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194A - 용융로, 가스화 용융로 및 폐기물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용융로, 가스화 용융로 및 폐기물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194A
KR20040095194A KR10-2004-7000856A KR20047000856A KR20040095194A KR 20040095194 A KR20040095194 A KR 20040095194A KR 20047000856 A KR20047000856 A KR 20047000856A KR 20040095194 A KR20040095194 A KR 20040095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combustion chamber
flows down
place
mel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즈마노부야
고스기시게루
나카지마다카시
안도데츠야
고지마도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09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19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40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4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ash melt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0Medical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8Plastics or rubber like materials
    • F23G2209/281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30Solid combustion residues, e.g. bottom or fly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를 용융하는 연소실(11, 12, 13)과, 재를 용융하여 생성한 용융 슬래그(20)를 배출하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구비한 용융로 (10)에 있어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교환 가능한 내화재로 구성하였다.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주위 끝부의 높이를 가스흐름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유동층 가스화 노와, 1차, 2차, 3차로 이루어지는 연소실 (11, 12, 13)을 구비한 용융로에 있어서, 2차 연소실 최저부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용융로, 가스화 용융로 및 폐기물의 처리방법{FUSION FURNACE, GASIFICATION FUSION FURNACE, AND METHOD OF PROCESSING WASTE}
도시쓰레기, 산업 폐기물, 의료 폐기물, 슈레더 더스트나 낡은 타이어 등의 폐기물을 소각하여 감량화하는 것 및 그 소각열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폐기물의 소각재는 통상 유해한 중금속을 함유하기 때문에, 소각재를 매립에 의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중금속 성분을 고화처리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설비 전체의 축소화 등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설비로서, 여러가지의 금속을 회수함과 동시에, 재를 용융하여 용융 슬래그를 형성하고, 이 용융 슬래그를 회수할 수 있고, 또 열, 전력 등의 에너지를 회수할 수있는 단순한 소각처리가 아니라, 열분해 가스화와 고온연소의 조합으로서, 물질의 재생을 가능하게 한 가스화 용융로(가스화 용융시스템)가 최근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유동상 가스화 노와 선회 용융로의 조합인 종래의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화 용융시스템은 유동상 가스화 노(1)와 선회 용융로(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있어서는, 폐기물은 유동상 가스화 노(1)의 유동층(2)에 공급되어 가스화 노(1) 내에서 가스화되고, 미연소 탄소나 재를 함유한 온도 500℃∼600℃ 정도의 미연소 가스를 생성한 후, 이 생성가스를 용융로(10)로 유도하여 상기 용융로 (10)에 있어서 투입되는 2차 공기에 의해 낮은 공기비(1.3 ∼ 1.5정도)로 고온 연소시켜 선회 용융로(10) 내를 재의 융점 이상(13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50℃ 정도) 으로 한다. 이 고온상태에 있어서, 재를 노 벽면에 모아 용융 슬래그화 흐름을 생성한다. 이 용융 슬래그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부터 노 밖으로 낙하하여 슬래그냉각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수쇄 슬래그로 한다.
또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여 발생한 고온 연소가스를 폐열 보일러나 열교환 기 등에 도입하여 열에너지가 회수된다. 이러한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있어서, 용융로의 구조는, 재의 용융상태와 원활한 운전유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떠한 구조로 하는지는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도 기술적으로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되어 왔다.
도 2는 종래의 이와 같은 용융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0은 용융로이고, 그 용융로(10)는 1차 연소실(11), 2차 연소실(12), 3차 연소실(13)을 구비하고 있다. 노 내의 연소가스(16)가 지나는 통로는 대략 V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V자형상의 최하부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이 형성된 구성이다.
