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291A - 고수축 미싱사 - Google Patents

고수축 미싱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291A
KR20040094291A KR10-2003-7015022A KR20037015022A KR20040094291A KR 20040094291 A KR20040094291 A KR 20040094291A KR 20037015022 A KR20037015022 A KR 20037015022A KR 20040094291 A KR20040094291 A KR 2004009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yarn
high shrink
shrink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보라겐지
나까야마겐지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6Sewing-cotton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이 5% 이상인 고수축 사조와, 사조 표면에 보풀을 갖는 유모 사조로 구성되는 미싱사로서, 이 미싱사의 건열 100 ∼ 150℃ 에서의 최대 열수축 응력이 0.1 ∼ 0.5cN/dtex 이며, 강한 바늘땀조임의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단추 부착용 미싱사, 방수, 방풍 제품용 미싱사 등으로 유용한 고수축 미싱사.

Description

고수축 미싱사{HIGH SHRINK SEWING MACHINE THREAD}
미싱사는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미싱사는 용도에 따라서는 이하의 이유에서 강한 바늘땀조임이 요구된다. 그 이유로는, (1) 봉합 포백을 강하게 밀착시켜 봉합강도를 강하게 하고, (2) 눈금터짐을 방지하여 바늘땀 외관을 양호하게 하거나, 공기나 물의 누설을 방지하고, (3) 재봉실을 밀착시켜 터짐을 방지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시이트 벨트, 가방, 신발 등의 봉합단을 보강 재봉하는 볼트성을 가하는 재봉 등의 용도에서는 특히 (1) 의 이유로 인해 강한 바늘땀조임이 요구된다. 또, 텐트, 시이트 등의 방수 또는 방풍 제품의 용도에서는 특히 (2) 의 이유로 인해 강한 바늘땀조임이 요구된다. 또한, 단추 부착용 재봉 등의 용도에서는 특히 (3) 의 이유로 인해 강한 바늘땀조임이 요구된다.
종래, 이와 같은 강한 바늘땀조임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고장력 봉제에 의해 강한 바늘땀조임을 얻었다. 그런데, 이러한 고장력 봉제에서는 가봉성의 저하, 미싱 바늘 부러짐 등에 의한 봉제 트러블의 다발, 미싱사의 손상에 의한 바늘땀강도의 저하 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721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9440호 등에는 봉제 후에 다리미 등으로 열처리함으로써 미싱사를 수축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고수축 미싱사를 사용하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봉제 직후의 바늘땀조임을 강하게 할 수는 있지만, 바늘땀조임의 내구성의 점에서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그 개량이 요구되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한 바늘땀조임뿐만 아니라 바늘땀조임이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미싱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이 5% 이상인 고수축 사조와 사조 표면에 보풀을 갖는 유모(有毛) 사조로 구성되고, 또한 건열 100 ∼ 150℃ 에서의 미싱사의 최대 열수축 응력이 0.1 ∼ 0.5cN/dtex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 때, 미싱사의 인장강도가 2 ∼ 4cN/dtex 의 범위에 있는 것이 우수한 가봉성을 얻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 고수축 사조와 유모(有毛) 사조의 중량비율로는 30 : 70 ∼ 70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에서, 고수축 사조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한편, 유모 사조로는 폴리에스테르 방적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에서,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가 각각 꼬임수 100 ∼ 1200T/m 의 하연이 실시된 후, 하연수의 50 ∼ 95% 의 상연수로 합연되어 있는 것이 강한 바늘땀조임과 그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에서, 염색된 고수축 미싱사를 얻기 위해서는 공지의 염색처리를 실시한 후, 상온에서 신장시키면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를 구성하는 고수축 사조는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이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50%) 이어야 한다. 이 열수축률이 5% 보다 낮으면, 강한 바늘땀조임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고수축 사조는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이 5% 이상이면,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나 반합성 섬유 또는 이들을 복합한 것 등, 종래의 공지된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의 열수축률을 갖는 섬유로서, 후기하는 바와 같이 미싱사로서 소정의 최대 열수축 응력을 얻는 것을 고려하면, 제사(製絲)공정에서의 열세트가 전혀 실시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약간 열세트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고, 제 3 성분을 8 ∼ 30 몰% (테레프탈산 성분에 대해)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러한 제 3 성분으로는, 예컨대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등의 2 관능성 디카르복시산, 네오펜틸글리콜, 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올 화합물 등을 사용한 것이면 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미세구멍 형성제, 양이온 가염제,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난연제, 형광 증백제, 광택 제거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흡습제, 항균제, 무기 미립자 등을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고수축 사조는 장섬유 (멀티필라멘트) 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미싱사의 강도 면에서 멀티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인터레이스 가공이나 타스란 가공 등의 공지된 공기 가공이나 스핀들 가연, 프릭션디스크 가연, 벨트 가연 등의 공지된 가연 권축 가공이 실시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고수축 사조의 총 섬도와 단일 섬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총 섬도로 30 ∼ 3000dtex, 단일 섬도로 1 ∼ 10dtex 의 범위가 적당하다. 고수축 사조를 형성하는 단일 섬유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 삼각, 중공 등 공지된 단면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콘쥬게이트사여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를 구성하는 다른 쪽의 유모 사조란, 사조 표면에 보풀을 갖는 사조이다. 