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990Y1 -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990Y1
KR960000990Y1 KR2019930031694U KR930031694U KR960000990Y1 KR 960000990 Y1 KR960000990 Y1 KR 960000990Y1 KR 2019930031694 U KR2019930031694 U KR 2019930031694U KR 930031694 U KR930031694 U KR 930031694U KR 960000990 Y1 KR960000990 Y1 KR 960000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abel
horizontal
co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478U (ko
Inventor
민병선
김권태
송동호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990Y1/ko
Publication of KR950018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2Removing separate labels from stacks
    • B65C9/14Removing separate labels from stacks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15Preparing the labels or articles, e.g. smoothing, removing air bubbles
    • B65C2009/0018Preparing the labels
    • B65C2009/0021Preparing the labels for temporary attachment to transfer means or to the article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동 안내틀 3 : 승강지지틀
4 : 수평 이동틀 5 : 삽입아암
6 : 작동실린더 12 : 아웃보드 베어링
21 : 정역모터 22 : 이송나사축
32 : 수평작동 실린더 42 : 라벨박스
51 : 진공패드 52 : 흡착실린더
A, B : 화살표 방향
본 고안은 라벨 자동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트립형태의 코일 준비라인의 권취부에서 선행코일의 스트립 후단과 후행코일 스트립 선단의 용점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 준비라인에서는 주문에 따라 하나의 코일당 1회 또는 2회의 용접작업에 의한 이음부를 형성하게 되는 데, 수요가의 원활한 작업을 위해 코일의 외면에는 용접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용 라벨의 삽입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막대 끝에 표시용 라벨을 준비하여 용접된 코일이 권취되는 텐션릴 옆에서 육안관찰에 의해 용접부의 권취를 확인하면서 준비된 표시용 라벨을 인위적으로 삽입하였다.
따라서 용접진행시에는 작업자가 권취부에서 용접부의 권취를 대기해야 하므로 안정된 조업수행이 곤란함은 물론, 상기 라인 스피드는 300mpm 정도로서 육안확인이 어려우므로 정확한 용접부에 표시용 라벨을 삽입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정구성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표시용 라벨을 용접부에 정확히 자동삽입함으로써, 조업안정성 향상과 수요가의 요구충족을 구현할 수 있게 된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는, 텐션릴 및 아웃보드 베어링으로 구성하여 스트립 형태의 코일을 권취하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베어링의 상부에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설치되고 정역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송나사축을 구비한 이동안내틀과, 수평작동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나사축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지지틀과, 외측에 라벨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작동실린더에 의해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틀과, 진공패드를 포함하는 흡착 실린더 및 지지축으로 구성되는 삽입아암과,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작동간과, 상기 작동간은 작동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아암을 회전운동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에 의하면, 라벨을 코일용접 부위에 인위적으로, 또 불확실하게 삽입하는 종래의 라벨삽입방식에 비하여 자동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라벨을 삽입할 수 있어 작업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제 1 도에서와 같이, 코일의 권취부는 텐션릴(11)과 함께 아웃보드 베어링(12)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아웃보드 베어링(12)은 실린더(13)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하여 텐션릴(11)의 맨드릴 끝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릴(11)에는 도시되지 않은 핀치롤을 통해 코일(C)이 공급 권취되며 본 고안 자동삽입장치(A)는 상기 아웃보드 베어링(12)의 본체(14) 상면에 구비된 지지프레임(15)에 고정설치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5)의 상단에는 정역모터(21)에 의하여 구동하는 이송나사축(22)이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승하강의 원활함을 위하여 이동 안내틀(2)상에 고정레일(23)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이동 안내틀(2)은 그 전면 상하부에 축받이부재(24)가 구비되어 이송나사축(22)이 지지설치되며 그 하단과 정역모터(21)의 하단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25a), (25b)가 설치되는데 정역모터(21)와 풀리(25b)의 사이에는 감속기(26)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레일(23)에는 안내레일(31)이 대응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나사축(22)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31)에 직각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수평작동 실린더(32)를 구비한 승강지지틀(3)과, 상기 승강지지틀(3)의 측면에 미끄럼 지지되는 지지레일(4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강지지틀(3)은 그 내부중앙에 홀더(34)를 구비하여 이송나사축(22)의 정역구동에 의해 코일(C)의 외경에 맞추어 승강이동하게 되며 그 상면에 설치된 수평작동 실린더(32)의 실린더 로드(33) 끝단에는 수평 이동틀(4)과 연결되는 연결구(35)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작동 실린더(32)의 실린더 로드(33)에 의해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그 외측 직교방향에는 라벨박스(42)를 구비한 수평 이동틀(4)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 이동틀(4)은, 그 외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끝단에는 라벨박스(42)의 표시용 라벨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도록 진공패드(51)를 포함하는 흡착 실린더(52)를 구비한 삽입아암(5)과, 상기 삽입아암(5)을 선택적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지지레일(41)에 고정설치된 작동 실린더(6)로 구성된다.