가스화 노(1)(도 1 참조)에서 가스화된 미연소 탄소나 재를 함유한 생성가스(14) 또는 생성가스(14)와 함께 연소용 가스를 혼합한 가스는, 용융로(10)의 1차 연소실(11)의 상부에 노벽 내면의 접선방향으로 도입되고, 마찬가지로 1차 연소실 (11)에 노벽 내면의 접선방향으로 도입된 연소공기(15)와 혼합되어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연소되고, 2차 연소실(12)로 이동하여 고온 연소(1200℃∼1400℃, 바람직하게는 온도 1350℃)되고, 다시 3차 연소실(13)을 통하여 배기가스(16')가 되어 도시생략한 폐열 보일러 등에 배출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부호 18, 19는 각각 승온 ·보조연소 버너이다. 또 상기 예에서는 생성가스(14)와 연소공기(15)의 양자를 노벽 내면의 접선방향으로 도입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생성가스(14) 또는 연소공기(15) 중 어느 하나를 노벽 내면의 접선방향으로 도입하여 선회류를 형성하고, 다른쪽을 이 선회류에 불어 넣도록 도입하여 혼합연소시키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연소실(11)의 상부로 도입된 미연소 탄소나 재를 함유한 생성가스(14)와 연소공기(15)는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혼합 연소되고, 2차 연소실 (12), 3차 연소실(13)로 이동한다. 이 선회류에 의하여 재는 노벽에 모여져 고온으로 용융되어 용융 슬래그(20)가 되고, 노 바닥을 흘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부터 슬래그 슈트(30)를 통하여 노 밖으로 낙하된다. 낙하된 용융 슬래그(20)는 도시 생략한 슬래그냉각수와 접촉하여 수쇄 슬래그가 되어 회수된다.
도 3은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용융로(10)에 있어서 용융로 (10)의 노 벽면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용융 슬래그(20)가 노 바닥에 모여져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면(17a)을 거치면서 낙하된다. 이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 의 내벽면(17a)은 고온의 용융 슬래그(20)에 집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용손(溶損)이 심하고, 용손이 진행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은 고온의 2차 연소실(12) 및 3차 연소실(13) 내와 저온의 슬래그 슈트(30)[이 슬래그 슈트(30)의 하부에는 슬래그냉각수가 있기 때문에, 슬래그 슈트(30)는 저온이 된다]의 경계부가 되어 온도 구배가 생기기 때문에 내화재에 있어서 보다 엄격한 조건으로, 파손되기 쉬운 상황에 있다. 그러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은 용융로(10)의 내벽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교환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용손 ·열적 손상대책으로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을 특히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로 구성하는 것도 고려되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을 용융로(10)의 내벽과 일체로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만을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로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는 고가이므로 용융로 (10)의 내벽을 모두 이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로 구성하는 것은 비경제적이 된다.
또, 용손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에 수관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내벽면(17a)이 과냉각이 되어 상기 용융 슬래그 (20)가 부착 ·고화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덩어리형상 슬래그(21)로 성장하고, 최악의 경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폐쇄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 이 경우, 내화재는 건조, 소성하지 않으면 원래의 강도가 발현하지 않기 때문에 수관에 의해 과냉각되면 강도부족에 의해 파손되기 쉬워진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도 4는 상기 용융로(10)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제 2의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주위 끝부의 높이는 연소가스(16)의 상류측 높이(h1)와 하류측 높이 (h2)가 동일한 높이(h1= h2), 즉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주위 끝부의 높이는 동일레벨로 되어 있고,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17b)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17b)의 상류측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16)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면(17a)에 충돌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에 난류가 발생한다. 상기 난류에 의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의 배출상황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부수되는 문제의 하나로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내벽면 (17a)에 용융 슬래그(20)가 부착 ·고화되어 덩어리형상 슬래그(21)로 성장하고(도 3 참조), 최악의 경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폐쇄한다는 문제나, 유해성분을 함유하는 연소가스(16)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통하여 노 밖으로 배출되어 슬래그냉각수를 오염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가스화 노 등으로부터의 재 및 미연소 탄소를 함유하는 생성가스를 도입하여 고온 연소시킴과 동시에 그 재를 용융하여 용융 슬래그로 하는 용융로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용융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을 나타내는 도,
도 6a 내지 도 6c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로서, 도 6a는 측단면도(도 6b의 VIA-VIA선 단면도), 도 6b는 평면도, 도 6c는 측단면도(도 6b의 VIC-VI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을나타내는 도,
도 9a는 도 8에 나타내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측단면도(도 9b의 IXA-IXA선 단면), 도 9b는 도 8에 나타내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a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측단면도,
도 13b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의 용융로를 나타내는 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a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XVB-XVB선 단면도, 도 15c는 도 15a의 XVC-XVC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주요부 확대도,
도 17a및 도 17b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를 통과하는 용융 슬래그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의 용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문제를 제거하여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내벽이 용손된 경우, 그 교환이 용이하고, 또한 용손 ·파손되기 어려우며, 나아가서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과냉각에 의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용융 슬래그가 부착 ·고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융로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에 가스의 난류가 발생하지 않고 용융 슬래그의 배출상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융로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있어서의 용융 슬래그의 부착 ·고화상태를 검출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폐쇄룰 방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용융로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융로의 일 형태는,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그 재를 용융하는 연소실과, 그 재를 용융하여 생성한 용융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구비한 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교환 가능한 내화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노 벽부와는 다른 부품의 교환 가능한 내화재로 구성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함으로써 그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를 사용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소정의 제조공정(예를 들면, 성형공정, 건조공정) 을 거쳐 제조하여 두고 용융로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으로 반입하여, 용손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과 교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예를 들면 고크롬계 내화재)로 구성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벽부의 용손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를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수관에 의한 내화재 냉각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의 냉각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과냉각이 없어져 용융 슬래그의 부착 ·고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은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블록이고, 그 블록 상면에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이르는 적어도 1개의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블록 상면에 연소가스 통로의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이르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의 배출위치가 한정된다. 