이러한 유모 사조로는 유모 사조의 길이 1㎝ 당, 길이 0.5㎜ 이상의 보풀을 20 개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모 사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방적사, 통상적인 방적사와 멀티필라멘트의 복합사, 표면에 보풀을 갖는 가공사나 의장사 (意匠絲)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주목적인 바늘땀조임이 우수한 내구성이 얻어지는 점과 제조비용의 점에서 통상적인 방적사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모 사조를 형성하는 섬유의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레이온 섬유, 면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미싱사의 강도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다. 특히, 유모 사조로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에 미세공 형성제, 양이온 가염제,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난연제, 형광 증백제, 광택 제거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흡습제, 항균제, 무기 미립자 등이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모 사조의 인장강도는 2cN/dtex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cN/dtex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유모 사조의 섬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 100 번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모 사조를 형성하는 단일 섬유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 삼각, 중공 등 공지된 단면 형상이면 된다. 또한, 이 유모 사조가 콘쥬게이트사여도 된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상기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로 구성된다. 구성 형태로는, (A) 각각 하연(下撚)이 실시된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를 합연한 것, (B)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를 겹쳐 하연을 실시한 사조를 복수 가닥 겹쳐 합연한 것, (C) 고수축 사조를 코어로 하고 유모 사조를 시스로 배열하는 코어스펀 사조나 커버링 사조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가 각각 꼬임수 100 ∼ 1200T/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1000T/m) 의 하연이 실시된 후, 하연수의 50 ∼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 의 상연수로 합연되어 있는 것이 강한 바늘땀조임과 그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때, 상기 하연은 방적꼬임이어도 된다. 또, 고수축 사조의 하연수와 유모 사조의 하연수가 다른 경우에는, 큰 쪽의 하연수의 50 ∼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 의 상연수로 합연되어 있는 것이 강한 바늘땀조임과 그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를 사용하여 고수축 미싱사를 제조할 때,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의 사조 가닥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자와 후자의 조합으로 단수와 단수, 단수와 복수, 복수와 단수, 복수와 복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건열 100 ∼ 150℃ 에서의 최대 열수축 응력이 0.1 ∼ 0.5cN/dtex (바람직하게는 0.2 ∼ 0.4cN/dtex) 일 필요가 있다. 이 최대 열수축 응력이 0.1cN/dtex 보다 작은 경우에는 미싱사가 봉제 현장에서 다리미나 프레스의 봉제 기구에 의해 열처리될 때, 수축 응력이 작기 때문에 강한 바늘땀조임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이 최대 열수축 응력이 0.5cN/dtex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봉제 천에 손상을 끼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최대 열수축 응력을 갖는 미싱사는, 상기 고수축 사조로서 제사공정에서의 열세트가 전혀 실시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약간 열세트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고 적절하게 제조조건을 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최대 열수축 응력은 가네보 엔지니어링 (주) 제조의 열응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계측한 열응력-온도커브로부터 80 ∼ 150℃ 의 범위에서 최대 열응력값을 판독한 값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미싱사의 인장강도로서 2 ∼ 4cN/dtex (바람직하게는 2.5 ∼ 3.5cN/dtex) 의 범위에 있는 것이 고가봉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인장강도가 2cN/dtex 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가봉성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 인장강도가 4cN/dtex 를 초과하는 경우는 고비용이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에서, 상기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의 중량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된다. 예컨대, 강한 바늘땀조임을 중시하는 경우는 고수축사의 중량비율이 큰 편이 바람직하다. 또, 고가봉성을 중시하는 경우는 유모 사조의 중량비율이 큰 편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고수축 사조 : 유모 사조) 의 중량비율로 30 : 70 ∼ 70 :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65 ∼ 65 : 35) 이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라면 저수축 멀티필라멘트 등 다른 사조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염색이 실시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염색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고수축 미싱사가 염색이 실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를 사용하여 미싱사를 구성할 때, 미싱사의 최대 열수축 응력이 상기 범위내가 되도록 섬유 종류나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의 중량비율 등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고수축 미싱사가 염색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이 5% 이상인 고수축 사조와 사조 표면에 보풀을 갖는 유모 사조를 사용하여 미싱사를 얻어 이 미싱사에 염색처리를 실시한 후, 염색처리에 의해 수축된 미싱사를 상온에서 신장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를 얻을 수 있다.
