와 기사들에게 빠르게 연결하여 견적비교, 업체비교,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일반수리 요청과 긴급수리 요청을 선택하여 신속하게 수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다수리 앱 서비스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회원이 보유한 회원단말기를 통하여 수리 서비스를 요청받고, 수리업체가 보유한 업체단말기를 통하여 견적서를 접수하여 회원과 업체 간에 서비스 요청과 견적서를 송수신하게 하고, 수리가 완료된 경우 회원과 업체에 각각 포인트를 지급하는 앱 서버를 이용한 다수리 앱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앱 서버는 회원단말기로부터 일반수리와 긴급수리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는 서비스접수부; 업체단말기로부터 견적서를 접수하는 견적서접수부; 및 서비스접수부에 서비스요청이 접수되면, 접수한 서비스요청을 업체단말기로 전송하고, 견적서접수부에 업체단말기로부터 견적서가 접수되면 접수한 견적서를 회원단말기로 전송하고, 수리가 완료된 경우 회원과 업체에 각각 포인트를 지급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포인트를 지급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업체는 포인트 누적으로 조절된 등급에 의하여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고, 일반 회원은 누적된 포인트로 여러 가지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본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12580호(2021.10.07. 등록)는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수리 및 시공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가정, 사무 공간 및 기타 공간에서 수리 및 시공이 필요한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수리 및 시공이 필요한 수리 부위, 상세 부위, 수리 제품 모델명, 수리 부위 사진, 수리 선호 타입, 긴급 시공 요청, 업체 제약 정보, 선호 업체 정보, 업체 지정 정보, 견적 접수 마감일, 방문 희망 시간, 주소 및 연락처, 지정 대리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된 수리 및 시공 견적 요청 정보를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단말들로부터 제공된 수리 및 시공 견적 요청 정보를 토대로 입력된 수리 제품 모델 재고 여부, 예상 시간, 예상 비용, 관련 수리 및 시공 처리 횟수 및 기존 제품 폐기 가능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찰 견적 정보를 수요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제공된 입찰 견적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찰 견적 정보가 1차로 선택되면, 해당 입찰 견적 정보를 제공한 수리 및 시공 전문가에 대하여 수요자만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수요자의 만족도 상세 평가 정보 및 다른 대리인들이 부여한 등급 정보를 반영하여 선택 입력된 최종 입찰 견적 정보를 선정된 대리인 단말,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수요자의 단말에 입찰 견적 정보를 토대로 하는 수리 및 시공 비용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제공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단말들로부터 수리 및 시공 견적 요청 정보에 따른 방문 희망 시간 내에 수리 및 시공을 진행한 후, 수리 및 시공이 완료되면 대리인 단말에 수리 및 시공 점검을 요청하고, 대리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수리 및 시공에 대한 중간보고 및 완료 보고를 포함하는 진행 내역 정보를 수요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요청한 수리 및 시공에 대한 수리 및 시공 전문가 만족도 평가 정보 및 대리인 단말로부터 요청한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수리 및 시공에 대한 등급 정보가 입력되면,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단말에 수리 및 시공 비용에 대한 입금 처리 내역을 안내하는 단계;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요청한 수리 및 시공에 대한 수리 및 시공 전문가 만족도 평가 정보 및 대리인 단말로부터 요청한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수리 및 시공에 대한 등급 정보가 입력되면, 수요자의 단말로 수리 및 시공 비용 결제 정보에 따라 차등 지급되되 추후 요청하는 수리 및 시공에 대하여 비용 결제 시 사용 가능한 이용 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요청한 수리 및 시공에 대한 수리 및 시공 전문가 만족도 평가 정보 및 대리인 단말로부터 요청한 수리 및 시공 전문가의 수리 및 시공에 대한 등급 정보가 입력되면, 대리인 단말로 수리 및 시공비용 결제 정보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수리 및 시공 대리 점검에 대한 수수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가정, 사무 공간 및 기타 공간에서 수리 및 시공이 필요한 수요자에게 수요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수리 및 시공 전문가 및 수요자 회원 대신에 수리 및 시공 점검을 수행하는 대리인을 연결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의뢰인이 집수리를 신청하는 경우에 다수 개의 집수리 업체들이 방문하여 각기 다른 견적들을 제공하고, 일일 인건비 따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따로, 집수리 시공 비용도 각기 따로 제각각이고, 이에 집수리 가격의 불투명성으로 집수리 견적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집수리가 발생할 때마다 몇 번이고 집수리 업체가 방문해서 견적해야 하고, 이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도 어렵고 불편한 단점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032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1258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어, 실제 집수리 의뢰 시에 의뢰인 집에 대한 집수리 정보를 바로 제공하도록 구현한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 정보와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업체 단말기;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주며,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아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판독하여 제공하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등록되는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집수리 의뢰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요청한 후에,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주는 의뢰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업체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의 관리자나 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거나, 의뢰인의 집을 수리하는 업체가 사용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업체 단말기는, 집 정보로 집수리 항목에 대한 정보와, 집수리 정보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업체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시공확정보고서를 수신받아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통보한 후에 시공을 진행하도록 하며, 시공 완료 후에 이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업체 단말기는,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업체 위치를 감지해서 업체위치정보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집수리 항목에 대한 정보 및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 항목을 확인하며, 확인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서를 생성시켜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을 확인하며, 확인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에 대응하는 견적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가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로그인화면정보를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가 로그인한 경우에, 메인화면정보를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가 메인화면에서 서비스 신청하기를 클릭한 경우에, 서비스신청화면정보를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의뢰인의 자재 보유 여부 선택을 통보받아, 통보받은 자재 보유 여부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을 변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청서를 검토한 후에 시공확정보고서를 생성시켜 상기 업체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관리자로부터 주문서를 수신받아 상기 업체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 및 시공 완료를 통보받으며, 관리자가 확정보고서를 수정해서 재전송 가능하도록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가 메인화면에서 신청 현황을 클릭한 경우에, 신청현황화면정보를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가 