또 용융 슬래그가 집중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슬래그량이 적은 시설규모, 운전상태이어도 용융 슬래그의 냉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표면에 부착·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그 상면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이고,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바깥 둘레의 상단이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상면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바깥 둘레의 상단이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상류측의 상면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상부를 통과한 후, 하류측의 상면을 따라 흘러 나가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안쪽면에 충돌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부근의 가스흐름이 평활화되고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의 낙하에 흔들림이 생기지 않게 된다(이 흔들림이 크면 용융 슬래그가 수쇄면이 아닌, 슬래그 슈트 내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그 상면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그 상면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상류측의 상면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흐름이 되어 나아가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면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상면에 부착된 용융 슬래그는 모두 바깥 둘레에 모이고,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바깥 둘레부에 모여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제조 및 반송이 용이해진다. 또 파손된 경우에도 파손된 부분의 블록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교환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가스화 용융시스템은, 폐기물을 가스화하여 재 및 미연소 탄소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 노와, 그 재 및 미연소 탄소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고온 연소시키고, 그 재를 용융하는 용융로를 구비한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있어서, 용융로에 상기 용융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화 용융시스템의 용융로에, 상기 용융로를 사용함으로써 이 용융로가 가지는 상기 특성을 발휘하여 운용효율이 좋은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융로의 다른 형태는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그 재를 용융하는 연소실과, 그 재를 용융하여 생성한 용융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구비한 용융로에 있어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 끝부의 높이를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 끝부의 높이를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류측의 상면을 따라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위쪽을 통하여 하류측의 상면에 도달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연소 배기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하류측 둘레 끝측면에 충돌하여 난류를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흘러 용융 슬래그의 배출상황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위쪽을 통하여 하류측 상면에 의해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의 경사면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도달하는 용융 슬래그가 흘러 내리는 적어도 1개의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류측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가 하류측의 경사면의 위에 이르도록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 끝부의 높이 및 상류측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설정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류측의 상면을 따라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하류측 주위 측면에 충돌하여 난류를 발생하지 않고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위쪽을 통하여 하류측의 상면에 확실하게 도달하므로 원활한 흐름이 되어 용융 슬래그의 배출상황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는, 그 상면이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 상면의 상류측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흐름이 되어 나아가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에 연소가스 통로의 상류측 경사면으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이르는 용융 슬래그가 흘러 내리는 슬래그 흘러 내림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의 배출위치가 한정된다. 또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슬래그량이 적은 시설규모, 운전상태이어도 용융 슬래그의 냉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고,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기물의 처리방법의 일 형태는,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그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용융로에서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 2차연소실 및 3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1차 연소실측에만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수쇄 트로프에 흘러 내리게 하여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연소실측에만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를 그 슬래그 흘러 내림 홈에 집중시킴과 동시에 연소가스의 일부가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흐름으로써 용융 슬래그의 냉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기물의 처리방법의 다른 형태는,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그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용융로에서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 2차 연소실 및 3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1차 연소실측에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그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 고화하고, 상기 냉각 고화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와 함께 상기 2차 연소실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연소가스를 흡인하여 혼합가스로 하고, 그 혼합가스를 상기 3차 연소실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 냉각 고화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와 함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연소가스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수증기에 의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냉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가스를 