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002B1 -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002B1
KR100470002B1 KR10-1998-0005243A KR19980005243A KR100470002B1 KR 100470002 B1 KR100470002 B1 KR 100470002B1 KR 19980005243 A KR19980005243 A KR 19980005243A KR 100470002 B1 KR100470002 B1 KR 10047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sh
yarn
sinker
ground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524A (ko
Inventor
에리히 비체르
융겐 뮐러
발터 쉬미트
Original Assignee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8007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티치열 및 이들에 결합된 플러쉬 얀(72, 81)을 포함하는 그라운드 직물을 가진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에 관련된다. 그라운드 직물은 적어도 한 개의 그라운드 얀(68)으로 부터 형성되는 편성물로 구성되고 플러쉬 루프(72d, 81d)를 형성하는 플러쉬 얀(72, 81)을 가진 복수개의 인접한 스티치 웨일들과 상기 플러쉬 루프가 없는 적어도 한 개의 제 2 부분(78)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부유체 얀(64, 65)은 추가로 그라운드 직물에 결합된다. 제 2 부분(78)내의 각각의 부유체 얀(64;65)는 선택적으로 부유하거나 스티치(80e-80h)로형성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플러쉬 편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편성기계에 관련된다(도 16).

Description

하이(high)-로우(low) 플러쉬 편제품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본 발명도 청구범위 제 1 항의 서두에 따르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high-low plush knitwear) 및 청구범위 제 3 항 및 제 10 항의 서두에 따라 상기 편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긴(하이(high)) 플러쉬 푸르(long plush loop)를 가진 복수개의 인접한 스티치웨일(stitch wale)로 구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영역과, 플러쉬 루프를 가지지 않는 또는 매우 짧은(로우(low)) 플러쉬 루프를 가지는 복수개의 인접한 스티치웨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편제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러쉬 루프들을 가지지 않는 영역내에서 단순히 무늬(pattern)에 따라 연결된 편성바늘 내부로 아무런 플러쉬 얀(plush yarn)들을 배치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플러쉬 얀 들은 상기 영역내에서 부유하는 푸프 즉 연속 부유체(continuous float)를 형성하고, 이들은 요구에 따라 연속절단작업에서 제거 및 절단되는 반면에 작업이 이루어진 플러쉬 얀들을 가진 영역내의 결과적인 플러쉬 얀 루르들은 절단되어 개방되고 절단된 필요한 플러쉬 루프들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최종가공된 프러쉬 편제품은 플러쉬 루프를 가진 하이영역(high zone)과 플러쉬 루프가 없는 로우영역(low zone)을 가지고, 이들내에서 일반적으로 매끄럽게 구성된 그라운드 편성물이 눈에 보이고 기저(base) 또는 그라운드 직물(ground fabric)의 평평한 편성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플러쉬 얀을 플러쉬 루프없는 영역내에서 그라운드 얀과 함께 스티치들 내부에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초기에 언급된 형태의 방법 및 장치들이 독일특허 제 DE 3 145 307 A1 호 및 독dlf특허 제 DE 4 033 735 A1 호 및 독일특허 제 DE 195 05 646 A1 호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문헌에서 편성바늘과 싱커들은 그라운드 얀 루프들이 편성기계의 제 1 시스템단면 내에서 선호적으로 모든 편성바늘들을 가지고 미리형성되도록 서로에 대해 제어가 이루어지고, 연속 시스템단면내에서 무늬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택된 플러쉬 얀 루프들이 미리형성되고, 단지 다음에 모든 편성바늘들이 스티치형성을 위해 노크오버위치(knock-over position)으로 이동된다. 선택적으로 우선 그라운드 얀을 싱커 목 부분(sinker throat)내부로 배치시키고 상기 그라운드 얀을 플러쉬 얀 루프의 형성시 상기 목부분 내부에 남겨두는 것이 알려져 있다(유럽특허 제 0 295 703 C2 호).
상기 원리의 유용한 개발에 의해 예를 들어 1:1 부유체 무늬를 가지고 상기 플러쉬 직물의 매끄럽고 평평한 그라운드 직물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추가의 그라운드 얀(ground yarn)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유럽특허 제 3 927 815 A1 호). 그러나 선택적으로 2:1 및 3:1 의 편성 구조를 가진 다른 부유체 무늬 또는 그렇지 않다면 부유체 무늬와 같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종류의 방법의 장점을 보면, 부분적인 열(서브 열(sub-course))이 구성되지 않고 심지어 색상을 가진 무늬형성에 의해 소위풀 플러쉬 편제품(full plush knitwear)이 항상 생산되고, 상기 스티치열 내에서 각각의 스티치에는 플러쉬 루프가 제공된다.
적어도 두 개의 그라운드 얀으로 부터 생산되는 상기 그라운드 직물에 의한 목적은 단순한 평면 편성법을 이용한 방법보다 올풀림(laddering)에 대해 더욱 안전하고 더욱 기계적으로 안정한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데 있다. 로우영역(low zone)내의 그라운드 편제품의 외관은 일반적으로 편제품의 요구되는 특성에 대해 덜 중요하고 덜 도움이 된다.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때, 단지 상기 편성바늘들은 플러쉬 얀을 취하는데 목적을 두는 시스템 제어에 의해 상승된다. 플러쉬 및 그라운드 얀이 플러쉬 얀을 가지지 않는 로우영역내에서 부유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무늬에 따라 플러쉬 얀을 수용하지 않는 상기 편성바늘들은 상기 바늘들이 단지 그라운드 얀을 수용하거나 그라운드 얀이 여러 가지 터크(tuck) 및 /또는 부유체 무늬를 가진 로우영역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라운드 직물내로 결합되도록 제어된다(예를들어 독일특허 제 DE 3 024 705 A1 호). 우선 이것은 서브열(sub-course)를 형성하고, 원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다음에 높은 플러쉬 밀도(plush density)를 가지고 폭이 큰 로우영역의 존재시 외관상 만족스럽지 못한 직물이 생산된다.
초기에 선택된 플러쉬 편제품을 플러쉬 루프를 가지지 않는 영역내에서 외관이 화려하고, 색상을 가진 무늬가 제공되며, 필요시 기계적 특성과 관련하여 영향이 미칠수 있게 설계하는데 본 발명의목적이 있다. 추가로 상기 플러쉬 편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가 제공된다.
청구항 1, 3, 10 의 특징이 상기 목적을 충족시킨다.