메인화면에서 마이페이지를 클릭한 경우에,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설정에 있어서, 푸시 알림 온/오프, 회원 정보의 수정 시에 관리자에게만 제공하며, 지역별 관리에 있어서, 지역이 2개 이상 설정된 경우에 지역 변경 가능하도록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메인화면을 통해 주문현황 바로가기를 포함한 신규 주문 확인과; 고객 등록과; 건물 등록과; 주문서 작성과; 신청서 접수, 취소 완료,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 시공 시작, 시공 완료를 포함한 알림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고객관리화면을 통해 등록 또는 수정 시 작성하도록 하되, 최근 수정 담당자 필수 입력하도록 하며, 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정,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재하도록 하며, 고객 등록 시에 최소 건물 1개 호수 1개 입력 필수로 하는 고객 등록 및 삭제와; 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 최근 수정 담당자를 포함한 고객 정보 확인과; 건물 조회와; 신청 내역 확인과; 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한 검색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건물관리화면을 통해 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건물명, 지역, 주소, 엘리베이터 유무, 고객명, 관리인 성함, 관리인 연락처를 입력하도록 하고, 고객 등록 선 건물 등록 후로 하는 건물 등록 및 삭제와; 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불러오기 기능으로 복사 붙여넣기 가능하도록 하며, 거주 형태, 입주일, 퇴거일, 실측일, 공실 여부, 양중비 추가 여부, 평수, 비고, 실측 사진, 실측 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한 호수별 정보 등록과; 건물 정보 확인 및 수정과; 건물 등록 내용, 호수, 거주 형태, 공실 여부, 퇴거일, 입주일, 마지막 시공일을 수정 입력하도록 한 삭제와; 호수별 상세 정보 확인 및 수정과; 시공일시, 시공자, 양중비 추가 여부, 양중일, 시공사진 등을 수정 입력하도록 한 삭제와; 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한 검색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주문현황화면을 통해 접수 중, 시공 예정, 시공 중, 취소됨, 완료를 포함한 주문 현황 파악 및 현황별 분류 가능과; 결제 상세를 포함한 주문서 상세 파악 및 결제 상태를 포함한 진행 상태 파악과; 작성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작성 방식은 신청서 작성과 동일하나 시공 일시와 양중일, 숙련공을 기입해야 완료 가능하도록 한 주문서 작성과; 항목별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및 현장 담당자를 포함한 숙련공, 양중일, 자재 담당자 기입 완료 후에 고객 담당자를 포함한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 가능하도록 한 주문서 접수와; 변경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양중일, 숙련공 수정 가능하도록 하고, 시공일 이전까지만 변경 가능하도록 한 시공 변경과; 완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시작은 시공일시에 맞추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한 시공 완료와; 취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한 시공 취소와; 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한 검색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일정조회화면을 통해 캘린더 기능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6개 이상일 시에 수량으로 표기하도록 하며, 건물명, 시공 시작 시간, 주소, 시공 항목, 숙련공 간략 표기하도록 하되, 클릭 시에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업체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의뢰인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업체 위치와 의뢰인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며, 계산된 거리에 대응하여 견적서의 금액을 디스카운팅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등록되는 집수리 항목에 대한 정보 및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에 대한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등록되는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서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뢰인에게 제공할 로그인화면정보, 메인화면정보, 서비스신청화면정보, 신청현황화면정보,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메인화면, 고객관리화면, 건물관리화면, 주문현황화면, 일정조회화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집수리 항목을 선택하여 집수리 의뢰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요청한 후에, 선택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 정보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견적서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로그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로그인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로그인화면은, 지역 선택,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도록 하고, 이때 비밀번호 분실 시에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의 고객센터로 문의하도록 하며, 의뢰인으로 하여금 회원 가입하도록 하고, 지역 선택을 하도록 하고,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메인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화면은, 서비스 신청하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신청 현황을 제공하며, 서비스 유의사항 보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지역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지역번호로 고객센터의 연락처 및 영업시간을 제공하며, 지역이 2개 이상으로 설정된 의뢰인의 경우에, 좌측 상단에 있는 지역과 성함의 탭을 클릭할 시에 지역 선택을 하도록 하며, 우측 상단에 있는 알림 탭을 통해 신청서 접수, 취소, 보고서 전송, 보고서 일시 변경, 시공시작, 시공완료, 주문서 전송을 알려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신청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서비스신청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신청화면은,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건물을 선택하도록 하며, 다중 선택되도록 선택 건물의 호수를 선택하도록 하며, 공실 여부, 공실이 아닌 경우의 퇴거일, 입주일을 포함한 호수별 상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다중 선택되도록 호수별 대분류를 선택하도록 하며, 다중 선택되도록 중분류를 선택하도록 하며,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소분류, 수량 및 옵션을 선택하도록 하며,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자재를 선택하도록 하고 자재 보유 여부도 선택하도록 하며, 신청내역 확인 및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사진 및 요청 사항을 입력하도록 하고 작성 사항이 없어도 다음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하며, 상담 및 최소 금액 결제에 대한 안내 문구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옵션 선택 시에 옵션이 없는 경우에 영역이 없도록 하고 옵션이 있을 때 경우의 수 1~4개의 영역을 두도록 하며, 자재 보유 여부 선택 시에 자재 보유한 의뢰인의 선택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이 변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청현황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신청현황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청현황화면은, 건물별, 호수별 상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접수 중일 때만 취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마이페이지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이페이지화면은, 신청 현황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며, 마이 건물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별 유의사항, 이용 약관 및 버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기는,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의뢰인 위치를 감지해서 의뢰인위치정보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업체 단말기, 의뢰인 단말기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의뢰인의 집 정보와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집수리 의뢰 요청을 수신받아 전달하며, 집수리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주는 집등록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집수리 의뢰 