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937A -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937A
KR20040092937A KR1020030027411A KR20030027411A KR20040092937A KR 20040092937 A KR20040092937 A KR 20040092937A KR 1020030027411 A KR1020030027411 A KR 1020030027411A KR 20030027411 A KR20030027411 A KR 20030027411A KR 20040092937 A KR20040092937 A KR 20040092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aping
carriage
inner diame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356B1 (ko
Inventor
남광현
임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35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형 철강제품의 코일 내경부에 자동으로 테이프를 붙여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베이스에 상하로 또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캐리지를 장착하고 상기 캐리지에 코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테이핑장치를 탑재시켜 자동 테이핑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자동 테이핑 장치를 코일 컨베이어의 테이핑 포지션의 측면에 설치하여, 컨베이어 상을 주행중인 코일이 테이핑 포지션에 도착하면 해당 코일의 내경부로 상기 자동 테이핑장치가 이동하면서 코일의 선단부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테이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일형으로 생산된 철강제품이 코일 컨베이어상을 주행하게 될때 코일 내경에서의 풀림이 진행되기 전의 초기단계에 자동으로 테이핑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핑 작업 및 그 후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Apparatus for taping inside edge of coil}
본 발명은 코일형 철강제품의 내경부를 자동으로 테이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형 철강제품의 내경부애 위치하는 코일의 선단부를 자동으로 검출 및 테이핑하여 코일의 내경부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테이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코일 내경부 자동 테이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코일의 내경부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틸밴드를 절단하여 체결하거나 테이프를 부착하여 풀림현상을 방지하게 되지만, 최근에는 철강용 테이프가 개발되므로서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이 주로 실시된다.
이러한 테이프 부착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운전되고 있는 코일 컨베이어(8b) 상에서 작업자(8a)가 신체의 일부를 코일 내경부에 삽입한 상태로만 작업이 가능하기에 매우 위험하고 비능률적인 작업으로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코일 내경부가 풀리는 현상을 방치할 경우 차공정에서의 자동화 작업이 불가능하고, 결국 제품 포장공정에서 동일한 방법으로코일 내경부에 테이프 부착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주베이스에 상하로 또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캐리지를 장착하고, 코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코일의 선단부를 검출하여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선단부를 테이핑하는 자동 테이핑장치를 상기 캐리지에 탑재시켜 코일 컨베이어의 테이핑 포지션의 측면에 설치하여 두고, 컨베이어 상을 주행중인 코일이 테이핑 포지션에 도착하면 해당 코일의 내경부로 테이핑장치가 이동하면서 코일의 선단부에 자동으로 테이프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일형으로 생산된 철강제품이 코일 컨베이어상을 주행하게 될때 코일 내경에서의 풀림이 진행되기 전의 초기단계에 자동으로 테이핑할 수 있도록 한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테이핑작업 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b는 도 2a의 주베이스에 장착된 캐리지 확대 사시도
도 2c는 도 2a의 주 베이스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b의 캐리지에서 샤프트와 슬리브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샤프트 상세도
도 4b는 도 3의 슬리브 상세도
도 5a와 도 5b는 도 4a의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및 각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슬리브에 회전 테이블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회전 테이블 상세도
도 8은 도 2b의 캐리지에서 테이핑 장치의 상세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테이핑장치 헤드부에 대한 상세도
도 10은 도 2b의 캐리지 구동부의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핑 장치가 코일 컨베이어의 테이핑 포지션에 설치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샤프트 1a : 샤프트 캡
1b : 로타리 1c : 전자 실린더
1d : 로타리 센서 1d-1 : 터치볼
1d-2 : 구동 베어링 1d-3 : 센서 스프링
1d-4 : 센서 터치바 1d-5 : 센서
2 : 슬리브 2a : 테이핑장치 구동모터
3 : 테이핑장치 회전테이블 3a : 가이드레일