본발명의 또다른 특징을 종송항들로 부터 알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쉬 편물은 특히 그라운(ground) 및 플러쉬(plush) 얀루프(yarn loop)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독일특허 제 DE 3 145 307 A1 호 및 독일특허 제 DE 4 033 735 A1 호, 독일특허 제 DE 195 05 646 A1 호에서 충분히 설명되는 방법과 장치에 의해 제조가능하다. 상기 참고문헌은 그러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출원의 본 문제의 일부가 되고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공지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수정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도까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사가능한 싱거(tiltable sinker)를 가진 공지된 환편기(독일특허 제 4 035 737 A1 호)로 부터 시작된다. 도 1 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바늘 실린더(needle cylinder)의 형태로 편직요소캐리어(knitting element carrier)로 구성되고, 특히 후크(hook)(2a)와 래치(latch)(2b)를 가진 수직 래치 바늘(2)와 같은 편직요소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싱커 다이알(sinker dial)의 형태를 가지는 싱커캐리어(sinker carrier)(3)는 바늘실린더(1)와 회전가능하고, 싱커(4, 5)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두 개의 싱커(4, 5)들이 싱커캐리어(3)의 트릭(trick)내에서 쌍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쌍은 각각의 바늘(2)에 연결된다. 바늘 캠 시스템(needle cam system)(7)의 캠 시스템 부품(cam system part)(6)에 의해 제어되는 버트(butter)(8)가 상기 바늘(2)에 구성되고, 싱커(4, 5)는 각각의 버트(9, 10)을 가지고, 이들은 싱커 캠 시스템(12)의 캠 시스템 부품(11)에 의해 제어된다. 바늘 및 싱커 캠 시스템(7, 12)는 각각 캠 시스템 장치의 구성요소 이고, 바늘(2) 및 바늘 캠 시스템(7)은 필수적으로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 스티치를 형성하고 스티치(4, 5) 및 싱커 캠 시스템(12)은 필수적으로 얀스티치의 형성시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 루프(plush yarn loop)를 제어한다.
싱커캐리어(3)의 트릭(trick) 또는 채널(channel)내에 싱커(4, 5)가 쌍으로 배열되고, 상기 트릭은 싱커캐리어(3)의 웨브(web)(13)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에서 부분적으로 싱커(4)에 의해 싱커(5)가 보이지 않으므로, 두 개의 싱커(4, 5)는 도 2 에서 서로 나란히 위치한다. 싱커(4)는 홀딩다운(holding down) 및 노킹오버(knocking over)싱커의 공지된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은 전방단부 및 아래쪽 변부에서 하측변부(15)로 구성되고, 각각의 변부(15)는 종방향 슬롯(14)와 충돌하며, 노우즈(nose)(16)는 이것위에 위치하고, 종방향 슬롯(14)과 하측변부를 결합시키며 전면에 대해 약간 아랫쪽으로 경사진 상측변부(16a)가 제공되며, 그것의 후방단부는 숄더(17)에 의해 변부(18)에 연결되고, 상기 변부(18)는 후방에 배치되고 노우즈(16)위에 배치된다. 변부(18, 15)는 필수적으로 하측변부와 평행하다. 한편 싱커(15)는 경사기능의 플러쉬 싱커(plush sinker)의 형태이고, 전방단부에 요홈(21)이 제공되며(도 2), 상기 요홈은 싱커(5) 및 노우즈(23)의 전방단부까지 구성되는 변부(22)와 연결되고, 상기 노우즈(23)은 변부(2)위에 놓이지만, 요홈(21)의 하부로 부터 측정해 볼 때, 변부(22)보다 짧다. 노우즈(23)은 전방단부까지 연장구성되고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상측단부위에 변부(24)를 가지고 그 후방단부는 숄더(25)를 통해 더 뒤에 위치하고 약간 더 높이 위치하는 변부(26)으로 연장구성된다. 추가로 싱커(5)는 두 개의 림(limb)(27a, 27b)에 의해 형성된 하측변부를 가지며, 상기 림은 중앙 팁(central tip)(27c)내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모이게 된다. 싱커(5)가 웨브(13)에 의해 형성되는 싱커캐리어(sinker carrier)(3)의 트릭의 기저부위에 싱커의 림(27a)을 지지하고, 싱커들은 팁(27c)를 중심으로 림(27b)이 트릭 기저부위에 지지되는 위치내로 시계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당연히 반대방향 회전도 가능하다. 피봇축은 웨브(13)에 대해 수직으로 배뎔된다. 도 1 및 도 3 에서 도 13 까지의 도면들에 도시된 싱커(5)의 팁(27c)은 다른 싱커(4)에 의해 덮혀지기 때문에, 웨브(13)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가 작은원에 의해 둘러싸인 점(28)에 의해 도면들에 도시된다. 추가로 평면이 각각의 경우에서 수직선(29)에 의해 도시되는 도 3 에서부터 도 13 에있어서, 관련트릭의 특수한 경우 또는 기저부 내에서 고려되는 바늘(2)의 바늘등(back)(2c)(도 2)이 편직요소캐리어(1)내에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싱커(5)의 변부(24, 26)는 싱커(4)의 상측변부(18)위로 돌출할 때, 싱커들의 림(27a)는 트릭의 기저부를 지지한다. 그러나 싱커(5)의 림(27b)는 트릭의 기저부위에 지지되면, 사실상 변부(24)는 최고위치에 있는 싱커(4)의 변부(16a)와 동일한 높이에 있게된다.
도 2 에는 체계적으로 예를들어, 두가지 색깔을 가지는 플러쉬천을 편직하기 위한 환편기의 캠 시스템 구성의 단면을 나타낸다. 호크의 미쓰(miss) 또는 비 편직위치(non-kuitting position)내에 위치할 때 바늘(2)의 후크(2a)가 차지하는 상기 위치가 선(31)으로 도시된다. 싱커(4)들이 바늘(2)의 방향으로 더 멀리 이동하는 위치가 도 1 에서 우측으로 더 이동된 위치에 해당하는 선(32)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선(33)은 싱커(5)의 더욱 이동된 위치를 나타낸다. 필수적으로 선(32, 33)은 도 3 에서 도 13 까지의 선(29)에 해당되어 도 2 에서 싱커(4, 5)의 하향 변위들은 도 1 및 도 3 에서부터 도 13 까지의 도면들 내에서 선(29)으로 부터 좌측으로 반경방향 수축에 해당되고, 싱커(4, 5)의 상향변위들은 바늘(2)의 방향으로 반경방향 이동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림(27a)가 트릭기저부위에 지지될 때 선(34)은 노우즈(23)의 변부(24)의 최고위치를 나타낸다. 추가로 싱커(4, 5) 및 바늘(2)의 운동은 도 2 에서 화살표(u, v, w, x)로 도시된다.
편직작업동안 바늘(2) 및 싱커(4, 5)가 안내될 수 있는 트랙들은 도 2 에서 선(31)로 부터 선(34)으로 도시되고 트랙섹션(37)이 그곳으로 부터 가지를 형성한다. 캠시스템부품 또는 유사부품에 의해 각각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 모든 트랜잭션(37 에서 부터 47 까지)들이 실현되고, 상기 부품들은 도 2 에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생략된 편직요소(2) 및 싱커(4, 5)의 버트(8, 9, 10)위에 작용한다.
