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381A -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381A
KR20040094381A KR1020040030878A KR20040030878A KR20040094381A KR 20040094381 A KR20040094381 A KR 20040094381A KR 1020040030878 A KR1020040030878 A KR 1020040030878A KR 20040030878 A KR20040030878 A KR 20040030878A KR 20040094381 A KR20040094381 A KR 2004009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knitting
cylinder
dial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483B1 (ko
Inventor
롤프 빌머
Original Assignee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9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원형편직기가 특히 스페이서 직물의 생산을 위해 서술된다. 원형편직기는 제 1 편직 니들(2)을 위한 그루브를 가지는 니들 실린더(1) 형태의 제 1 니들 베드, 제 2 편직 니들(5)을 위한 그루브를 가지는 다이얼(4) 형태의 제 2 니들 베드, 제 2 편직 니들(5)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캠를 포함하고 상기 두 니들 베드(1, 4)가 스티치 간격과 마찬가지로 수직 및 수평 콤 간격(x, y)를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니들 베드(1, 4)는 최소한 6mm의 스티치 간격(z)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하나이상의 니들 베드(1)의 편직 니들(2)이 훅(15.1)을 가지는 합성니들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Circular knitting machine, especially for the production of spacer fabrics}
본 발명은 본원발명의 청구범위 제 1항의 전단에 특정된 형태의 원형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원형편직기(예를들어 DE 41 28 372 A1)에서 삼차원은 니들 실린더 및 다이얼의 비교위치에의해 고정되고 상기 차원은 하기에서 "축상 콤 간격", "방사상 콤 간격" 및 "스티치 간격"으로 서술된다.
축상 콤 간격은 상부 단면 또는 니들 실린더의 스티키 노킹-오버 변부 및 다이얼 내에 형성거나 다이얼 니들을 수용하는 그루브의 베이스사이의 간격으로 주어진다. 반면, 방사상 콤 간격은 외부단부면 또는 다이얼의 노킹-오버 변부와 니들 실린더내에 형성되고 실린더 니들을 수용하는 그루브의 베이스사이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두 콤 간격은 결국 하나는 그 그루브 베이스의 레벨에서 다이얼의 외부 원주 라인에의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그 그루브 베이스의 레벨에서 니들 실린더의 외부원주라인에의해 형성되는 두 원형 라인사이의 간격에 의해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스티치 간격(또는 스티치 길이)으로 서술된 크기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정의된다.
니들 실린더와 다이얼을 둘다 사용하여 니트웨어의 제조함에 있어서, 상술한 간격 특히 스티치 간격을 위한 표준값 특히 가장 큰 값에서 벗어나는 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들어 이른바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해 상술한 형태의 원형 편직기의 사용에서 적용된다. 상기 용어는 다이얼의 니즐들 각각 유일하게 가지거나 니들 실린더의 니들만을 만드는 두 직물 웹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편직제품을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직물 웹은 얇은 중간층(예를들어 DE 74 25 934 U1, DE 28 50 823 A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중간 층은 두 직물웹사이에서, 대개 얇은, 모노필 연결 쓰레드가 실린더 니들과 다이얼 니들 둘 다로 삽입되고 턱 스티치 방법으로 다이얼니들에 의해 처리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두 직물 웹사이에 있는 상기 연결 쓰레드의 섹션의 길이와 역시 스페이서 직물의 전체 두께는 실질적으로 스티치의 크기에 좌우되고 더 클수록 스티치 간격을정의하는 두 상기 원형 라인이 서로 더 이격된다.
니들 실린더와 다이얼을 가지는 표준 원형 편직기계가 사용될 때 이들은 다른 목적을 위해 역시 적절하고, 축상 콤 간격은 최대 약 5.6mm이고 방사상 콤 간격은 최대 약 1mm 이기 때문에 스티치 간격은 비교적 작다.
축상 콤 간격이 니들실린더에 대한 다이얼의 축상배치에 의해 변할 수 있음에 따라 역시 상기 공지된 원형 편직기계에 적용되며 제조될 수 있는 최대 축상 콤 간격이 일반적으로 6mm이하인 반면 방사상 콤 간격은 약 1mm의 값에서 다이얼과 니들 실린더의 외부 직경에 의해 미리 고정되어 결정된다.