그 때, 신장 후의 미싱사의 최대 열응력값이 상기 범위내가 되도록 신장률은 적절하게 선정된다. 예컨대, 열수축 응력값을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신장률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신장률이 염색시의 수축률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조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통상적으로 이 신장률은 5 ∼ 50% 의 범위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의 상온이란, 특별한 가열, 냉각이 실시되지 않는 온도로서 0 ∼ 40℃ 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염색시의 가열에 의해 고수축 사조가 수축되어 섬유 구조가 안정화되어 열수축 응력은 매우 작아지지만, 상온에서 신장함으로써 섬유 구조가 불안정화되어 수축 응력이 재발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염색방법으로는 충분한 수축이 가능한 타래 염색 (hank dyeing) 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특정 열수축 응력을 갖는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를 사용하여 봉제하고 바늘땀부에 다리미 등으로 열처리를 실시하면, 미싱사가 수축되어 강한 바늘땀조임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에 포함되는 보풀의 「걸림효과」에 의해 미싱사와 생지의 미끄러짐이 저감되기 때문에, 수축에 의해 조여진 바늘땀이 어긋남으로 인해 헐거워지는 것이 방지되어 강한 바늘땀조임이 길게 유지된다. 동시에, 이러한 유모 사조의 보풀이 봉제시의 열이나 마모로부터 미싱사를 보호하기 때문에 우수한 가봉성도 부가된다.
본 발명은 바늘땀조임이 양호한 미싱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내구성이 양호하며 강한 바늘땀조임을 필요로 하는 단추 부착용 미싱사, 방수 또는 방풍 제품용 미싱사 등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하게 서술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각 측정항목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건열 수축률>
JIS L1013 에 의해 건열 100℃ 의 열수축률 (%) 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JIS L1013 에 의해 인장강도 (cN/dtex) 를 측정하였다.
<바늘땀조임성>
미싱사를 사용하여 서지 6 장을 봉제한 후, 150℃ 의 스팀다리미를 사용하여 바늘땀부에 1 분 동안 스티밍을 실시하고, 바늘땀사 (미싱사) 를 풀어 이 바늘땀사의 수축률 (%) 로 바늘땀조임성의 대용 특성으로 하였다.
<바늘땀조임의 내구성>
미싱사를 사용하여 서지 6 장을 봉제한 후, 150℃ 의 스팀다리미를 사용하여 바늘땀부에 1 분 동안 스티밍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봉제품을 5 회 세탁한 후, 바늘땀조임성의 양부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평가는 「우수」, 「보통」, 「열등」 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n수 = 15)
<가봉성>
겹박음질 미싱을 사용하고, 3000spm 의 속도, 미싱침 #14, 봉제 천 서지 2 장을 1 분 동안 봉제하여 미싱사의 절단이 없는 경우는 「양호」, 절단된 경우는 「불량」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이소프탈산 성분이 전체 산 성분을 기준으로 10 몰% 공중합된, 고유점도 0.64 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하여 얻은 미연신사를 가열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100dtex/36fil 의 고수축 사조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은 35%) 에 S1200T/m 의 하연을 실시하였다.
한편, 공지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얻어진, 번수가 64/- 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를 유모 사조로서 사용하였다. 이 방적사에는 S1200T/m 의 방적꼬임 (하연) 이 실시되어 있고 길이 1㎝ 당, 길이 0.5㎜ 이상의 보풀이 50 개 이상 존재하였다.
이어서, 하연이 실시된 상기 고수축 사조 2 가닥과 유모 사조 1 가닥을 겹쳐 Z1000T/m 으로 합연한 후, 130℃ 에서 30 분 동안 타래 염색을 실시한 후, 상온에서 20% 의 신장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미싱사용 오일제를 3 중량% 부여하여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를 얻었다.