아울러 흡인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및 그 주변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기물의 처리방법의 일 형태는,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용융로에서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 2차 연소실 및 3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1차 연소실측에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그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슈트에서 냉각하고, 상기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 사이의 압력차를 검지하여 그 압력차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2차 연소실에 설치된 2차 연소실 버너를 기동시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주변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의 압력차를 검지하여 그 압력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가 슬래그부착 ·고화에 의해 폐쇄경향에 있다고 예측하여 2차 연소실버너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및 그 주변을 가열하여 슬래그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기물의 처리장치는,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분을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용융로에서 상기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여 그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는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과, 2차 연소실과, 3차 연소실과,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1차 연소실측에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진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아래쪽에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는 슬래그 슈트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 사이의 압력차를 검지하는 압력검출기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검출기에 의해 상기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 사이의 압력차를 검지하여 그 압력차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2차 연소실 내에 설치된 2차 연소실 버너를 기동시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주변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의 압력차를 검지하여, 그 압력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가 슬래그 부착 ·고화에 의해 폐쇄경향에 있다고 예측하여 2차 연소실버너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및 그 주변을 가열하여 슬래그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로(10)의 2차 연소실(12)과 3차 연소실(13) 사이의 바닥부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부호 23은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하부에 설치한 수관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는 측단면도(도 6b의 VIA-VIA단면도), 도 6b는 평면도, 도 6c는 측단면도(도 6b의 VIC-VIC단면도)이다.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은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예를 들면, 고크롬계 내화재(크롬이 60% 이상인 내화재)]로 구성되고, 중앙부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이 형성되어 있다.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상면(22a)은 중앙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안쪽면이 되는 안 둘레면(22c)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안쪽면이 되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안 둘레면(22c)의 연소가스(16) 흐름의 상류측(화살표 C측)의 높이(h1)는 하류측(화살표 D측)의 높이(h2)보다 높아져(h1> h2) 있다.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상면(22a)에는 연소가스(16) 흐름의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에 이르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은 바깥 둘레측이 넓고,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측이 좁게 되어 있고, 그 바닥부가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을 2차 연소실(12)과 3차 연소실(13) 사이의 바닥부에 설치된 개구부에 설치한 경우, 2차 연소실(12)로부터 3차 연소실(13)로 흐르는 연소가스(16)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상면(22a)에 상류측(화살표 C측)으로부터 흘러 들고,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상부를 통하여 하류측(화살표 D측)으로 흐르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안 둘레면(22c)의 상단의 상류측의 높이(h1)가 하류측의 높이(h2)보다 높아져(h1> h2) 있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상부를 통하여 연소가스(16)가 안 둘레면(22c)에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상류측의 상면(22a)의 경사각도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16)는 하류측의 상면 (22a)을 따라 3차 연소실(13)로 흐르고, 연소가스(16)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 흘러 드는 일은 없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은 용융로의 노벽과는 다른 부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관(23)에 의해 과냉각되는 일 없이, 과냉각에 의한 용융 슬래그(20)의 부착 ·고화가 없어진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상면(22a)에는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에 이르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융로 (10)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20)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에 모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20)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의 수는 1개이어도 또는 복수개이어도 좋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안쪽면이 되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안 둘레면(22c)의 길이는 용융 슬래그(20)의 부착 ·고화를 적극 방지하는 관점에서 짧은 쪽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높이치수(h)를 짧게 하면 좋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측단면도(도 9b의 IXA-IXA선 단면), 도 9b는 도 8에 나타내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에 그 상면(22a)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면(22a)의 연소가스 통로의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에 이르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 (22d)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을 그 상면 (22a)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상면(22a)에 부착된 용융 슬래그는 모두 바깥 둘레에 모이고, 용융로(10)의 2차 연소실(12) 및 3차 연소실(13)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20)와 함께 내벽면과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바깥 둘레의 접합부로 흘러 들고, 다시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 흘러 들어 낙하 하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20)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도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의 수는 1개이어도 또는 복수개이어도 좋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의 상류측의 상면(22a)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16)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상승하는 흐름(도 9a 참조)이 되어 나아가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상부를 흐르기 때문에 그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16)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 상면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 이기 때문에 상면에 부착된 용융 슬래그는 모두 바깥 둘레에 모이고,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바깥 둘레부에 모여 슬래그 흘러 내림 홈(22d)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은 공장에서 미리 내화재로 성형공정, 건조공정을 거쳐 프리캐스트 블록으로서 제조한다. 