작은 크기의 최대 축상 콤 간격은 래치 니들의 힌지 길이 또는 작은 래치 길이 및 통상 사용되는 래치 니들의 결과이다. 즉 한편으로 턱 위치로 고정될 때 여결사가 다이얼 니들과 실린더 니들로 둘 다 동시에 삽입되어지고 다른 한편으로 실이 감아올려지는 동안 시린더가 다이얼 니들이 오직 최대로 상승도리수 있어 훅내에 위치한 (오래된)스티치가 아직 열린 니들 래치상에 남아있고 니들 샤프트로 래치위로 슬라이드 되지 않기 때문에 축상 콤 간격이 사용된 편직 니들의 패치길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해당하는 제한은 방사상 콤 간격에 대해 그리고 스페이서 지굴과는 다른 제품의 생산에서 발생한다.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와 관련되어 최소한 두배의 바람직하게는 표준 기계만큼 큰 3~4배의 두 콤 간격을 선택함으로써 스티치 간격을 확대하는 US2002/015776 A1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살펴보면 이것은 실린더 니들 또는 다이얼 니들이 이에따라 상승될 수 있고 상기 단부에는 증가된 상승에도 불구하고 턱 위치에서편직 니들의 배치를 가능하게하는 긴 래치가 형성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의 요건을 고려한 원형 편직 기계의 구성은 원칙적으로 가능하나 비교적 큰 폭의 편직 시스템 도는 비교적 낮은 최대 편직 속도라는 단점을 가진다.
니들 실린더와 다이얼이 정지 실린더 캠 및 다이얼 캠(또는 다른 방법으로 감긴)에 대해 회전하는 속도에 따른 실린더 캠과 다이얼 캠의 상승 및 하강 곡선이 니들 파손을 피하기 위해 미리 선택된 최대 경사도를 초과하지 않을 수있다.
이것은 불가피하게 개별 편직 시스템의 특정 최소폭을 가져오게 되고 30인치의 직경을 가지는 니들 실린더의 원주에서 약 최대 48 편직 시스템(약 인치당 1.6 편직 시스템)을 가질 수 있는 원형 편직 기계가 되도록 한다.
만약 스페이서 직물의 완전한 스티치 열을 위해 빈번한 경우 6 인접 편직 시스템이 요구되는 경우 따라서 최대 약 8개의 풀스티치 열 또는 편직물의 섹션이 니들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생산될 수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이 지닌 기술적 문제점이 개량되어 상술한 형태의 원형 편직기에서 비교적 큰 최대 스티치 간격에도 불구하고 더 작은 시스템 폭 또는 더 높은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합성 니들이 니들 부분과 패치 니들로 가능한 것보다 더 경사진 캠을 가진 비교적 높은 속도의 훅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니들 훅이 슬라이드되지 않고 니들 부분이 높이 상승될때조차도 필요한 경우 오래된 스티치가 턱 스티치를 형성하는 경우 슬라이드 부분에 의해 훅이 열고 닫히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는 아이디어로부터 진행된다.
실험으로 상기 추정이 옳고 14mm 또는 그 이상의 콤 간격이 합성 니들로 쉽게 달성될 수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합성니들(예 DE 38 21 213 C2) 자체로 공지된딘 장점에 더하여 본 발명은 72 및 그 이상의 30인치의 니들 실린더 직경을 위한 제직기계가 장착될 수 있는 고성능 기계를 나타내며 이전에 공지된 기계의 통상의 속도로 작동될 수 있는 모든 장점을 가진다. 또한 종속항의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니들 실린더와 다이얼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편직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원형편직기를 사용하는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개략적으로 도시.
도 3은 도 1 및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편직기의 캠의 전개도.
도 4-11은 도 3의 Ⅳ-Ⅳ에서 ⅨⅨ선을 따른 도 1의 원형 편직기의 단면도.
