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744A -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744A
KR20040093744A KR10-2004-7014847A KR20047014847A KR20040093744A KR 20040093744 A KR20040093744 A KR 20040093744A KR 20047014847 A KR20047014847 A KR 20047014847A KR 20040093744 A KR20040093744 A KR 20040093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cooling
cold
low temperature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767B1 (ko
Inventor
히라오야스히로
하리우카즈오
나카가와히로유키
니시다코오사쿠
Original Assignee
마에카와 매뉴팩쳐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에카와 매뉴팩쳐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에카와 매뉴팩쳐링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9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수산 식품과 같은 상품을 도매 시장에 반입하는 시작 단계에서부터 상품의 구매 및 판매를 통해 시장으로부터 상품을 출하하는 단계까지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경매와 같은 특정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형 또는 고정 테이블에 오염된 공기로부터 분리된 저온 구역을 대류형 열층에 의해 형성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으로서, 운반 수단이 설치된 상부 개방 케이스(30), 케이스(30)와 별개로 제공되는 왕복형 함수 냉각 유닛(30b) 및 함수 배관(30c)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개방 케이스(30)는 바닥 중심부에 설치된 롤러 컨베이어(35), 롤러 컨베이어에 인접 설치된 냉각용 평판 그룹 및 측방향으로 측벽의 내면에 설치된 냉각 판 그룹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LOW TEMPERATURE ZONING FORMATION SYSTEM FOR HOLDING FRESHNESS OF FOOD}
어선으로부터 생선을 하역하는 생선 시장과 같은 수산 식품 도매 시장에서의 경매에서, 하역된 생선을 하역한 어선과 경매 준비되는 생선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대략 40 제곱 cm의 덩어리로 경매 시장의 바닥에서 직접 생선은 분류, 청소 및 배열된다. 경매 현장은 대략 300m 길이에 이르고, 최종 경매가 종료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며, 공기와 햇빛에 노출된 생선이 건조되고 온도가 올라가는문제가 있다.
도매 시장에서, 신선한 수산 식품의 수집, 분류, 저장, 거래, 수송 및 매각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며, 그 동안 적어도 거의 모든 신선한 수산 식품은 외기에 노출되고 소유자로부터 구매자에게 건네어 진다. 이 시간 중에, 신선한 수산 식품은 배기, 박테리아 등에 오염된 환경에 노출된다. 특히 신선한 수산 식품을 거래하는 경우에는 신선한 수산 식품이 오염된 환경과 분리된 저온 구역에 수용된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생 목적과 식품의 신선도 유지 목적을 위해 도매 시장에는 저온 저장 설비가 요구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 대해서는, 그와 같은 상황에 직접 적용 가능한 제안이 개시된 것이 많지 않다. 냉기 커튼이 장치의 개구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냉동기에 관한 제안이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제01-28778호에 개시되었다.
이 제안은 상품이 장치에 출입하는 개구를 가로질러 공기 커튼이 형성된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다. 진열 케이스 본체(51)는 상품을 수용할 저장실(52)을 구비하고, 상품이 저장실에 출입할 개구(5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53)의 양쪽에는 냉기류(54)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입구(55)와 냉기류(54)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출구(56)가 형성되며, 이들은 서로 대향되어 있다.
저장실(52) 바닥 아래의 공기 입구(55)를 공기 출구(56)와 연결하는 통로(57)에는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58), 순환 공기를 정상 동작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60) 및 이 증발기(60)의 성에 제거시 순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59)가 배치된다. 베이스 프레임(61)에는 냉동기의 응축기(62)와 압축기(63)가 배치된다.
정상 동작시, 냉매는 압축기(63)로부터 응축기(62), 열교환기(59), 도시하지 않은 팽창 밸브 및 냉매의 증발에 의해 순환 공기가 냉각되는 증발기(60)를 통해 순환되어 압축기(63)로 귀환한다. 압축기(63)에서 압축된 고압 및 고온의 기상 냉매는 응축기(63)에서 냉각되어 액상으로 응결되며, 액상 냉매는 열교환기(59)에서 과냉된 다음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하여 증발기(60)에서 증발되어 순환 공기를 냉각시킨다.
증발기의 성에 제거시, 냉매는 압축기(63)로부터 응축기(62), 증발기(60) 및 열교환기(59)를 통해 순환하여 압축기(63)로 귀환한다. 증발기(60)는 응축기(62)로부터의 액상 냉매의 감지 가능한 열에 의해 성에가 제거된다. 성에 제거 공정을 통해 과냉된 액상 냉매는 도시 생략한 팽창 밸브를 경유해 열교환기(59)로 흘러 증발되어 순환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 제안에 따르면, 정상 동작의 냉매 순환 방향을 역전시키면 성에 제거 동작이 가능하고 이 성에 제거 동작은 냉각 순환 공기가 이루어지는 동안 수행되므로, 성에 제거 중에 저장실의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저장실의 개구를 가로질러 공기 커튼이 형성되므로, 장치는 저장실에 수용된 신선한 수산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안 이외에, 육류 및 수산 식품 가공 공장 등의 식품 가공 공장에서식료품과 식품을 운반하고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냉동 식품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관한 제안이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1-287545호에 최근 개시되었다. 이 설비는 도 10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다. 벨트 컨베이어(72)를 가로질러 대향된 냉기 배출구(74a) 및 유입구(74b)는 냉동 식품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72)의 이송 방향(S)을 따라 좌측과 우측에 마련되며, 냉기에 의해 벨트 상에 저온 공간(R)이 형성된다.
벨트 컨베이어(72)의 상부 이송측 벨트(72a)와 하부 귀환측 벨트(72b) 사이의 공간에 냉각 섹션(75)이 마련된다. 냉각 섹션에서 냉각된 냉기는 냉기 배출구(74a)로 보내져 이송측 벨트(72a)의 표면에 송풍되어 입구(74b)에 흡입됨으로써 냉기가 순환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저온 공간(R)이 이송측 벨트(72a)의 표면에 형성되고 동시에 그 배면도 역시 냉각된다.
