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809A -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 Google Patents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809A
KR20040087809A KR1020030022745A KR20030022745A KR20040087809A KR 20040087809 A KR20040087809 A KR 20040087809A KR 1020030022745 A KR1020030022745 A KR 1020030022745A KR 20030022745 A KR20030022745 A KR 20030022745A KR 20040087809 A KR20040087809 A KR 20040087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aspartic acid
extract
astaxanthin
arrow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764B1 (ko
Inventor
홍남두
조수묵
유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신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to KR10-2003-002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7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타잔틴(astaxanthin),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및 갈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숙취해명의 소제는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숙취 해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음료나 식품 등의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Hangover curing agent containing astaxanthin, aspartic acid and extract from flowers of an arrowroot}
본 발명은 아스타잔틴(astaxanthin),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및 갈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뇌의 억제중추를 마비하여 섭취시 외관상 흥분한 상태를 보여주는데, 의식과 동작을 억제하고 수면 및 마취 효과가 있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현대인의 주요한 기호식품이다. 우리나라의 음주 문화는 경제성장과 함께 그 소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현재 개인당 알코올 소비 수준은 세계에서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알코올은 과다 섭취하는 경우에 중독증으로 발전할 수 있고, 뇌 등의 중추신경계 뿐만 아니라 소화기관 및 간 등의 대사기관도 손상시키는 개인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음주운전 등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증가는 사회적 문제로 크게 대두하고 있어, 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있는 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음주 후 숙취 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틸알코올 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 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상기 독성 작용이 장시간 지속되어 신진대사 등에 장애를 일으켜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정상적인 에틸알코올 대사과정은 에틸알코올이 체내에 유입되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 속으로 들어가 간장으로 이동하고, 간세포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가 있어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 의하여 초산을 분해되어 온 몸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이행되어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기능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인 경우에만 작용하는 Ⅰ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Ⅱ형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가 결핍내지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가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산화되지 아니한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틸알코올의 유독 작용에 의하여 간세포와 뇌세포의 손상을 야기한다. 아울러, 알코올의 탈수작용으로 인한 체내의 수분 부족과 수분과 함께 여러 가지 전해질이 체외로 배출되어 전해질이 부족해진다. 상기 원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구토, 두통, 오한, 복통 등의 다양한 숙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음주 후의 숙취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약 제재 또는 인공 제재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되는 다수의 숙취해소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북어국이나 콩나물국 등이 숙취해소에 자주 이용되고 있으나 보관이나 복용이 불편하여 이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경제적이고 효과가 탁월한 숙취해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화학식 C40H52O4로 나타내어지는 아스타잔틴(astaxathin; 3,3'-dihydroxy-β,β-carotene-4,4'-dione)은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베타카로틴으로 대표되는 카로티노이드 계열의 크산토필(xanthophyll)에 속하는 색소중의 하나이다(Di Mascio, P.et al. (1991)Am. J. Clin. Nutr., 53:194S-200S). 실제로 인간이 섭취하는 많은 식품에 존재하는 주홍색 또는 밝은 오렌지색의 색소인 아스타잔틴은 천연적으로 생산되어 해상 및 수상동물에 가장 널리 존재하고, 특히 새우, 붉은 도미류(red seabream), 연어(salmon) 및 바다가재(lobster) 등과 같은 해양 동물 조직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ujita,et al. (1983)Nippon Suisan Gakkaishi., 49:1855-1869; Johnson, E.A. (1991)Crit. Rev. Biotechnol., 11:297-326; Nelis,et al. (1991)J. Appl. Bacteriol., 70:181-191). 또한, 게나 가재를 삶으면 빨갛게 되는 것은 색소 단백질이 분해되어 붉은 아스타잔틴의 색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생체 내에서는 단백질과 결합된 색소단백질로 많이 존재하는 아스타잔틴은 정상적인 호기적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내 DNA, 단백질, 지질 등의 손상, 세포 및 조직의 노화와 발암을 유발하는 반응을 억제할 뿐만아니라, 강력한 생물학적 항산화제로 강한 유리 라디칼(hydroxy or peroxy radicals)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지질의 과산화(peroxidation) 및 산화적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LDL-콜레스테롤, 세포막 및 조직을 보호한다(Palozzaet al. (1992)Arch. Biochem. Biophys., 297:291-295; Shimidzu,et al. (1996)Fish Sci., 62:134-137). 이것은 아스타잔틴이 단원자 산소를 제거시킬 수 있는 항산화력에서 비타민 E인 α-토코페롤(tocoperol) 보다 100 내지 500배 더 활성이 높고, β-카로틴보다는 10배 이상 더 강력한 항산화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여러 식품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아스파라긴산(C4H7O4N, CO2H-CH(NH2)-CH2-CO2H)은 분자량은 133.10이고, 녹는점은 271℃인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한 종류로 아스파르트산 또는 아미노호박이라고도 한다. L-, D-형 2종의 이성질체가 있는데, 2-아미노숙신산(aminosuccinic acid)인 L형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산성 아미노산이고, D형은 세균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peptideglycan) 및 바시트라신(bacitracin)의 성분이며 소나무에 유리산으로 존재한다. 1927년에 프리슨(Plisson, J.)이 아스파라거스 쥬스에서 처음 발견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무색의 판상 결정으로, 물과 알코올에는 녹지 않고 산 ·알칼리에는 녹는다.