또, 상기 수평 이동틀(4)은 그 상면에 연결구(35)에 대응하는 고정구(43)가 구비되어 실린더 로드(33)의 신축운동에 의해 코일(C)의 폭에 맞추어 수평 이동하게 되며, 그 외면에는 삽입아암(5)의 지지축(53)이 지지되는 지지관(44)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아암(5)의 끝단부에는 고정판(54)이 구비되는 흡착실린더(52)가 볼트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53)의 하단에는 자동간(55)이 설치되어 작동 실린더(6)의 실린더 로드(6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 실린더(6)는 수평 이동틀(4)의 지지레일(41)에 설치된 힌지 고정부에 그 끝단을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며, 실린더 로드(6)의 신축운동시에 상기 삽입아암(5)은 90。 정도의 범위에서 회전운동되도록 설치되는데, 그 회전운동 범위는 수평 이동틀(4)의 이동방향과 그 직교방향에 설치된 라벨박스(42)의 사이가 된다.
이어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아웃보드 베어링(12)이 실린더(13)에 의해 상승하여 텐션릴(11)의 일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코일(C)의 권취가 진행됨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텐션릴(11)로 공급되는 코일(C)을 용접시킬 경우 작업자는 용접작업의 완료후 도시되지 않은 작동버튼을 눌러주게 되며, 이에 따라 자동삽입장치(A)는 작동버튼이 온(ON) 됨으로써 제공되는 텐션릴(11)에 권취된 코일(C)의 외경과 폭 등의 정보에 따라 각 부품이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우선, 코일(C)의 외경에 맞추어 이동 안내틀(2)의 정역모터(21)가 이송나사축(22)을 회전시켜 주게 되면 승강지지틀(3)은 안내레일(31)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코일(C)의 폭에 맞추어 수평작동 실린더(32)가 실린더 로드(33)를 신장시키게 되므로 수평이동틀(4)은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수평 이동은 삽입아암(5) 끝단의 진공패드(51)가 코일(C)의 측면과 근접되는 위치까지 진행되는 데, 수평 이동상태에서 삽입아암(5)은 접혀진 상태 즉, 수평 이동틀(4)의 운동 직교방향에 설치된 라벨박스(4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리 입력된 PLC 등의 소정의 공정순서에 따라 권취부 전방라인에 설치된 용접부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얻어진 용접부 통과신호에 의해 흡착 실린더(52)는 진공패드(51)를 하강시켜 라벨박스(42)에 수용된 한장의 표시용 라벨을 흡착상승시킨다.
이어서, 라인 진행속도 등이 미리 계산되고 표시용 라벨을 삽입시켜야 할 정확한 시간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 신호를 받아 작동되도록 한 상기 작동 실린더(6)를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61)를 신장시킨다.