그라운드 얀(ground yarn), 제 1 특징 즉, 색깔을 가진 플러쉬 얀 및 제 2 특징 즉, 색깔을 가진 플러쉬 얀을 공급하기 위해 공지된 방법으로 얀 안내부(48 에서 부터 50 까지)가 제공된다. 모든 얀(yarn)들을 수용해야 하는 상기 바늘(2)들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장치(51, 52, 53)가 공지된 방법에서와 같이 트랙섹션(37, 38, 39)의 상승영역에 앞서서 연결된 바늘(2) 또는 잭(jack) 또는 유사장치와 결합되고, 적합하게 형성된 캠시스템부품들과 함께 작동한다. 추가로, 이것은 등가하게 변환될 수 있더라도 회전하는 바늘실린더(1) 및 정적 캠시스템을 가진 환편기가 제공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바늘(2) 및 싱커(4, 5)의 이동방향 또는 하향의 편직방향이 도 2 에서 선(31 에서 부터 선 34 까지)의 우측단부들 위에 화살표머리들에 의해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시스템 배열의 추가 트랙섹션들이 한편으로 트랙섹션(37, 41, 43) 과 다른 한편으로 트랙섹션(38, 42, 44) 사이에 제공된다. 특히 트랙섹션(37)에 해당하는 두 개의 트랙섹션(56, 57)가 트랙섹션(37, 38)사이에 제공되고, 트랙섹션(41)에 해당하는 두 개의 트랙섹션(58, 59)가 트랙섹션(41, 42)사이에 제공되며, 트랙섹션(43)에 해당하는 두 개의 트랙섹션(60, 61)은 트랙섹션(43, 44)사이에 제공된다. 얀 안내부(62, 63)는 각각의 트랙섹션(56, 57)과 연결되고, 얀 안내부(48)와 같이 배열되지만, 각각은 체계적으로 각각 도시된 부유 얀(float yarn)(64, 65)를 공급한다. 추가의 선택장치(66,67)가 각각의 트랙섹션(56, 57)과 연결된다. 따라서 환편기는 편직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열되는 6개의 시스템 단면(A 에서부터 F 까지)로 구성되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단면들(A, D, E, F)는 상대적으로 긴 플러쉬 얀루프 즉 "하이(high)" 영역을 가진 플러쉬 제품을 제조하는 반면에 시스템 단면(B, C)는 본 발명에 따라 하기에서 설명되듯이 추가의 부유 얀들의 삽입 및 "로우(low)" 영역의 설계에 관련된다. 예를들어 두가지 색상의 하이/로우 플러쉬 편직물의 생산이 하이영역의 형성과 관련하여 공지기술(예를들어 독일특허 제 DE 4 033 735 A1 호)를 참고로 하는 환편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져서, 만약 추가의 부유 얀(float yarn)을 고려한다면 하기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고려한다.
편직방향으로 제 1 시스템 단면(A)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편직바늘(2)는 우선 트랙섹션(37)에 의해 최고위치로 이동된다(도 4). 점차로 트랙섹션(43)을 따라 싱커(5)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로 이동되어 그라운드 얀 안내부(48)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반면에, 싱커(4)는 초기에 일반적인 제거위치 내에 위치하고(도 3) 다음에 좀더 이동되어 이전의 방법 싸이클(method cycle)에서 형성된 플러쉬 얀 루프에 인장력을 줄 수 있다. 모든 바늘(2)들은 다음에 그라운드 얀(68)을 수용하는 반면에(도 4), 모든 이전의 스티치(69)들은 개방래치(opening latch)(2 b)위에서 바늘(2)의 생크(shank)위를 이동한다. 다음에 모든 바늘(2)들은 중간위치로 후퇴되고(도 5), 상기위치는 미쓰위치(miss position)(선 31) 보다 높지만 그라운드 얀 루프(70)를 형성하고 생크(4)의 상측변부(18) 위에서 상기 그라운드 얀 루프를 미리형성하고 캐스트오프(cast off)가 이루어지지 않는 정도로 충분히 낮다. 트랙섹션(43)에 의해 그라운드 얀 루프(48)의 통과후 싱커(5)가 다시 이동되어(도 5) 미리 형성된 그라운드 얀 루프(70)에 장력을 주고, 팽팽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에, 싱커(4)들은 정상적인 제거 위치로 수축된다.
사실상 시스템단면(A)과 동일한 다음의 시스템단면(B)을 통과할 때 상기바늘(2)은 얀 안내부(62)에 의해 제시된 부유얀(64)을 수용하는 선택시스템(66)에 의해 선택된다(도 2, 도 6). 상기 바늘(2)의 머리는 다음에 부유얀(64)을 수용하기 위해 트랙단면(56)에 의해 상승되고(도 6) 다음에 중간 위치로 다시 후퇴된다(도 7). 부유얀(64)은 다음에 선택된 바늘(2)에 관련한 싱커(4)들의 변부(18)위에서 부유얀루프(71)내로 미리 형성되는 반면에 동일한 부유얀(64)이 선택되지 않은 바늘(2)과 연결된 상기 모든 싱커(4)의 변부(18)위에 부유상태로 놓인다. 이전에 형성된 그라운드 얀루프(70)는 바늘의 후크내부 또는 바늘의 래치(latch)(바늘위의 터크(tuck))위에 유지되는데 개방된 래치들의 단부들은 항상 싱커 변부(18)의 하부에 유지되기 때문이다(도 6).
상기 방법은 다음의 시스템단면(1) 내에서 반복되지만, 만약 모든 바늘(2)들이 시스템단면(B)내에서 선택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면 특히 서로다른 바늘들은 선택장치(67)에 의해 선택되고 다음에 제 2 부유얀(65)을 수용하기 위해 상승된다는 점이 다르다. 시스템단면(C)의 영역내에서 도 6 및 도 7 내의 해당부분이 도면들내에 분리하여 도시되지 않는다. 시스템단면(C)을 통과한 후에, 모든 바늘(2) 및 싱커(4, 5)는 다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위치내에 있게된다.
시스템단면(D) 내부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바늘(2)들은 플러쉬 얀 안내부(49)에의해 제시되는 플러쉬 얀(72)을 수용해야 하는 선택장치(52)에 의해 선택된다(도 2, 도 8). 다음에 바늘(2)의 헤드(head)는 플러쉬 얀을 받아들이기 위해 트랙단면(38)에 의해 상승되고 다시 중간위치까지 후퇴한다(도 9). 플러쉬 얀 안내부(49)는 그라운드 얀 안내부(48)과 대조적으로 싱커(4)의 상측변부(18)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 않지만 싱커(5)의 상측변부(26)의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우선 플러쉬 얀(72)은 싱커(5)의 상측변부(26)위로 끌어당겨진다(도 8).
추가로 이전에 형성된 그라운드 얀 루프(70)는 개방 바늘 래치의 단부아래로 미끄러져 분리될 수 없는데, 한편으로 개방된 바늘 래치들의 단부들이 변부(18)의 아래에 놓여지고 따라서 그라운드 얀 루프(70)가 바늘 래치 위에 놓여지며(바늘의 터크), 다른 한편으로 개방바늘 후크들이 변부(26)위로 충분히 멀리 상승될 수 있을 정도로 최대한 그라운드 얀 루프(70)를 고정하는 싱커(4)의 변부위에 싱커(5)의 상측변부(26)가 놓여지기 때문이다.
