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449A -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449A
KR20040090449A KR1020040025026A KR20040025026A KR20040090449A KR 20040090449 A KR20040090449 A KR 20040090449A KR 1020040025026 A KR1020040025026 A KR 1020040025026A KR 20040025026 A KR20040025026 A KR 20040025026A KR 20040090449 A KR20040090449 A KR 2004009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plug pin
fixed
coaxi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751B1 (ko
Inventor
후쿠자키히로시
카사마루요이치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Abstract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1)가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을 통해서 개방하는 단자 수용실(6)을 구획하는 하우징(2)을 구비한다. 고정 단자(3) 및 스위치 단자(4)가 하우징(2)에 의해 유지된다. 스위치 단자(4)는 단자 수용실(6) 내에서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을 향하여 개방하는 U자 형상부(35)를 포함한다. 상기 U자 형상부(35)는 플러그 핀 삽입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Z)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U자 형상부(35)가 플러그 핀 삽입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Z)으로 변형됨에 따라 스위치 단자(4)가 고정 단자(3)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고정 단자(3)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상태로 스위칭된다.

Description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전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 모듈,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모듈 등의 무선 단말기의 송수신 회로에 접속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상대측 커넥터의 플러그 핀과의 접속에 의해서 스위치 단자의 접속이 고정 단자로부터 플러그 핀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는, 예컨대, 평상시에는 휴대전화, PHS 등에 있어서 내장된 송수신 회로와 부속의 안테나를 접속하고 있지만 출하전의 최종검사시에 내장된 송수신 회로와 부속의 안테나의 접속을 차단하고, 내장된 송수신 회로를 검사장치측으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동축 커넥터는 휴대전화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고, 기기 전체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소형화, 박형화(예컨대, 커넥터 높이를 2.5mm 이하로 하는 것, 또는, 2mm 이하로 하는 것 등)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91)의 삽입방향(92)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93)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94)와, 스위칭용 S자형상을 이루는 탄성변형가능한 스위치 단자(95)를 설치하고, 플러그 핀(91)의 삽입시에 이 플러그 핀(91)에 의해 눌려진 스위치 단자(95)의 S자가 편평하게 되도록 휘게 하여 스위치 단자(95)와 고정 단자(94)의 접속을 차단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1999년 5월 10일에 발행된 일본 특허 제288956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공보에서는 S자형상의 스위치 단자(95)가 플러그 핀(91)의 삽입방향(92)으로 편형화하여 휘는 것이므로 스위치 단자(95)의 탄성범위를 고려한 경우, 동축 커넥터의 높이를 그다지 낮게 할 수 없다. 즉, 박형화할 수 없다.
또한, 플러그 핀(91)이 지나치게 깊게 삽입된 경우나, 플러그 핀(91) 대신에 드라이버 등의 이물이 삽입되어 S자형상의 스위치 단자(95)가 과도하게 휘게 된 경우, 상기 스위치 단자(95)가 소성변형되고, 이후, 스위치 단자(95)와 고정 단자 (94)의 접속이 불량으로 될 우려가 있다.
또한, S자형상의 스위치 단자(95)의 플러그 핀 접촉부(96)가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97)에 있어서 플러그 핀(91)의 삽입방향(92)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97)으로부터 들어간 먼지나 도금 찌꺼기 등이 플러그 핀 접촉부 (96)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공보의 동축 커넥터에서는 플러그 핀(91)의 압입시에 상기 플러그 핀(91)과 스위치 단자(95)의 플러그 핀 접촉부(96)의 접촉부위가 변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이 먼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접속불량으로 되어 양호한 검사가 실시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촉불량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먼지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서 양호한 검사가 실시가능한 박형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서로 조합된 상태의 고정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스위치 단자의 제 2 편부의 요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고정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요부의 개략도이고, 고정 단자에 조합된 스위치 단자를 고정 단자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회로기판에 고정된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와 이것을 검사하는 검사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축 커넥터 2 … 하우징
3 … 고정 단자 4 … 스위치 단자
5 … 쉘(shell) 6 … 단자 수용실
8,9 … 베이스부 10 … 상면부
12 …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 16 … 통형상부
17 … 연장형성편 18 … 다리부
19 … 슬릿 21 … 외주홈
27 … 리드부 35 … U자 형상부
X … 플러그 핀 삽입방향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가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을 통해서 개방하는 단자 수용실을 구획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된 고정 단자와 스위치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 단자는 상기 단자 수용실 내에서 상기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을 향하여 개방하는 U자 형상부를 포함한다. 이 U자 형상부는 플러그 핀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상기 U자 형상부가 플러그 핀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단자가 상기 고정 단자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이 고정 단자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상태로 스위칭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단자의 U자 형상부가 플러그 핀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하였으므르 스위치 단자의 탄성변형범위를 확보하면서 상기 동축 커넥터의 박형화의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일실시형태의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1)[이하, 단지 커넥터(1)라 함]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과, 하우징(2)에 유지되는 고정 단자(3) 및 스위치 단자(4)와, 하우징(2)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형상을 이루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실드용 쉘(5)을 구비한다.
