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943A -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943A
KR20040086943A KR1020030021136A KR20030021136A KR20040086943A KR 20040086943 A KR20040086943 A KR 20040086943A KR 1020030021136 A KR1020030021136 A KR 1020030021136A KR 20030021136 A KR20030021136 A KR 20030021136A KR 20040086943 A KR20040086943 A KR 2004008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substrate
alignment film
liquid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421B1 (ko
Inventor
윤헌도
송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421B1/ko
Priority to US10/795,234 priority patent/US7491273B2/en
Priority to CNB2004100087660A priority patent/CN100421011C/zh
Publication of KR2004008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09Ink jet technology use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배향막 형성장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기판에 배향액을 적하하는 잉크젯 헤드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부에 장착되어 배향액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부에 장착되어 홀에서부터 토출되는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스캔하는 카메라와; 상기 스캔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해주는 모니터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스캔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미지로 변환하여 모니터에 전송해주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APPARATUS FOR FORMING ALIGNMENT FILM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 특히 잉크젯방식을 통하여 배향막을 형성하고, 잉크젯헤드(inkjet head)에서 토출되는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카메라로 스캔한 후, 상기 스캔데이터를 이미지로 전환하여 배향액 토출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원하는 두께의 균일한 배향막 형성 및 재료절감/공정 단순화 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용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소자(LCD)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소자(1)는 하부기판(5)과 상부기판(3) 및 상기 하부기판(5)과 상부기판(3)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7)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기판(5)은 구동소자 어레이(Array)기판으로써,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기판(5)에는 복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와 같은 구동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기판(3)은 칼라필터(Color Filter)기판으로써, 실제 칼라를 구현하기 위한 칼라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5) 및 상부기판(3)에는 각각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층(7)의 액정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5) 및 상부기판(3)은 실링재(Sealing material)(9)에 의해 합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액정층(7)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5)에 형성된 구동소자에 의해 액정분자를 구동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은 크게 하부기판(5)에 구동소자를 형성하는 구동소자 어레이기판 공정과 상부기판(3)에 칼라필터를 형성하는 칼라필터기판공정 및 셀(Cell)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액정표시소자의 공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동소자 어레이 공정에 의해 하부기판(5)상에 배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ate Line) 및 데이터라인(Date Line)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영역 각각에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접속되는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S101). 또한, 상기 구동소자 어레이 공정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접속되어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기판(3)에는 칼라필터공정에 의해 칼라를 구현하는 R,G,B의 칼라필터층과 공통전극을 형성한다(S104).
이어서, 상기 상부기판(3) 및 하부기판(5)에 각각 배향막을 도포한 후 상부기판(3)과 하부기판(5)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의 액정분자에 배향규제력 또는 표면고정력(즉, 프리틸트각(Pretilt Angel)과 배향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배향막을 러빙(Rubbing)한다(S102,S105). 그 후, 하부기판(5)에 셀갭(Cell Gap)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를 산포하고 상부기판(3)의 외곽부에 실링재를 도포한 후 상기 하부기판(5)과 상부기판(3)에 압력을 가하여 합착한다(S103,S106,S107). 한편, 상기 하부기판(5)과 상부기판(3)은 대면적의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대면적의 유리기판에 복수의 패널(Panel)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영역 각각에 구동소자인 TFT 및 칼라필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낱개의 액정패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리기판을 절단, 가공해야만 한다(S108). 