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844A -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 Google Patents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844A
KR20040086844A KR1020040023200A KR20040023200A KR20040086844A KR 20040086844 A KR20040086844 A KR 20040086844A KR 1020040023200 A KR1020040023200 A KR 1020040023200A KR 20040023200 A KR20040023200 A KR 20040023200A KR 20040086844 A KR20040086844 A KR 20040086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floor
frame
brake peda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802B1 (ko
Inventor
요시무라가즈노리
후쿠마고
데라다야스오
가와모토슈이치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상에 풋레스트를 설치하여 페달 조작의 쾌적성을 얻는 동시에, 풋레스트에 방해받지 않고 대형 물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플로어 상에서의 물품 수용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플로어 패널(11) 상의 힌지(42)에 힌지 축(45)을 통해 풋레스트(15)를 세우거나 쓰러뜨림(起倒) 가능하게 지지하고, 플로어 패널(11) 상으로 쓰러뜨린 플로어 패널(11)의 사용 상태에서는, 이 위로 발을 얹어 리어 브레이크 페달(14)의 조작을 쾌적하게 행한다. 또한 플로어 패널(11) 상에 대형 화물(87)을 두는 경우는, 풋레스트(15)를 전방으로 회전운동시켜 기립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화물(87)을 두기 위한 큰공간을 만든다.

Description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FLOOR STRUCTURE FOR SCOOTER-TYPED VEHICLE}
본 발명은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특히 풋(foot) 브레이크식 리어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용으로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풋레스트(footrest)의 유리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상에 풋 브레이크식의 리어 브레이크 페달을 돌출시켜, 그 근방이 되는 플로어 상에 풋레스트를 설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소 59-110789호 공보
그런데, 상기 풋레스트는 플로어의 일부를 융기시켜서 형성한 것으로, 플로어와 일체의 고정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적인 풋레스트를 설치하면, 플로어 상에 화물을 두고자 하는 경우에 방해가 되어 물품 수용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풋레스트를 사용하였을 때의 쾌적성과, 풋레스트를 설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큰 물품을 플로어 상에 둘 수 있도록 한 물품 수용성의 양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의 측면도,
도 2는 플로어부의 평면도,
도 3은 플로어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풋레스트의 측면도,
도 5는 풋레스트의 평면도,
도 6은 풋레스트 매트의 전개 평면도,
도 7은 풋레스트 매트의 전개 측면도,
도 8은 풋레스트 프레임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풋레스트 커버의 측면도,
도 11은 풋레스트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프레임 11 : 플로어 패널
13 : 저바닥식 플로어 14 : 리어 브레이크 페달
15 : 풋레스트 16 : 메인 스탠드
30 : 사이드 프레임 34 : 페달 아암
40 : 스탠드 샤프트 50 : 풋레스트 프레임
51 : 풋레스트 매트 52 : 풋레스트 커버
53 : 프레임부 54 : 플레이트
55 : 장착부 63 : 리턴 스프링
87 : 화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의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청구항 1은, 저바닥식 플로어와, 이 플로어 상에 돌출하는 리어 브레이크 페달, 및 이 리어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발을 얹기 위한 플로어 상에 설치된 풋레스트를 구비한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를 플로어 상에 넓은 점유 면적을 가지고 위치하는 사용 상태와, 플로어 상에 보다 좁은 점유 면적이 되는 비사용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를 상기 플로어의 폭 방향에서, 상기 리어 브레이크 페달보다 안쪽이 되도록 대략 중앙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플로어에 대하여 힌지를 통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 수단과, 사용 상태 하면측을 덮는 풋레스트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플로어부의 평면도, 도 3은 플로어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풋레스트의 측면도, 도 5는 풋레스트의 평면도, 도 6은 풋레스트 매트의 전개 평면도, 도 7은 풋레스트 매트의 전개 측면도, 도 8은 풋레스트 프레임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풋레스트 커버의 측면도, 도 11은 풋레스트 커버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1에서 본 스쿠터형 차량은 아래로 기울어져 후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대략 수평으로 구부러져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1)과, 그 후단부로부터 좌우 쌍을 이루어 위로 기울어져 후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대략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프레임(2)을 구비한 차체 프레임을 가진다.