하우징(2)은 내부에 단자 수용실(6)(도 5 참조)을 구획하기 위한 통형상부 (7)와, 이 통형상부(7)의 하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1쌍의 베이스부(8,9)를 구비한다. 통형상부(7)는 상면부(10)와 둘레측벽(11)을 포함한다. 상면부(10)의 중앙부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검사장치(50)의 플러그 핀(51)을 삽입방향 (X)[하우징(2)의 높이방향(H)의 반대방향에 상당]을 따라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이 형성된다. 이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을 통해서 상기 단자 수용실(6)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의 저면도인 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2)의 저면(2a)의 중앙부에는 상기 단자 수용실(6)이 가로방향으로 T자 형상을 이루는 개방부분(43)을 형성하여 개방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저면(2a)의 네 코너부를 남기고 단자 수용실(6)을 둘러싸도록 오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2a)의 네 코너부[베이스부(8,9)의 단부(8a,9a)의 저부에 대응]에는 오목부(2b)보다 1단 높은 형성면(2c)이 형성되어 있다. 형성면(2c)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커넥터(1)가 고정되는 회로기판(61)의 표면(62)을 따른다.
단자 수용실(6)은 주로 고정 단자(3)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폭이 넓은 제 1 수용실(6a)과, 주로 스위치 단자(4)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폭이 좁은 제 2 수용실(6b)을 갖고 있다.
제 1 및 제 2 수용실(6a,6b)의 서로 대향하는 벽면(6c,6d)을 따라 연장되는 각 1쌍의 제 1 맞물림홈(13) 및 제 2 맞물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수용실(6a)의 폭이 넓은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벽면(6e,6f)에는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제 3 맞물림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맞물림홈(13,14,15)은 플러그 핀(51)의 삽입방향(X)인 하우징 (2)의 높이방향(도 6에 있어서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및 제 3 맞물림홈(13,15)이 고정 단자(3)에 대응하고, 제 2 맞물림홈(14)이 스위치 단자(4)에 대응한다.
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쉘(5)은 하우징(2)의 통형상부(7)의 외부에 끼워맞춰지는 통형상부(16)와, 이 통형상부(16)의 중심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에 형성되는 1쌍의 연장형성편(17)을 구비한다. 각 연장형성편(17)은 통형상부(16)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통형상부(16)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각 연장형성편(17)의 선단은 외측방향으로 구부려져 다리부(18)를 형성하고 있다. 각 다리부(18)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커넥터(1)가 고정되는 회로기판(61)의 표면(62)의 그라운드(ground) 회로에, 예컨대, 납땜에 의해 접속되는 리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쉘(5)의 통형상부(16)는 둘레방향에 관해서 1쌍의 연장형성편(17) 사이의 중앙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9)이 형성되어 있고, 탄력적으로 확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쉘(5)의 통형상부(16)가 탄성변형에 의해 자유상태보다 약간 확경된 상태에서 하우징(2)의 통형상부(7)에 끼워맞춰지고, 자신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하우징(2)의 통형상부(7)에 유지된다.