전술한 제안은 육류 및 수산 식품 가공 공장 등의 식품 가공 공장뿐만 아니라 수산 식품 또는 과일과 채소의 도매 시장에서 식료품을 이송하고 일시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외부의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격리된 저온의 환경이 형성된 저온 형성 시스템에 대해서는, 관련 상황에 직접 적용 가능한 제안은 없다. 현재까지는 열층(熱層) 상태로 열을 저장하는 열 저장 탱크의 제안들이 개시된 바 있다. 그와 같은 제안의 일례는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낮은 밀도의 고온수가 높은 밀도의 저온수와 혼합되지 않는 층상으로 물을 저장하는 열층 형태의 열 저장 탱크를 사용한다.
상기 제안 이외에, 운반한 생선을 진열 및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4315호에 개시되었으며, 이는 운반한 생선을 시장 바닥에 놓고 경매하는데 따른 위생 및 품질 문제를 해결하였고 운반한 생선의 위생적인 저장이 가능해 졌다.
진열 및 저장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수(鹹水) 통로(78b)가 내부에 형성된 냉각 패널(78a)인 냉각부 및 이 냉각 패널(78a) 바닥에 부착된 절연부(79)로 구성되며, 운반한 생선은 냉각 패널의 표면에서 진열될 수 있다. 식품에 사용 가능한 함수는 냉각 패널을 냉각하도록 함수 통로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장치는 생선 상점에 제공되며 분배 공정은 진열 및 저장 장치에서 수행된다.
전술한 제안에서 알 수 있듯이, 필요시 이동할 수 있는 상자 형태의 공간이 상품 저장 시설로서 제공되며, 공간 내의 온기를 비롯한 외기가 추출되는 대신 냉기가 공간 안으로 공급되어 공간 내의 환경을 균일한 온도 분포의 저온 환경으로 지속적으로 교체한다.
대체 방법으로서, 공간에 공급된 공조 공기의 온도와 공간 내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된 온기의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의 열층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머무르거나 작업하는 층에 인접한 공간의 하부에 신선한 공기 구역 형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었다. 그와 같은 것으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06-185780호에 환기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제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80) 내부의 공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조 공기(82)가 공간(80)의 바닥 가까이 배치된 환기 출구(81)로부터 저속으로 송풍되며, 복수의 노즐이 천장 가까이 배치되어 고속의 공기 제트 기류(83)를 형성하여 천장에 인접한 공간 내의 공기가 공기 제트 기류(83)와 함께 천장에 인접 배치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제01-28778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르면, 공기 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냉기가 수산 식품과 같은 수용 상품과 충돌하므로 상품 표면이 건조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팬 등이 상품 등의 수산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냉장실의 후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청소가 까다롭고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제안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냉장실을 차단하는 냉기 커튼의 활용에 관한 것이며 냉장실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에 관한 개시는 없다.
또한, 상기 장치는 (공기 교환기, 팬, 공기 입구 및 공기 출구와 같은) 냉기 순환 메커니즘을 포함하므로,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공간은 제한되며 장치를 상점의 구조와 유용성에 맞게 배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1-287545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가공된 냉동 식품을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냉기를 송풍하여 저온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제01-28778호에 존재하는 것과 유사한 문제가 있다.
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4315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냉각 패널을 사용하는 저온 저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패널은 운반한 생선과 같은 수산 상품을 그 위에 놓는 것으로만 사용되며, 패널에 배치된 운반한 생선 둘레에 저온 구역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대한 기재는 없다.
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06-185780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열층을 형성하는 공지된 방법을 활용한 공간 내부의 공기 배치에 관한 것으로, 수산 상품과 같은 신선한 식료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온 구역의 형성에 관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의 위생과 신선도 유지 목적을 위한 저온 저장 시설이 주로 수산 식품, 과일 및 채소를 취급하는 중앙 도매 시장에 필요하며, 사전 조립된 냉장고 또는 저온 형성 시설이 최근에 설치되기 시작하고 있다.
영구적인 시설이 아니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운반된 생선 진열 시설이 본 출원과 다른 출원의 출원인들에 의해 제안되었다.
전술한 제안은 경매 시장을 둘러싸고 둘러싸인 공간을 냉기로 채우는 진열 및 저장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저온 구역을 형성하는 제안된 냉각 시스템은 개방형의 국부적인 냉각 시스템으로, 냉기가 회수되지 않으며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편, 저온 저장 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저가 소형이면서 고효율의 시설을 원한다.
현재, 수산 식품과 같은 신선한 식품의 도착에서 선적까지의 시장에서의 취급 작업이 많은 경우 상온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위생과 신선도 유지 관점에서 개선이 강하게 요구된다.
최근, 경매 시장에서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서, 전체 경매 시장을 대형 상자 형태의 시설로 하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제품 수령, 경매를 위한사전 배치, 예비 검사 및 선적이 장기간 동안 저온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저온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육류 및 수산 식품 가공 공장과 같은 식품 가공 공장뿐만 아니라 수신 식품, 과일, 채소 등의 도매 시장에서 식료품의 운송과 일시적인 저장에 필요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수신 식품과 같은 식품이 취급되는 도매 시장에서 사용되고 이들 수산 식품이 시장에 반입, 경매 및 반출되기까지 과정 중에 이들의 신선도 유지가 필요한 이동식 또는 고정식 테이블에 저온 구역을 형성하여 수산 식품과 같은 음식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저온 구역이 냉기 유입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냉기 순환을 수행할 수 있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함수 냉각기의 사용에 의해 도 1의 복수의 저온 형성 시스템의 병렬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2(B)는 진열용 수산 식품이 도 1의 저온 형성 시스템에서 운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대류에 의해 저온 구역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서의 대류의 기본 패턴을 나타낸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3에서 대류의 기본 패턴이 도시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의 부분 단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의 단일 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4의 복수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이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서 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위치들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의 냉각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의 냉각 시험의 개시 1.5 시간 후의 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위치들에서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6의 냉각 시험에서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장치의 개구를 가로질러 냉기 커튼이 형성된 종래기술의 냉동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냉장 음식 이송용의 종래기술의 벨트 컨베이어 설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의 수산 식품 진열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공간 내의 공기를 교체하기 위한 열층을 활용하는 종래기술의 환기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오염된 환경에서 분리된 저온 구역이 이동 또는 고정 테이블에 형성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시스템을 주로 신선한 식료품을 취급하는 도매 시장에 적용하면, 도매 시장에서 식료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이들의 반입, 경매 및 반출을 수행할 수 있다.