바늘(2)이 중간위치로 새롭게 후퇴 운동한 뒤(도 9), 싱커(5)들은 트랙단면(44)에 의해 간단히 후퇴운동하고(도 2), 새롭게 형성된 플러쉬 얀 루프(73)는 숄더(25)위에 상측변부(26)로 부터 벗어져 싱커의 노우즈(23)의 약간 아래에 위치한 변부(24)위에 미끄러지고(도 9) 얀의 손상위험이 감소된다.
필수적으로 싱커(4)는 상기 방법동안 제거위치내에 유지되는 반면에 플러쉬얀(72)을 수용하지 않아야 바늘(2)들은 중간위치내에 유지되어(도 5, 도 7), 후크(2a)는 이전의 스티치(69)에 의해 폐쇄되고, 추가로 싱커(4)의 상측변부(18)아래에서 밀접하게 고정된다.
추가로 분명히 하기 위해 시스템단면(B, C)에 의해 형성되는 부유얀루프(71)는 도 8, 도 9 에서 생략된다.
다음의 시스템단면(E)에 있어서 시스템단면(D)을 참고로 기술된 방법단계가 반복되고, 다만 시스템단면(D)내에서 상승되지 않은 각각의 바늘(2)가 선택장치(53)에 의해 선택되고, 다음에 트랙단면(39)에의해 상승되어 얀 안내부(50)에의해 제시된 플러쉬 얀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다르다. 시스템단면(E)의 단부에서 바늘(2) 및 싱커(4, 5)는 도 9 에서 도시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편직방향으로 지속되는 시스템단면 F(도 2)에 있어서, 미리 형성된 그라운드 부유 및 플러쉬 얀 루프(70, 71, 73)위에 쳐서 벗겨져서, 중간위치로 부터 노크오프(knock-off)위치까지 바늘(2)의 추가 후퇴운동시 이들이 제어되고, 상기 노크오프 위치는 적어도 미리 형성된 플러쉬 얀(73)이 일정하게 장력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후자는 일정하게 싱커(4, 5)의 제어를 받는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을 위해 싱커(4)의 하측변부(15) 및 플러쉬 얀 루프(73)는 싱커(4)에 구성된 노우즈(16)의 상측변부(16a)들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전달된다.
그라운드 얀 루프들은 전달하기위해 새롭게 형성된 그라운드 및 부유 얀 루프(70, 71)가 더 짧은 노우즈(16)으로 부터 구속해제되고(도 10)다음에 다시 이동될때까지 트랙단면(42)에 의해 초기에 후퇴되어, 지금 변부(15)위에 정지해 있는 그라운드 및 부유 얀 루프(70, 71)는 싱커(4)의 슬롯(14)들 내부를 통과한다. 싱커(5)는 그라운드 및 부유 얀 루프(70, 71)가 장력을 받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2 및 도 10 에서 알 수 있듯이, 바늘(2)은 동시에 트랙단면(74)에 의해 중간위치로 부터 제거 또는 미쓰위치로 하강된다. 플러쉬 얀 루프(73)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싱커의 림(27b)이 싱커채널의 기저부위에 놓일때까지 싱커(5)는 싱커의 팁(27c)주위로 경사운동을 시작한다. 노우즈(23)의 상측변부(24)들이 따라서 바늘(2)들이 하강되는 정도로 아래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플러쉬 얀 루프(73)는 숄더(25)에 대해 팽팽한 장력을 받는 상태에 놓이고 당겨져서, 루프들은 싱커(5)로 부터 미끄럼운동이 불가능하다. 회전운동은 점 X-X 주위에서 완성된다(도 10). 싱커(4)는 지금 더욱이동되고(도 11), 다음에 플러쉬 얀 루프(73)는 노우즈(16)로 부터 벗겨지며, 필요하다면 숄더(17)에 의해 장력을 받거나 장력을 받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싱커(5)들은 트랙단면(46)을 따라 후퇴한다. 그결과 노우즈(23)들은 플러쉬 얀 루프(73)으로 부터 후퇴되고, 이것들은 싱커(4)에 구성된 노우즈(16)의 상측변부(16a)에 의해 유일하게 고정되는 반면에, 동시에 그라운드 및 부유 얀 루프(70, 71)은 싱커(4)의 슬롯(14)내에 배치된다. 지금 바늘(2)은 트랙단면(40)을 따라 최하부위치까지 후퇴되는 반면에, 플러쉬 얀 루프(73)가 정지하고 마지막으로 상측변부(16a)위에 모양이 형성되고, 부유 얀 루프(70, 71)는 싱커(4)의 하측변부(15)위에 모양이 형성된다. 동시에 도 12, 도 13에 도시된 캠시스템부품(75)에 의해 도 2 내의 트랙단면을 따라 싱커(5)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 Ⅲ-Ⅲ 바로 앞에서 시작상태가 다시 발생되고, 스티치들의 다음 열(course)의 형성이 시작가능하다.
상기 방법의 추가 세부사항은 독일특허 제 DE 4 033 735 A1 호를 참고한다. 두가지 색상의 하이/로우 플러쉬 편물의 실시예가 도 1 및 도 2 를 따르는 환편기로 만들어질수 있고 도 14 에서 도 16 에 도시되고, 각각의 경우에서 4개의 스티치웨일(stitch wale)에 걸쳐 연장구성되는 우측에 로우영역(78)을 그리고 좌측에서 4개의 스티치 웨일에 걸쳐 유사하게 연장구성되는 하이영역(77)이 도시된다. 가장우측의 변부에 위치한 스티치 웨일은 추가의 하이영역의 시작을 형성한다.
도 14 에 있어서, 스티치(80)는 각각 개략적으로 제시된 편직바늘(79)위에서 그라운드 얀(68)으로 부터 형성된다(도 3). 동일한 스티치열 내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제 1 부유얀(64)(도 2)은 영역(78)의 제 1 및 제 4 바늘(79e, 79h)위에서 그라운드 얀(68)과 함께 스티치를 형성하는 반면에, 상기 얀은 부유상태에 있다. 반변에 비파선으로 도시된 제 2 부유 얀(65)(도 2)은 제 2 및 제 3 바늘(79f, 79g)위에서 그라운드 얀(68)과 함께 스티치를 형성하는 반면에 상기 얀(68)은 부유한다. 스티치 열(b) 내에서 부유 얀(64, 65)은 스티치들 내부로 작동하고 부유상태에 놓인다. 다른한편 부유 얀(64)는 바늘(79e, 79f)에 해당하는 스티치 웨일들 내에서 스티치 열(c) 내에 바늘(79c, 79h)에 해당하는 스티치웨일들 내에서 스티치열(d)내에 위치한 영역(79)내에서 스티치를 형성하는 반면에, 각각의 경우 부유얀(65)은 잔류하는 스티치웨일 내에서 스티치들은 형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부유한다. 따라서 필요한 만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부유체(64a-64c) 및 (65a-65c)가 도 14 에서 예로서 참고한 오직 일부의 부유 얀(64, 65)로 부터 형성된다. 그라운드 얀(68) 및 부유 얀(64, 65)중 한 개로 부터 형성된 스티치들은 선택장치(66, 67)에의해 관련 바늘(79)을 적절히 선택한 결과이다(도 2). 전체 열이 로우영역(78)의 각각의 스티치웨일을 형성하고 적어도 한 개의 부유 얀(64, 65)이 스티치내로 이동한다.