도 1에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난 원형 편직기계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축상으로 평행한 그루브가 형성되고 실린더 니들(2)의 형태인 제 1 편직 니들이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된 원형니들 실린더(1)형태로 포함된 제 1 니들 베드(bed)를 포함한다. 니들 실린더(1)를 둘러싸고 실린더 캠(3)의 형태인 제1 캠은 도시되지 않고 축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운동을 이들에 제공하기위한 실린더 니들(2)의 밑동과 협동하는 역시 도시되지 않은 캠부분을 가진다.
상기 니들 실린더(1)위에 니들실린더(1)의 그루브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방사상그루브가 형성된 다이얼(4)의 형태로 포함된 제 2 니들 베드가 배치되고 다이얼 니들(5)의 형태인 제 2 편직 니들은 방사상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다이얼(4)위에는 이들이 필수적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다이얼 니들(5)의 밑동과 협동하고 도시되지 않은 캠 부분을 가지는 다이얼 캠(6)의 형태인 제 2 캠이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편직 시스템이 다이얼(4)의 표면과 니들실린더(1)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시스템은 실린더 니들 또는 다이얼 니들(2,5)을 상승하강시키기 위한 캠부분을 필수적으로 가진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원형 편직기계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니들 실린더(1)의 상부단부면 또는 스티치 노킹-오버 변부와 다이얼 니들(5)을 수용하는 다이얼(4)의 그루브의 기초 또는 베이스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값x는 수직 콤 간격으로 설정되고 다이얼(4)의 외부 단부면 또는 스티치 노킹-오버 변부와 실린더 니들(2)을 수용하는 니들 실린더(1)의 그루브의 베이스사이의 크기y는 다른한편으로 수평 콤 간격으로 설정된다.
또한 스티치 길이 또는 스티치 간격z는 하나는 그루브 베이스의 높이에서 다이얼(4)의 외부원주 라인에의해 주어지고 다른 것은 그 그루브 베이스의 높이에서 니들 실린더(1)의 외부 라인에의해 제공되는 두 원형 라인(7,8)사이의 간격에 의해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크기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원형 편직 기계와 이들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DE 41 28 372 A1에 공지되어 있고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제공된다.
스페이서 직물이 도 1에 따른 원형 편직기게로 제조되는 경우, 실린더와 다이얼 니들(2,5)은 선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되고 실린더와 다이얼 니들(2,5)에 의해 형성된 스티치는 원(9,10)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 1 방법 단계 또는 각각의 시스템(S1)에서 예를들어 제 1 쓰레드는 다이얼니들(5)로만 감겨지고 다이얼(4)상의 리브호스(23)의 형태인 직물 웹이 생성됨으로써 스티치(9)로 처리된다.(도 4 참조) 제 2 방법 단계 또는 각각의 시스템(S2)에서 제 2 쓰레드는 예를들어 실린더 니들에 의해서만 감겨지고 니들 실린더(1)상에 형성된 실린더 호스의 형태인 직물 웹이 생성됨으로써 스티치(10)로 처리된다.(도 5 참조)
마지막으로 제 3 방법 단계 또는 각각의 편직 시스템(S3)에서 연결 쓰레드(11)는 선택된 실린더 니들과 선택된 다이얼 니들(2,5)둘다로 삽입되고 실선으로 도 2에 표시된 턱 스티치와같은 니들에 의해 처리되거나 놓여진다.
여기서 긴 점선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경우에 모든 제 2 실린더와 다이얼 니들(2,5)내에만 삽입되는 연결 쓰레드를 위해 설비가 이루어지는 한편 짧은 점선으로 나타난 실린더와 다이얼 니들(2,5)은 연결 쓰레드(11)를 픽업하지 않는다.