이 고수축 미싱사로부터 고수축 사조를 빼내어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을 측정한 결과, 15% 였다. 이 고수축 미싱사는 100℃ 에서 열수축 응력이 최대가 되고, 최대 열수축 응력은 0.3cN/dtex 였다. 또, 이 고수축 미싱사의 인장강도는 3cN/dtex 였다. 또한, 최대 열수축 응력은 가네보 엔지니어링 (주) 제조의 열응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계측하고 열응력-온도커브로부터 판독하였다.
얻어진 고수축 미싱사의 바늘땀조임성, 바늘땀조임의 내구성, 가봉성을 평가한 결과, 바늘땀조임성 12%, 바늘땀조임의 내구성 「우수」, 가봉성 「양호」였다.
실시예 2
이소프탈산 성분이 전체 산 성분을 기준으로 10 몰% 공중합된, 고유점도 0.64 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하여 얻은 미연신사를 가열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100dtex/36fil 의 고수축 사조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은 35%) 에 S1200T/m 의 하연을 실시하였다.
한편, 공지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얻어진, 번수가 53/- 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를 유모 사조로서 사용하였다. 이 방적사에는 S1000T/m 의 방적꼬임 (하연) 이 실시되어 있고 길이 1㎝ 당, 길이 0.5㎜ 이상의 보풀이 40 개 이상 존재하였다.
이어서, 하연이 실시된 상기 고수축 사조 1 가닥과 유모 사조 2 가닥을 겹쳐 Z1000T/m 으로 합연한 후, 130℃ 에서 30 분 동안 타래 염색을 실시한 후, 상온에서 20% 의 신장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미싱사용 오일제를 3 중량% 부여하여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를 얻었다.
이 고수축 미싱사로부터 고수축 사조를 빼내어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을 측정한 결과, 14% 였다. 이 고수축 미싱사는 100℃ 에서 열수축 응력이 최대가 되고, 최대 열수축 응력은 0.25cN/dtex 였다. 또, 이 고수축 미싱사의 인장강도는 2.8cN/dtex 였다. 또한 최대 열수축 응력은 가네보 엔지니어링 (주) 제조의 열응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계측하고 열응력-온도커브로부터 판독하였다.
얻어진 고수축 미싱사의 바늘땀조임성, 바늘땀조임의 내구성, 가봉성을 평가한 결과, 바늘땀조임성 10%, 바늘땀조임의 내구성 「우수」, 가봉성 「양호」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유모 사조는 사용하지 않고 고수축 사조 3 가닥만 사용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미싱사를 얻었다.
이 미싱사의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을 측정한 결과, 20% 였다. 이 미싱사는 100℃ 에서 열수축 응력이 최대가 되고, 최대 열수축 응력은 0.3cN/dtex 였다. 또, 이 고수축 미싱사의 인장강도는 3.0cN/dtex 였다.
얻어진 고수축 미싱사의 바늘땀조임성, 바늘땀조임의 내구성, 가봉성을 평가한 결과, 바늘땀조임성 16%, 바늘땀조임의 내구성 「열등」, 가봉성 「불량」이었다.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강한 바늘땀조임뿐만 아니라 바늘땀조임이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고수축 미싱사는 내구성이양호하며 강한 바늘땀조임을 필요로 하는 단추 부착용 미싱사, 방수, 방풍 제품용 미싱사 등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Claims (7)

  1. 건열 100℃ 에서의 열수축률이 5% 이상인 고수축 사조와 사조 표면에 보풀을 갖는 유모(有毛) 사조로 구성되고, 또한 건열 100 ∼ 150℃ 에서의 미싱사의 최대 열수축 응력이 0.1 ∼ 0.5cN/dtex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축 미싱사.
  2. 제 1 항에 있어서, 미싱사의 인장강도가 2 ∼ 4cN/dtex 의 범위에 있는 고수축 미싱사.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의 중량비율이 30 : 70 ∼ 70 : 30 인 고수축 미싱사.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수축 사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인 고수축 미싱사.
  5. 제 1 항에 있어서, 유모 사조가 폴리에스테르 방적사인 고수축 미싱사.
  6. 제 1 항에 있어서, 고수축 사조와 유모 사조가 각각 꼬임수 100 ∼ 1200T/m 의 하연(下撚)이 실시된 후, 하연수의 50 ∼ 95% 의 상연수로 합연되어 있는 고수축 미싱사.