아스파라긴산은 식물의 새싹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중추신경계에 해로운 암모니아를 체내로부터 배출하는 기능을 돕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신진대사를촉진하거나 정혈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아스파라긴산은 뇌세포와 신경세포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하고, 스테미나 증진시켜 피로, 우울증을 해소하고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의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만성 피로증후군을 개선하는데 농도가 저하되면 우울증이 나타나지만, 농도가 너무 증가되면 간질이 나타난다. 아울러, 암모니아 대사를 촉진하여 간에 좋은 영양소가 되며, 다른 아미노산과 결합하여 독소를 흡수하여 혈액으로부터 제거하는 간해독 기능이 있다. 또한, 미네랄 흡수 보조 기능이 있어서, 어떤 종류의 미네랄의 장흡수를 도와서 미네랄의 혈중농도를 높임으로서 세포의 기능을 돕고,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DNA와 RNA의 기능을 강화한다. 나아가, 면역글로불린과 항체생성을 촉진하여 면역능을 강화시키는 작용이 있다.
또한, 갈화는 칡뿌리의 꽃으로 그 성분이 아데닌(adenine), 아스파라긴(aspargin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전분 등으로 구성되며, 술로 인해 토혈할 때, 풍독으로 인한 두통, 어지러움, 고혈압, 오한, 발열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갈화에는 주독을 풀어주는 '로비딘'이라는 성분이 많이 들어 있고, 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이뇨작용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가 숙취, 기타 질환의 개선 및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어 숙취해소용 기능성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제를 함유하는 경구형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제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한다. 이때, 총중량을 기준으로 아스타잔틴 0.01-0.1 중량%, 아스파라긴산 1-5 중량% 및 갈화 추출액 1-5 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되는 식품의 종류이나 섭취량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까지 음주 후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등의 효능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는 아스타잔틴을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켜 숙취 해소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아스타잔틴과 함께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키는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혼합한 것은 그 숙취 해소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즉,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또는 갈화 추출액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혈중 알코올 감소 효능이 훨씬 뛰어나다.
본 발명의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에 있어서, 아스타잔틴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421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식으로 제조한 아스타잔틴을 고온에서 추출한 갈화 추출액 및 아스파라긴산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에는 상기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의 주요성분 이외에 보조성분이나 공지된 첨가제로 비타민 A, D, C, B, E 또는 K, Ca, Mg, Fe, Cu, Zn, Mn, Mo, Co, I, F, P 등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레시틴 등의 인지질, β-시토스페롤 등의 스테롤 화합물,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사과산, 레시틴, 아미노산, 판감산(pangamic acid), 백설탕, 과당, 천연향료, 천연색소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비타민 C, E와 Ca, Zn, 레시틴, 구연산, 판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4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천연향료로는 장미향, 레몬향, 바닐라향 또는 박하향 등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천연색소로는 클로로필린(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백설탕 등 대신에 글루코오스, 벌꿀 등으로 감미성분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제를 함유하는 경구형 제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경구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여러 가지 경구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는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제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기능성식품, 건강보조식품, 음료, 차 및 껌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식품류 및 비타민 복합제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건강보조식품"이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식품"이란 식품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기능성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에 사용할 경우, 상기 숙취해소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종래의 일반적인 숙취해소제과는 달리 상기의 주요 유효성분의 혼합조성으로 인하여 상승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단순한 숙취제거 효과뿐만 아니라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기의 숙취해소제에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조성된 기능성 음료의 경우에 관능 검사를 실행한 결과, 그 선호도가 매우 높아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에 상기 숙취해소제가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스타잔틴의 수득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공개특허 2001-44210의 방법에 따라 배양된 파피아 로드지마 균주로부터 색소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아스타잔틴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파피아 로도지마 균주(수탁번호 KCTC 0921BP)를 5일간 배양하여 멸균수로 2회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였다. 여기에 디메틸설폭사이드 1 ㎖, 아세톤 1 ㎖, 에테르 1 ㎖ 및 20% NaCl 용액 1 ㎖을 각각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교반한 후에 3, 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아스타잔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아스타잔틴을 희석하여 총중량의 0.05% 아스타잔틴 용액을 제조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아스파라긴산 용액의 제조
아스파라긴산(미국 Austin Nutrional Research사에서 구입)을 증류에 희석하여 10 중량%인 아스파라긴산 스톡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스톡용액을 희석하여 총중량의 3% 아스파라긴산 용액을 제조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갈화 추출액의 제조
건조한 갈화 100 g에 물 500 g을 투입하여 추출기에서 100 내지 110℃에서 8 내지 10 시간 동안 끓여 조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최종적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숙취해소제의 제조
<4-1>
본 발명자들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아스타잔틴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아스파라긴산 스톡용액을 각각 희석하여 총중량을 기준으로 아스타잔틴 0.05 중량%, 아스파라긴산 3 중량%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갈화 추출액 5 중량%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정제수 91.95%)를 제조하였다.