길고 짧은 점선은 관련된 니들이 니들 헤드로부터 덜 도는 더 이격된 밑동을 가지고 이와 연결된 캠 부분과함께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부가적인 방법 단계 또는 각각의 편직 시스템(S4, S5)에서, 스티치 형태는 편직 시스템들(S1,S2)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제6 방법단계 또는 각각의 편직 시스템(S6)에서의 절차는 편직 시스템(S3)과 동일하나 이제 연결 쓰레드(12)가 오직 짧은 점선으로표시되는 실린더 또는 다이얼 니들(2,5)에 의해서만 감겨지고 턱 스티치로 처리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완전한 사이클 또는 스페이서 직물의 섹션을 위해 6개의 연속적인 편직 시스템(S1-S6)이 요구된다. 그러나 수많은 다른 형태의 편직이 역시 당업자에게 가능하다. 더 상세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참조로 DE 74 25 934 U1,DE 28 50 823 A1 및 US 2002/0152 776 A1을 참조한다.
또한 마감된 스페이서 직물이 연결 쓰레드와 함께 형성된 제 3 중간층에 의해 함께 고정되고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된 두 층 또는 표면을 포함한다는 것으 말할 나위가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 간격z는 실린더 니들(2)에서 다이얼 니들(5)로 또는 그 반대로 연장되는 연결 쓰레드(11,12)의 섹션 길이를 결정하며 다러서 역시 중간 층의 두께를 결정한다.
표준 기계에서 상기 두께는 크기x가 예를들어 5.5mm이고 크기y가 예를들어 1.05mm이기 때문에 비교적 작다. 여기서 한편으로 표준기계에 다이얼 니들(5)의 예시로 도 1에 도시된 래치 니들을 장착하고 니들 훅(5a)과 회전 래치(5b)를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종래의 스티치 형태에서, 니들 래치(5b)는 따라서 도 1로부터의 열린 위치 도는 니들 훅(5a)에대해 인접하고 이를 닫힌채 고정하는 닫힌 위치로 회전된다.
다른 한편으로 다이얼니들(5)은 이들이 실린더 니들(2)과 연결되어 감기는 경우 쓰레드 가이드(14)(예를들어 도 2의 연결 쓰레드(11))에 의해 공급된 연결 쓰레드가 도 1의 위치위로 방사상으로 상승할 수 없다는 것은 니들 훅(5a)에의해 고정된 오래된 스티치가 래치(5b)밑으로 다이얼 니들(5)의 샤프트로 그후 스티치로 처리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니들 훅(5a)으로 연결 쓰레드(11,12)를 더 삽입함으로써 제조되고 역시 오래된 스티치를 아직 고정하는 턱 스티치의 형성은 불가능하다. 동일한 것이 실린더니들(2)에 적용된다. 이와는 반대로 예시로 주어진 실시예에서 니들 실린더(1)인 본 발명에 따라 두 니들중 하나이상이 포함되는 것이 이루어진다.
실린더 니들(2)에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변위가능한 슬라이드 부분(16)과 니들 부분(15)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분은 니들 부분(15)내의 슬롯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된다.(특히 도 3 참조)
니들 부분(15)은 상단부에 니들 훅(15.1)을 가지는 한편 슬라이드 부분(16)에는 상단부에 이들이 공지된 방법으로 니들 훅(15.1)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슬라이드팁(16.1)이 형성된다.
니들 실린더(1)를 둘러싸는 실린더 캠(3)은 이 경우 니들 훅(15.1)을 열고 닫고 쓰레드를 픽업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니들의 밑동과 슬리이드 부분(15,16)과 협동하는 개별적으로 도시된 캠부분을 가지지 않는다.
합성 니들과 이들의 제어 시스템은 역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참조된 DE 38 21 214 C2에 서술된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서 표준 기계보다 실질적으로 큰 비상승된 수평 콤 간격 y와 함께 수직 콤 간격x가 선택되어지고y=1.05로 크기z를 위해 약 14.04의 값을 가지는 예를들어 14mm가 주어진다. 특정한 측정이 도 3 내지 1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들에 대해 수행되지 않는다.
도 3에 따라, 합성 니들(2)의 니들 부분(15)은 예를들어 니들 실린더(1)의 연결된 그루브의 베이스에 있는 후방(15.3)을 가진 샤프트(15.2)를 가진다.