쉘(5)의 통형상부(16)가 하우징(2)의 통형상부(7)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쉘 (5)의 각 연장형성편(17)이 각각 하우징(2)의 1쌍의 베이스부(8,9)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8a,9a) 사이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각 베이스부(8,9)의 각 단부(8a,9a)는 각각 대응하는 연장형성편(17)의 측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맞물림홈(20)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쉘(5)의 통형상부(16)의 중도에는 외주홈 (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홈(21)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검사장치(50)의 본체(52)의 둘레를 덮는 위치결정용 통(53)의 내주의 환상 돌기(54)에 맞물리게 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2,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고정 단자(3)는 コ자형상을 이루는 단자 본체(22)를 구비한다. 단자 본체(2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저면(2a)의 오목부(2b)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단자 본체 (22)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편부(23)와, 각 편부(23)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편부(24)를 포함한다.
연결 편부(24)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하우징(2)의높이방향(H)으로 연장되는 고정 편부(25)가 형성된다. 고정 편부(25)의 대향하는 1쌍의 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걸림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26)의 작용에 의해 고정 편부(25)가 제 1 맞물림홈(13)(도 5 참조)에 끼워진다. 연결 편부 (24)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는 대략 L자형상을 이루는 리드부(27)가 연장 형성되고, 베이스부(9)의 바닥을 빠져나와 하우징(2)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단자 본체(22)의 각 편부(23)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하우징(2)의 높이방향(H)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의 고정 접촉부(28)가 형성된다. 즉, 고정 접촉부(28)는 플러그 핀(51)의 삽입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각 고정 접촉부(28)는 그 외측부에 결합 가장자리부(29)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 가장자리부(29)는 단자 수용실(6) 내의 대응하는 제 3 맞물림홈(15)에 맞물림으로써 대응하는 고정 접촉부(28)의 변위를 규제한다.
도 2,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스위치 단자(4)는 고정단(4a) 및 자유단(4b)을 포함한다. 스위치 단자(4)는 하우징(2)의 저면(2a)의 오목부(2b)를 따르도록 배치되는 판형상 단자 본체(30)를 구비한다. 단자 본체(3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는 대략 L자형상을 이루는 리드부(31)가 연장 형성되고, 베이스부(8)의 바닥을 빠져나와 하우징(2)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단자 본체(3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려져 하우징(2)의 높이방향(H)을 따라 연장되고, 고정단(4a)을 제공하는 고정 편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편부(32)의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측부에는 걸림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33)의 작용에 의해 고정 편부(32)가 제 2 맞물림홈(14)에 끼워진다.
고정 편부(32)는 상향으로 볼록한 제 1 탄성 굴곡부(34)를 통해서 상향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을 향하여 개방하는 U자형상(내지는 역 Ω자형상)을 이루는 U자 형상부(35)를 포함한다. U자 형상부(35)는 플러그 핀 삽입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Z)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U자 형상부(35)가 상기 교차하는 방향(Z)으로 변형함에 따라 스위치 단차(4)가 고정 단자(3)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고정 단자(3)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상태로 스위칭되도록 되어 있다.
U자 형상부(35)는 제 2 탄성 굴곡부(36)를 통해서 서로 연속하며 대략 하우징(2)의 높이방향(H)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편부(37,3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U자 형상부(35)의 제 1 편부(37)에 제 1 탄성 굴곡부(34)를 통해 고정 편부 (32)가 연이어짐으로써 상기 U자 형상부(35)와 공동하여 대략 가로방향으로 S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39)이 형성되고, 이로써 스위치 단자(4)는 2개의 탄성 굴곡부 (34,36)를 갖고서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U자 형상부(35)의 제 2 편부(38)에는 고정 접촉부 (28,28)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제 1 부분(38a)과, 제 1 부분(38a)보다 스위치 단자 (4)의 자유단(4b)측에 배치되는 제 2 부분(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편부(37)의 제 2 부분(40)의 폭이 제 1 부분(38a)의 폭보다 넓고, 제 2 편부(37)의 제 1 부분(38a)과 제 2 부분(40)에서 T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 2 편부(37)의 제 2 부분(40)은 고정 접촉부(28)의 배후로 진출하고 있고, 제 2 부분(40)의 폭은 고정 접촉부(28,28) 사이의 간극의 폭보다 넓다.