요청을 전달받아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집수리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업체 단말기가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 정보와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단계; 집수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주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등록되는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의뢰인 단말기가 집수리 의뢰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가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아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판독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의뢰인 단말기가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수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어, 실제 집수리 의뢰 시에 의뢰인 집에 대한 집수리 정보를 바로 제공하도록 구현한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의뢰인이 집수리를 신청하는 경우에 별도의 집수리 업체 방문 없이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을 제공받을 수 있고, 집수리 가격의 투명성으로 집수리 견적에 대한 신뢰가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한 번만 집수리 업체가 방문하면 되고, 이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도 쉽고 편리하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로그인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메인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13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서비스신청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신청현황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및 18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마이페이지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에 있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수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 및 3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로그인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 및 5는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메인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 내지 13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서비스신청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4 내지 16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신청현황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7 및 18은 도 1에 있는 의뢰인 단말기에 출력되는 마이페이지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18을 참조하면,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업체 단말기(110),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복수 개의 의뢰인 단말기(140),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업체 단말기(110)는,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업체 단말기(11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의 관리자나 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거나, 의뢰인의 집을 수리하는 업체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업체 단말기(110)는, 의뢰인의 집 정보로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에 대한 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의뢰인의 집수리 정보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에 대한 정보(즉, 정찰제에 의한 견적가)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업체 단말기(11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시공확정보고서를 수신받아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통보한 후에 시공을 진행하도록 하며, 시공 완료 후에 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업체 단말기(110)는, GPS모듈 등과 같은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업체 위치를 감지해서 해당 감지한 업체위치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주며,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에 대한 정보 및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에 대한 정보(즉, 정찰제에 의한 견적가)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 정보(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서를 생성시켜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줄 수 있으며,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에 대응하는 견적서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로그인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로그인한 경우에, 메인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메인화면에서 서비스 신청하기를 클릭한 경우에, 서비스신청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의뢰인의 자재 보유 여부 선택을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자재 보유 여부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을 변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신청서를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신청서를 검토한 후에 시공확정보고서를 생성시켜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또한, 관리자로부터 주문서를 수신받아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으며), 그런 다음에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 및 시공 완료를 통보받을 수 있으며, 이때 관리자가 확정보고서를 수정해서 재전송 가능하도록 해 줄 수도 있다. 여기서, 확정보고서 수정 가능 시기는 확정보고서 전송 이후부터 시공 진행 전까지로 하며, 수정 가능 항목은 양중일, 시공일로 하며, 확정보고서는 의뢰인 단말기(1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메인화면에서 신청 현황을 클릭한 경우에, 신청현황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메인화면에서 마이페이지를 클릭한 경우에,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설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푸시 알림 온/오프, 회원 정보(성함, 휴대폰 번호, 이메일) 등의 수정의 경우에 관리자에게만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지역별 관리에 있어서, 지역이 2개 이상 설정된 경우에 지역 변경 가능하도록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메인화면을 통해 신규 주문 확인(주문현황 바로가기), 고객 등록, 건물 등록, 주문서 작성, 알림(신청서 접수, 취소 완료,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 시공 시작, 시공 완료 등)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고객관리화면을 통해 고객 등록 및 삭제(등록 또는 수정 시 작성하도록 하되, 최근 수정 담당자 필수 입력하도록 하며, 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정,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기재하도록 하며, 고객 등록 시에 최소 건물 1개 호수 1개 입력 필수로 함), 고객 정보(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 최근 수정 담당자 등) 확인, 건물 조회, 신청 내역 확인,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건물관리화면을 통해 건물 등록 및 삭제(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건물명, 지역, 주소, 엘리베이터 유무, 고객명, 관리인 성함, 관리인 연락처 등을 입력하도록 하고, 고객 등록 선 건물 등록 후임), 호수별 정보 등록(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불러오기 기능으로 복사 붙여넣기 가능하도록 하며, 거주 형태, 입주일, 퇴거일, 실측일, 공실 여부, 양중비 추가 여부, 평수, 비고, 실측 사진, 실측 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함), 건물 정보 확인 및 수정, 삭제(건물 등록 내용, 호수, 거주 형태, 공실 여부, 퇴거일, 입주일, 마지막 시공일 등을 수정 입력하도록 함), 호수별 상세 정보 확인 및 수정, 삭제(시공일시, 시공자, 양중비 추가 여부, 양중일, 시공사진 등을 수정 입력하도록 함),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주문현황화면을 