후방측면을 행햐 타원형으로 후퇴하는 섹션(15.5)을 따라 니들 훅(15.1)으로통합되는 브레스트 부분은 샤프트(15.2)상부에 인접한다.
샤프트(15.2)와 브레스트 부분(15.4)내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분(16)에 적용된 슬롯은 니들 부분(15)이 그 훅(15.1)이 실질적으로 니들 실린더(1)의 상부변부밑으로 후퇴하는 위치와 니들훅(15.1)이 인접한 다이얼 니들(5)위에 배치되는 도 1의 상승된 위치사이에서 전후로 움직이고 도 1에 따라 슬라이드 부분(16)이 니들 실린더(1)의 상부 변부 바로 밑 또는 하기되는 약간 높거나 낮게 배치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브레스트 부분(15.4)은 하기에 설명되는 스티치를 각각 형성할 수 있거나 이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니들 실린더(1)로부터 이격된 전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직립하게 형성된다.
도 3은 화살표 v 로 주어진 니들(2,5)의 진행방향으로 도 2에서 시스템(S1-S3)에 따라 설명되는 스티치 형태를 위한 예시적인 편직 곡선을 도시한다. 또한 실선(18)은 실린더 니들(2)의 니들 훅(15.1)이 움직임에 따른 곡선을 나타낸다. 점선(19)은 실린더 니들(2)의 슬라이드 팁(16.1)의 진행방향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분절된 선(20)은 시스템(S1-S3)을 통해 다이얼 니들(5)의 훅(5a)이 움직임에 따른 통로를 도시한다.
시스템(S1)에서 리브 호스의 열은 도 2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단부에서 다이얼 니들(5)은 훅(5a)을 열기 위하여 편직 위치에 상응하는 통로 섹션(20.2)에서 끝나는 통로 섹션(20.10을 따라 방사상 외부로 전방 가압되고 그후 쓰레드 가이드(22)로부터 쓰레드를 픽업하기위해 통로 섹션(20.30을 따라 방사상 내부로 당겨지며, 스티치로 처리되고 따라서 제 1 표면 또는 층 즉 리브 호스(23)(도 2 및 4)를 형성한다. 합성 니들(2)은 통과 위치에서 시스템(S1)에 고정된다.
시스템(S2)에서 다이얼 니들(5)은 만입된 통과 위치에 남아있는 반면 합성 니들의 니들 부분(15)은 초기에 통로 섹션(18.1)을 따라 상승한다. 여기서 슬라이드부분(16)은 초기에 슬라이드팁(16.1)이 니들 실린더(1)의 상부변부(도 1의 원형라인 8)밑에 배치되는 위치내에 남아있게된다.
따라서 니들 훅(15.1)은 통로섹셕(18.2)이 도달했을 때 열리게 되어 니들 부분(15)이 다시 통로 섹션(18.3)을 따라 후퇴되고 동시에 슬라이드 부분(16)은 통로 섹션(19.1)을 따라 약간 초기에 상승되고 따라서 훅(15.1)을 닫기 위하여 니들 부분(16)과 함께 통로 섹션(19.2)를 따라 후퇴되면, 쓰레드 가이드(24)에 의해 공급되는 제 2 쓰레드(25)는 그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법으로 쓰레드(25)는 훅(15.1)에 의해 픽업되고 직물 면 또는 층이 복합 니들(2)상의 합성 니들(2) 실린더 호스(26)(도 2 및 5-7)에 의해 스티치로 처리된다.