이후, 상기와 같이 가공된 개개의 액정패널에 액정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하고 상기 액정주입구를 봉지하여 액정층을 형성한 후 각 액정패널을 검사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하게 된다(S109,S11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 액정표시소자는 액정의 전기광학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 전기광학효과는 액정 자체의 이방성과 액정의 분자배열 상태에 의해 결정되어지므로, 액정의 분자 배열에 대한 제어는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 안정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액정분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막 형성공정은 액정셀 공정에 있어서 화질특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도 3은 롤 인쇄방법을 이용한 종래 배향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배향막 형성은 복수개의 롤을 이용한 인쇄방법을 사용한다. 즉, 원통형의 어닐록스롤(2)과 닥터롤(3) 사이에 공급된 배향액(14)이 상기 어닐록스롤(2)과 닥터롤(3)이 회전함에 따라 어닐록스롤(2)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된다. 이때 배향액(14)의 공급은 주사기 형태의 디스펜서(1)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어닐록스롤(2)은 표면의 일정 영역에 고무판(5)이 부착된 인쇄롤(4)과 맞닿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어닐록스롤(2) 표면의 배향액이 고무판(5)으로 전사된다. 상기 고무판(5)은 배향액이 도포될 기판(6)에 대응하며, 기판에 선택적으로 배향막을 인쇄할 수 있도록 마스크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6)이 적재된 인쇄테이블(7)이 인쇄롤(4)과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고무판(5)에 전사된 배향액이 기판(6) 상으로 재전사되어 배향막이 형성된다. 보통 배향막의 두께는 500~1000?? 정도이며, 동일기판에서는 100?? 정도의 두께 차이에 의해서도 액정표시소자(LCD) 화면에서 배향 불균일에 의한 얼룩과 같은 불량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배향막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화면의 특성을 좌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롤 인쇄방법에서는 디스펜서가 어닐록스롤 상부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어닐록스롤 상에 배향액을 공급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의 배향막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기판이 대형화됨에 됨에 따라 배향막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더욱 힘들어진다. 더욱이, 고무판(5)에 전사된 배향액이 모두 기판에 전사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기판에 형성되는 배향액보다 버려지는 것이 더 많아서 재료비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판의 크기에 다른 모델이 바뀜에 따라 상기 롤(닥터롤, 어닐록스롤, 인쇄롤)들을 교체해 주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세정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판이 대형화됨에 따라 롤인쇄장비(어닐록스롤, 인쇄롤)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기 때문에 기판의 대형화 따른 장비의 거대화를 야기하며, 배향막의 균일한 두께(uniformity)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잉크젯 방식의해 필요한양의 배향액을 원하는 위치에 도포하여 배향막을 형성함으로써, 기판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두께의 배향막을 형성하고 재료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젯헤드부에서 토출되는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배향액 토출검사용 카메라를 두어 잉크젯헤드부의 배향액 토출상태를 카메라로 스캔한 다음,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모니터로 전송하여 각 헤드별 배향액의 토출양 및 토출상태의 정상유무를 확인함으로써,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두께의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있다.
기타, 본 기타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
도 2는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롤 인쇄방법을 이용한 종래 배향막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도면.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잉크젯시스템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잉크젯시스템의 잉크젯헤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모니터를 통해 표시된 배향액 토출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모니터를 통해 표시된 배향액 토출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모기판 100a: 스테이지
110a: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칼라필터 기판
120: 잉크젯 헤드부 120a: 헤드
125: 홀 130: 배향막
205: 데스트용 종이 210: 스캔부
220: 모니터 250: 배향액 토출검사기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향막 형성장치는 기판에 배향액을 적하하는 잉크젯헤드부와; 상기 잉크헤드부에 배향액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부와; 상기 잉크젯헤드부와 배향액 공급부를 연결하고 상기 잉크젯 헤드부에 배향액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잉크젯헤드부로부터 토출되는 배향액의 상태 즉, 배향액의 토출량 및 토출 유무등을 검출하는 배향액 토출검사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잉크젯 헤드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헤드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의 개폐(開閉)에 의해서 배향액의 적하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각각의 헤드에 대응하도록 장착되어 있어 상기 헤드의 홀에서 토출되는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표시해준다.