메인 프레임(1)의 전단에는 헤드 파이프(3)가 설치되고, 이것에 핸들 축(4)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 축(4)의 하부는 프론트 포크(5)에 연결되고, 그 하단에 전륜(前輪)(6)이 지지된다. 핸들 축(4)의 상단부에는 핸들(7)이 설치되어, 조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호 8은 프론트 커버, 9는 프론트 펜더, 10은 레그 실드이다.
메인 프레임(1)의 바닥부는 위로부터 플로어 패널(11), 아래로부터 언더 플로어 커버(12)로 덮여지고, 이 부분이 스쿠터형 차량에서의 저바닥식(低床式) 플로어(13)를 구성한다. 플로어 패널(11) 상에는 리어 브레이크 페달(l4)이 위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그 근방에 풋레스트(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바닥식 플로어(13)의 전후 방향 중간부가 되는 메인 프레임(1)의 하면에는 메인 스탠드(16)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의 후단부에는 링크(17)를 통해 파워 유닛(18)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파워 유닛(18)의 옆쪽에 후륜(後輪)(19)이 일체화되어 지지되고 있다. 파워 유닛(18)은 엔진과 미션이 일체화한 유닛 구조이고, 엔진 중 실린더부 및 크랭크부가 미션과 함께 도시의 측면에서 본 상태로 후륜(19)과 겹친 휠 사이드 엔진으로 되어 있다. 파워 유닛(18)과 리어 프레임(2)의 각 후단부 사이에는 리어 쿠션(20)이 걸쳐 있다.
파워 유닛(18)의 위에는 에어 클리너(21)가 배치되고, 그 전후를 파워 유닛(18)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에어 클리너(21)에는 기화기(22)가 도시의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기화기(22)는 에어 클리너(21)와 파워 유닛(18)의 흡기 포트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이들 파워 유닛(18)의 상부 및 에어 클리너(21), 기화기(22) 등을 포함하여 리어 프레임(2)의 주위는 리어 커버(23)로 덮여지고, 그 안쪽 앞부분에는 수납 공간(24)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 공간(24)의 후방에는 연료 탱크(25)가 배치되어 리어 프레임(2)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리어 커버(23)의 상부는 시트(26)에 의해 덮인다.
시트(26)와 리어 커버(23)는 일체화하고, 리어 커버(23)는 리어 프레임(2)의 후단에 힌지(27)를 통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힌지(27)를 중심으로 뒤로 열리게 회전운동하여 수납 공간(24)을 개방하고, 또한 연료 탱크(25)의 급유를 가능하게 한다. 부호 28은 리어 그립이며, 힌지(27)를 통해 리어 프레임(2)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11)은 차체 중심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1)과, 그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30,30)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의 크로스 멤버(31, 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플로어 패널(11)은 수지 등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앞부분 오른쪽에 페달 구멍(33)이 설치되고, 여기서부터 리어 브레이크 페달(14)이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리어 브레이크 페달(1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페달 아암(34)을 통해, 그 후단부의 리어 브레이크 페달측 베어링부인 보스부(35)에서 메인 프레임(1)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스부(35)와 일체로 후크 플레이트(36)가 옆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여기에 리턴 스프링(37)이 메인 프레임(1)측과의 사이에 걸쳐 있다.
보스부(35)는 차체측 베어링부인 보스부(38)와 동일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보스부(38)는 메인 프레임(1)에 용접된 샤프트 브래킷(39)의 좌우에 돌출하여, 스탠드 샤프트(40)에 의해 보스부(35)와 연결된다. 샤프트 브라켓(39)의 차체 좌측에는 후크 부재(41)가 옆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여기와 메인 스탠드(16)의 하부 사이에 리턴 스프링이 걸쳐 있다.