나중에 먼저 다이얼 니들(5)이 턱 위치에 상응하는 통로 섹션(20.50에서 끝나는 통로섹션(20.4)을 따라 시스템(S3)내에서 상승된다. 그후 약간 지체하여 니들 부분(15)은 턱위치에 사응하는 통로섹션(18.5)에 도달할 때 까지 통로 섹션(18.40을 따라 상승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부분(16)은 아직 니들 실린더(1)의 상부변부 밑의 후퇴된 낮은 위치에 남아있게된다. 그러나 상기 위치에서 슬라이드 팁(16.1)은 이들이 이전의 시스템에서 형성되고 브레스트 부분(15.4)에 달린 오래된 스티치(27)밑에 있게되는 방법으로 브레스트 부분(15.4)의 중심 영역내에 있게된다. 또한 실린더와 다이얼 니들(2,5)은 도 2에 따라 시스템(S3)내에서 선택될 수있고 반면, 비선택된 니들은 도시되지 않은 진행 또는 통과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으로 니들 부분(15)은 높은 위치로 상승하여 이들의 훅(15.1)이 콤 간격x가 큰데도 불구하고 다이얼 니들의 평면위에 배치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다이얼 니들(5)은 방사상 먼 외부로 전방으로 눌려져서 이들의 훅(5a)이 실린더 니들(2)의 전면에 있게된다.
따라서, 연결 쓰레드(11)(도 1 및 2 참조)는 도 1에 서 보여지는 스레드 가이드(14)가 기능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두 형태의 니들로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니들 부분(15)과 이들을 가지는 훅(15.1)은 이제 다시 통로 섹션(18.6)을 따라 물러나는 한편 실질적으로 동시에 다이얼 니들(5)이 통로 섹션(20.6)을 따라 물러나게 된다. 상기 목적으로 특히 도 9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부분(16)은 브레스트 부분(15.4)과 훅(15.1)사이에 위치한 니들 부분(15)(도 3)의 섹션(15.5)에 도달하고, 후방측면을 향한 각도로 연장되고 실린더 호스를 당김으로써 니들 부분(15)의 후방측면을 향하여 후퇴될때가지 후퇴위치에 있게된다.
스티치의 형태와 다르게 슬라이드 부분(16)은 오래된 스티치(27)가 슬라이드 팁(16.1)의 내부측면에 고정되어 있을 때 오직 통로 섹션(19.3)(도 3 및 10)을따라 상승된다.
따라서, 오래된 스티치(27)는 도 6 및 7과는 반대로 연속하여 후퇴하는 니들 부분(15)이 니들 훅(15.1)(도 11)뒤로 통로 섹션(18.6)를 따라 이송되기 때문에 이탈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로 섹션(18.6)의 단부에서, 두 오래된 스티치(27)와 새로 삽입된 쓰레드의 루프(28)는 턱 구성(도 10 및 11)에서 통상 있는것과 같이 훅(15.1)에 위치된다. 따라서, 다이얼 니들(5)은 통로 섹션(20.6)을 따라 후퇴하여 삽입 쓰레드(11)의 루프(28)는 턱 스티치로서 이들의 훅(5a)에 고정되며 긴 쓰레드 루프(28)는 편직된 호스(23, 26)사이에 연장되어 만들어진다. 그후 니들(2,5)은 이들의 기본 위치(도 11)로 복귀하여 이어지는 시스템(S4)(도 2)에서 상기 공정이 반복될 수 있다.
큰 콤 간격x를 가지는 원형 편직기를 위해 도 3 내지 11에 도시된 것은 충분히 작게 선택된 다이얼(4)의 직경에 의해 큰 콤 간격y를 가지는 원형편직기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얼 니들(5)은 합성 니들로 형성된다.
당연히 실린더 및 다이얼 니들은 둘다 슬라이드 니들로 형성되고 수평 콤 간격x또는y는 둘 다 통상보다 더크게 선택된다는 점에서 더 큰 스티치 간격z를 형성할 수있다.
특히 상술한 모든 경우에서의 장점은, 시스템폭은 합성 니들의 사용의 결과로 비교적 쉽게 유지될 수 있고 통상의 속도로 사용될 때 니들 실린더 직경의 인치당 2.4의 시스템폭이 쉽게 달성될 수있고 이는 원주방향에서 측정될 때 약 33mm의 시스템폭에 해당하도록 달성된다. 이것은 48 이상 바람직하게는 72 편직 시스템을 가진 원형 편직기를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들어 시스템(S2)내의 니들 부분(15)이 시스템(S3)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높이(통로 섹션(18.5) 참조)로 상승된다는 점에서 상승될 수 있는 도 3에 도시된 니들 캠을 위해 달성된다.