통해 주문 현황(접수 중, 시공 예정, 시공 중, 취소됨, 완료 등) 파악 및 현황별 분류 가능, 주문서 상세(결제 상세) 파악 및 진행 상태(결제 상태) 파악, 주문서 작성(작성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작성 방식은 신청서 작성과 동일하나 시공 일시와 양중일, 숙련공을 기입해야 완료 가능하도록 함), 주문서 접수(항목별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및 숙련공(현장 담당자), 양중일(자재 담당자) 기입 완료 후에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고객 담당자) 가능하도록 함), 시공 변경(변경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양중일, 숙련공 수정 가능하도록 하고, 시공일 이전까지만 변경 가능하도록 함), 시공 완료(완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시작은 시공일시에 맞추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함), 시공 취소(취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함),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일정조회화면을 통해 캘린더 기능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6개 이상일 시에 수량으로 표기하도록 하며, 건물명, 시공 시작 시간, 주소, 시공 항목, 숙련공 간략 표기하도록 하되, 클릭 시에 상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업체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의뢰인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업체 위치와 의뢰인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계산된 거리에 대응하여 견적서의 금액을 디스카운팅해 줄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등록되는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등록되는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에 대한 정보 및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에 대한 정보(즉, 정찰제에 의한 견적가)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등록되는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서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의뢰인에게 제공할 로그인화면정보, 메인화면정보, 서비스신청화면정보, 신청현황화면정보,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메인화면, 고객관리화면, 건물관리화면, 주문현황화면, 일정조회화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의뢰인 단말기(140)는, 집수리 의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한 후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을 선택하여 집수리 의뢰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으며, 그런 후에 해당 선택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 정보(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의 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서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로그인화면은, 지역 선택,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비밀번호 분실 시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의 고객센터로 문의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의뢰인으로 하여금 회원 가입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지역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고,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로그인한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메인화면은, 서비스 신청하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신청 현황(예로, 접수, 시공 예정 시공 중, 완료 등)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서비스 유의사항 보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지역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지역번호로 고객센터의 연락처 및 영업시간 등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지역이 2개 이상으로 설정된 의뢰인의 경우에, 좌측 상단에 있는 지역과 성함의 탭을 클릭할 시에 지역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측 상단에 있는 알림 탭을 통해 신청서 접수, 취소, 보고서 전송, 보고서 일시 변경, 시공시작, 시공완료, 주문서 전송 등을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서비스 신청하기를 한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신청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6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신청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서비스신청화면은,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건물(즉, 집)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도록 선택 건물의 호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호수별 상세 정보(예를 들어, 공실 여부, 퇴거일(공실이 아닌 경우), 입주일(선택사항) 등)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도록 호수별 대분류(예를 들어, 도배, 타일, 욕실 등)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도록 중분류(예를 들어, 세면대, 변기, 조명 등)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소분류(예를 들어, 수전 교체, 막힘, 구연 설정 등), 수량 및 옵션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자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자재 보유 여부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신청내역 확인 및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사진 및 요청 사항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작성 사항이 없어도 다음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담 및 최소 금액(예를 들어, 10,000원) 결제에 대한 안내 문구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옵션 선택 시에 옵션이 없는 경우에 영역이 없도록 하고 옵션이 있을 때 경우의 수 1~4개의 영역을 두도록 할 수 있으며, 자재 보유 여부 선택 시에 자재 보유한 의뢰인의 선택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이 변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신청 현황 클릭을 알리는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신청현황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청현황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신청현황화면은, 건물별, 호수별 상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접수 중일 때만 취소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마이페이지 클릭을 알리는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페이지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마이페이지화면은, 신청 현황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이 건물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서비스별 유의사항, 이용 약관 및 버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뢰인 단말기(140)는, GPS모듈 등과 같은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의뢰인 위치를 감지해서 해당 감지한 의뢰인위치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업체 단말기(110)와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 사이의 통신,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와 복수 개의 의뢰인 단말기(140)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업체 단말기(110)와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 간의 데이터,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와 복수 개의 의뢰인 단말기(140) 간의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어, 실제 집수리 의뢰 시에 의뢰인 집에 대한 집수리 정보를 바로 제공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의뢰인이 집수리를 신청하는 경우에 별도의 집수리 업체 방문 없이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을 제공받을 수 있고, 집수리 가격의 투명성으로 집수리 견적에 대한 신뢰가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한 번만 집수리 업체가 방문하면 되고, 이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도 쉽고 편리하다.