상기 제 2 부분(40)은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단부(40a,40a)를 포함하고, 제 2부분(40)의 1쌍의 단부(40a,40a)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가동 접촉부(41)가 형성된다.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편부(38)의 제 2 부분(40)의 1쌍의 단부(40a)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가동 접촉부(41)가 대응하는 고정 접촉부(28)에 대해서 측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 2 편부(38)의 제 2 부분(40)에 있어서 1쌍의 제 1 가동 접촉부 (41,41) 사이의 중간부(44)에, 플러그 핀(51)에 접촉하기 위한 제 2 가동 접촉부 (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가동 접촉부(42)는 하우징(2)의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에 플러그 핀(51)이 삽입되는 검사시 이외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에 면하는 위치에 있다.
상기 제 2 편부(38)의 제 2 부분(40)은 제 1 편부(37)측, 즉, 고정 접촉부 (28)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산형상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사시에 검사장치(50)의 플러그 핀(51)이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에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 핀(51)에 의해 스위치 단자(4)의 제 2 편부(38)의 제 2 부분(40)의 중앙의 제 2 가동 접촉부(42)가 측방으로 눌려져 변위함으로써 플러그 핀(51)에 제 2 가동 접촉부(42)가 탄성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변위에 따라 제 2 편부(38)의 제 2 부분(40)의 양단의 제 1 가동 접촉부(41)와 고정 단자(3)의 고정 접촉부(28)의 접촉이 차단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U자형상으로 만곡한 스위치 단자(4) 자체의 스프링 특성에 의해서 제 1 가동 접촉부(41)가 고정 접촉부(28)에 탄성 접촉한다. 플러그 핀(51)이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에 삽입되고, 플러그 핀(51)의 측부(51a)에 제 2 가동 접촉부(42)가 접촉하면 스위치 단자(4)는 플러그 핀(51)에 전기 접속함과 아울러 스위치 단자(4)의 U자 형상부의 제 2 편부(38)가 플러그 핀 (51)의 삽입방향(X)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측방)으로 변위하고, 각 제 1 가동 접촉부(41)와 대응하는 고정 접촉부(28)의 접촉이 차단된다.
또한, 플러그 핀(51)이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스위치 단자(4)는 자기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고, 제 1 가동 접촉부(41)는 고정 접촉부(28)에 탄성 접촉한다.
스위치 단자(4)가 플러그 핀(51)의 삽입방향(X)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단자(4)의 탄성변형범위를 확보하면서 상기 동축 커넥터(1)의 박형화의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 단자(3)가 1쌍의 고정 접촉부(28)를 포함함과 아울러 스위치 단자(4)의 U자 형상부(35)의 제 2 편부(38)는 1쌍의 고정 접촉부(28)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폭이 좁은 제 1 부분(38a)과 이것보다 선단측의 폭이 넓은 제 2 부분(40)을 포함하고, 이 제 2 부분(40)은 그 양단에, 1쌍의 고정 접촉부(28)에 각각 대응하는 1쌍의 제 1 가동 접촉부(41)를 형성하고, 1쌍의 제 1 가동 접촉부(41) 사이에 제 2 가동 접촉부(4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스위치 단자(4)의 일부를 고정 단자(3)측으로 밀어넣어 조합시킴으로써 공간절약을 확보하면서 스위치 단자(4)의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다. 고정 단자(3)와 스위치 단자(4)가 대응하는 1쌍의 접촉부(28,41)끼리의 접촉을 확보하는 것이므로 신뢰성이 높다.
또한, 삽입시의 플러그 핀(51)에 의해서 제 2 가동 접촉부(42)가 문질러지므로[소위 와이핑(wiping)] 먼지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확실한 검사가 실시가능하다.
또한, 만일 드라이버 등의 이물이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12)의 상당히 안쪽까지 삽입되어도 스위치 단자(4)가 소성변형되어 버리는 일이 없고, 이후, 스위치 단자(4)의 제 1 가동 접촉부(41)와 고정 단자(3)의 고정 접촉부(28)의 접속에 문제는 없다.