3b : 이동래크 3c : 회전기어
3d : 제어센서 4 : 테이핑장치
4a : 테이핑장치 구동모터 4-a : 쿠션
4-b : 나이프 4c : 테이프 공급모터
4-1 : 헤드롤러 구동모터 4-2 : 헤드셋 구동모터
4-6 : 헤드롤러 4-7,4-8 : 헤드셋 클램프
4-9, 4-10,4e : 전자실린더 4-11 : 푸셔롤
5 : 캐리지 구동부 5a : 샤프트 구동모터
5d : 캐리지 구동모터 5g : 캐리지 승강 기어
5f : 감속기 5h : 가이드 레일
6 : 주 베이스 6-1 : 승하강 이동래크
6-2 : 가이드 홈 6-3 : 승하강 위치센서
6-a : 모터 6-b : 이동 피니언
6-c : 전후진 이동래크 6-d : 전후진 위치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 내경에 삽입되어 그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코일 내경부의 선단부를 검출하고,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검출된 코일 내경부의 선단부에 테이핑을 실시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래크를 구비한 주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지는, 캐리지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구동부와, 상기 주베이스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캐리지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코일의 내경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부에 장착되어 코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코일 선단부에 테이핑을 실시하는 테이핑장치로 구성되는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로서, 코일 내경에 삽입되어 그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코일 내경부의 선단부를 검출하고,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검출된 코일 내경부의 선단부에 테이핑을 실시하는 캐리지(1-5)와;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고 상기 캐리지를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주베이스(6)로 구성한다.
도 2b는 슬리브에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가 삽입된 회전 테이블에 테이핑장치가 조립되고 샤프트의 후단에 캐리지 구동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캐리지 구동을 위한 캐리지 구동부(5)와, 상기 주베이스(6)에 지지되며 코일의 내경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와, 상기 샤프트(1)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슬리브(2)와, 상기 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3)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부에 장착되어 코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코일 선단부에 테이핑을 실시하는 테이핑장치(4)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주 베이스의 확대 사시도로서, 캐리지 구동을 위한 모터(6-a)와, 캐리지 이동 피니언(6-b)과, 캐리지의 전후진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캐리지 전후진 이동래크(6-c)와, 상기 전후진 이동래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지의 전/후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6-d)와, 캐리지의 승강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6-2) 및 캐리지 승하강 래크(6-1)와, 상기 승하강래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지의 승/하강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6-3)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샤프트(1)와 슬리브(2)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슬리브(2)는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슬리브의 내경부에 샤프트(1)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다.
도 4a는 샤프트(1)의 구성을, 도 4b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슬리브(2)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상기 샤프트(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캡(Shaft Cap; 1a)이 선단에 체결되어 있으며, 중간에 다수 방향(도면에서는 사방을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3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일 수 있음)의 로터리(1b)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 캡은 코일 내경부로 이동시 원활하게 진입이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유선형으로 처리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로타리(Rotary)의 각 선단부에는 코일 내경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로터리 센서(1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의 상부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핑장치(Taping Machine)의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테이핑장치 구동모터(2a)와 피엘지(2b) 및 구동기어(2c)가 장착된다.