도 19는 도 1에 있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는, 인터페이스부(121), 집등록부(122), 집수리서비스부(12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21)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업체 단말기(110), 복수 개의 의뢰인 단말기(140)와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통신 접속된 업체 단말기(110), 의뢰인 단말기(140) 각각을 식별하며, 그런 후에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집등록부(122)에 전달해 주며,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집수리 의뢰를 집수리서비스부(123)에 전달해 주며, 집수리서비스부(123)로부터 전달되는 집수리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준다.
집등록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전달되는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집등록부(122)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에 대한 정보 및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에 대한 정보(즉, 정찰제에 의한 견적가)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등록부(122)는,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서를 생성시켜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전달되는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 정보(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에 대응하는 견적서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로그인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로그인한 경우에, 메인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메인화면에서 서비스 신청하기를 클릭한 경우에, 서비스신청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의뢰인의 자재 보유 여부 선택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자재 보유 여부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을 변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신청서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신청서를 검토한 후에 시공확정보고서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또한, 관리자로부터 주문서를 수신받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으며), 그런 다음에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 및 시공 완료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통보받을 수 있으며, 이때 관리자가 확정보고서를 수정해서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재전송 가능하도록 해 줄 수도 있다. 여기서, 확정보고서 수정 가능 시기는 확정보고서 전송 이후부터 시공 진행 전까지로 하며, 수정 가능 항목은 양중일, 시공일로 하며, 확정보고서는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메인화면에서 신청 현황을 클릭한 경우에, 신청현황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의뢰인 단말기(140)가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메인화면에서 마이페이지를 클릭한 경우에,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설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푸시 알림 온/오프, 회원 정보(성함, 휴대폰 번호, 이메일) 등의 수정의 경우에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관리자에게만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지역별 관리에 있어서, 지역이 2개 이상 설정된 경우에 지역 변경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메인화면에 있어서, 신규 주문 확인(주문현황 바로가기), 고객 등록, 건물 등록, 주문서 작성, 알림(신청서 접수, 취소 완료,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 시공 시작, 시공 완료 등)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고객관리화면에 있어서, 고객 등록 및 삭제(등록 또는 수정 시 작성하도록 하되, 최근 수정 담당자 필수 입력하도록 하며, 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정,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기재하도록 하며, 고객 등록 시에 최소 건물 1개 호수 1개 입력 필수로 함), 고객 정보(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 최근 수정 담당자 등) 확인, 건물 조회, 신청 내역 확인,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건물관리화면에 있어서, 건물 등록 및 삭제(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건물명, 지역, 주소, 엘리베이터 유무, 고객명, 관리인 성함, 관리인 연락처 등을 입력하도록 하고, 고객 등록 선 건물 등록 후임), 호수별 정보 등록(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불러오기 기능으로 복사 붙여넣기 가능하도록 하며, 거주 형태, 입주일, 퇴거일, 실측일, 공실 여부, 양중비 추가 여부, 평수, 비고, 실측 사진, 실측 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함), 건물 정보 확인 및 수정, 삭제(건물 등록 내용, 호수, 거주 형태, 공실 여부, 퇴거일, 입주일, 마지막 시공일 등을 수정 입력하도록 함), 호수별 상세 정보 확인 및 수정, 삭제(시공일시, 시공자, 양중비 추가 여부, 양중일, 시공사진 등을 수정 입력하도록 함),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주문현황화면에 있어서, 주문 현황(접수 중, 시공 예정, 시공 중, 취소됨, 완료 등) 파악 및 현황별 분류 가능, 주문서 상세(결제 상세) 파악 및 진행 상태(결제 상태) 파악, 주문서 작성(작성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작성 방식은 신청서 작성과 동일하나 시공 일시와 양중일, 숙련공을 기입해야 완료 가능하도록 함), 주문서 접수(항목별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및 숙련공(현장 담당자), 양중일(자재 담당자) 기입 완료 후에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고객 담당자) 가능하도록 함), 시공 변경(변경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양중일, 숙련공 수정 가능하도록 하고, 시공일 이전까지만 변경 가능하도록 함), 시공 완료(완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시작은 시공일시에 맞추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함), 시공 취소(취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함),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일정조회화면에 있어서, 캘린더 기능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6개 이상일 시에 수량으로 표기하도록 하며, 건물명, 시공 시작 시간, 주소, 시공 항목, 숙련공 간략 표기하도록 하되, 클릭 시에 상세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수리서비스부(123)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업체위치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고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의뢰인위치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업체 위치와 의뢰인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계산된 거리에 대응하여 견적서의 금액을 디스카운팅해 줄 수도 있다.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수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업체 단말기(110)에서는,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주게 된다(S201).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업체 단말기(110)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의 관리자나 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관리자나 운용자가 의뢰인의 집을 1회 방문하여 의뢰인의 집 정보로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에 대한 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업체 단말기(110)는, 의뢰인의 집을 수리하는 업체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의뢰인의 집수리 정보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에 대한 정보(즉, 정찰제에 의한 견적가)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의뢰인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주게 된다(S202). 이에, 데이터베이스(13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등록되는 집에 대한 정보와 해당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에 대한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둔다.