또한 "합성 니들"은 역시 변형된 합성 니들(예를들어 US 1,385,929, US-Re 15 741)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특성이 역시 상술되고 도시된 것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나위가 없다.

Claims (5)

  1. 제 1 편직 니들(2)을 위한 그루브를 가지는 니들 실린더(1) 형태의 제 1 니들 베드, 제 2 편직 니들(5)을 위한 그루브를 가지는 다이얼(4) 형태의 제 2 니들 베드, 제 2 편직 니들(5)을 제어하기위한 제 2 캠를 포함하고 상기 두 니들 베드(1, 4)가 스티치 간격과 마찬가지로 수직 및 수평 콤 간격(x, y)를 고정하는 원형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두 니들 베드(1, 4)가 6mm의 스티치 간격(z)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하나이상의 니들 베드(1)의 편직 니들(2)이 훅(15.1)을 가지는 합성니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6mm의 스티치 간격(2)이 사응하는 큰 축상 콤 간격(x)에의해 우세하게 달성되고 제 1 편직 니들(2)이 합성 니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기.
  3.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캠(3,6)이 제 1 편직 니들(2)과 제 2 편직 니들(5) 둘다 이들의 훅(15.1, 5a)이 각각 다른 편직 니들(5, 2)의 전면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되는 턱 위치로 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기.
  4.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편직 니들(2, 5)이 합성 니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기.
  5.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편직 시스템(S1-S6)이 두 니들 베드(1,4)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들의 폭이 니들 실린더 직경의 인치당 1.6시스템에 상응하는것보다 적은 것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기.
KR1020040030878A 2003-05-02 2004-05-03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KR101182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0533A DE10320533A1 (de) 2003-05-02 2003-05-02 Rundstrickmaschine,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Abstandsgestricken
DE10320533.0 2003-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381A true KR20040094381A (ko) 2004-11-09
KR101182483B1 KR101182483B1 (ko) 2012-09-12

Family

ID=3301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878A KR101182483B1 (ko) 2003-05-02 2004-05-03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15666B2 (ko)
EP (1) EP1477600B9 (ko)
JP (1) JP2004332191A (ko)
KR (1) KR101182483B1 (ko)
CN (2) CN1542185A (ko)
AT (1) ATE440165T1 (ko)
DE (2) DE10320533A1 (ko)
ES (1) ES2331996T3 (ko)
SG (1) SG112905A1 (ko)
TW (1) TWI3418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682B1 (ko) * 2005-12-23 2008-09-23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사이 공간을 구비한 편성물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9208B1 (fr) 2005-08-01 2007-10-19 Jacques Abramo Dispositif de tricotage pour la confection d'un textile double face epais
DE102008006502A1 (de) 2008-01-25 2009-07-30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Rechts/Rechts-Rippware sowie Verfahren und Strickmaschine zu ihrer Herstellung
DE102008006504A1 (de) 2008-01-25 2009-07-30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Abstandsgestrick sowie Verfahren und Strickmaschine zu seiner Herstellung
KR100929819B1 (ko) 2008-03-31 2009-12-11 김민수 환편기 및 이를 이용하는 편직 방법
CN102534988B (zh) * 2011-09-20 2014-08-06 常熟市国光机械有限公司 电脑针织横机的机头三角系统
DE102014108987B3 (de) * 2014-06-26 2015-10-2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are,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Wirkware und Kettenwirkmaschine
DE102014118217B4 (de) * 2014-12-09 2020-12-31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Rundstrickmaschine
EP3075893B1 (de) * 2015-04-02 2018-09-1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ar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irkware
US11066763B1 (en) * 2020-04-21 2021-07-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nitting methods for increased separation of fabric layers of tethered spacer fabric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776A (en) * 1874-07-07 Improvement in files
DE7425934U (de) 1974-11-14 Buesing + Co Textilgewebebahn, insbesondere für sportliche Kleidungsstücke
US1385929A (en) 1921-07-26 Knitting-machine needle
USRE15741E (en) 1924-01-08 scott
US2250658A (en) * 1938-12-31 1941-07-29 Smith Circular knitting machine
GB1571584A (en) * 1976-03-19 1980-07-16 Iws Nominee Co Ltd Plush fabrics
JPS5473975A (en) 1977-11-24 1979-06-13 Onitsuka Co Reversible knitting method