(1) 본 발명은 도매 시장에서 신선한 수산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도록 바닥면과 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며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상향 개방된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으로서, 상기 바닥면 위에 수직 방향의 저온 분포를 갖는 열층 형태의 저온 온도 구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열층이라는 개념이 수산 식품과 같은 신선한 식료품(이하 상품이라 부름)을 진열하기 위한 경매 시장에 사용되는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상자형 공간에 도입된다.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를 갖는 저온 구역이 네 개의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바닥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품은 저온 구역에 진열된다. 열층화한 저온 구역의 형성에 의해, 저온 구역의 냉기의 이동은 저온 구역 상부의 온기 영역에 의해 저지되며, 저온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수산 상품은 공기의 이동이 없는 거의 정체된 저온 공간에 수용되며 식료품의 품질 손상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외기로 이루어진 온기 영역의 오염된 공기가 온기 영역 아래의 저온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이 차단되므로 외기에 의한 식료품의 오염 문제도 역시 방지된다.
(2) 필요시 냉기가 상기 저온 구역의 하부에 유입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냉기를 외부로부터 상자형 공간의 바닥 위에 형성된 저온 구역 안으로 유입하여 형성되는 냉기 유입형의 열층화한 저온 구역에 관한 것이다.
저온 구역의 상태는 냉기의 유입 속도에 따라 다르다. 냉기가 저속으로 유입되면, 저온 구역 내의 수직 온도 분포는 냉기의 유입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냉기 구역의 교체도 완만한 대류하에 발생한다. 속도가 크면, 새로운 냉기 구역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외기가 냉각되고 직접 유입되면, 공기를 여과해야 한다.
외부로부터 상기 여과된 냉기를 유입하는 것은 상품의 반입과 반출 또는 대체에 의한 저온 구역 내의 공기 오염 또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시스템에 요구된다.
(3)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기는 정상 동작시 저속으로 유입되며 필요시 냉기의 유입은 강제 유입으로 절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필요한 온도 분포를 갖는 층상 저온 구역을 형성한다.
상기 발명은 냉기를 저온 구역 안으로 강제 유입시켜 저온 구역을 구성하는 저온 구역을 강제 형성하는 시스템 구성에 관한 것이다.
(4) 상기 바닥은 양 측부에 이송면을 갖는 열교환기를 구성하며, 열이송면들중의 하나는 냉각 바닥면을 형성하고 열이송면들 중의 다른 하나는 열이송면을 형성하여 바닥의 배면측에 형성된 냉기 형성 챔버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 개방 영역의 온기 구역 내의 온기는 냉기 형성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 그 안에서 냉각되며, 챔버 내에서 형성된 냉기는 상기 하나의 열이송면 위에 형성된 저온 구역 안으로 유입되어 새로운 냉기 층상 구역을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 유입형 열층에 의해 바닥과 네 개의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상자형 공간에 저온 구역을 형성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공기 냉각을 위해 양쪽 측면에 열이송면이 있는 냉각용 열교환기가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 전체에 제공되며, 열이송면들 중의 하나가 상자형 공간 내의 공기를 냉각하고 다른 열이송면이 바닥 아래에 형성된 냉기 형성 챔버 내의 공기를 냉각하며, 저온 구역 상부의 온기 영역의 온기는 냉기 형성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 냉기를 형성하고 저온 구역으로 유입되어 그 안의 공기를 교체한다. 온기가 냉기 형성 챔버로 유입되기 전에 이를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바닥은 양쪽 측부에 열이송면을 갖는 냉각 평판이며, 열이송면들 중의 하나는 냉각 바닥면을 형성하고 열이송면들 중의 다른 하나는 열이송면을 형성하여 바닥의 배면측에 형성된 냉기 형성 챔버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 개방 영역의 온기 구역 내의 온기는 상기 냉기 형성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 그 안에서 냉각되며, 챔버 내에서 형성된 냉기는 상기 하나의 열이송면 위에 형성된 저온 구역 안으로 유입되어 새로운 냉기 층상 구역을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서, 양측에 열이송면이 있는 냉각 평판이 상기 열교환기 대신 사용된다.
(6) 별개의 냉각 패널이 상기 바닥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패널에 의해 형성된 냉기가 바닥 위의 저온 구역 안으로 강제 유입되어 원하는 온도의 냉기 층상 구역을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강제 냉기 유입을 만족시킬 수 있는 냉기 유입형 열층에 의해 저온 구역을 형성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바닥의 배면에 설치된 냉각 패널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강제 유입하면, 전체 저온 구역이 냉각되고 새로운 냉기 구역이 짧은 시간에 형성될 수 있어 강제 냉기 유입을 만족시킬 수 있다.
(7)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은 한 측면에 평탄한 열이송면이 있는 일측 냉각 평판이며, 열층의 형성은 상기 열이송면에 냉각 용량을 집중하여 짧은 시간에 가능하다.
전술한 발명에서, 일면에 평탄한 열이송면이 있는 일측 냉각 평판이 상기 열교환기 대신 사용된다. 이것은 도매 시장 등에서 상품을 신속하게 진열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8) 상기 네 개의 측벽 중의 내면과 상기 바닥면은 냉각 평판을 형성하여, 네 개의 측벽의 냉각판에 의한 냉각에 의해 형성된 하향 냉기류와 바닥의 냉각판에 의한 공기의 냉각에 의해 형성된 냉기 구역 사이의 대류에 의해 형성된 저온 구역 및 상기 저온 구역 위에 형성된 온기 영역에 의해 대류형 냉기 층상 구역이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대류형 열층에 의한 저온 형성에 관한 것이며, 이는 냉기 유입형 저온 구역 형성과는 상이한 저온 구역 형성이다.