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에 대한 정보 및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에 대한 정보(즉, 정찰제에 의한 견적가)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이에, 데이터베이스(13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등록되는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에 대한 정보 및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에 대한 정보(즉, 정찰제에 의한 견적가)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서를 생성시켜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이에, 데이터베이스(13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등록되는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별 공임 단가로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이 합산되고 단일화된 견적서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등록해 준 후에,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의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하게 된다(S203).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집수리 의뢰를 요청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130)에서는, 의뢰인에게 제공할 로그인화면정보, 메인화면정보, 서비스신청화면정보, 신청현황화면정보,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집수리 의뢰를 요청함에 있어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을 선택하여 집수리 의뢰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집수리 의뢰를 요청함에 있어서, 의뢰인 단말기(140)가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로그인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네트워크(150)를 통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통신 접속하는 경우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로그인화면은, 지역 선택,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비밀번호 분실 시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의 고객센터로 문의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의뢰인으로 하여금 회원 가입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지역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고,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의뢰인 단말기(140)가 로그인한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메인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로그인한 경우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메인화면은, 서비스 신청하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신청 현황(예로, 접수, 시공 예정 시공 중, 완료 등)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서비스 유의사항 보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지역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지역번호로 고객센터의 연락처 및 영업시간 등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지역이 2개 이상으로 설정된 의뢰인의 경우에, 좌측 상단에 있는 지역과 성함의 탭을 클릭할 시에 지역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측 상단에 있는 알림 탭을 통해 신청서 접수, 취소, 보고서 전송, 보고서 일시 변경, 시공시작, 시공완료, 주문서 전송 등을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집수리 의뢰를 요청함에 있어서, 의뢰인 단말기(140)가 메인화면에서 서비스 신청하기를 클릭한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서비스신청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서비스 신청하기를 한 경우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신청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6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신청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서비스신청화면은,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건물(즉, 집)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도록 선택 건물의 호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호수별 상세 정보(예를 들어, 공실 여부, 퇴거일(공실이 아닌 경우), 입주일(선택사항) 등)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도록 호수별 대분류(예를 들어, 도배, 타일, 욕실 등)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도록 중분류(예를 들어, 세면대, 변기, 조명 등)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소분류(예를 들어, 수전 교체, 막힘, 구연 설정 등), 수량 및 옵션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되지 않도록 자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자재 보유 여부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신청내역 확인 및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사진 및 요청 사항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작성 사항이 없어도 다음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담 및 최소 금액(예를 들어, 10,000원) 결제에 대한 안내 문구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집수리 의뢰를 요청함에 있어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옵션 선택 시에 옵션이 없는 경우에 영역이 없도록 하고 옵션이 있을 때 경우의 수 1~4개의 영역을 두도록 할 수 있으며, 자재 보유 여부 선택 시에 자재 보유한 의뢰인의 선택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이 변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집수리 의뢰를 요청하게 되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주게 된다(S204).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집수리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 항목(예를 들어, 벽지, 싱크대,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 정보(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집수리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요청되는 집수리 의뢰에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에 대응하는 견적서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집수리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의뢰인의 자재 보유 여부 선택을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자재 보유 여부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을 변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집수리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신청서를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신청서를 검토한 후에 시공확정보고서를 생성시켜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로부터 주문서를 수신받아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에, 업체 단말기(11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시공확정보고서를 수신받아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통보한 후에 시공을 진행하도록 하며, 시공 완료 후에 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통보해 줄 수 있다. 그러면,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 및 시공 완료를 통보받을 수 있으며, 이때 관리자가 확정보고서를 수정해서 재전송 가능하도록 해 줄 수도 있다. 여기서, 확정보고서 수정 가능 시기는 확정보고서 전송 이후부터 시공 진행 전까지로 하며, 수정 가능 항목은 양중일, 시공일로 하며, 확정보고서는 의뢰인 단말기(1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집수리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업체 단말기(110)에서는, GPS모듈 등과 같은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업체 위치를 감지해서 해당 감지한 업체위치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도, GPS모듈 등과 같은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의뢰인 위치를 감지해서 해당 감지한 의뢰인위치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업체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의뢰인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의뢰인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업체 위치와 의뢰인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계산된 거리에 대응하여 견적서의 금액을 디스카운팅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집수리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주게 된다(S205).