도 5a와 도 5b는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및 로터리 센서 및 로터리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샤프트(1)는 전, 후단이 분리된 두 개의 샤프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두개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각각 커플링이 형성되어 상기 각 커플링에 의해 로터리 센서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 센서(1d)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내경부와 직접 접촉하여 회전하는 터치볼(1d-1)과, 상기 터치볼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센서 터치바(1d-4)와, 상기 터치볼의 원할한 회전을 위해 상기 터치볼과 센서 스프링 사이에 조립되는 다수의 구동 베어링(1d-2)과, 상기 센서 터치바를 안내하여 지지하며 상기 터치볼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센서 터치바를 전/후진시키는 센서 스프링(1d-3)과, 상기 센서 터치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 터치바의 전/후진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1d-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로타리(Rotary)가 회전하면서 코일 내경부에 삽입중에 그 선단부에 부착된 터치볼(1d-1)이 코일 내경부에 접촉되어 코일의 풀림부위를 교정하면 로터리 센서가 코일내경의 선단부를 검출해낸다. 상기 터치볼이 코일선단부를 지날 때 상기 센서 터치바(1d-4)에 의해 센서(1d-5)가 터치(Touch)되어 코일 내경의 선단부가 검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내경에 따라 상기 로터리(1b)의 길이를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전자 실린더(1c)를 구비한다. 이 전자 실린더는 로타리(Rotary)를 오픈/크로스시키는 장치로서, 상부에 두 개의 센서(1c-1; 축소용,1c-2; 확장용)가 부착되어 있어, 우산이 펴지거나 접히는 방식으로 상기 로터리 길이의 확장/축소를 위한 오픈/크로스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로타리는 로타리 조인트(1b-1)에 의하여 동작되고 오픈 완료시 가이드 바(1b-2)와 접촉한다. 이로써, 로타리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선단부의 센서(1d-5)가 테이핑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상태인 것이며, 로타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터치볼(1c-1)에 회전중 코일내경 선단부가 걸리게 되면 코일의 두께만큼 뒤로 밀리면서 센서(1d-5)를 터치하게 되고, 이와 같이 센서를 터치하는 순간 캐리지 구동모터(5a)가 정지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도 3의 슬리브(2)에 회전 테이블(3)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슬리브(2)의 내경에 샤프트(1)가 조립된 후, 상기 슬리브(2) 외경에 테이핑장치 회전테이블(3)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회전테이블 구동모터(Motor)(2a)가 동작하여 그에 연결된 구동기어(2c)와 회전기어(3c)를 통해 회전테이블(3)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회전 테이블(3)의 구성도로서, 상기 회전 테이블 구동모터(2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게 우측 선단에 상기 구동기어(2c)와 맞물려 조립된 회전기어(3c)와, 테이핑 장치가 안내되어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테이블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Guide Rail)(3a)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에 설치된 이동래크(Rack; 3b)와, 상기 이동래크를 따라 움직이는 테이핑장치의 전/후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제어센서(3d)로 구성된다.
도 8은 테이핑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의 테이핑 장치(4) 상세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상기 도 8의 테이핑장치 헤드부에 대한 상세도로서,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부에 장착되어 코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코일 선단부에 테이핑을 실시하는 테이핑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테이핑장치(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a)의 구동력으로 회전 테이블의 이동래크(3b)를 따라 전,후진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테이프 홀더(4b)에는 테이프가 장착되어 있고, 테이핑 작업을 위해 주행하는 테이프에 일정한 장력(Tension)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 스프링(4g) 및 롤러(4f)가 구비되어 있으며, 테이핑 헤드롤러(4-6)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헤드롤러 구동모터(4-1)와, 헤드셋(4-a,4-7)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헤드셋 구동모터(4-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전자실린더(4e)의 동작으로 코일 내경부의 테이프를 압박하여 부착시킨다. 헤드셋(Head Set)의 클램프(4-7,4-8)는 헤드셋 구동모터(4-2)에 의하여 선택되어지고 테이프의 선단부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헤드롤러(4-6)의 내부에는 에어흡입장치가 내장되어 테이프 절단이 이루어지고 나면 에어흡입력에 의하여 테이프를 흡착하여 클램프(4-7)위치까지 유도한다.
즉, 도 8의 테이핑장치 구동모터(4a)가 구동되면서 코일내경부에 테이핑을 하고 있는 진행상태에서, 테이핑이 완료되기전 모터(4a)가 정지 후 헤드셋 전자실린더(4-9, 4-10)가 동작하게 되고, 이후 쿠션(4-a)이 테이프를 잡아주고 곧바로 나이프(4-b)가 테이프를 절단한다. 테이프 절단이 완료되면 구동모터(4a)가 구동하여 절단부분까지 테이핑을 완료한다.