이에 의하여 용손되기 어렵고 고열에 강한 내화재[예를 들면, 고크롬계(크롬 60% 이상)]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 (22)은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상기 성형공정,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하면 제조, 반송 및 파손부위만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예에서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22)을 원형으로 하였으나, 용융로(10)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타원형상, 각진형상 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로(10)의 2차 연소실(12)과 3차 연소실(13) 사이의 바닥부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설치하고 있다.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17b)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주위 끝부의 높이는 연소가스(16) 흐름의 상류측의 높이(h1)가 하류측의 높이(h2)보다 높아져 있다 (h1> h2).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17b)의 상류측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16)는, 그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상부를 통하여 하류측의상면(17b)에 이르도록 상류측 상면(17b)의 경사각(α) 및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주위 끝부 상류측의 높이(h1), 하류측의 높이(h2)를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의 상류측 상면(17b)의 경사각(α) 및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주위 끝부상류측의 높이(h1), 하류측의 높이(h2)를 설정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의 상류측 상면(17b)을 따라 흘러 든 연소가스(16)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근방에 난류를 발생하지 않고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상부를 지나는 원활한 흐름이 된다. 따라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 흘러 드는 용융 슬래그 (20)의 배출상황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통하여 노 밖으로 배출되는 연소가스(16)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용융로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2에 나타내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측단면도, 도 13b는 도 12에 나타내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 상면(17b)을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깥 둘레부 상면(17b)에 연소가스 통로의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에 이르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17d)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 상면 (17b)을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상류측의 상면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 (16)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상승하는 흐름이 되어 진행되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상부를 흐르기 때문에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16)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 바깥 둘레부 상면(17b)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상면에 부착된 용융 슬래그(20)는 모두 바깥 둘레에 모이고, 또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에 모여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바깥 둘레부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 폐기물을 가스화하여 재 및 미연소 탄소를 함유하는 생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 노 및 상기 구성의 용융로를 설치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는 가스화 노로서는 내부 순환형 유동층 가스화 노, 외부 순환형 유동층 가스화 노, 킬른 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선회 용융로의 예에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용융로의 슬래그 배출부에 있어서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높이 및/또는 경사각을 붙이는 것을 특색의 하나로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형태는 선회 용융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용융로로서는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의 용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32)은 1차 연소실(11)측에만 슬래그 흘러 내림 홈(32d)을 가지고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a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XVB-XVB선 단면도, 도 15c는 도 15a의 XVC-XVC선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32)은 1차 연소실(11)측으로 향하게 된 슬래그 흘러 내림 홈(32d)을 가지고 있고, 1차 연소실(11) 측단부의 2차 연소실(12) 바닥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로(10)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20)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32)의 주위에 모여 슬래그 흘러 내림 홈(32d)으로부터 배출된다. 슬래그배출을 슬래그 흘러 내림 홈(32d)에 집중시킴으로써 용융 슬래그의 냉각을 방지하고 있다. 또 슬래그 흘러 내림 홈(32d)을 연소가스(16) 상류(1차 연소실)측에 배치함으로써 슬래그 흘러 내림 홈(32d)에 연소가스(16)의 일부가 흐르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20)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40)이 슬래그 슈트(30)와 3차 연소실(13)을 접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집진기(41)와 팬(42)이 배관 (40)에 설치되어 있다. 슬래그 슈트(30)는 수쇄 트로프를 구성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20)을 슬래그냉각수에 의해 냉각하여 수쇄 슬래그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6에 있어서 슬래그 슈트 (30)로부터 팬(42)을 사용하여 슬래그 냉각 고화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으로부터 연소가스(16)를 흡인하여 혼합가스로 하고, 이 혼합가스를 3차 연소실(13)에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 슬래그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통하여 슬래그 슈트(30) 및 수조(43)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한 슬래그 슈트로부터 흡인되어 용융로(1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공급위치는 3차 연소실(13)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배관(40)은 가스화 노와 용융로를 접속하는 덕트, 1차 연소실, 2차 연소실, 3차 연소실, 폐열 보일러 바로 앞의 굴뚝 중 적어도 1개소와, 슬래그 슈트를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시 생략). 이 경우, 배관(40)에는 집진기(41), 팬(42)이 설치되어 있고, 승온장치를 더욱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16 및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용융 슬래그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17)을 통하여 슬래그 슈트(30) 및 수조(43)에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혼합가스 중에 미연소 탄소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연소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혼합가스를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배관(40)에 승온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혼합가스를 용융로에 공급하여도 용융로 내의 현저한 온도저하를 야기하는 일이 없도록 승온장치에 의해 혼합가스를 약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으로 하면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장시간에 걸쳐 시스템의 운전을 하고 있으면 도 14와 같이 용융 슬래그의 급속한 부분적 저온화를 방지하였다 하여도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32) 등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부근에 용융 슬래그가 부착 ·고화되어 덩어리형상 슬래그(21)로 성장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폐쇄할 우려가 있다(도 17b 참조). 