상기 배향액 토출검사기는 상기 잉크젯헤드부에 장착되어 잉크젯헤드부로부터 출되는 배향액을 시간에 따라 스캔하여 카메라에 담은 다음, 상기 카메라로부터 스캔된 데이터를 분석한 후, 배향액의 토출량 및 배향액 토출 유무를 이미지화하여 모니터에 보여줌으로써, 배향막 형성 중에 상기 잉크젯 헤드부로부터 배향액이 정상적으로 기판에 적하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잉크젯방식을 통하여 배향막을 형성하여 필요한 양의 배향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향액 사용으로 인한 재료비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기판이 대형화됨에 따라 잉크젯 헤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향액 토출검사기를 두어 잉크젯 헤드부에서 토출되는 배향액의 토출량 및 토출상태의 정상유무를 체크하여 배향액이 정상적으로 기판에 적하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향막 형성 불량을 미리 막을 수 있다.
이하, 참조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잉크젯 시스템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 또는 칼라필터기판(110a)이 배치된 모기판(100)을 준비한다.
상기 모기판(100)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공정 및 칼라필터공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공정에서는 투명한 제 1기판을 준비한 후, 상기 기판 상에 종횡으로 배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영역 각각에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접속되는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한 다음,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영역 전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투명한 화소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칼라필터공정에서는 투명한 제 2기판을 준비한 다음, 상기 기판 상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고,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칼라필터를 형성한 다음, 그 위에 공통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모기판(100) 상에 배향액 적하수단을 사용하여 배향액(130)을 적하함으로써 배향막 형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향액 적하수단은 잉크젯 시스템으로써 기판에 직접 배향액을 적하하는 잉크젯 헤드부(120)와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에 배향액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부(160) 및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와 배향액 공급부(160)를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잉크젯 헤드부(120)에 배향액(150)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관(1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의 열리고 닫힘에 의해서 기판에 도포하는 배향액의 공급량 및 배향액의 적하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홀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배향막 형성 공정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배향액(150)이 저장된 상기 배향액 공급부(160)에 질소가스(N2)가 공급되면, 상기 질소가스에 의해서 배향액 공급부(160)의 압이 높아지고 이 압에 의해서 배향액은 배향액 공급관(161)을 통하여 잉크젯 헤드부(120)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배향액은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모기판(100) 위에 적하된다. 상기 홀을 통하여 토출(吐出)된 배향액은 기판에 적하되어 균일한 두께의 배향막을 형성하게 된다.
배향막 형성은 기판(100)이 위치하는 스테이지(100a) 또는 잉크젯 헤드부(120)가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며, 잉크젯 헤드부(120)를 지나간 모기판(100) 영역에는 선택적으로 배향막(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는 기판 상에 배향액을 공급하면서 스테이지(100a)의 이동도중 잉크젯 헤드부(120)에 형성된 홀의 일부를 닫음으로써, 기판 상에 선택적으로 배향막(130)을 형성할 수있다. 배향막(130)이 형성되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칼라필터기판이 형성된 영역(120)이다.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는 모기판(100)의 크기에 따라 배향액의 적하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을 가지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헤드(120a)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모기판(100)이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헤드수를 증가시켜 기판의 대형화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도 5는 상기 잉크젯헤드(120a)를 도시한 것으로, 홀이 형성된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헤드(120a)는 일정간격(d1)으로 이격된 복수의 홀(125)을 가지며, 상기 홀(125)을 통하여 토출(吐出)되는 배향액이 기판에 적하된다. 따라서, 상기 홀(125)의 크기 및 이격간격(d1)을 변화시켜 배향막의 두께 및 기판에 형성되는 배향막 두께의 균일성(uniformity)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125) 각각에 대하여 개폐(開閉)가 가능하기 때문에 두 가지 이상의 기판모델이 형성된 멀티모델글라스(Multi Model Glass)에도 상기 홀을 부분적인 개폐시켜 배향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잉크젯시스템을 이용한 배향막 형성은 다양한 기판모델 및 기판의 대형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필요한 양의 배향액만을 직접 기판 상에 적하하기 때문에 배향액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기판 상에 배향액 적하시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의 홀 내부에 이물질등이 끼게 되면 배향액이 제대로 토출되지 못하여 기판에 형성된 배향막 두께가불균일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배향액이 기판(100)에 적하되는 동안 기판(100)과 잉크젯 헤드부(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서 배향액 적하시 이물질에 의한 홀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실제로, 기판(100)과 잉크젯 헤드부(120) 사이의 간격은 약 0.5∼3mm 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배향막을 형성하기 전 스테이지(100a) 위에 테스트용 종이(205)를 올려놓고 상기 테스트용 종이(205) 위에 배향액을 적하하여 배향액 토출상태의 정상 유무를 미리 확인하여 실제 기판에 형성되는 배향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를 