상기 절단된 테이프의 말단부까지 테이핑이 완료되고 다음코일을 테이핑 하기 위하여 쿠션(4-a)이 상기 절단된 테이프의 선단부를 잡아주고 있는 상태에서, 모터(4a)가 동작하여 테이프의 말단부까지 테이핑을 완료시키면 전자실린더(4-9,4e)가 동작하여 헤드롤러(4-6)와 푸셔롤(4-11)을 후진시키고, 전자실린더(4-9,4e)가 후진완료 신호를 받으면 테이핑장치(4)는 역순으로 동작하여 테이핑 시작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테이핑 시작점에서 헤드셋이 잡고 있던 테이프를 놓아주게 되면, 테이핑 헤드롤러(4-6))내의 에어흡입장치(도면에 미표기)가 테이프의 선단부를 흡착시킨 상태에서 테이프 공급모터(4c)와 헤드롤러 구동모터(4-1)가 동작하여 테이프의 선단부를 헤드셋 클램프(4-7)의 위치까지 보내주면 전자실린더(4-9)가 동작하여 테이프를 테이프롤러 사이에 밀착시킴으로써, 다음 코일에 대한 테이핑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된다.
이후 역순으로 동작하여 처음위치인 홈포지션으로 이동하여 다음코일의 테이핑을 위하여 대기하게 된다.
상기 헤드셋 구동모터(4-2)는 클램프(4-7,4-8)을 45도 회전 반복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캐리지 구동부(5)의 상세도로서, 상기 캐리지를 주베이스를 따라 업/다운시키는 구동장치이다. 이 캐리지 구동부는 주베이스의 가이드홈(6-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와 대응되는 구조의 가이드 레일(5h)을 구비하고 있으며, 구동모터(5d)가 구동되면 감속기(5f)에서 동력이 좌우의 승강기어(5g)로 전달되어 주베이스(Main Base)의 캐리지 승하강래크(6-1) 및 가이드 홈(6-2)을 따라 캐리지가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운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된 자동 테이핑장치를 도시하기 위하여 코일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는 코일 컨베이어의 테이핑 포지션에 설치된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의 사용 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 컨베이어상을 주행하는 코일의 내경에 맞게 높이가 고정된 캐리지를 코일(Coil)의 내경부로 전진시키게 되면, 주베이스(6)의 전후진 이동래크(6-c)로 안내되면서 캐리지가 코일 내경부쪽으로 전진이동하게 되고, 이후 캐리지가 상기 주베이스의 센서(6-d)를 터치(Touch)하게 되면 캐리지의 전진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이후 캐리지 구동부(5)의 샤프트 구동모터(5a)가 구동되어 샤프트(1)를 회전 시킨다.
상기 샤프트(Shaft)(1)가 회전되면서 전자실린더(1c)가 동작하여 로터리(Rotary)를 팽창(Expand)시킨다. 이러한 로터리팽창동작은 코일 내경에 따라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코일 내경이 508~610M/M인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와 같은 팽창이 완료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 선단의 터치볼(1d-1)이 코일(Coil) 내경의 선단부에 터치(Touch)되는 순간 센서 스프링(1d-3) 및 센서 터치바(1d-4)의 작용으로 센서(1d-5)가 감지되고, 그에 따라 샤프트 구동모터(5a)가 정지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은 로터리 팽창동작은 코일(Coil)의 선단부 풀림현상이 감지되는 선단위치에서 정지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다음으로 회전테이블 구동모터(2a)가 구동하여 테이핑장치(4)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로타리 센서(1d)가 검출해준 선단위치까지 회전시켜 테이프 부착위치를 찾아 정지하게 된다.
이후에 전자실린더(4-9,4-10)가 전진하여 테이프 헤드셋(Tape Head Set)을 밀착시키면 구동모터(4a)의 구동력으로 전진하면서 테이프를 부착시킨다. 테이프 부착 종료위치에 도착하면 구동모터(4a)가 정지하고 헤드셋 클램프의 전자실린더(4-10)가 동작되어 나이프(4-b)가 테이프를 절단하게 되고, 쿠션(4-a)이 테이프 선단부를 잡아준다.
위의 동작이 완료되면 헤드셋 업/다운을 위한 전자실린더(4-10)가 다운되고 구동모터(4a)가 전진하여 테이프 부착작업이 진행되어 정해진 위치까지 테이프가 부착되면 푸셔(Pussher)가 후진되어 테이프 부착 작업이 완전 종료된다.
상기 구동모터(4a)가 구동하여 후진된 테이핑 장치는 홈 포지션(Home Position)에 정지하게 된다.