대류형 열층에 의한 저온 구역 형성에서, 저온 구역은 바닥면에 설치된 냉각판뿐만 아니라 네 개의 측벽의 내면에 설치된 냉각 평판의 사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측벽의 내면에 설치된 냉각 평판을 따라 하향 냉기류가 발생하며,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기류 및 냉기 층상 구역에 의해 자연 대류가 야기되며, 두꺼운 냉기 구역을 갖는 저온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9) 네 개의 측벽 중의 양쪽 종방향 측벽의 내면에 냉각 평판이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10)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된 이송 섹션이 측부의 종방향으로 또는 교차 방향으로 상기 바닥의 일부에 설치되며, 도마 역할을 하는 냉각 평판이 이송 섹션을 제외한 위치에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상자형 공간의 바닥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롤러 컨베이어가 종방향 또는 교차 방향으로 장방형 바닥의 일부에 설치되며, 도마 역할을 하는 냉각 평판(들)이 이송 섹션을 제외한 위치(들)에 제공된다. 이렇게 하면, 진열될 상품의 반입 및 반출 효율이 향상되고, 수작업에 의한 교차 오염이 감소하며, 냉각 평판(들)은 도마 역할을 하는 롤러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냉각 평판을 도마로 사용하면, 상품은 경매 전에 필요시 절단할 수 있다.
(11)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측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바닥에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12) 상기 네 개의 측벽은 외측으로 회전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 내에 상품을 저장할 때, 벽은 바닥과 밀착된 직립 상태로 복귀하여 저온 구역을 형성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저온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측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품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도록 피벗에 의해 벽의 하단을 연결하여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거나 벽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면 청소의 효율이 향상된다.
롤러 컨베이어에 수직인 측벽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케이스 본체가 상기 분리 가능한 측벽과 연결되면, 각각의 케이스 본체의 롤러 컨베이어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긴 저온 구역의 길이가 시장 상태 및 공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컨베이어를 설치하면, 무거운 수산 식품의 이송이 용이해지고 경매 효율이 향상된다.
(13) 상기 저온 구역의 온도는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을 냉각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의 온도 제어를 통해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의 냉각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얼음이 있는 저장 온도로부터 수산 식품의 냉동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제어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저온 구역의 온도 결정 수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저온 구역의 온도가 경매 시장에서 취급되는 상품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료품의 저온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저온 구역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면 좋다. 예컨대, 냉동 식료품의 냉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를 비롯한, 어위니에(erwinieae)의 증식 한계 온도와 바툴리누스(batulinus)의 독소 형성 한계 온도로, 대략 3℃의 접촉 결빙 온도보다 낮게, 저온의 냉각 구역을 유지하도록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14) 냉기를 저온 구역에 유입하기 위한 개구에는 유동 평판이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상기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저온 구역 안에 냉기를 야기하기 위한 개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냉기가 난류 상태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동 평판을 제공하면 좋다.
(15)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의 열이송면들 중의 하나가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고 다른 열이송면이 바닥의 배면을 형성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 아래에 얕은 통로인 냉기 형성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측 열이송면은 오목부, 볼록부 및 핀이 제공되고 블래스트(blast) 마무리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의 배면측 열이송면 아래의 냉기 형성 챔버에 관한 것이다. 냉기 형성 챔버의 단면을 작게 하여 좁은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속도를 올리고 기류와 열이송면 사이의 열이송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냉기 형성 챔버를 형성하면 좋다. 열이송면은 오목부, 볼록부 및 핀이 제공되거나 블라스트 마무리되면 좋다.
(16) 상기 바닥면 또는 벽의 내면과 상기 바닥면 양쪽에 제공되는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에는 냉각된 함수가 공급되며, 상기 함수는 상기 상향개방 케이스 본체의 바닥 아래의 공간에 수용되는 냉동기에 의해 또는 상기 시스템 외측에 배치되는 중앙 냉동기에 의해 함수 배관을 통해 냉각되면 바람직하다.
(17) 상기 냉각 평판을 분리 또는 부착할 때 함수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측벽의 내면과 바닥면 양쪽에 설치된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에 일체화한 각각의 함수 배관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구에 차단 밸브가 부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은 히트 싱크 장치와 바닥을 형성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 사이의 연결에 관한 것이며, 냉각 평판은 저온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상향 개구 케이스 본체의 네 개의 측벽에 설치된다. 프로필렌 또는 소금물이 냉매로 사용된다. 상기 히트 싱크 장치로는, 함수 냉각기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수용되거나, 냉장 유닛이 별개로 제공된다. 열교환기와 냉각 평판은 커플러와 같은 접촉식 연결구에 의해 함수 배관에 연결된다. 자동 차단 밸브가 열교환기 및 냉각 평판에 제공되며, 함수는 분리 후에도 열교환기와 냉각 평판에 머무르며, 함수의 누설이 방지된다.
(18) 상기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에는 햇빛이 저온 구역 안으로 비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양 시트가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19) 상기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에는 기부에 캐스터가 제공되며, 상품의 반입 및 반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직 위치가 정해지면 바람직하다.
상품 진열용 저온 구역을 형성하는 상향 개구 본체의 기부에 캐스터를 부착하여 케이스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면 좋다. 주로 수형 수산 식품을 진열하기 위해 적용되는 냉기 유입형 저온 형성 시스템의 경우, 케이스 본체의 바닥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하여 반입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의 치수, 소재 및 상대적 위치 등은 특정하지 않는 한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것은 아니다.