이 작동에 대하여 제 4 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상기 작동실린더(6)가 신축하면 화살표 A방향으로 실린더 로드(61)가 직선운동을 하고, 이에 연결된 작동간(55)이 지지축(53)을 회전운동하므로 삽입아암(5)을 화살표 B방향으로 약 90。의 범위에서 상기 지지축(53)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진공패드(51)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작동시에 실린더 로드(61)와 작동간(55)으로 연결된 지지축(53)은 지지관(44)에 지지된 상태로서 회전운동하게 되므로, 삽입아암(5)과 흡착실린더(52)도 동시에 회전운동하여 진공패드(51)가 권취 진행위치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패드(51)에 흡착된 표시용 라벨을 권취되는 코일(C) 사이로 삽입됨과 동시에 코일(C) 사이에 끼워져 회전운동하게 되므로 표시용 라벨은 정확한 용접부의 위치에 삽입되며 이후 상기의 역순에 의해 각부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는, 인위적으로 작업하는 전담 작업자 없이도 표시용 라벨을 용접부에 정확히 삽입시킬 수 있게 되므로, 최소한의 작업인원으로도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원가절감 및 소비자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텐션릴(11) 및 아웃보드 베어링(12)으로 구성하여 스트립 형태의 코일을 권취하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베어링(12)의 상부에 지지프레임(15)을 통하여 설치되고 정역모터(21)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송나사축(22)을 구비한 이동 안내틀(2)과, 수평작동 실린더(32)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나사축(22)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지지틀(3)과,
    외측에 라벨박스(42)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작동 실린더(32)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틀(4)과,
    진공패드(51)를 포함하는 흡착 실린더(52) 및 지지축(53)으로 구성되는 삽입아암(5)과,
    상기 지지축(53)의 하단에 설치되는 작동간(55)과,
    상기 작동간(55)은 작동 실린더(6)의 실린더 로드(61)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아암(5)을 회전운동시키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표시용라벨 자동삽입장치.
KR2019930031694U 1993-12-31 1993-12-31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KR960000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94U KR960000990Y1 (ko) 1993-12-31 1993-12-31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94U KR960000990Y1 (ko) 1993-12-31 1993-12-31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478U KR950018478U (ko) 1995-07-22
KR960000990Y1 true KR960000990Y1 (ko) 1996-02-03

Family

ID=1937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694U KR960000990Y1 (ko) 1993-12-31 1993-12-31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56B1 (ko) * 2003-04-30 2010-0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56B1 (ko) * 2003-04-30 2010-0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 자동 테이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478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5175B (zh) 一种全自动绕线机
CN107855707B (zh) 通暖管道现场焊接装置
CN1331633C (zh) 异形罐体环缝自动焊接机
CN110394589B (zh) 焊接系统
EP0110379B1 (en) An automatic welding apparatus
US4483490A (en) Individual coil winder with automatic coil change
KR960000990Y1 (ko) 용접부 표시용 라벨 자동삽입장치
CA2073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or unwinding cable onto a reel
CN114148799A (zh) 一种带钢丝胶料的自动续料装置
CN109926694A (zh) 一种焊接机器人
CN210499053U (zh) 焊接系统
CN110047627B (zh) 铜带接合设备
CN216638335U (zh) 一种带钢丝胶料的自动续料装置
JP2000135594A (ja) 鉄骨柱の自動溶接装置
CN110112871A (zh) 电机定子的自动化生产线
CN215588228U (zh) 一种冷凝器自动焊接设备
KR0151853B1 (ko) 훅을 사용한 권선방법
JP2842708B2 (ja) テーピング機付き巻線装置
CN110067089B (zh) 用于织物缝纫质量检测的检测单元
KR20020040148A (ko) 코일내경부 처짐방지장치
JPH0740041A (ja) ボックスフランジ溶接装置
JP2653007B2 (ja) 長尺物の溶接装置
JPH0745038Y2 (ja) スペーサワイヤ巻付装置
KR200243961Y1 (ko) 루핑설비의 스트립 센터링장치
CN220330224U (zh) 一种滚焊机的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