<4-2 내지 4-5>
중량% 만을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조성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숙취해소제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조성 4-2 4-3 4-4 4-5
아스타잔틴 0.01 0.1 0.01 0.1
아스파라긴산 1 1 5 5
갈화 추출액 5 5 5 5
<실시예 5> 숙취해소제의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아스타잔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아스파라긴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갈화 추출액 및 실시예 <4-1 내지 4-5>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제를 실험 동물에 투여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가 실험 동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동물은 3주 령의 스프래그-다우리(Sprague-Dawley) 랫트(대한 바이오링크(한국)에서 구입)를 사용하였고, 각 실험구 당 5 마리씩 음용수만 제공하고 24시간 절식시킨 후, 25% 에탄올을 상기 랫트 당 2㎖씩 스테인레스스틸 소식자(Sonde; 길이 10 ㎝)를 사용하여 강제 경구투여하였다. 1 시간 경과 후, 각 실험구에는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1 내지 4-5>의 숙취해소제 2 ㎖을,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2 ㎖을 투여하고, 30분 경과 후에 상기 랫트의 심장으로부터 EDTA가 함유된 배큐테이너(vacutainer)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상기 혈액에 함유되어 있는 에탄올 함량을 시그마(Sigma)사에서 구입한 키트(#332-U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혈액 0.2 ㎖에 1.8 ㎖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첨가하여 서서히 섞은 직후, 완전히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5분 동안 방치한 후, 2,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10 ㎕의 상등액과 3 ㎖의 NAD+-NADH 용액을 조심스럽게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후, 색의 변화를 340 ㎚ 파장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가 에탄올 제거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2 3 4-1 4-2 4-3 4-4 4-5 대조군
에탄올 농도 88.2 ±8.7 95.3 ±2.6 93.1 ±3.3 31.7 ±4.6 34.2 ±4.8 29.9 ±5.3 32.3 ±4.2 28.0 ±3.9 100 ±19
주: 에탄올 농도는 상대적인 알코올 농도로서 100 = 0.92 ㎎ 에탄올/㎖ 혈액
<실시예 6> 숙취해소제의 숙취 제거효과
<6-1> 갈증해소, 두통제거
상기 실시예 <4-1 내지 4-5>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제의 갈증해소와 두통제거 효과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25 내지 50세의 남녀 각 10명을 선정하고 소주 150 ㎖ 및 맥주 200 ㎖을 섭취하게 한 다음 30분 후에 상기 실시예 <4-1 내지 4-5>의 숙취해소제 100 ㎖을 시음시킨 후 갈증해소와 두통제거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가 갈증해소와 두통제거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효과 4-1 4-2 4-3 4-4 4-5
갈증해소 9.3 9.2 9.4 9.0 9.6
두통제거 9.5 9.0 9.5 9.1 9.4
주: 양호 10점, 보통 5점, 효과 없음 0점
<6-2> 시간 경과에 따른 숙취 해소
알코올 대사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20~40대 남성 5명을 피검사로 선정하여 각각 30분 동안 소주 150 ㎖ 및 맥주 200 ㎖을 섭취하게 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제를 섭취하게 한 후, 매 10분 간격으로 알코올 농도, 맥박수 및 안색의 경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알코올 농도는 음주측정용 알코올 탐지기로 측정하고, 맥박은 1분 동안의 박동수를 측정하였으며, 안색 변화는 5명의 관찰자를 별도 선정하여 안색 상태를 육안관찰하여 평균 점수를 도출하였다(안색 상태: 5점, 매우 홍조; 4점, 약간 홍조; 3점, 정상; 2점, 약간 창백; 1점, 매우 창백). 그 결과를 하기 표 4 내지 표 7에 기재하였다.