도 1은 저온 구역이 냉기 유입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냉기 순환을 수행할 수 있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A)는 함수 냉각기의 사용에 의해 도 1의 복수의 저온 형성 시스템의 병렬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B)는 진열용 수산 식품이 도 1의 저온 형성 시스템에서 운반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3은 대류에 의해 저온 구역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서의 대류의 기본 패턴을 나타내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3에서 대류의 기본 패턴이 도시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의 부분 단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전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A)는 도 4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의 단일 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4의 복수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이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서 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위치들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의 냉각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6의 냉각 시험의 개시 1.5 시간 후의 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위치들에서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8은 도 6의 냉각 시험에서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강제 냉기 순환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25)은 캐스터(20a)를 갖는 하이 덱 구조체(20)의 상부 섹션에 저온 구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10)가 구조체에 마련되며, 작업자들이 상품을 용이하게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시장 바닥에서 케이스 본체(10)의 하부 바닥까지의 높이(H)는 저온 구역에서의 상품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하게 결정된다. 케이스 본체(10)는 4 개의 내측벽(13a) 및 4 개의 외측벽(13)을 구비한다. 강제 냉기 순환을 수행할 수 있는 저온 구역(15)이 상기 내벽에 의해 둘러싸인 케이스 본체(13)의 하부 바닥 역할을 하는 열이송면(11)의 표면(11a) 위쪽공간에 형성된다. 저온 구역(15)은 저온 구역(15)의 온도보다 높고 외기의 온도와 대략 동일한 온도의 온기 구역(16)에 의해 외기로부터 분리되며, 참조 번호 17은 양쪽 구역의 수평 경계선을 나타낸다.
수산 식품과 같은 상품들이 저온 구역(15)에 진열되어 경매를 위해 저온으로 유지된다. 시스템의 상품 또는 운전 동작을 교체할 때, 냉기가 저온 구역(15) 안으로 강제 유입되어 새로 유입된 냉기와 함께 저온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의 열이송면(11a)은 저온 구역(15)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에 머무르는 공기를 냉각하도록 냉각 평판(11)의 상부 열이송면 역할을 한다. 냉기 형성 챔버(12)가 냉각 평판(11)의 하부 열이송면(11b) 아래쪽에 형성되며, 챔버(12)는 깊이가 얕은 공기 통로이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이송면(11b)에 의해 냉각된다. 온기 구역(16)과 연통된 입구(18a)가 저온 구역(15)의 우측에 마련되며, 회전 속도가 변경 가능한 팬(18)이 입구(18a)를 냉기 형성 챔버(12)와 연통시키는 통로에 마련된다. 저온 구역(15)의 좌측에는 챔버(12)에서 형성된 냉기를 저온 구역(15) 안으로 유입시키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유동 평판(current plate, 19)이 개구에 마련된다.
강제 냉기 순환 동작은 속도 변경 가능한 팬(18)에 의해 고속으로 공기를 온기 구역(16)으로부터 흡입하여 수행되며, 팬(18)에 의해 흡입된 온기는 냉기 형성 챔버(12) 안으로 유입되어 냉각되며, 냉각된 공기는 저온 구역(15) 안으로 유입되고 유동 평판(19)을 통과하며 이 유동 평판(19)에 의해 기류는 직선화되어 공간 내의 공기를 신속히 교체함으로써 전체 저온 공간을 신속하게 냉각한다.
냉기 형성 챔버(12)를 구성하는 공기 통로는 하부 열이송면(11b)으로부터 효율적인 열이송을 달성하도록 얕은 깊이로 형성되며, 열이송면(11b)은 오목부, 볼록부 및 핀이 제공되거나 열이송을 개선하도록 블래스트(blast)로 마무리된다.
상기 냉기의 강제 유입 및 상품의 대체가 끝나면, 상기 팬(18)은 저속 동작으로 절환되며 냉기는 저속으로 저온 구역으로 유입된다.
함수를 위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소금물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을 위해 상기 냉각 평판(11)을 냉각하며, 함수는 케이스 본체 아래에 수용된 냉동기(21) 또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별체의 함수 냉각기(21a)에 의해 냉각된다. 복수의 강제 냉기 순환 유형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이 함수 배관(21b)에 의해 연결되어 병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25)의 양쪽 종방향 측벽(22)은 작업자의 허리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냉각 평판(11)에 의해 형성된 바닥으로부터 상품을 쉽게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도 2(B)의 화살표(A)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에는 대류에 의해 저온 구역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에서의 대류의 기본 패턴이 도시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류형 저온 구역(43)은 도매 시장에 마련된 가동 또는 고정 테이블이나 시장의 바닥에 배치된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4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냉각 평판(31a)이 케이스 본체(40) 내의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외기를 구성하는 온기 영역(44)은 중간 수평 경계선(44a)을 통해 분리되고, 저온 구역(43)은 상기 냉각 평판(31a) 위에 자연 대류(45)에 의해 형성된다. 저온 구역(43)은 수산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에 가장 적절한 3℃ 미만의 접촉 결빙 온도(icing temperature)와 결빙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온도 사이의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저온 구역(43)은 상기 수평 경계면(44a) 위에 형성된 온기 영역(44)과 저온 구역(43) 사이에 대류에 의해 하기와 같이 형성된다.
냉각 평판(31a, 33a, 33b)은 케이스 본체(40)의 벽의 바닥면과 내면에 설치되며, 함수는 냉매로서 이들 평판 내부에서 순환하여 냉각면의 온도를 0℃ 내지 -20℃ 부근의 온도 구역으로 유지한다.