동일한 방법에의해, 도 14 에 도시되었듯이, 스티치열 내에 위치하는 바늘(79b, 79c)엣 플러쉬 얀(72)을 위해서 또는 스티치열(b)내에 위치하는 바늘(79a, 79d)에서 플러쉬 얀(81)을 위해 무늬영역(77)내에서 상기 바늘은 파선으로 도시된 플러쉬 얀(72) 및 비 파선으로 도시된 추가의 플러쉬 얀(81)(도 14)을 형성해야 하는 선택장치(52, 53)에의해 선택되고(도 2), 도 9 또는 도 12 에 도시된 플러쉬 얀 루프(73)가 형성된다. 상기 스티치들 사이에서 플러쉬 얀(72, 81)이 부유하여, 플러쉬 얀 부유체(72a, 72b, 81a, 81b)가 오직 일부만이 도 14에 참고로 도시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쉬 편물의 제 1 변형예에따르면, 플러쉬 얀(72, 81)은 로우영역(78)내에서 연속적으로 부유가능하고 예를들어 부유체(72c, 81c)를 형성한다. 플러쉬 얀(72, 81)은 싱커(5)의 변부(26)위에 상기 설명에 따라 형성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플러쉬 얀은 연속적인 절단작업시 편물로 부터 절단된다. 따라서 부유 얀(64, 65)은 하이영역에 걸쳐 부유가능하고 부유체(64d, 65d)를 형성한다. 부유 얀(64, 65)은 싱커(4)의 변부(18)위에 그라운드 얀과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부유얀은 최종가공된 기초직물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놓이고, 심지어 절단작업후에도 부유체(64a-64c) 및 부유체(65a-65c)와 같이 불변상태를 유지한다.
추가로 영역(77, 78)사이의 변부들은 당연히 미리정해진 무늬에 따라 이동하고 편물의 길이에 걸쳐서 고려된 대로 변화가능하다. 예를들어, 편물의 추가 단면에서 그리고 스티치열에 해당하는 스티치 열내에서, 바늘(79e-79h)은 부유 얀(64, 65)를 가진 플러쉬 얀(81, 82) 및 바늘(79a-79d)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러쉬 편물의 장점을 보면, 부유 얀(64, 65)가 로우영역내에서 선택된 길이를 가진 부유체를 형성하고, 상기 부유체는 절단작업후에 눈에 띄고 상기 부유체는 직물에 상기 영역내에서 필요한 외형을 주도록 선택될 수 있다는데 있다. 이것은 얀으로 만들어지는 그라운드 직물(ground fabric)이 형성되는 방법 및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그라운드 얀(ground yarn)이 생산되는 가의 여부와는 무관하다. 그라운드 얀 열내에서 플러쉬 및 부유 얀의 무늬를 가진 배열은 팽팽하고 밀착되게 짜여지고 분명하게 형성된 무늬를 가진 다수의 무늬 가능성(pattern possibilities)을 열어줄 뿐만 아니라 요구조건에 따라 광범위한 범위내에서 직물의 구조, 강도 또는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따르는 편성된 재료의 우측은 플러쉬루프로 구성되고 부유체들은 마모 또는 마찰에 대한 저항이 큰 재료의 실제 그라운드 직물을 덮는다.
하이영역(77)은 무늬에 대해 너무 폭이 크기 때문에 하이영역은 매우 긴 부유체(64d, 65d)가 또한 어떤환경의 절단작업에서 절단될 수 있는 위험이 돌 수도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부유체는 심지어 영역(77)내에서 선택바늘(79)에 의해 스티치들내로작업이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이것은 도 14 내에 바늘(79a) 및 부유 얀(64)를 위해 도시되고, 스티치 열(a)내에서 각각의 경우 내에서 바늘(79c) 및 부유 얀(65)를 위해 도시된다. 따라서 세 개의 얀 구조 스티치(80a, 80c)가 상기 위치에서 형성되고, 각각이 그라운드 얀, 플러쉬 얀 및 부유 얀으로 구성된다. 부유 얀(64, 65)에 의해 형성된 부유체는 상기 방법으로 짧게 유지되고 예를들어 최대한 4개의 바늘들 위에서 연장구성된다. 세 개의 얀구조 스티치(Three yarn stitch)가 형성되고 각각의 그라운드 얀 및 두 개의 관여한 부유 얀으로 구성된다면, 당연히 유사한 절차가 영역(78)내에서 또한 가능하다. 상기 절차이외에, 부유 얀(64, 65)은 또한 터그(tuck)가 부유함에 따라 무늬영역(77)내로 결합된다.
도 15 에 있어서, 절단작업전에 도 14 의 계획에 따라 플러쉬 편물(plush knitwear)의 단면이 만들어진다. 얀(68)은 상기 그라운드 편물을 형성하는 반면에 부유얀(64, 65)은 로우영역(low zone) 및 플러쉬 얀(72, 71) 및 하이영역(77)을 형성한다. 절단작업후, 도 16을 따르는 플러치 편물이 생산된다. 도 15 에 도시되고 도 14 를 참고로 설명된 플러쉬 얀 부유체(72c, 81c)가 사라지고 절단된 플러쉬 특성을 가진 플러쉬 술(plush tuft) (72d, 81d)가 하이영역(77)내에 유지된다. 다른한편 로우영역(78)은 더 이상 플러쉬 얀을 가지지 않으므로 그 외관은 특정 경우에서 선택되고 부유체(64a-64c)(65a-65c)로 부터 형성되는 부유체 무늬에의해서만 결정된다. 동일한 얀 재료가 한편 플러쉬 및 부유체 얀(81, 65)애 대해 인용되고 다른한편 예로써 이용되기 때문에 플러쉬 및 부유체 얀들은 서로다른 특징, 특히 색상을 가지고 짝을 이루며 대응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수의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 부유체 및 플러쉬 얀의 숫자는 각각의 그라운드 얀 열 및 그라운드 얀 열내에서 임의로 서로 다르게 선택될 수 있거나 그라운드 직물은 모두가 평평한 편직물 내에 있을필요는없다. 또한 그라운드직물은 1:1 편직공정 내에서 서브 열(sub-course)로 부터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한 개의 구조 또는 무늬를 가진다. 예를들어 시스템단면(A)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시스템 단면들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지 플러쉬 얀 또는 부유체 얀을 포함하는 플러쉬 및/또는 부유체 얀 또는 스티치열들 없이 플러쉬를 포함하는 스티치열과 부유체 열들 사이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라운드 얀 열내에 부유체 및 1 또는 플러쉬 얀들의 숫자를 변화시키기 위해 한편 시스템단면(B, C) 및 다른 한편 도 2 에서 처럼 임의로 시스템단면(D, E)의 갯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템단면(A, B, C, F)를 제외하고 시스템단면(D, E)에 해당하는 4개의 시스템단면들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4색상 플러쉬 무늬가 예를 들어 편직시스템에 구성될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시스템단면(D 또는 E)가 시스템단면(B, C)의 임의 개수로 결합될 수 있다. 환편기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편직시스템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스템단면들은 서로 다른 개수 및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에 해당하는 환편기의 특수한 장점을 보면, 캠 시스템부품들을 상호교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무늬변화가 몇번의 손동작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다른 조치들이 취해지지 않는다면 부유체 얀을 위한 시스템단면(B, C)는 항향 플러쉬얀을 위한시스템단면(D, E)을 선행해야 하고, 따라서 플러쉬 얀 루프는 스티치형성작동 전에 싱커(5)의 수축에 의해 관련된 싱커 변부로 부터 벗겨지지 않게 된다.