플로어 패널(11)의 중앙부에 도시의 평면에서 보아 메인 프레임(1)의 위에 겹치는 위치에 풋레스트(15)가 배치된다. 도시 상태는 풋레스트(15)의 사용 상태이며, 전단부를 힌지(42)에 축착(軸着)되어 세우거나 쓰러뜨림 가능하다. 힌지(42)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30)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 플레이트(43)의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힌지 플레이트(43)는 양단에서 사이드 프레임(30)에 볼트(44)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풋레스트(15)의 사용 상태에서의 평면에서 본 위치에서는, 리어 브레이크 페달(14)의 위치보다도 차폭 방향 중앙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앞부분 중 차체 오른쪽이 폭이 좁아져, 리어 브레이크 페달(14)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틈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풋레스트(15)는 힌지 축(45)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운동하고,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도시한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가 되어, 플로어 패널(11)의 중앙에 비교적 큰 점유 면적을 갖는다. 이 때, 풋레스트(15)는 리어 브레이크 페달(14)에 근접하여, 풋레스트(15)의 상면은 리어 브레이크 페달(14)과 거의 같은 높이가 되어 있다.
페달 아암(34)의 후단부에서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보스부(35)(도 2 참조)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플레이트(46)가 설치되고, 여기에 브레이크 와이어(47)의 일단이 걸어맞춤한다. 페달 아암(34)이 스탠드 샤프트(4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일체로 요동하여 브레이크 와이어(47)를 당겨, 리어 브레이크를 걸도록 되어 있다.
부호 48은 사이드 프레임(30)의 측면에 설치된 브래킷이며, 여기에 언더 플로어 커버(12)의 상단부가 체결된다.
이하, 풋레스트(15)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풋레스트(15)는 풋레스트 프레임(50)과 도시의 사용 상태에서 그 위를 덮는 풋레스트 매트(51)와, 도시의 사용 상태에서 아래쪽을 덮는 풋레스트 커버(52)를 구비한다.
풋레스트 프레임(50)은 금속제 등의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53)와 이것에 장착된 플레이트(54)를 구비하고, 프레임부(53)의 전단 좌우에는 편평한 장착부(55)가 설치되어, 여기서 힌지 축(45)에 의해 힌지(42)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착된다.
풋레스트 매트(51)는 고무 등의 연질 부재로 이루어지며, 풋레스트 프레임(50)의 상부와 후부를 덮고, 돌기(56)에 의해 플레이트(54)에 걸린다. 풋레스트 매트(51)의 전단부는 플레이트(54)의 전단부를 감아 고정되고, 후단부(57)는 풋레스트 매트(51)의 후단을 감아 그 선단에 형성된 T자형 걸림부(58)가 풋레스트 커버(52)의 걸어맞춤 경사면(59)에 걸려, 풋레스트 커버(52)의 후단 하부에 장착된다.
풋레스트 커버(52)는 풋레스트 프레임(50)의 아래쪽으로부터 씌워지고,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볼트(60)로 풋레스트 프레임(50)과 일체화된다.
플레이트(54)의 후부에는 리어 후크 플레이트(61)가 설치되고, 힌지(42)측에 설치된 프론트 후크 플레이트(62)와의 사이에 리턴 스프링(63)이 걸쳐 있다. 리턴 스프링(63)은 풋레스트(15)를 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반전 스프링이며, 코일 스프링 또는 그 밖의 각종 탄성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후크 플레이트(62)는 도시의 측면에서 보아 대략 へ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후단부에 리턴 스프링(63)의 전단을 거는 동시에, 전단은 힌지(42)에 지지된 축(64)에 장착되고, 이 축(6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론트후크 플레이트(62)의 중간부는 굴곡하여 힌지 축(45)을 위쪽에서 빠져나가게 하고 있다.