구성하고 있는 각 헤드(120a)별로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배향액의 토출량 및 이물에 의한 홀의 개폐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테스트용 종이(205)를 이용하는 방법은 배향액을 기판에 적하하는 중에 발생되는 배향액의 토출 불량여부를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각각의 잉크젯헤드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모든 홀에서 나오는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이미지로 전환하여 모니터를 통해 관측함으로써, 배향막 형성공정 중에 발생되는 배향액 토출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든 홀에 대하여 배향액 토출상태를 정확하게 관측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을 위한 배향막 형성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배향액 토출검사기(250)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가 이전도면(도 5)과 동일하며, 이전도면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배향막 형성장치는 실질적으로 기판(100)에 배향액을 적하하여 박막트랜지스터 또는 칼라필터기판(110a) 상에 배향막(130)을 형성하는 잉크젯 헤드부(120) 및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에 배향액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젯시스템과 상기 잉크젯시스템의 잉크젯 헤드부(120)에 부착되어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관찰하는 배향액 토출검사기(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향액 토출검사기(250)는 카메라로 이루어진 스캔부(210)와 상기 스캐부(210)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각각의 헤드(120a)로부터 시간에 따른 배향액의 토출량을 이미지로 전환하여 표시해주는 모니터(22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스캔부(210)로부터 스캔데이터를 받아 화상이미지로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를 모니터(220)에 전송해주는 이미지변환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캔부(210) 즉, 카메라는 잉크젯헤드부(120)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헤드(120a)에 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어서, 모든 헤드(120a)에 대하여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동시에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부(210)는 잉크젯헤드(120)가 이동함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배향액이 기판 위에 적하되는 동안에도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관측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전 실시예와 같이 모든 헤드에 대하여 일일이 배향액 불량검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배향막 형성공정 중에도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정확하게 확인 할 수가 있다.
상기 모니터(220)는 시간에 따른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표시하여 모든헤드(120)에 대하여 기판에 적하되고 있는 배향액의 토출량 및 토출속도를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헤드에서 토출되어 나오는 배향액을 막대그래프(201)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헤드(120a)에 형성된 각 홀(125)에 대하여 하나의 막대그래프(201)가 표시된다. 막대그래프는 배향액의 토출량을 나타내며, 모든 홀(125)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의 막대그래프(201)가 표시되는 것은 모든 홀이 기판 위에 동일한 양의 배향액을 적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에, 특정 홀이 이물질 등으로 인해 막힐 경우, 상기 홀에 대응하는 막대그래프(203)는 다른 그래프에 비하여 그 높이가 현저히 낮으며, 이것은 홀막힘으로 인하여 배향액이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통해 스캔된 데이터를 모니터 상에 이미지로 표시해줌으로써, 헤드(120a)의 각 홀(125)에서 토출되는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정확하게 체크하여 균일한 두께의 배향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잉크젯 시스템을 통한 배향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향막 형성전에 배향액의 토출불량 유무를 정확하게 검출해낼 수 있는 배향액 토출검사기를 제공함으로써, 배향액의 토출불량이 정확하게 검출하여 균일한 두께의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배향막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및 모니터를 포함하는 배향액 검사시스템을 통하여 각 홀에 대하여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자동체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배향막 형성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잉크젯방식으로 이루어진 배향막형성장치에 배향액토출 검사시스템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각 헤드내(內) 홀의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정확하게 체크하여 배향액 토출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향막형성의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9)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배향액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부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헤드부로의 배향액 토출상태를 스캔하는 스캔부와;
    상기 스켄부에 의해 스캔된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해주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부와 배향액 공급부를 연결하는 배향액 공급관 및 상기 스캔부로부터 스캔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미지로 변환하여 모니터에 전송해주는 이미지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헤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개폐(開閉) 및 크기에 의해서 기판에 적하되는배향액의 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잉크젯 헤드부의 이동에 유동적으로 대처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잉크젯 헤드부의 각 헤드에 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9.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기판에 배향액을 적하하는 잉크젯 헤드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부에 장착되어 배향액을 공급하는 배향액 공급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부에 장착되어 홀에서부터 토출되는 배향액의 토출상태를 스캔하는 카메라와;