또한, 스위치 단자(4)가 U자 형상부(35)를 포함하여 대략 가로방향으로 S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39)이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탄성 굴곡부(34,36)를 포함하므로 공간절약을 도모하면서 스위치 단자(4)의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저면(2a)에 있어서 고정 단자(3) 및 스위치 단자(4)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수용실(6)이 제 1, 제 2 및 제 3 맞물림홈(13,14,15)과 함께 개방부분(43)을 통해서 개방되어 있고, 또한, 고정 단자(3) 및 스위치 단자(4)의 각 단자 본체(22,30) 및 리드부(27,31)는 저면(2a)의 오목부(2b)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개방부분(43)을 통해서 고정 단자(3) 및 스위치 단자(4)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선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스위치 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촉불량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먼지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서 양호한 검사가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5)

  1.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을 통해서 개방하는 단자 수용실을 구획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된 고정 단자와 스위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는 상기 단자 수용실 내에서 상기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을 향하여 개방하는 U자 형상부를 포함하고, 이 U자 형상부는 플러그 핀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고,
    상기 U자 형상부가 플러그 핀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단자가 상기 고정 단자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이 고정 단자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상태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단자 수용실 내에서 플러그 핀 삽입방향을 대략 따라서 배치된 1개이상의 고정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의 U자 형상부는 제 1 및 제 2 가동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동 접촉부는 상기 고정 단자의 고정 접촉부에 측방으로부터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 2 가동 접촉부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 핀의 측부에 접촉가능하고,
    상기 플러그 핀 삽입용 구멍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핀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가동 접촉부가 상기 플러그 핀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1 가동 접촉부와 고정 접촉부의 접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삽입용 구멍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핀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제 2 가동 접촉부를 측방으로 변위시킴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 접촉부가 측방으로 변위되고, 그 결과, 상기 제 1 가동 접촉부가 상기 고정 접촉부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부는 탄성 굴곡부를 통해서 서로 연속하며 대략 플러그 핀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단자는 고정단 및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U자 형상부의 제 1 편부는 상기 고정단에 연이어짐과 아울러 제 2 편부는 상기 자유단에 연이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 접촉부는 상기 U자 형상부의 제 2 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단자는 대략 가로방향으로 S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단자는 상기 U자 형상부의 제 1 편부의 일단에 상기 탄성 굴곡부를 통해서 연이어짐으로써 상기 U자 형상부와 공동하여 상기 대략 가로방향으로 S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형성하는 고정 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실은 상기 고정 단자 및 스위치 단자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조립가능한 개방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고정 접촉부 및 2개의 상기 제 1 가동 접촉부가 서로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단자의 U자 형상부의 제 2 편부는 상기 고정 접촉부 사이를 삽입통과하는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보다 상기 스위치 단자의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부의 제 2 부분의 폭이 상기 제 1 부분의 폭보다 넓고, 상기 2 편부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에서 T자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부의 제 2 부분의 폭은 상기 고정 접촉부 사이의 간극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의 1쌍의 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 1 가동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1쌍의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의 중간부에 상기 제 2 가동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부의 제 2 부분은 상기 고정 접촉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산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1020040025026A 2003-04-15 2004-04-12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100629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0735A JP4152242B2 (ja) 2003-04-15 2003-04-15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JP-P-2003-00110735 2003-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449A true KR20040090449A (ko) 2004-10-25
KR100629751B1 KR100629751B1 (ko) 2006-09-28

Family

ID=3290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026A KR100629751B1 (ko) 2003-04-15 2004-04-12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97480B2 (ko)
EP (1) EP1469565B1 (ko)
JP (1) JP4152242B2 (ko)
KR (1) KR100629751B1 (ko)
CN (1) CN1324770C (ko)
DE (1) DE602004000520T2 (ko)