DE2821214A1 (de) 1978-05-13 1979-11-15 Schliessmann Kellerei Flaechenhaftes fluessigkristall-thermometer, insbesondere fuer die kellereiwirtschaft
DE3140787A1 (de) * 1981-10-14 1983-04-28 Akzo Gmbh, 5600 Wuppertal Verfahren, gestrick und vorrichtung fuer die herstellung von strick-schneid-plueschware
US4608839A (en) * 1982-07-14 1986-09-02 Tibbals Jr Edward C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s
US5133196A (en) * 1982-07-14 1992-07-28 Draper Corporation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
JPS6111791U (ja) * 1984-06-21 1986-01-23 イナモト機械株式会社 複合針を備えたメリヤス丸編機の編針作動装置
DE3821213A1 (de) 1987-07-25 1989-02-09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mit schiebernadeln
IT1226258B (it) * 1988-08-04 1990-12-27 Vignoni Srl Perfezionamenti alle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DE4128372A1 (de) 1991-08-27 1993-03-04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mit einem nadelzylinder und einer rippscheibe
FR2751351B1 (fr) * 1996-07-19 1998-08-28 Textiles Plastiques Chomara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tricot presentant un aspect velours
FR2806424B1 (fr) * 2000-03-15 2002-07-05 Ames Europ Nouveau tricot epais double face a structure souple
US6526783B2 (en) * 2001-02-09 2003-03-04 Pat Sheu Double-faced reversible color effect weft knit fabric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370921B1 (en) * 2001-04-18 2002-04-16 V2 Composite Reinforcements, Inc. Tubular knitt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682B1 (ko) * 2005-12-23 2008-09-23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사이 공간을 구비한 편성물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7600A3 (de) 2004-11-24
EP1477600B1 (de) 2009-08-19
EP1477600B9 (de) 2010-03-10
TW200508443A (en) 2005-03-01
ES2331996T3 (es) 2010-01-22
US6915666B2 (en) 2005-07-12
CN1542185A (zh) 2004-11-03
CN103031662B (zh) 2015-04-01
SG112905A1 (en) 2005-07-28
EP1477600A2 (de) 2004-11-17
CN103031662A (zh) 2013-04-10
DE502004009908D1 (de) 2009-10-01
JP2004332191A (ja) 2004-11-25
US20040216496A1 (en) 2004-11-04
DE10320533A1 (de) 2004-11-18
ATE440165T1 (de) 2009-09-15
KR101182483B1 (ko) 2012-09-12
TWI341882B (en)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4767A (en) Circular knit two-layer upholstery fabric and method
KR100948216B1 (ko)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 환편기
KR100470002B1 (ko)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EP0694640B1 (en) CAM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CAM timing setting method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US4926660A (en) Method of knitting jacquard knit fabric by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JP2011511170A (ja) 表/表リブ布と表/表リブ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JP2011511171A (ja) スペーサ編み布とスペーサ編み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EP0422917B1 (en) Knit fabric with inlay pile yarn and method
KR20040066806A (ko)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US65199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itting a fabric with a lay-in yarn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6854294B2 (en) Method and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knitwear, especially from hard, inelastic thread material
US5109680A (en)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jacquard pile fabric
US5791162A (en) Method and sinker for producing plush fabrics
EP0634510B1 (en) Method of knitting a fabric having improved non-run and elasticity characteristics
EP13640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work pattern with no-run stitch
KR101242229B1 (ko) 두꺼운 양면 텍스타일 제조용 편직장치
JP3240325B2 (ja) プラッシュ生地の製造方法および編み機
CS274451B2 (en) The double-cylinder round knitting machinery
US2444503A (en) Reverse plating of knitting fabrics
GB2416780A (en) Sinkers for knitting machines
ITMI20001760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lavorazione con maglia a rete co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o calzet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