이와 같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이 폐쇄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용융 슬래그는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 시스템을 장시간 운전하고 있으면 슬래그배출기능이 완전히 정지하지 않아도 슬래그 부착 ·고화에 의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이 폐쇄 경향이 될 염려도 있다.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이 폐쇄 경향이 되는 것은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이유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개구면적이 감소할 조짐을 보이면 다음과 같은 악순환에 의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폐쇄가 급속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즉, 그 악순환이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개구면적이 감소되면 그것에 의하여 여기를 통과하는 연소가스(16)의 통풍저항(압력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흡인되는 연소가스량의 저하를 초래하여 용융 슬래그의 고온유지가 곤란하게 되고, 또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개구면적이 감소된다는 현상이다. 따라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이 폐색 경향이 되는 것은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문제발생을 적극적으로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용융 슬래그를 배출한다는 슬래그배출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18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에서는 다시 슬래그 슈트(30) 내와 2차 연소실(12) 내의 압력차를 압력검출기(45)로 측정하여 소정압력차 이상이 된 경우에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이 폐쇄경향에 있다고 판단하여 2차 연소실 버너(46)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및 그 주변을 가열하 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압력검출기(45)로 측정된 신호는 제 1 신호전달수단을 거쳐 도시 생략한 제어장치에 보내진다. 제어장치에서는 소정 압력차 이상인지의 판정을 행한 후, 소정 압력차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장치로부터 2차 연소실 버너 (46)를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신호를, 제 2 신호전달수단을 거쳐 2차 연소실 버너 (46)에 보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및 그 주변에서의 슬래그 폐쇄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를 노 벽부와는 다른 부품의 교환 가능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함으로써, 그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용손 ·고열에 강한 내화재를 사용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소정의 제조공정(예를 들면, 성형공정,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하여 두고, 용융로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 반입하여 용손 ·파손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과 교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용손·고열에 강한 내화재(예를 들면 고크롬계 내화재)로 구성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벽부의 용손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를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수관에 의한 과냉각이 없어져 용융 슬래그의 부착 ·고화를 방지할 수 있다.
(2)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블록 상면에 연소가스 통로의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이르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그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의 배출위치가 한정된다. 또 용융 슬래그가 집중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슬래그량이 적은 시설규모, 운전상태이어도 용융 슬래그의 냉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3)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상면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그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바깥 둘레의 상단이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상류측의 상면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상부를 통과한 후, 하류측의 상면을 따라 흘러 나가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안쪽면에 충돌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를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부근의 가스흐름이 평활화되어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의 낙하에 흔들림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4)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그 상면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상류측의 상면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흐름이 되어 나아가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면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상면에 부착된 용융 슬래그는 모두 바깥 둘레에 모이고,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바깥 둘레부에 모여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5)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제조 및 반송이 용이해진다. 또한 파손된 경우에도 파손된 부분의 블록만을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교환이 용이해진다.
(6) 가스화 용융시스템의 용융로로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용융로를 사용함으로써 이 용융로가 가지는 상기 특징을 발휘하는 가스화 용융시스템의 용융로를 구축할 수 있다.
(7)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 끝부의 높이를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둘레부의 상류측의 상면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위쪽을 통하여 하류측의 상면에 도달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연소 배기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하류측 둘레 끝 측면에 충돌하여 난류를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흘러 용융 슬래그의 배출상황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8)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위쪽을 통하여 하류측 상면에 의해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의 양을 적극 억제할 수 있다.
(9)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류측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가 하류측의 경사면의 위에 도달하도록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 끝부의 높이 및 상류측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설정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류측의 상면을 따라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하류측 주위 측면에 충돌하여 난류를 발생하지 않고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위쪽을 통하여 하류측의 상면에 확실에 도달하기 때문에 원활한 흐름이 되어 용융 슬래그의 배출상황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10)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는, 그 상면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 상면의 상류측으로 흘러 든 연소가스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흐름이 되어 나아가게 되어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드는 연소가스를 적극 억제할 수 있다.