외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와 외기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공기층이 측벽의 냉각 평판(33a, 33b)의 면에 형성되며, 냉각된 공기는 천천히 하향 유동하여 온기 영역의 저밀도의 온기와 관련되지 않고 자연 대류를 일으킨다. 따라서, 대류는 경계면(44a)에 의해 분리된 온기 영역(44)과 저온 구역(43) 사이에서 발생하여 대류에 의해 저온 구역 형성이 일어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오염된 외기와 관련되지 않은 저온 구역(43)이 형성되며, 케이스 본체의 바닥인 테이블에 배치된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냉기가 저온 구역 안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결빙에 의한 냉각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기가 상품에 충돌하는 것에 따른 수용된 상품의 악화도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저온 구역(43)의 온도는 바툴리누스(batulinus)의 독소 형성 한계 온도와 어위니에(erwinieae)의 증식 한계 온도보다 낮은, 3℃ 미만의 0℃ 부근의 온도 구역으로 정해지며, 수용된 수산 식품을 접촉 결빙하거나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수산 상품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도 4(A), 4(B) 및 4(C)에 도시한 본 발명의 대류형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은 샤시(30a), 외벽이 절연 소재로 피복된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30), 별개로 마련된 함수 냉각 유닛(30b) 및 함수 배관(30c)을 포함한다.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3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바닥의 중심부에 설치된 롤러 컨베이어(35), 컨베이어(35)의 양측에 인접해 각각 배치된 냉각 평판(31a) 및 케이스 본체(30)의 종방향 측벽(33)에 각각 설치된 냉각 평판(33a, 33b)을 포함한다.
종방향 측벽(33)은 화살표(B)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도 5 참조)할 수 있도록 힌지(38)에 의해 부착되며, 측벽에 부착된 회전형 스토퍼(39)는 시장 바닥과 접촉하여 회전시 측벽을 지지한다. 케이스 본체(30)의 짧은 측벽(32)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가능하며,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을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냉각 평판은 내부에 함수 통로가 마련된 평탄한 탱크 또는 얇은 평판형 폐쇄관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함수 배관(30c)은 접촉식 연결구에 의해 상기 평탄한 탱크 또는 얇은 평판형 폐쇄관의 함수 입구 및 출구에 연결되며, 각각의 연결구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차단 밸브(shut-off valve)가 마련된다.
도 4(B)와 도 5에 도시된 함수 냉각 유닛(30b)에서 냉각된 함수는 도시 생략한 냉각 평판 내의 배관(30c)과 함수 통로를 통해 순환 유동하여 도 4(B)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함수 냉각 유닛에 귀환하며, 함수 배관(30c)은 예컨대 록 커플러 플러그(rock coupler plug)에 의해 입구(37a)와 출구(37b)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35)가 종방향 측면을 따라 케이스 본체(30)의 바닥의 중심부에 제공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 측벽(32)을 분리하여 수산 식품과 같은 상품을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저온 구역에 반입 및 반출하면서도 교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장에서 상품의 효율적이고도 위생적인 유통을 달성할 수 있다.
수산 식품의 절단과 같은 상품의 가공이 필요한 경우, 종방향 측벽(들)을 회전 또는 분리하여 롤러 컨베이어(35)에서 이송되는 상품을 냉각 평판(31a)으로 옮길 수 있으며, 이 가공은 냉각 평판에서 이루어지고 가공된 상품은 즉각 경매될 수 있다.
분리되거나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각각의 냉각 평판에는 함수용 입구와 출구에 자동 차단 밸브가 마련됨으로써, 냉각 평판의 분리 또는 회전시 함수의 누설을 방지하며, 케이스 본체는 냉각 평판이 분리 또는 외측으로 회전되더라도 잠시 동안 냉각 구역을 저온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열용량을 갖는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상품을 효율적으로 반입 및 반출하고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식료품의 안전한 취급이 가능해 진다.
사용되는 상기 함수가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소금물이므로, 소금물이 사용될 때, 식료품은 누수가 일어나는 경우 누설된 소금물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시험 결과
이하 상품을 테이블에 배치하지 않은 냉각 시험(무부하 시험)의 결과를 설명한다.
시험된 장치의 테이블의 치수는 1400X2000mm이다.
(a) 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위치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는 도 6에 도시된다.
그래프에서, 각각의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저온 구역에서 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높이 해당한다.
A: 0mm
B: 100mm
C: 200mm
D: 300mm
E: 측벽 상단의 높이
함수의 온도는 세 단계로 변화하였다. 이는 (테이블 표면의 온도인) A로 표시한 곡선으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 ∼ 1℃, -3℃ ∼ -1℃ 및 -6℃ ∼ -3.5℃였다.
그래프에는 측벽 중의 하나가 시험 개시 400분 경과 후에 7.5분간 개방된 다음 닫혔을 때의 온도 상승도 역시 도시된다. 온도는 16분 후에 저온으로 복귀된 것이 인지된다.
(b) 시험 개수로부터 1.5 시간 후의 수평 방향의 온도 분포가 도 7에 도시된다.
테이블 표면의 온도는 0℃였으며, 대기 온도는 21.6℃였다. 테이블면으로부터 200mm 미만의 영역이 12℃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었고 300mm에서 13℃ 내지 16℃로 냉각된 것을 그래프에서 알 수 있다.
또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측벽으로부터 가장 먼 중심 위치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c) 매개 변수로 취한 냉각 평판의 온도에 따른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가 도 8에 도시된다.
그래프의 각각의 얇은 직선(B, D, F)은 테이블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표면으로부터 400mm로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고 할 때의 온도 분포를 보여준다.
그래프에서, 실제 온도는 표면으로부터 100mm에서의 선형 분포보다 더 높고 200mm에서의 선형 분포와 대략 동일하며 300mm에서의 선형 분포보다 대략 3℃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저온 성층(成層)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위 결과로부터, 테이블 표면으로부터 200mm 미만의 위치에서 온도가 10℃ 미만인 저온 구역이 형성되었다고 인정된다.
(d) 냉각 평판의 1m2당 열부하(함수가 가져간 열량)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함수 온도가 0℃일 때: 504W/m2
함수 온도가 -2℃일 때: 540W/m2
함수 온도가 -5℃일 때: 576W/m2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a) 이동 또는 고정 테이블에 오염된 환경에서 분리된 저온 구역을 형성함으로써,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경매를 포함해 반입에서 선적까지 수산 식품과 같은 상품을 취급하는 도매 시장의 전체 공정에서 상품의 저온 저장이 가능하다
(b) 외기와 관련 없이 저온 구역이 형성되므로, 오염된 외기와 관련된 냉기에 의한 생선의 손상이 방지된다.