상술한 단계 S205에서 집수리 정보를 알려줌에 있어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선택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 정보(예를 들어, 일일 인건비, 집수리에 필요한 제품의 가격, 집수리 시공 비용 등의 정보)를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5에서 집수리 정보를 알려줌에 있어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서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5에서 집수리 정보를 알려준 다음에, 의뢰인 단말기(140)가 메인화면에서 신청 현황을 클릭한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신청현황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신청 현황 클릭을 알리는 경우에,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신청현황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청현황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신청현황화면은, 건물별, 호수별 상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접수 중일 때만 취소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다.
한편, 의뢰인 단말기(140)가 메인화면에서 마이페이지를 클릭한 경우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의뢰인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 마이페이지 클릭을 알리는 경우로, 의뢰인 단말기(140)에서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마이페이지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페이지화면을 의뢰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마이페이지화면은, 신청 현황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이 건물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서비스별 유의사항, 이용 약관 및 버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데이터베이스(130)에서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메인화면, 고객관리화면, 건물관리화면, 주문현황화면, 일정조회화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설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푸시 알림 온/오프, 회원 정보(성함, 휴대폰 번호, 이메일) 등의 수정의 경우에 관리자에게만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지역별 관리에 있어서, 지역이 2개 이상 설정된 경우에 지역 변경 가능하도록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메인화면을 통해 신규 주문 확인(주문현황 바로가기), 고객 등록, 건물 등록, 주문서 작성, 알림(신청서 접수, 취소 완료,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 시공 시작, 시공 완료 등)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고객관리화면을 통해 고객 등록 및 삭제(등록 또는 수정 시 작성하도록 하되, 최근 수정 담당자 필수 입력하도록 하며, 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정,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기재하도록 하며, 고객 등록 시에 최소 건물 1개 호수 1개 입력 필수로 함), 고객 정보(성함, 연락처, 비밀번호, 지역, 보유 건물, 사업자등록번호, 최근 수정 담당자 등) 확인, 건물 조회, 신청 내역 확인,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건물관리화면을 통해 건물 등록 및 삭제(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건물명, 지역, 주소, 엘리베이터 유무, 고객명, 관리인 성함, 관리인 연락처 등을 입력하도록 하고, 고객 등록 선 건물 등록 후임), 호수별 정보 등록(등록 또는 수정 시에 작성하고 최근 수정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하되, 불러오기 기능으로 복사 붙여넣기 가능하도록 하며, 거주 형태, 입주일, 퇴거일, 실측일, 공실 여부, 양중비 추가 여부, 평수, 비고, 실측 사진, 실측 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함), 건물 정보 확인 및 수정, 삭제(건물 등록 내용, 호수, 거주 형태, 공실 여부, 퇴거일, 입주일, 마지막 시공일 등을 수정 입력하도록 함), 호수별 상세 정보 확인 및 수정, 삭제(시공일시, 시공자, 양중비 추가 여부, 양중일, 시공사진 등을 수정 입력하도록 함),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주문현황화면을 통해 주문 현황(접수 중, 시공 예정, 시공 중, 취소됨, 완료 등) 파악 및 현황별 분류 가능, 주문서 상세(결제 상세) 파악 및 진행 상태(결제 상태) 파악, 주문서 작성(작성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작성 방식은 신청서 작성과 동일하나 시공 일시와 양중일, 숙련공을 기입해야 완료 가능하도록 함), 주문서 접수(항목별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및 숙련공(현장 담당자), 양중일(자재 담당자) 기입 완료 후에 시공 확정 보고서 전송(고객 담당자) 가능하도록 함), 시공 변경(변경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일시, 양중일, 숙련공 수정 가능하도록 하고, 시공일 이전까지만 변경 가능하도록 함), 시공 완료(완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되, 시공시작은 시공일시에 맞추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함), 시공 취소(취소 담당자를 필수 입력하도록 함), 검색(성함 또는 건물명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집수리 서비스 서버(120)에서는, 일정조회화면을 통해 캘린더 기능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6개 이상일 시에 수량으로 표기하도록 하며, 건물명, 시공 시작 시간, 주소, 시공 항목, 숙련공 간략 표기하도록 하되, 클릭 시에 상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110: 업체 단말기
120: 집수리 서비스 서버
121: 인터페이스부
122: 집등록부
123: 집수리서비스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의뢰인 단말기
150: 네트워크

Claims (5)

  1.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 정보와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업체 단말기;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주며,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아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판독하여 제공하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등록되는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집수리 의뢰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요청한 후에,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주는 의뢰인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의뢰인의 회원 가입 시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해 두었다가,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을 때에 바로 집수리 정보를 제공해 주며;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의뢰인의 자재 보유 여부 선택을 통보받아, 통보받은 자재 보유 여부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을 변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단말기는,