(11)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에 연소가스 통로의 상류측 경사면으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이르는 용융 슬래그가 흘러 내리는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용융로의 내벽면을 흘러 내린 용융 슬래그가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의 배출위치가 한정된다.
(12)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슬래그량이 적은 시설규모, 운전상태이어도 용융 슬래그의 냉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 표면에 부착 ·고화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13)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1차 연소실측에만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에 집중시킴과 동시에, 연소가스의 일부가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흐름으로써 용융 슬래그의 냉각을 방지할 수 있다.
(14) 슬래그 냉각 고화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와 함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연소가스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수증기에 의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의 냉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가스를 아울러 흡인함으로써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및 그 주변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15)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의 압력차를 검지하여, 그 압력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가 슬래그 부착 ·고화에 의해 폐쇄 경향에 있다고 예측하여 2차 연소실 버너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및 그 주변을 가열하여 슬래그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스화 노 등으로부터의 재 및 미연소 탄소를 함유하는 생성가스를 도입하여 고온 연소시킴과 동시에, 그 재를 용융하여 용융 슬래그로 하는 용융로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상기 재를 용융하는 연소실과,
    상기 재를 용융하여 생성한 용융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구비한 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교환 가능한 내화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은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블록이고, 상기 블록 상면에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 바깥 둘레로부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이르는 적어도 1개의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그 상면이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이고,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 바깥 둘레의 상단이 상기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그 상면이 바깥 둘레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6. 폐기물을 가스화하여 재 및 미연소 탄소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 노와,
    상기 재 및 미연소 탄소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고온 연소시켜 상기 재를 용융하는 용융로를 구비한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에,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융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시스템.
  7.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상기 재를 용융하는 연소실과,
    상기 재를 용융하여 생성한 용융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구비한 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주위 끝부의 높이를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이 높고, 하류측이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의 바깥 둘레부의 상면은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연소가스 흐름의 상류측의 경사면에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에 이르는 용융 슬래그가 흘러 내리는 적어도 1개의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9.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용융로에서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 2차 연소실 및 3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1차 연소실측에만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수쇄 트로프로 유하시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
  10.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용융로에서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 2차 연소실 및 3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1차 연소실측에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 고화하고,
    상기 냉각 고화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와 함께 상기 2차 연소실의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연소가스를 흡인하여 혼합가스로 하고, 상기 혼합가스를 상기 3차 연소실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
  11.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를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용융로에서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 2차 연소실 및 3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된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은 1차 연소실측에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지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슈트에 있어서 냉각하고,
    상기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 사이의 압력차를 검지하여 상기 압력차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2차 연소실에 설치된 2차 연소실 버너를 기동시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주변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