분명히 본 발명의 추가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 이론적으로 싱커(5)는 우선 도 5 를 따르고 시스템단면(B, C)내에 위치한 위치내로 전진이동하고, 다음에 도 6을 따르는 위치내로 다시 수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소, 싱커(5)들은 모든 그라운드 및 부유체 얀들은 선택된 바늘들내에 놓여질때까지 도 4 에 도시된 수축된 위치내에 유지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종류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특수 경우(예를 들어 독일특허 DE 4 033 735 A1 호 또는 유럽특허 EP 0 295 703 A2 호)에서 플러쉬 편직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기술종류와는 무관하다. 특히 절단작업으로 형성된 플러쉬 루프 대신에 플러쉬 얀 루프들은 폐쇄시키는 플러쉬 제품을 가지고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경우에 추가로 싱커와같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플러쉬 얀 루프를 가지는 하이/로우 플러쉬 제품이 생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해할 사항으로, 본 발명의 상기 특징은 도시되고 설명된 특징이외에 또다른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독일특허 제 31 45 307 호(미국특허 제 4,612,784 호(1996. 9. 23)) 및 독일특허 제 40 33 735 호(1990. 10. 24)(미국특허 제 5,239,843 호)(1993. 8. 31) 및 독일특허 제 195 05 646 호(1995. 2. 18)(미국출원 제 08/599,819)(1996. 2. 12)이 참고로 제시된다. 상기 특허들 및 출원은 상기에 설명되고 하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발명을 기술하고, 미국특허법 35 U.S.C 119에 따른 본 발명의 우선권 청구의 기초를 제공한다.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본 발명의 사상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성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회전가능한 바늘 캐리어를 가진 환편기에 실시된 대로 설명되는 반면 도시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추가의 해석없이, 종래기술의 기준으로 부터 본 발명의 일반적이거나 특수한 특징을 구성하는 특징을 생략하지 않고 상기 설명은 최신 지식을 이용하며 용이하게 다양한 적용예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요지가 제시된다.
도 1 은 무늬를 가진 플러시 편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을 따르는 환편기의 종방향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을 따르고, 개발된 상태에 있으면 도 1 의 환편기를 구성하는 캠(cam)시스템의 개략정면도.
도 3 에서 부터 도 13 은 편직과정을 통해 도 2 의 Ⅲ-Ⅲ에서 ⅩⅢ -ⅩⅢ 의 위치에 있는 편직요소 및 싱커들의 상대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시 편물의 스티치(stitch)의 네 개의 열(course)에 대한 개략도.
도 15 및 도 16 은 본 발명을 따르고 각각 그랍핑(cropping) 전후에 도 14 의 플러시 편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 부호 설명
1 ... 바늘실린더 2a ... 후크
2b ... 래치 3 ... 싱커캐리어
4,5 ... 싱커 9,10 ... 버트
12 ... 싱커시스템 13 ... 웨브
17,25 ... 숄더 37,38,43 ... 트랙섹션
69 ... 스티치 70 ... 그라운드 얀 루프

Claims (15)

  1. 하나이상의 제 1 그라운드 얀(68)과 상기 기저 직물내로 결합되는 하나이상의 플러쉬 얀(72, 81)을 가지고 편직되는 복수개의 스티치 열(a-d)를 가지는 기저 직물로 구성되며 상기 기저 직물은 상기 제 1 부분(77)내로 결합되는 상기 하나이상의 플러쉬 얀에 의해 형성된 플러쉬 루프(73, 72d, 81d)를 가진 하나이상의 제 1 부분을 가지고, 플러쉬 루프를 가지지 않는 하나이상의 제 2 부분(78)이 상기 플러쉬 얀으로 형성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에 있어서,
    둘이상의 부유체 얀(64, 65)가 추가로 기저 직물내로 결합되고, 제 2 부분(78)내의 각각의 부유체 얀(64, 65)는 선택적으로 부유하거나 스티치(80e-80h)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사하게 제 1 부분(77)내의 부유체 얀(64, 65)가 스티치(80a, 80c)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3. 그라운드 편제품 및 이에 결합되는 플러쉬 얀 루프(73)로 구성되고, 편성요소(2)를 가진 편성기계위에 후크(2a) 및 이들과 쌍으로 연결되고 편성요소에 대해 횡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고 후진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싱커(4, 5)로 구성되며, 상기 싱커들에대해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68, 72)이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 스티치들 및 플러쉬 얀 루프(73)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고, 우선 제 1 시스템단면(A) 내에서 상승된 편성요소(2)의 후크(2a) 내로 그라운드 얀(68)을 놓고, 상기 편성요소(2)를 다음에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싱커(4)의 싱커 변부(18)에 대해 그라운드 얀 루프(70) 내로 상기 얀을 미리 형성하며, 하나이상의 플러쉬 얀(72)을 편성향으로 제 1 시스템단면(A)후에 놓는 제 2 시스템단면(D, E)내에서 다시 상승되는 선택된 편성요소(2)의 후크(2a)내로 놓고, 상기 편성요소(2)를 하강 시키는 것에 의해 제 2 싱커(5)의 싱커변부위에서 플러쉬 얀 루프(73)내에서 미리 형성하며, 다음에 편성방향으로 제 2 시스템단면(D, E)다음에 놓이는 제 3 시스템단면(F)내에서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들의 스티치들을 형성하기 위해 편성요소(2)를 노크오버위치로 하강시키고, 하이/로우 무늬를 구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바로 인접한 편성요소의 후크(2a)내로 플러쉬 얀을 전혀 내려놓지 않는 하이/로우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둘이상의 부유체얀(64, 65)이 편성방향으로 제 2 시스템단면(D, E)을 