프론트 후크 플레이트(62), 리턴 스프링(63), 리어 후크 플레이트(61), T자형 걸림부(58) 등은 풋레스트 커버(52) 내에 수용되어,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풋레스트(15)의 사용 상태 하면측에서의 구조부를 풋레스트 커버(52)로 감추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풋레스트 매트(51)는 프레임부(53)에 둘러싸인 안쪽에 진입하여 풋레스트 프레임의 표면을 덮고 있다. 또한, 표면에는 홈에 의한 요철이 형성된 미끄러짐 방지 구조로 되어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62)는 좌우 방향 중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전단이 걸어맞춤되는 축(64)은 힌지(42)의 앞벽(65)에 지지되어 있다. 힌지(42)는 도시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6은 풋레스트 매트(51)를 전개한 평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하며, 장착시에 표면측이 되는 중간부(66)에는 이면측에 대략 화살형의 돌기(56)가 일체로 적당 수 돌출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66)의 전단부에는 앞측 연장부(67)가 설치되고, 여기에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66)의 후단부에도 후단부(57)가 후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그 후단부는 T자형 걸림부(58)가 되어 있다. 이들 앞측 연장부(67) 및 후단부(57)는 중간부(66)의 뒤측으로 되접히는 부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풋레스트 매트(5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앞측 연장부(67)를 중간부(66)측으로 되접으면, 구멍(68)에 가장 가까운 돌기(56)가 걸어맞춤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후단부(57)의 일부는 두꺼운 부분(69)을 이루고, 프레임부(53)의 후단 하부 및 플로어 패널(11)의 쌍방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풋레스트 프레임(50)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53)의 안쪽에 플레이트(54)를 배치하고, 주위를 프레임부(53)와 용접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54)에는 긴 구멍(70)이 돌기(56)와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플레이트(54)의 이면에는 브래킷(71) 및 리어 후크 플레이트(61)가 설치된다. 부호 72는 두께 없는 구멍이다. 프레임부(53)는 후부 측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플레이트(54)의 후부는 경사면부(73)를 이루고, 여기에도 긴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7l)은 아래쪽으로 볼록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고 플레이트(54)의 이면에 용접되고, 그 바닥부에 너트(74)가 용접되어 있다. 너트(74)에는 볼트(60)(도 4)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리어 후크 플레이트(61)도 걸어맞춤 경사면(59) 근방의 후단부 바닥면에 용접된다. 부호 75는 리턴 스프링(63)의 걸림 구멍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풋레스트 커버(52)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도시 상태에서 위쪽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을 이룬다. 전단부에는 돌출부(76)가 설치되어, 힌지 축(45)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측면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는 폭 방향 안쪽 및 상단측으로 패인오목부(77)가 형성되고, 이 바닥부(78)에 통과 구멍(79)이 설치된다. 이 통과 구멍(79)은 너트(7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볼트(60)가 통과된다(도 4 참조).
바닥부(80) 중 후부에는 후방측이 올라가는 걸어맞춤 경사면(59)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에는 상하에 돌출부(81, 82)가 대략 평행하게 후방으로 일체로 돌출하고, 측면에서 보아 두 갈래 형상을 이루고, 이들 사이에서 프레임부(53)의 후단 하부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끼도록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풋레스트 커버(52)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플레이트(54)와 거의 동일하고, 오목부(77)와 대응하는 차폭 방향 반대측 부분에도, 바닥부(80)로부터 일체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원주 형상의 보스(83)가 형성되며, 이 바닥부(84)에도 통과 구멍(85)이 형성되어, 오목부(77)와 마찬가지로 볼트로 대응하는 브래킷(71)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 경사면(59)에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86)이 형성되어, 여기에 T자형 걸림부(58)가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도 9 참조).
다음에, 풋레스트(15)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미리 풋레스트 프레임(50)의 장착부(55)를 힌지 축(45)으로 힌지(42)에 장착하고, 프론트 후크 플레이트(62)와 리어 후크 플레이트(61)의 사이에 리턴 스프링(63)을 걸어둔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하는 풋레스트 프레임(50) 상으로 도 7에 도시하는 평판 형상의 풋레스트 매트(51)를 겹치고, 앞측 연장부(67)를 플레이트(54)의 전단을 감아 되접고, 위로부터 돌기(56)를 긴 구멍(70)에 통과시켜, 그 돌출부에 앞측 연장부(67)의 구멍(68)을 걸어맞춤시키면, 풋레스트 매트(51)의 전단부가플레이트(54)에 장착된다. 풋레스트 매트(51) 후부는 경사면부(73)를 따르게 하고, 여기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70)에 돌기(56)를 걸어맞춤한다.
이어서, 풋레스트 커버(52)를 풋레스트 프레임(50)의 아래쪽으로부터 씌우고, 상하의 돌출부(81, 82)의 사이에서 프레임부(53)의 후단 하부를 끼고, 또한 돌출부(76)를 힌지 축(45)에 접촉시킨 상태로, 통과 구멍(79, 85)을 각각 대응하는 너트(74)와 일치시켜 볼트(60)에 의해 체결하면 풋레스트 프레임(50)과 풋레스트 커버(52)가 일체화한다.