  12. 폐기물을 유동층 노에서 가스화하여 재분을 함유하는 가연가스를 생성하고, 용융로에서 상기 가연가스를 연소하여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는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는 1차 연소실과, 2차 연소실과, 3차 연소실과, 상기 2차 연소실의 최저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1차 연소실측에 슬래그 흘러 내림 홈을 가진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1차 연소실의 벽면에 포집하여 상기 2차 연소실로 흘러 내리게 하고, 상기 2차 연소실의 벽면에 있는 용융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3차 연소실로 유도된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3차 연소실의 벽면에 용융 슬래그를 포집하여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으로 흘러 내리게 하여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블록의 아래쪽에 상기 슬래그 흘러 내림 홈으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는 슬래그 슈트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 사이의 압력차를 검지하는 압력검출기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검출기에 의해 상기 2차 연소실 내와 슬래그 슈트 내 사이의 압력차를 검지하여 상기 압력차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2차 연소실 내에 설치된 2차 연소실 버너를 기동시켜 상기 슬래그가 흘러 내려 떨어지는 부 주변을 가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2004-7000856A 2002-04-12 2003-04-10 용융로, 가스화 용융로 및 폐기물의 처리방법 KR200400951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0984 2002-04-12
JPJP-P-2002-00110984 2002-04-12
JPJP-P-2002-00113818 2002-04-16
JP2002113818 2002-04-16
PCT/JP2003/004568 WO2003087669A1 (fr) 2002-04-12 2003-04-10 Incinerateur, incinerateur de gazeification et procede de traitement des dech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194A true KR20040095194A (ko) 2004-11-12

Family

ID=2925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856A KR20040095194A (ko) 2002-04-12 2003-04-10 용융로, 가스화 용융로 및 폐기물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37861A1 (ko)
EP (1) EP1496310A1 (ko)
JP (1) JPWO2003087669A1 (ko)
KR (1) KR20040095194A (ko)
AU (1) AU2003236057A1 (ko)
CA (1) CA2456335A1 (ko)
WO (1) WO20030876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136B1 (ko) 2020-10-29 2021-09-14 주식회사케이.피.씨 가스화 용융로용 출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2650B (de) * 2003-09-25 2005-05-25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und anlage zum granulieren von schlacke
JP4969186B2 (ja) * 2006-09-14 2012-07-0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産業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産業廃棄物の処理設備
JP5016471B2 (ja) * 2007-12-19 2012-09-05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溶融炉
KR100990042B1 (ko) * 2010-05-31 2010-10-2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슬래그 용융 산소버너 및 이를 이용한 용융로
CN102226528A (zh) * 2011-04-24 2011-10-26 陈金明 生活垃圾热解气化处理成套设备
US9989251B2 (en) 2013-01-21 2018-06-05 Conversion Energy Systems, Inc. System for gasifying waste, method for gasifying waste
JP6369161B2 (ja) * 2013-12-13 2018-08-08 株式会社Ihi タール改質炉
JP6413157B1 (ja) * 2017-04-28 2018-10-31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ガス化溶融システムの閉塞防止装置及びガス化溶融システムの閉塞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869B2 (ja) * 1988-10-26 1996-06-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スラグ流下口の閉塞検知方法
JPH09217921A (ja) * 1996-02-13 1997-08-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燃焼溶融炉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JPH11241817A (ja) * 1998-02-03 1999-09-07 Ebara Corp ガス化溶融システム
JP2000283425A (ja) * 1999-03-31 2000-10-13 Nkk Corp 出滓口
JP2001147009A (ja) * 1999-11-19 2001-05-29 Kobe Steel Ltd 廃棄物溶融炉の出滓方法及び廃棄物溶融炉
JP2002089823A (ja) * 2000-09-14 2002-03-27 Hitachi Zosen Corp 灰溶融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136B1 (ko) 2020-10-29 2021-09-14 주식회사케이.피.씨 가스화 용융로용 출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87669A1 (ja) 2005-08-18
WO2003087669A1 (fr) 2003-10-23
CA2456335A1 (en) 2003-10-23
US20040237861A1 (en) 2004-12-02
EP1496310A1 (en) 2005-01-12
AU2003236057A1 (en) 200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900B1 (ko) 폐기물의 가스화 용융시스템
JPH0363407A (ja) 少なくとも部分的に燃焼可能な物質の燃焼室
KR20040095194A (ko) 용융로, 가스화 용융로 및 폐기물의 처리방법
JP4116698B2 (ja) 灰熔融式焼却システム
JP4242859B2 (ja) ガス化溶融システム
CN208183040U (zh) 废旧线路板和含铜污泥焚烧冶炼一体炉
JP2007127355A (ja) ごみ焼却溶融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ごみ焼却溶融装置
JP2001147009A (ja) 廃棄物溶融炉の出滓方法及び廃棄物溶融炉
JP5802061B2 (ja) スラグ溶融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流動床式ガス化溶融設備
JP4111107B2 (ja) 溶融炉二次燃焼室ダスト排出機の腐食防止方法及び装置
JP4234727B2 (ja) 溶融炉の炉内状況監視・制御方法及び該装置
JP3904379B2 (ja) 二次燃焼室のダスト排出装置
JP2004144387A (ja) 流動層ボイラ
JP4154371B2 (ja) 流動床式ガス化溶融炉の廃棄物供給停止時における保温方法
JP2004531683A (ja) 溶融炉
JP4791157B2 (ja) 廃棄物ガス化溶融装置の溶融炉
JP2007232309A (ja) 流動床炉
JP3857107B2 (ja) 廃棄物焼却用熱分解ガスの再燃焼装置
JP3905635B2 (ja) 灰溶融炉
JPH10169966A (ja) 廃棄物溶融炉からの生成ガスの燃焼炉のクリンカー生成防止方法
JPH08121727A (ja) 廃棄物の溶融炉の2次燃焼炉構造
JP2003307303A (ja) 溶融炉
JP2010236733A (ja) 廃棄物のガス化溶融方法およびガス化溶融設備
JP2005090869A (ja) 廃棄物溶融処理設備の燃焼室
JP3611277B2 (ja) スラグ結晶化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