선행하는 제 4 시스템단면(B, C)내에서 선택 및 상승된 편성요소(2)이 후크내로 놓여지며, 상기 편성요소(2)을 다운의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싱커(4)의 싱커변부(18)들 위에서 부유체 얀 루프내로 미리 형성되거나, 부유상태로 남겨지고, 다음에 스티치들 내로 형성되거나 상기 스티치들 사이에서 부유상태로 남겨지는 것에 의해 제 3 시스템단면(F)내에서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 루프(70, 73)와 함께 그라운드 직물로 결합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티치형성전에, 이전형성작업을 위한 변부(18)로 부터 제 1 싱커(4)의 노크오버 변부(15)로 미리형성된 그라운드 및 부유체 얀 루프(70, 71)가 전달되고, 이전형성작업을 위한 변부(26)로 부터 제 1 싱커(4)의 노크오버 변부(16a)로 플러쉬 얀 루프(73)가 전달되며, 싱커(4, 5)는 미리형성된 플러쉬 얀 루프(73)가 제어되고 관련된 편성요소(2)를 노크오버위치로 수축된 다음에 장력을 주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싱커(5)가 편성요소(2)의 추가수축운동에 따라 경사지도록 미리 형성된 플러쉬 얀 루프(73)가 장력을 받으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6. 제 3 항에 있어서, 이전형성작업을 위한 변부로 부터 노크오버 변부위로 플러쉬 얀 루프의 전달을 위해 제 2 싱커들이 후진운동된 위치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그라운드 얀 푸프가 우선 변부들로 부터 제 1 싱커들의 변부로 전달되고, 다음에 플러쉬 얀 루프들이 제 2 싱커들의 변부들로 부터 제 1 싱커들의 변부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8. 제 4, 5, 6 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싱커(5)들이 제 4 시스템단면(B, C)내에서 부유체 얀 루프(71)를 미리 형성하는 동안 후진운동한 위치에 고정되거나 후진운동된 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9. 제 4, 5, 6 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 (68, 72, 81)으로 부터 스티치(80a, 80c)가 형성되는 부분(77)내에서 부유체 얀 (64, 65)들이 부분적으로 스티치들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
  10. 바늘 캐리어(1)로 구성되고, 상기 바늘 캐리어 내에서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 루프 스티치들을 형성하기 위한 편성요소(2)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라운드 얀(68)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그라운드 얀 안내부(48); 플러쉬 얀(72)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플러쉬 얀 안내부(49, 59); 스티치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싱커(4, 5)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싱커캐리어로 구성되며, 제 1 싱커(4)는 그라운드 얀 루프(70)를 미리 형성하기 위한 변부(18)를 가지고, 제 2 싱커(5)는 플러쉬 얀 루프(73)를 미리 형성하기위한 변부(26)를 가지며; 하나이상의 캠 시스템 배열이 편성요소(2) 및 싱커(4, 5)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얀 안내부(8, 49, 59)과 결합되고; 캠 시스템 배열은 그라운드 얀(68)을 상승된 편성요소(2)의 후크(2a) 내로 배치시키고 제 1 싱커(4)의 변부(18)위에서 그라운드 얀 루프(70)를 미리형성하기 위해 상기 편성요소(2)들을 연속적으로 하강시키기위해 제 1 시스템단면(A)을 가지며, 플러쉬 얀(72)을 다시 상승되고 선택된 편성요소(2)의 후크(2a)내로 플러쉬 얀(72)을 배치시키고, 제 2 싱커(5)의 변부(26)위에서 플러쉬 얀 루프(73)를 미리 형성하기 위해 편성방향으로 제 1 시스템단면(A)다음에 제 2 시스템단면(D, E)가 배치되면 그라운드 및 플러쉬 얀(68, 72)로부터 스티치들을 형성하기 위해 편성요소(2)를 노크오버위치로 하강시키기위해 편성방향으로 제 2 시스템단면(D, E)다음에 제 3 시스템단면(F)이 배치되고 그라운드 직물 및 그 위에 결합되는 플러쉬 얀 루프(73)를 가지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계에 있어서,
    부유체 얀(64, 65)를 각각 공급하기 위해 둘이상의 추가의 얀 안내부(62, 63)가 제공되고, 캠 시스템 배열은 제 2 시스템단면(D, E)의 평성방향으로 앞서 배치되는 하나이상의 제 4 시스템단면(B, C)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캠단면(B, C)는 제 1 싱커(4)의 변부(18)들 위에서 부유체 얀 루프(71)를 미리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선택되고 상승된 편성요소(2)의 후크(2a)내로 부유체 얀(64, 65)를 배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부유체 얀(64, 65) 내에 배치하기 위한 수단은 편성요소위에서 작동하는 두 개의 시스템 트랙(56, 57)과 이들과 결합된 두 개의 선택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이전형성작업을 위한 수단은 제 2 싱커(5)위에서 작동하는 두 개의 캠시스템 트랙(60, 61)을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후진이동된 위치내에 제 2 싱커(5)가 고정되거나 부유체 얀 루프(71)이 이전형성작업 동안 상기 위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싱커(5)가 싱커캐리어(3) 내에서 피복회전이 이루어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싱커들은 싱커캐리어내의 편성요소에대해 횡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계.
  15. 제 11, 12, 14 또는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티치형성 이전에 미리 형성된 그라운드 및 부유체 얀 루프(70, 71)은 이전형성작업을 위한 변부(18)로 부터 제 1 싱커(4)의 노크오버 변부(15)까지 전달되고, 플러쉬 얀 루프(73)은 이전형성작업을 위한 변부(26)로 부터 제 1 싱커(4)의 노크오버 변부(16a)로 전달되도록 캠시스템이 구성되고, 이전에 형성된 플러쉬 얀 루프(73)는 관련 편성요소(2)를 노크오버 위치로 하강시키는 동안 제어되고 장력을 받으며 유지되도록 싱커(4, 5)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로우 플러쉬 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계.