또한, 후단부(57)를 프레임부(53)의 후단 하부에 감아서 탄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기면서, T자형 걸림부(58)를 비스듬하게 하여 걸어맞춤 경사면(59)의 슬릿(86)으로 통과시키고 나서 잡아당기고 있던 힘을 느슨하게 하면, 후단부(57)의 복원에 의해 T자형 걸림부(58)가 걸어맞춤 경사면(59)에 걸어맞춤하여 유지되고, 후부측도 풋레스트 커버(52)에 장착되어 전체가 조립된다.
이 풋레스트(15)는 통상 주행시에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가 되어, 플로어 패널(11)의 대략 중앙에 비교적 큰 점유면적을 가지며, 또한 리어 브레이크 페달(l4)의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기에 발을 얹음으로써, 리어 브레이크 페달(14)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쾌적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어 브레이크 페달(14)보다 차폭 방향 중앙 근처에 어긋나게 배치되기 때문에, 리어 브레이크 페달(14)과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취하여 조작하기 쉽게 하고 있다. 더구나, 풋레스트(15)의 외측 쪽에서의 플로어 패널(11)의 표면을 넓힘으로써, 풋레스트(15)로부터 발을 빼서 플로어 패널(11) 상에 놓고자 할 때에도,여유를 갖고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플로어 패널(11) 상에 비교적 큰 화물(87)(도 2, 도 3)을 두고자 하는 경우는, 풋레스트(15)를 차 올려서 전방으로 회전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풋레스트(15)는 힌지 축(4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전방으로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프론트 후크 플레이트(62) 및 리턴 스프링(63)도 일체로 회전운동하여, 리턴 스프링(63)의 작용선이 힌지 축(45)을 넘어서 전방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풋레스트(15)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기립 상태 즉 비사용 상태가 되는 수납 위치에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가한다.
그 결과, 플로어 패널(11) 상은 풋레스트(15)가 점하고 있던 비교적 큰공간이 개방되므로, 여기에 비교적 대형의 화물(87)을 둘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용성도 향상하게 된다.
더구나, 풋레스트(15)는 반전 스프링인 리턴 스프링(63)에 의해 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가하기 때문에, 특별히 록 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비사용 상태에서는 풋레스트(15)의 뒤측이 밖으로 보이지만, 여기를 풋레스트 커버(52)로 덮음으로써, 복잡한 느낌이 있는 리턴 스프링(63) 등의 구조 부품이나 외관을 의식한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풋레스트 프레임 뒤측을 감추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풋레스트의 수납 형식은 프론트 커버나 플로어 패널 등의 차체커버 내부로 격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힌지 결합뿐만 아니라, 링크 등의 수납 기구를 통해 수납시켜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의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청구항 1은, 풋레스트를 사용 상태와 비사용 상태로 변환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풋레스트의 사용 상태에서는, 페달 조작을 위한 쾌적성을 실현할 수 있고, 비사용 상태로 하면, 플로어 상에서의 점유 면적을 좁히므로, 플로어 면을 넓혀 큰 물품의 지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양호한 물품 수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풋레스트 사용에 의한 페달 조작을 위한 쾌적성과 양호한 물품 수용성이라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요청을 양쪽 모두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하면, 풋레스트를 플로어의 폭 방향에서, 리어 브레이크 페달보다 안쪽이 되는 대략 중앙에 설치하였으므로, 통상 주행시에 풋레스트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하면, 풋레스트는 풋레스트를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한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 상태 하면측을 풋레스트 커버로 덮었으므로, 힌지에 의해 풋레스트를 회전운동시켜 비사용 상태로 하였을 때, 밖으로 보이는 하면 측은 풋레스트 커버에 의해서 안쪽의 탄성 수단 등을 감추므로, 외관성이 향상한다.