  7. 제 1 항에 있어서, 염색처리가 실시된 후, 상온에서 신장되어 이루어지는 고수축 미싱사.
KR10-2003-7015022A 2002-03-19 2003-03-11 고수축 미싱사 KR20040094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75944 2002-03-19
JP2002075944A JP3885109B2 (ja) 2002-03-19 2002-03-19 高収縮ミシン糸
PCT/JP2003/002865 WO2003078710A1 (fr) 2002-03-19 2003-03-11 Fil de machine a coudre a haut pouvoir de retra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291A true KR20040094291A (ko) 2004-11-09

Family

ID=2803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022A KR20040094291A (ko) 2002-03-19 2003-03-11 고수축 미싱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069699A1 (ko)
JP (1) JP3885109B2 (ko)
KR (1) KR20040094291A (ko)
CN (1) CN1514893A (ko)
AU (1) AU2003211571A1 (ko)
GB (1) GB2390616B (ko)
HK (1) HK1062461A1 (ko)
TW (1) TW200304511A (ko)
WO (1) WO2003078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0329B (zh) * 2009-11-30 2013-12-18 郡是株式会社 内填羽毛纤维制品用缝纫线
CN102108575A (zh) * 2011-03-17 2011-06-29 滁州市南谯制线厂 医疗防护用品专用缝纫线
CN110820104A (zh) * 2018-08-10 2020-02-21 浙江华孚色纺有限公司 一种分段起皱混色纺纱线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214A (en) * 1977-10-14 1979-05-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Yarn product and process
JPH0229778B2 (ja) * 1984-10-18 1990-07-02 Teijin Ltd Horiesuterumishinito
US4829761A (en) * 1987-06-05 1989-05-16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filament yarn having spun-like or staple-like character
JPH02293429A (ja) * 1989-05-09 1990-12-04 Fujii Seni Kk ポリエステルミシン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27464A (en) * 1991-01-29 1998-10-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king high filament count fine filament polyester yarns
US5307614A (en) * 1991-09-26 1994-05-03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crimped yarn and woven fabric
EP0591827B1 (de) * 1992-10-03 1999-08-25 Hoechst Aktiengesellschaft Coregarne enthaltend eine Seele aus hochfestem Polyestermaterial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3137788B2 (ja) * 1993-03-15 2001-02-26 帝人株式会社 ギャザーリングミシン糸
JPH08199440A (ja) * 1995-01-10 1996-08-06 Teijin Ltd 染色ギャザーリングミシン糸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2461A1 (en) 2004-11-05
GB2390616A (en) 2004-01-14
WO2003078710A1 (fr) 2003-09-25
AU2003211571A1 (en) 2003-09-29
GB0326096D0 (en) 2003-12-17
CN1514893A (zh) 2004-07-21
GB2390616B (en) 2005-06-15
TW200304511A (en) 2003-10-01
JP2003278046A (ja) 2003-10-02
US20050069699A1 (en) 2005-03-31
JP3885109B2 (ja) 200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716B1 (en) Stable double covered elastic yarn, process for making same, and fabric comprising same
AU767552B2 (en) Multi-component yar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926962B2 (en) Dyed yarn
EP0956382B1 (en) Stable double covered elastic yarn, process for making same, and fabric comprising same
JP4723346B2 (ja) 接着芯地用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芯地
JP6689293B2 (ja) 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2005105420A (ja) スポーツ衣料
KR20040094291A (ko) 고수축 미싱사
JP2541661B2 (ja) 接着芯地
JP3963356B2 (ja) 細幅織物
JP3963774B2 (ja) 織物
JPS6244050B2 (ko)
JP2019127669A (ja) 耐擦過摩耗性及び耐スナッグ性に優れた伸縮性織物
JP2003119631A (ja) 被覆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9892A (ja) 複合糸
JP2011021311A (ja) 接着芯地用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芯地
JP2004183193A (ja) 織物
JP4130782B2 (ja) 高密度織物
JP2005089893A (ja) 複合糸
JP3847144B2 (ja) ストレッチ性交織織物
JP2001329437A (ja) ポリエステル繊維
JP4092313B2 (ja) 製品染め用コアヤーンミシン糸
JP2006016700A (ja) 伸縮性複合紡績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92547A (ja) ダンボールニット
JP4201547B2 (ja) 芯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