KR10-1998-0005243A 1997-02-21 1998-02-20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KR100470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7053A DE19707053B4 (de) 1997-02-21 1997-02-21 Hoch/Tief-Plüschstrickwar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ihrer Herstellung
DE19707053.1 1997-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524A KR19980071524A (ko) 1998-10-26
KR100470002B1 true KR100470002B1 (ko) 2005-05-17

Family

ID=782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243A KR100470002B1 (ko) 1997-02-21 1998-02-20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25662A (ko)
JP (1) JP4406893B2 (ko)
KR (1) KR100470002B1 (ko)
CN (1) CN1077163C (ko)
DE (1) DE19707053B4 (ko)
ES (1) ES2156478B1 (ko)
GB (1) GB2322387B (ko)
IT (1) IT1298429B1 (ko)
SG (1) SG81222A1 (ko)
TW (1) TW3447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3844B1 (fr) * 1998-09-28 2000-10-20 Textiles Plastiques Chomara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tricot imitant la fourrure et nouveau type de fourrure ainsi realise
FR2785300B1 (fr) * 1998-10-28 2000-11-24 Textiles Plastiques Chomarat Metier a tricoter circulaire a mailles cueillies permettant de realiser des tricots velours et/ou bouclettes de type jacquard
US6518421B1 (en) * 2000-03-20 2003-02-1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pothilone analogs
KR100526066B1 (ko) * 2001-03-15 2005-11-02 파이 룽 머시너리 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이중 편물 플러시 천을 편물작업하는 원형 편물기를 위한 잭과 상부 니들 다이얼 구조
DE10207879A1 (de) * 2002-02-18 2003-08-28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lüschwaren
KR20030047700A (ko) * 2002-08-30 2003-06-18 송유철 싱글 양면파일 편직기계
JP2006519935A (ja) 2003-03-06 2006-08-31 コニグ レインハード 編み地および編み地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JP2008101301A (ja) * 2006-10-19 2008-05-01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給糸切換装置を有する丸編機
CN101387039B (zh) * 2007-09-12 2011-05-04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灯芯绒织物
DE102008006502A1 (de) 2008-01-25 2009-07-30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Rechts/Rechts-Rippware sowie Verfahren und Strickmaschine zu ihrer Herstellung
DE102008006504A1 (de) 2008-01-25 2009-07-30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Abstandsgestrick sowie Verfahren und Strickmaschine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1001779B3 (de) * 2011-04-04 2012-09-20 Kunert Fashion Gmbh & Co. Kg Beinbekleidungsstück, insbesondere Socke
CN103806198B (zh) * 2012-11-12 2015-09-02 儒鸿企业股份有限公司 轻量化双面刷毛毛巾结构
US9890486B2 (en) * 2014-05-19 2018-02-13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Loop cutt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106149180B (zh) * 2015-01-19 2018-08-21 绍兴文理学院 任意花形高花纬编织物的织造工艺设计方法及产品
CN107740222A (zh) * 2017-10-19 2018-02-27 上海嘉麟杰纺织品股份有限公司 双重特性的单面毛圈绒织物及织造方法
JP7271398B2 (ja) * 2019-11-15 2023-05-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パイル編み用横編機および編成方法
JP7458077B2 (ja) * 2020-11-27 2024-03-29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ペアシンカー、ペアシンカーを備える丸編機及びペアシンカーを備える丸編機によるダブルフリース編地の編成方法
US20230064557A1 (en) * 2021-09-01 2023-03-02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inlay plush
CN115538026A (zh) * 2022-11-04 2022-12-30 连云港元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六工位切毛绒设备
CN115538019A (zh) * 2022-11-04 2022-12-30 连云港元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低位切毛绒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268A (en) * 1973-01-10 1976-11-09 I.W.S. Nominee Company Plush fabric knitting apparatus
US4989421A (en) * 1987-06-19 1991-02-05 Schmidt Walter R Process for producing a patterned plush fabric as well as a multisystem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920008242A (ko) * 1990-10-24 1992-05-27 페터 마이어 플러시(plush) 상품을 생산하는 편물기계
KR930006219A (ko) * 1991-09-07 1993-04-21 페터 마이어 플러시(plush) 천을 만드는 원편기
KR960031676A (ko) * 1995-02-18 1996-09-17 피터 메이어 플러시 패브릭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편직기 및 싱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4835B (de) * 1977-01-31 1984-06-12 Eybl Teppichfab Rl-strickware mit in das gestrick der grundfaeden zonenweise eingekaemmter florfasern
CA1152348A (en) * 1978-05-11 1983-08-23 Alan Gutschmi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ut-pile fabric
DD138226A1 (de) * 1978-08-28 1979-10-17 Herbert Kutsch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jacquard-henkel-bzw.schneidpluesch
DE3024705C2 (de) * 1980-06-30 1986-04-30 Schmidt, Ursula Dorothea, 6082 Mörfelden-Wall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flächenmäßig gemusterter Plüschware, sowie Rundstrickmaschine hierfür
DE3145307C2 (de) * 1981-11-14 1984-05-17 SIPRA Patententwicklungs-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000 Stuttgart Mehrsystemige Rund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jacquardgemusterten Plüschware
US4986090A (en) * 1982-02-12 1991-01-22 Lombardi Victor J Method of knitting
DE3927815C2 (de) * 1989-08-23 1999-12-23 Sipra Patent Beteiligung Plüsch- oder Florstrickware und Rundstrickmaschine zu deren Herstellung
US5511393A (en) * 1995-02-22 1996-04-30 Hu; Chao-San Sinker system for knitting face-loop and reverse-loop fabrics as well as face-loop jacquard and reverse-loop jacquard fabric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268A (en) * 1973-01-10 1976-11-09 I.W.S. Nominee Company Plush fabric knitting apparatus
US4989421A (en) * 1987-06-19 1991-02-05 Schmidt Walter R Process for producing a patterned plush fabric as well as a multisystem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920008242A (ko) * 1990-10-24 1992-05-27 페터 마이어 플러시(plush) 상품을 생산하는 편물기계
KR930006219A (ko) * 1991-09-07 1993-04-21 페터 마이어 플러시(plush) 천을 만드는 원편기
KR960031676A (ko) * 1995-02-18 1996-09-17 피터 메이어 플러시 패브릭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편직기 및 싱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524A (ko) 1998-10-26
ES2156478A1 (es) 2001-06-16
GB2322387B (en) 2001-03-14
CN1195721A (zh) 1998-10-14
GB2322387A (en) 1998-08-26
ES2156478B1 (es) 2003-08-16
TW344766B (en) 1998-11-11
ITMI980333A1 (it) 1999-08-20
GB9803445D0 (en) 1998-04-15
CN1077163C (zh) 2002-01-02
DE19707053B4 (de) 2008-03-27
US6125662A (en) 2000-10-03
IT1298429B1 (it) 2000-01-10
DE19707053A1 (de) 1998-08-27
SG81222A1 (en) 2001-06-19
JP4406893B2 (ja) 2010-02-03
JPH10245749A (ja) 199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002B1 (ko)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EP0868549B1 (en) Patterned float plated fabric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foresaid
JP2897070B2 (ja) プラッシュまたはパイル編み布地およびその生産のための丸編み機械
US4019350A (en) Method of producing double-knit fabric having additional fleece threads incorporated into one face or both faces thereof
KR100948216B1 (ko)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 환편기
US4989421A (en) Process for producing a patterned plush fabric as well as a multisystem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US4926660A (en) Method of knitting jacquard knit fabric by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JPS648102B2 (ko)
US6705129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ulticolored plush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US5791162A (en) Method and sinker for producing plush fabrics
US4069690A (en) Knitting apparatus
KR100836294B1 (ko) 노런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서부터 인접한 바늘로 루프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루프전달 뜨게바늘
JP3240325B2 (ja) プラッシュ生地の製造方法および編み機
US3726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a net fabric
GB2111539A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ingle-bed patterned article of knitwear
US3380265A (en) Knitting machines
US4516412A (en) Cambox for a flat knitting machine
US2362041A (en) Machine for producing knitted fabric
JPH1096147A (ja) ストレッチジャカード経編地
US2573118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107508A (en) Method of forming a knit article
US3228211A (en) Dial needle selection mechanism
US2444503A (en) Reverse plating of knitting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