아스타잔틴의 숙취해소 효과
음주후 경과시간(분) 10 20 30 40 50 60
알코올 농도(%) 0.07 0.061 0.055 0.050 0.046 0.042
맥박수(박동수/시간) 130 127 124 122 122 123
안색 4.1 3.8 3.7 3.5 3.4 3.4
아스파라긴산 용액의 숙취해소 효과
음주후 경과시간(분) 10 20 30 40 50 60
알코올 농도(%) 0.08 0.077 0.075 0.073 0.072 0.071
맥박수(박동수/시간) 133 130 129 127 125 125
안색 4.3 4.1 4.1 4.0 4.0 3.9
갈화 추출액의 숙취해소 효과
음주후 경과시간(분) 10 20 30 40 50 60
알코올 농도(%) 0.08 0.078 0.077 0.077 0.075 0.074
맥박수(박동수/시간) 135 131 129 127 125 124
안색 4.2 4.1 4.1 4.1 4.1 3.9
실시예 <4-1>의 숙취해소 효과
음주후 경과시간(분) 10 20 30 40 50 60
알코올 농도(%) 0.028 0.012 0.006 0.003 0.002 0.002
맥박수(박동수/시간) 115 110 106 104 102 102
안색 3.3 3.0 2.7 2.5 2.5 2.5
그 결과, 상기 실시예 <4-1>의 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제의 섭취 후 30분 내에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07% 이하로 떨어뜨리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맥박수와안색도 빠르게 정상수치로 돌아와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가 알코올 대사능이 탁월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숙취해소제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
<제조예 1>
아스타잔틴 0.02 중량%, 아스파라긴산 2 중량%, 갈화 추출액 3 중량%, 비타민 C 0.1%, 과당 5.8%, 백설탕 3.87%, 구연산 0.12%, 사과산 0.03%, 구연산나트륨 0.04% 및 치자청색소 0.02%를 배합하여 계량된 물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음료를 총량이 100%(w/w %)가 되도록 계량된 정제수로 조정하였다.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성성분의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6의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제조예조성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아스타잔틴 추출액 0.02 0.02 0.02 0.02 0.02
아스파라긴산 스톡용액 2 2 2 2 2
갈화 추출액 3 3 3 3 3
비타민 C 0.1 0.2 0.3 0.4 0.5
과당 5 5.5 5.6 5.7 6
백설탕 3.5 3.65 3.75 3.8 4
구연산 0.1 0.12 0.15 0.18 0.2
구연산나트륨 0.04 0.04 0.04 0.04 0.04
사과산 0.03 0.035 0.04 0.045 0.05
천연색소 0.01 0.015 0.015 0.015 0.02
정제수 86.2 85.42 85.085 84.8 84.17
총량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8> 기능성 음료의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7과 같이 제조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의 기능성 음료에 대하여 관능검사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2회 반복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이때, 관능검사는 5점 척도법을 기준으로 하였다(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제조예검사항목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색상 4.3 4.6 4.5 4.5 4.5 4.4
4.3 4.3 4.4 4.4 4.4 4.6
4.4 4.1 4.2 4.2 4.4 4.6
촉감(mouth fee) 4.6 4.3 4.5 4.4 4.5 4.7
전체적인 기호도 4.5 4.4 4.4 4.4 4.5 4.7
상기 표 9의 시험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음료가 관능측면에서 선호할 수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식품은 관능면에서도 선호할 수 있어서 숙취해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 등의 숙취 해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음료나 식품 등의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2. 제 1항에 있어서, 아스타잔틴 0.01-0.1 중량%, 아스파라긴산 1-5 중량% 및 갈화 추출액 1-5 중량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숙취해소제를 함유하는 경구형 제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숙취해소제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KR10-2003-0022745A 2003-04-10 2003-04-10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050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745A KR100505764B1 (ko) 2003-04-10 2003-04-10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745A KR100505764B1 (ko) 2003-04-10 2003-04-10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809A true KR20040087809A (ko) 2004-10-15
KR100505764B1 KR100505764B1 (ko) 2005-08-04

Family

ID=3736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745A KR100505764B1 (ko) 2003-04-10 2003-04-10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378B1 (ko) 2015-08-12 2016-01-25 (주)포원텍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5764B1 (ko)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99934B1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15039B1 (ko) 기능성 한방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9305A (ko)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100520985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JP2003189816A (ja) 梅果実と梅種子仁を用いた健康食品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253342B1 (ko)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505764B1 (ko)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070033236A (ko) 엘라그산, 엘라지탄닌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KR20090007512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블루베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08050301A (ja) 膵リパーゼ阻害剤
KR100758266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1151339B1 (ko) 노근, 모과 및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로 회복 또는 스트레스 억제용 식품 조성물
KR101221621B1 (ko) 노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로 회복 또는 스트레스 억제용 식품 조성물
KR101135961B1 (ko) 자죽염을 포함하는 중성지질 저하용 조성물
RU2358562C1 (ru) Концентрат растительный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питка &#34;казан-бионан-3&#34;
KR100591791B1 (ko) 비만 억제용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