(c) 대류형 열층에 의해 형성된 저온 구역의 경우, 결빙에 의한 냉각 효율 저하가 강제 냉기 순환형의 경우에서처럼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d) 함수 배관이 시스템의 큰 냉각 저장 용량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냉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E) 각각 평탄한 열이송면을 갖는 냉각 평판들이 각각의 네 개의 측벽의 내면에 평탄한 열이송면이 설치된 냉각 평판을 구비하는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바닥의 중심부에 설치된 롤러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제공되므로, 복수의 시스템이 필요시 연결될 수 있어서 상품의 반입, 경매 및 선적이 도매 시장에서 일괄적으로 수행되어 상품이 시장에서 효율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f) 도마 역할을 하는 평탄한 열이송면을 구비하는 냉각 평판을 사용함으로써 상품의 절단과 같은 가공이 가능하다.
(g) 구조가 단순하고 측벽이 분리되거나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하고 안전성 및 위생 관리를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h) 냉각 평판을 냉각하기 위한 함수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소금물을 사용하므로, 식료품은 함수의 누설에 의한 오염에서 자유롭다.
(i) 자동 차단 밸브를 갖는 접촉식 연결구가 함수 배관을 냉각 평판에 연결하도록 사용되므로, 측벽을 분리 또는 부착할 때 함수의 누설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9)

  1. 도매 시장에서 신선한 수산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도록 바닥면과 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며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상향 개방된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으로서,
    상기 바닥면 위에 수직 방향의 저온 분포를 갖는 열층 형태의 저온 온도 구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필요시 냉기가 상기 저온 구역의 하부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는 정상 동작시 저속으로 유입되며, 냉기의 유입은 강제 유입으로 절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필요한 온도 분포를 갖는 층상 저온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양 측부에 이송면을 갖는 열교환기를 구성하며, 열이송면들 중의 하나는 냉각 바닥면을 형성하고 열이송면들 중의 다른 하나는열이송면을 형성하여 바닥의 배면측에 형성된 냉기 형성 챔버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 개방 영역의 온기 구역 내의 온기는 냉기 형성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 그 안에서 냉각되며, 챔버 내에서 형성된 냉기는 상기 하나의 열이송면 위에 형성된 저온 구역 안으로 유입되어 새로운 냉기 층상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양쪽 측부에 열이송면을 갖는 냉각 평판이며, 열이송면들 중의 하나는 냉각 바닥면을 형성하고 열이송면들 중의 다른 하나는 열이송면을 형성하여 바닥의 배면측에 형성된 냉기 형성 챔버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 개방 영역의 온기 구역 내의 온기는 상기 냉기 형성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 그 안에서 냉각되며, 챔버 내에서 형성된 냉기는 상기 하나의 열이송면 위에 형성된 저온 구역 안으로 유입되어 새로운 냉기 층상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별개의 냉각 패널이 상기 바닥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패널에 의해 형성된 냉기가 바닥 위의 저온 구역 안으로 강제 유입되어 원하는 온도의 냉기 층상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한 측면에 평탄한 열이송면이 있는 일측 냉각 평판이며, 열층의 형성은 상기 열이송면에 냉각 용량을 집중하여 짧은 시간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측벽 중의 내면과 상기 바닥면은 냉각 평판을 형성하여, 네 개의 측벽의 냉각판에 의한 냉각에 의해 형성된 하향 냉기류와 바닥의 냉각판에 의한 공기의 냉각에 의해 형성된 냉기 구역 사이의 대류에 의해 형성된 저온 구역 및 상기 저온 구역 위에 형성된 온기 영역에 의해 대류형 냉기 층상 구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네 개의 측벽 중의 양쪽 종방향 측벽의 내면에 냉각 평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된 이송 섹션이 측부의 종방향으로 또는 교차 방향으로 상기 바닥의 일부에 설치되며, 도마 역할을 하는 냉각 평판이 이송 섹션을 제외한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측부의 종방향으로 상기 바닥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측벽은 외측으로 회전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 내에 상품을 저장할 때, 벽은 바닥과 밀착된 직립 상태로 복귀하여 저온 구역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구역의 온도는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을 냉각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의 온도 제어를 통해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의 냉각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얼음이 있는 저장 온도로부터 수산 식품의 냉동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냉기를 저온 구역에 유입하기 위한 개구에는 유동 평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의 열이송면들 중의 하나가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고 다른 열이송면이 바닥의 배면을 형성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 아래에 얕은 통로인 냉기 형성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측 열 이송면은 오목부, 볼록부 및 핀이 제공되고 블래스트(blast)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또는 벽의 내면과 상기 바닥면 양쪽에 제공되는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에는 냉각된 함수가 공급되며, 상기 함수는 상기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의 바닥 아래의 공간에 수용되는 냉동기에 의해 또는 상기 시스템 외측에 배치되는 중앙 냉동기에 의해 함수 배관을 통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평판을 분리 또는 부착할 때 함수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측벽의 내면과 바닥면 양쪽에 설치된 냉각용 열교환기 또는 냉각 평판에 일체화한 각각의 함수 배관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구에 차단 밸브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에는 햇빛이 저온 구역 안으로 비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양 시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개방 케이스 본체에는 기부에 캐스터가 제공되며, 상품의 반입 및 반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직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KR1020047014847A 2002-03-19 2003-03-18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KR100720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5993 2002-03-19
JPJP-P-2002-00075993 2002-03-19
PCT/JP2003/003281 WO2003078908A1 (fr) 2002-03-19 2003-03-18 Systeme pour constituer des zones a basse temperature afin de preserver la fraicheur d'alimen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401A Division KR100750608B1 (ko) 2002-03-19 2003-03-18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744A true KR20040093744A (ko) 2004-11-08