TW (1) TWI23201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15B1 (ko) * 2004-07-06 2007-06-18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441788B1 (ko) * 2012-04-23 2014-09-1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형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0446B2 (ja) * 2004-08-27 2009-0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100658821B1 (ko) 2005-05-02 2006-12-19 (주)이노비즈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US7041918B1 (en) * 2005-05-10 2006-05-09 Chia-Chen Wu Electrical power outlet
TWM317693U (en) * 2007-04-13 2007-08-2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TWM327109U (en) * 2007-09-07 2008-02-11 Insert Entpr Co Ltd Microwave connector socket used in RF communication
CN201252276Y (zh) * 2008-07-02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0113536A1 (ja) * 2009-04-01 2010-10-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検査用同軸コネクタ
US8885355B2 (en) 2011-07-06 2014-11-11 Apple Inc. Device having snaps with soldered snap members
JP5979407B2 (ja) * 2012-02-23 2016-08-24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US9648444B2 (en) 2014-01-06 2017-05-09 Brian G. Agee Physically secure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wireless M2M networks
JP6041107B2 (ja) * 2014-09-16 2016-12-07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JP6137123B2 (ja) 2014-11-12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804888B2 (ja) * 2016-07-27 2020-12-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DE102017218326A1 (de) * 2017-10-13 2019-04-18 Robert Bosch Gmbh Hochstromverbindung
CN111525351B (zh) * 2019-02-02 2021-09-21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EP3939143A4 (en) 2019-03-12 2022-12-28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RELAY CONDITIONING AND IMPULSE CONTROL
WO2020191244A1 (en) 2019-03-19 2020-09-24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Intelligent automatic transfer switch module
CA3134065A1 (en) 2019-03-21 2020-09-24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Electrical cord cap with easy connect housing portio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641A (en) * 1875-03-09 Improvement in opera-chairs
GB8808122D0 (en) * 1988-04-07 1988-05-11 Pag Ltd Electrical plug & socket connector
US5741146A (en) * 1996-10-29 1998-04-21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switch
JP2889562B1 (ja) 1998-04-21 1999-05-10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3337650B2 (ja) * 1998-10-05 2002-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6062885A (en) * 1999-04-23 2000-05-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witch assembly
MY124368A (en) * 1999-11-19 2006-06-30 Enplas Corp Socket for electrical parts
DE19962437A1 (de) * 1999-12-22 2001-07-05 Ims Connector Systems Gmbh Buchsenteil, Steckerteil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Buchsenteil und/oder Steckerteil
TW488116B (en) * 2000-03-31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eptacle for coaxial plug connector
JP3711002B2 (ja) 2000-08-31 2005-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DE10051791C2 (de) * 2000-10-18 2003-10-30 Ims Connector Systems Gmbh Steckverbinder mit Schalter
JP3515084B2 (ja) * 2001-08-02 2004-04-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ヒンジ用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に接続される回路基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15B1 (ko) * 2004-07-06 2007-06-18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441788B1 (ko) * 2012-04-23 2014-09-1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형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4770C (zh) 2007-07-04
JP2004319227A (ja) 2004-11-11
EP1469565B1 (en) 2006-03-22
DE602004000520T2 (de) 2006-09-21
DE602004000520D1 (de) 2006-05-11
US7097480B2 (en) 2006-08-29
EP1469565A1 (en) 2004-10-20
CN1543019A (zh) 2004-11-03
KR100629751B1 (ko) 2006-09-28
TW200428719A (en) 2004-12-16
TWI232011B (en) 2005-05-01
US20040206614A1 (en) 2004-10-21
JP4152242B2 (ja)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751B1 (ko)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KR100942681B1 (ko) 전기 커넥터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0330863B1 (ko) 동축 커넥터
JP3027570B1 (ja) コネクタ構造
KR20100109426A (ko) 스위치가 장착된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JP3337650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20100025579A (ko) 동축 커넥터
US20040175978A1 (en)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US647304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US20050208826A1 (en) Multi-pole jack
JP2001015199A (ja) ばねコネクタ
CN116544689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3611754B2 (ja) アンテナ構造
JP2004031087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2023113313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24030590A (ja) 多重嵌合するコネクタを備えるコネクタ組立体
JP2003203727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KR20100045122A (ko) 스위치
JPH08162819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