    집 정보로 집수리 항목에 대한 정보와, 집수리 정보로 집수리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단말기는,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시공확정보고서를 수신받아 확정보고서 승인 완료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통보한 후에 시공을 진행하도록 하며, 시공 완료 후에 이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4.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업체 단말기, 의뢰인 단말기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의뢰인의 집 정보와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집수리 의뢰 요청을 수신받아 전달하며, 집수리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주는 집등록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집수리 의뢰 요청을 전달받아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집수리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의뢰인의 회원 가입 시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해 두었다가,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을 때에 바로 집수리 정보를 제공해 주며;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의뢰인의 자재 보유 여부 선택을 통보받아, 통보받은 자재 보유 여부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을 변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리 서비스 서버.
  5. 업체 단말기가 의뢰인이 회원 가입할 시에 의뢰인의 집 정보와 집 정보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단계; 집수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주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등록되는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의뢰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의뢰인 단말기가 집수리 의뢰를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가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아 집수리 의뢰에 대응하는 집수리 정보를 판독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의뢰인 단말기가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집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의뢰인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리 서비스 서버는, 의뢰인의 회원 가입 시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집 정보와 집수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해 두었다가,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집수리 의뢰를 요청받을 때에 바로 집수리 정보를 제공해 주며;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의뢰인의 자재 보유 여부 선택을 통보받아, 통보받은 자재 보유 여부에 따라 견적서의 금액을 변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리 서비스 방법.
KR1020220060610A 2022-05-18 2022-05-18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471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610A KR102471034B1 (ko) 2022-05-18 2022-05-18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610A KR102471034B1 (ko) 2022-05-18 2022-05-18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034B1 true KR102471034B1 (ko) 2022-11-25

Family

ID=8423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610A KR102471034B1 (ko) 2022-05-18 2022-05-18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66B1 (ko) * 2016-06-07 2017-08-02 이종석 주택 시설 보수 시스템
KR20170099032A (ko) 2016-02-22 2017-08-31 (주)컨피테크 다수리 앱 서비스 장치
KR20210053600A (ko)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헬스맥스 주거관리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312580B1 (ko) 2021-05-18 2021-10-14 구우성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수리 및 시공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032A (ko) 2016-02-22 2017-08-31 (주)컨피테크 다수리 앱 서비스 장치
KR101764366B1 (ko) * 2016-06-07 2017-08-02 이종석 주택 시설 보수 시스템
KR20210053600A (ko)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헬스맥스 주거관리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312580B1 (ko) 2021-05-18 2021-10-14 구우성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수리 및 시공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2152A1 (en) Commercial real estate property management system
US20120239581A1 (en) Scalable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tracking and facilitating warranty, maintenance, service and replacement of products within a community of residential housing and/or commercial building inventories or units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99345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multi-entity management of a workflow for quotes in the moving industry
KR102019015B1 (ko) 부동산 종합 서비스 방법
KR2009000196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시공의 직거래 연결 시스템
AU2020101652A4 (en) Building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JP6501435B1 (ja) 社内管理システム及び工事管理システム
KR102471036B1 (ko)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46545B1 (ko)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471034B1 (ko) 집수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2301863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cost of delivering repair and maintenance services to premises of subscribers including adjudication
JP6407364B1 (ja) マンションに関連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03986B1 (ko) 부동산 관리 시스템
WO2023081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cost of delivering repair and maintenance services to premises of subscribers
US20010034672A1 (en) Residential construction product management system
JP2009265735A (ja) 社外業者自動発注システム
KR102257343B1 (ko)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방법 및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시스템
KR101878261B1 (ko) 임대사업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4804B1 (ko) 부동산 정보 제공을 위한 업무 배분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TW511019B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jobs, managing financing, and/or providing materials
KR102102808B1 (ko) 시설위탁 관리서비스 지원용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6720457B2 (ja) 社内管理システム
JP2002099736A (ja) 色材情報の管理システム、色材情報の管理方法、記録媒体、およびこれらを利用した色材商品販売システム
JP6975112B2 (ja) 工事予約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72594B1 (ko) 인터넷을 통한 현장일보 작성으로 관리되는 공사비정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