KR100720767B1 KR100720767B1 (ko) 2007-05-22

Family

ID=280354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847A KR100720767B1 (ko) 2002-03-19 2003-03-18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KR1020067019401A KR100750608B1 (ko) 2002-03-19 2003-03-18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401A KR100750608B1 (ko) 2002-03-19 2003-03-18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22204B2 (ko)
JP (1) JP4007962B2 (ko)
KR (2) KR100720767B1 (ko)
TW (1) TWI290205B (ko)
WO (1) WO2003078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0773B2 (en) * 2006-12-14 2009-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9127873B2 (en) * 2006-12-14 2015-09-08 General Electric Company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JP4298772B2 (ja) 2007-10-29 2009-07-22 平田機工株式会社 搬送装置
US8806886B2 (en) * 2007-12-20 2014-08-19 General Electric Company Temperature controlled devices
US8099975B2 (en) * 2007-12-31 2012-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for a refrigerator
CN103082753B (zh) * 2013-01-24 2015-01-21 青岛海力商用电器有限公司 具有独立制冷单元的冷柜及其方法
US9861213B2 (en) * 2014-11-13 2018-01-09 The Vollrath Company, L.L.C. Forced cold air well with false bottom insert
US10365036B2 (en) * 2015-09-23 2019-07-30 Isee Store Innovations, Llc Beverage cooling display systems and methods
US10188223B2 (en) 2016-09-26 2019-01-29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including eutectic plate refrigeration
EP4217671A1 (en) * 2020-10-13 2023-08-02 Igloo Products Corp. Smart box
CN112515414B (zh) * 2020-12-02 2021-12-03 乐清市辰卓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制冷制热系统的液压式管理装置
CN113600524B (zh) * 2021-09-07 2023-01-20 广西广成防水防腐材料有限公司 一种沥青防水卷材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2955A (en) * 1958-12-31 1960-04-19 Schaefer Inc Gravity-flow open-topped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US3333437A (en) * 1965-08-03 1967-08-01 Emhart Corp Frost collector for refrigerated display cases
US4505131A (en) * 1983-03-11 1985-03-19 Boxall Stanley S Insulated cabinet
JPH0354384Y2 (ko) 1987-08-10 1991-11-29
JPH01102278A (ja) * 1987-10-16 1989-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オープンシヨーケース
JP2578924B2 (ja) 1988-07-08 1997-02-05 三菱化学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発光装置
JPH0220076U (ko) * 1988-07-26 1990-02-09
JPH0354384A (ja) 1989-07-20 1991-03-08 Terumo Corp 輸液ポンプ
JP2855699B2 (ja) 1989-09-28 1999-02-10 ぺんてる株式会社 鉛筆芯
JPH0641102Y2 (ja) * 1990-03-07 1994-10-26 株式会社マエカワ・フード・プロセス・エンジニアリング スチールベルトフリーザの冷媒循環系統
JPH0519882A (ja) 1991-07-11 1993-01-29 Hitachi Ltd リジユーム方式およびその情報処理装置
JP2507624Y2 (ja) * 1991-08-28 1996-08-14 中野冷機株式会社 平型オ―プンショ―ケ―ス
JP3171710B2 (ja) 1992-12-14 2001-06-04 日本フレクト株式会社 換気方法及びその装置
US5477702A (en) * 1993-01-24 1995-12-26 Noble Australia Pty. Ltd.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US5590541A (en) * 1995-01-16 1997-01-07 The Mead Corporation Barrel-type refrigerator and drain pan
JPH10170124A (ja) 1996-12-10 1998-06-26 Sanyo Electric Co Ltd 冷気循環型冷却装置
US5797279A (en) * 1997-02-14 1998-08-25 Osborne; Elaine W. Organic refrigeration system
JP3770519B2 (ja) 1998-04-01 2006-04-26 株式会社低温食品加工技術研究所 低温食品搬送用ベルトコンベア装置
US6145327A (en) * 1998-06-12 2000-11-14 Navarro; Ramon M. Air curtain for open-fronted, refrigerated showcase
JP3964052B2 (ja) 1998-06-30 2007-08-22 株式会社前川製作所 漁獲物の陳列保管装置および陳列保管方法
JP4294773B2 (ja) 1998-11-10 2009-07-15 ヤマト運輸株式会社 仕分システム
US6185951B1 (en) * 1999-07-06 2001-02-13 In-Store Products Ltd. Temperature controlled case
JP2001108346A (ja) 1999-10-05 2001-04-20 Sanyo Electric Co Ltd 低温コンベ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23729A1 (en) 2005-10-13
WO2003078908A1 (fr) 2003-09-25
TWI290205B (en) 2007-11-21
JP4007962B2 (ja) 2007-11-14
US7322204B2 (en) 2008-01-29
KR20060107857A (ko) 2006-10-16
TW200400342A (en) 2004-01-01
KR100720767B1 (ko) 2007-05-22
KR100750608B1 (ko) 2007-08-20
JPWO2003078908A1 (ja)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8406C (en) Continuous throughput blast freezer
KR100750608B1 (ko)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구역 형성 시스템
CN107076496A (zh) 冷却库
US3769807A (en) Carcass chilling facility
WO1999050605A1 (fr) Bande transporteuse permettant de transporter des produits alimentaires froids
US2527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materials
US4271683A (en) High humidity food chilling system
JP2006284161A (ja) 食品商品供給用保管庫
US6912869B2 (en) Helical impingement cooling and heating
US3557567A (en) Method and means for marketing meat products
US20080178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ingement cooling
JP2002039662A (ja) トンネル式冷却冷凍装置
US6825446B1 (en) Thermal processing chamber and a method of thermally processing products
US3898854A (en) Method of processing, transporting and storing meat
US5520006A (en) Airflow and defrosting system for refrigeration systems and apparatus
JPH10132439A (ja) 冷却装置
JPS6341911Y2 (ko)
JP2004008076A (ja) 食材の冷却加工装置
JPS6356795B2 (ko)
JPH0752546Y2 (ja) 冷凍・凍結用冷媒散布装置
JPS6115490Y2 (ko)
James et al. Automatic control of food chilling and freezing
JPH04260772A (ja) 冷蔵装置
JP2006288348A (ja) 冷菓調理装置
JP2003114082A (ja) 被冷凍物品の冷凍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