즉, 코일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코일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핑 장치 설치 위치(테이핑 포지션)에 도착되면 캐리지 구동모터(5d)가 동작하여 코일 내경위치로 이동후 캐리지 이동을 위해 구동모터(6a)가 구동되어 캐리지를 코일내경부로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코일 내경으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샤프트 구동모터(5a)가 구동되고 로타리(1b)가 팽창하면서 풀어진 코일 선단부를 밀착시키면 로타리 선단부의 센서에 의하여 코일 내경부 선단위치를 검출하게되고, 테이블 회전모터(2a)가 구동하여 테이핑장치(4)를 테이핑 작업가한 코일 선단부 위치까지 회전시킨후 정지한다.
이제까지의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테이핑장치(Taping Machine)가 구동되어 코일내경 선단부에 테이프를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테이핑 작업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동작하여 홈 포지션(Home Position)에서 대기하며 다음 작업을 기다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내경부 풀림방지를 위해 내경선단부에 자동 테이핑 작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테이프 부착시 불균일한 부착 또는 부착불량에 의한 차공정 작업시 내경부 파손되는 사례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수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재해 위험요인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능률 및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캐리지를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래크를 구비한 주베이스와;
    캐리지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구동부와;
    상기 주베이스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캐리지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코일의 내경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부에 장착되어 코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코일 선단부에 테이핑을 실시하는 테이핑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장치.
KR1020030027411A 2003-04-30 2003-04-30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KR100936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411A KR100936356B1 (ko) 2003-04-30 2003-04-30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411A KR100936356B1 (ko) 2003-04-30 2003-04-30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937A true KR20040092937A (ko) 2004-11-04
KR100936356B1 KR100936356B1 (ko) 2010-01-12

Family

ID=3737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411A KR100936356B1 (ko) 2003-04-30 2003-04-30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277A (zh) * 2021-05-18 2021-07-09 刘建川 一种具有防散开结构的防水卷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731B1 (ko) 2014-05-21 2015-09-01 김도영 테이프 카트리지
KR102506573B1 (ko) 2022-03-08 2023-03-06 신수용 모터 코일 테이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38B2 (ja) * 1987-12-25 1996-03-29 川崎製鉄株式会社 鋼帯コイルの尾端止め装置
JPH01278913A (ja) * 1988-05-06 1989-11-09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コイルの始終端テープ止め装置
KR960000990Y1 (ko) * 1993-12-31 1996-02-0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JPH11255207A (ja) 1998-03-10 1999-09-21 Nkk Corp 金属コイル梱包紙内周面テ−プ貼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277A (zh) * 2021-05-18 2021-07-09 刘建川 一种具有防散开结构的防水卷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356B1 (ko)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973B1 (ko) 제피장치용 자동 감 공급장치
CN108532142B (zh) 一种地垫包边机
JPS6331334B2 (ko)
KR100936356B1 (ko)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CN108532140B (zh) 一种地垫包边设备
CN211102247U (zh) 圆管上下料夹爪机构
KR100857424B1 (ko) 스틸밴드 절단장치
CN110980430A (zh) Pe、pert管材通用卷管机
JP2843958B2 (ja) 線材巻付け装置
CN211746528U (zh) 食品坯料调角机构
JP4562099B2 (ja) つかみ代形成粘着テープ切断装置
JPS6347013A (ja) 切断機用定寸バイス装置
CN103112758A (zh) 成品电缆收卷装置
CN109461363B (zh) 一种智能线缆标识系统
JP5996978B2 (ja) 巻付装置、及び巻付方法
CN206764858U (zh) 绝缘管裁切机
KR101095890B1 (ko) 브이커팅 장치
CN116391734A (zh) 食品坯料调角机构
CN215242884U (zh) 一种料卷自动夹装装置及贴膜机
CN217837705U (zh) 一种卷料快速定位装置
CN215881738U (zh) 一种热缩管裁切机构及热缩管加工装置
JP2006167770A (ja) 端曲げ装置、ばね成形機及び端曲げ処理方法
JPH11148798A (ja) 導管支持装置
JP3979956B2 (ja) 口取帯貼付装置
JPH04212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