Claims (3)

  1. 저바닥식 플로어와, 이 플로어 상에 돌출하는 리어 브레이크 페달, 및 이 리어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발을 얹기 위해 플로어 상에 설치된 풋레스트를 구비한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를 플로어 상에 넓은 점유 면적을 가지고 위치하는 사용 상태와, 플로어 상에 보다 좁은 점유 면적이 되는 비사용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를 상기 플로어의 폭 방향에서, 상기 리어 브레이크 페달보다 안쪽이 되도록 대략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플로어에 대하여 힌지를 통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한 탄성 수단과, 사용 상태 하면측을 덮는 풋레스트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KR10-2004-0023200A 2003-04-04 2004-04-03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KR100537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1916A JP4167528B2 (ja) 2003-04-04 2003-04-04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ロア構造
JPJP-P-2003-00101916 2003-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44A true KR20040086844A (ko) 2004-10-12
KR100537802B1 KR100537802B1 (ko) 2005-12-19

Family

ID=3346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200A KR100537802B1 (ko) 2003-04-04 2004-04-03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4167528B2 (ko)
KR (1) KR100537802B1 (ko)
CN (1) CN100352724C (ko)
BR (1) BRPI0400917A (ko)
IT (1) ITTO20040214A1 (ko)
MX (1) MXPA04003197A (ko)
TW (1) TWI240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6933B2 (ja) * 2005-05-11 2011-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4531652B2 (ja) * 2005-07-29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低床式車両
JP5564379B2 (ja) * 2010-09-27 2014-07-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03963893B (zh) * 2013-01-30 2017-05-24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跨坐型车辆
CN104417703A (zh) * 2013-09-04 2015-03-18 天津戴维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电动三轮车刹车踏板装置
CN109421861A (zh) * 2017-08-31 2019-03-05 邵家逸 一种新型电动自行车
TWI680070B (zh) * 2019-01-25 2019-12-21 英屬開曼群島商睿能創意公司 腳踏墊及應用其之車輛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7086A (en) * 1975-05-06 1977-03-16 Samenverkende Rijwiel & Motor Two wheeled vehicle
JP3054953B2 (ja) * 1990-07-13 2000-06-1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チェンジペダル取付構造
JPH05105167A (ja) * 1991-10-16 1993-04-27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ペダルおよびフートレスト装置
JP3167750B2 (ja) * 1991-10-16 2001-05-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ペダルおよびフートレスト装置
JPH0952587A (ja) * 1995-08-14 1997-02-25 Yamaha Motor Co Ltd 足踏み式ブレーキ装置付きスクータ型車両
JPH09150774A (ja) * 1995-11-29 1997-06-10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リヤブレーキ用マスターシリンダ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4082A (en) 2004-11-16
TWI240691B (en) 2005-10-01
CN100352724C (zh) 2007-12-05
JP2004306740A (ja) 2004-11-04
CN1535887A (zh) 2004-10-13
BRPI0400917A (pt) 2005-05-24
MXPA04003197A (es) 2005-03-31
KR100537802B1 (ko) 2005-12-19
JP4167528B2 (ja) 2008-10-15
ITTO20040214A1 (it)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2704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シート取付構造
JP4991464B2 (ja) 自動二輪車
JP4680162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20080079310A1 (en) Brake system for motorcycle
JP4451140B2 (ja) 車両におけるロック解除操作部材配設構造
EP1524177A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scooter-type vehicle
KR100537802B1 (ko) 스쿠터형 차량의 플로어 구조
JP2006315657A (ja) 自動二輪車のマフラとブレーキペダルの配置構造
JP4685527B2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EP1524178A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light vehicle
JP3999447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4531652B2 (ja) 低床式車両
JP3321368B2 (ja) 自動2輪車のシート装置
JP5437957B2 (ja) シートヒンジ構造
JP4937057B2 (ja) 自動二輪車
JP5555519B2 (ja) 鞍乗型車両用キックペダル機構
JP3872271B2 (ja) 低床式二輪車
JP3845699B2 (ja) 自動二輪車の物品収納室
JP3938652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外装構造
JPH0529990Y2 (ko)
JPH09309475A (ja) 自動二輪車のスタンディングハンドル構造
JP4430271B2 (ja) 小型車両のフロントバスケットおよび補機取付け構造
JP2694337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H1016845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H04292285A (ja) スクータ型車両のエンジン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