    상기 스캔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해주는 모니터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스캔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미지로 변환하여 모니터에 전송해주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KR1020030021136A 2003-04-03 2003-04-03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KR101060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36A KR101060421B1 (ko) 2003-04-03 2003-04-03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US10/795,234 US7491273B2 (en) 2003-04-03 2004-03-09 Apparatus for forming alignment layer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B2004100087660A CN100421011C (zh) 2003-04-03 2004-03-17 形成液晶显示装置中定向层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36A KR101060421B1 (ko) 2003-04-03 2003-04-03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943A true KR20040086943A (ko) 2004-10-13
KR101060421B1 KR101060421B1 (ko) 2011-08-29

Family

ID=3309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136A KR101060421B1 (ko) 2003-04-03 2003-04-03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91273B2 (ko)
KR (1) KR101060421B1 (ko)
CN (1) CN1004210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827B1 (ko) * 2004-12-13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배향막 인쇄 장치 및 방법
KR101184069B1 (ko) * 2006-03-29 2012-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리이미드막 도포 장치 및 그 방법
CN103676226B (zh) * 2012-08-31 2016-08-10 细美事有限公司 液晶排放量测量单元、排放量测量方法以及基板处理装置
CN103323978B (zh) * 2013-05-29 2016-01-0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配向膜制作装置及制作方法
CN105182574B (zh) * 2015-08-28 2018-03-3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Tft基板上的配向膜厚度测量方法及cf基板上的配向膜厚度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0366A (en) * 1984-01-09 1985-05-28 The Mea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start/stop of an ink jet printing device
JP2756159B2 (ja) * 1989-11-09 1998-05-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ク記録装置
JPH09318957A (ja) * 1996-03-29 1997-12-1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073493B1 (ja) 1999-08-03 2000-08-07 株式会社石井表記 液晶表示素子の配向膜形成方法
JP2001228320A (ja) * 2000-02-21 2001-08-24 Canon Inc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91273B2 (en) 2009-02-17
CN1536397A (zh) 2004-10-13
US20040196349A1 (en) 2004-10-07
CN100421011C (zh) 2008-09-24
KR101060421B1 (ko) 201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3159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シールディスペンサ及びこれを利用したシールパターンの断線検出方法
US20100006029A1 (en) Apparatus for aligning dispenser system, and dispenser alignment system
KR100606446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1060421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KR20040056126A (ko) 디스펜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KR100928924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형성방법
KR100960456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형성방법
KR101044527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KR100919204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형성방법
KR100928927B1 (ko) 배향막 형성장비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 형성방법
KR20060133379A (ko) 배향막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 형성방법
KR20100072503A (ko)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101067972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러빙불량검사기
KR20070071172A (ko)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US8210121B2 (en) Central supply system of alignment material and apparatus for forming alignment layer having the same
KR20070068177A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KR20070070506A (ko) 잉크젯 인쇄 장비의 토출확인 시스템 및 방법, 및 상기시스템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71260A (ko) 잉크젯 인쇄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64396A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KR20070071257A (ko) 잉크젯 인쇄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KR101119806B1 (ko) 배향막도포장치의 고무판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20070071198A (ko) 러빙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101060376B1 (ko) 액정표시소자의 실런트 적하장치
JP2010036551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50120081A (ko) 배향막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