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073A - 바닥재용 적층체 - Google Patents

바닥재용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073A
KR20040085073A KR1020040021761A KR20040021761A KR20040085073A KR 20040085073 A KR20040085073 A KR 20040085073A KR 1020040021761 A KR1020040021761 A KR 1020040021761A KR 20040021761 A KR20040021761 A KR 20040021761A KR 20040085073 A KR20040085073 A KR 2004008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oring
laminate
synthetic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040B1 (ko
Inventor
요시아키 네츠
히로아키 나카야마
코지 도이
켄 기무라
오사무 가도이
야쓰오 나카이
아츠시 나카하라
히로시 마쓰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내캐스터성과 내충격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바닥재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나무재질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항복점 하중이 9kgf 이상, 인장탄성율이 50kgf/mm2이상, 항복신장율이 3 ~ 8%이고,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시험의 결과가 상기 표면의 패어들어간 함몰깊이가 100㎛ 이하인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내캐스터시험은, 회전될 수 있는 캐스터고정재와, 이 캐스터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동형 가중부 및 시료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시험하게 된다.

Description

바닥재용 적층체{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본 발명은 내캐스터(耐caster)성과 내충격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바닥재용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닥재로는, 합판에다 나무재질의 화장단판(化粧單板)을 붙여 도장한 것이나, 또는 합판과 중밀도 섬유판(MDF)을 적층하고 나서, 다시 상기 MDF에 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접합시켜 도장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나무재질 화장단판쪽에서 합판 및 MDF에 이르는 깊이로 홈을 가공하거나 모따기가공을 해서 홈이나 모따기부를 형성시켜 의장성(意匠性)을 높인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나무재질로 된 화장단판은 깨끗한 자연목재를 얇게 쓴 것으로, 목재자원의 고갈문제 및 세계적인 자원보호운동이 높아져 목재가격이 오르고 재질도 점차 나빠져 종래와 같은 양질의 목재를 입수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 때문에,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대신하는 것으로, 나뭇결무늬와 같은 아름다운 의장을 인쇄한 화장시트가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합판에다 화장시트를 붙인 것과, 합판과 중밀도 섬유판(MDF)을 적층시킨 적층체의 상기 중밀도 섬유판 면에 화장시트를 붙인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자는 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사용하던 때와 마찬가지로 내캐스터성 및 내충격성에서 떨어지고,나무재질의 화장단판에 홈 및 모따기부를 형성시킨 경우 보풀이 일거나 끝이 갈라지는 일이 일어나 거기에 양말이나 스타킹의 섬유가 걸려 올이 나가는 일도 가끔 볼 수가 있다. 한편, 후자는 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사용하던 때와 마찬가지로 MDF가 내수성에 떨어지기 때문에, 물이 침입해서 MDF가 부풀어짐으로서 의장성을 회손하는 일도 가끔 볼 수가 있었다.
이에 대해, 일본국 특허공개 2003-239517호에서는, 합판과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을 적층시키되, 상기 합성수지층을 특정한 물성치(物性値)를 갖도록 함으로써 내캐스터성과 내충격성 및 내수성와 같은 물성이 뛰어난 바닥재용 적층체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바닥재용 적층체가 난방수단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게 되면, 합판또는 합판성수지층이 열수축 또는 열팽창을 일으켜 바닥재용 적층체에 휘는 일이 일어나거나, 또는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 표면에 시행되었던 의장에 합판 표층의 섬유방향을 따라 요철모양이 생기는 것과 같은 영향을 일으키는 일이 종종 있었다. 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을 한층 더 개선하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변화가 적고, 보다 값이 저렴한 건축자재로서의 바닥재용 적층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용 적층체는,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나무재질 기재와 합성수지층과의 열팽창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열팽창차로 인해 휘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방지하고자 한다. 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이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기본적 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3실시예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각종 시험체(B)의 함몰깊이와 항복점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각종 시험체(B)의 항복점하중과 인장탄성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각종 시험체(B)의 항복점하중과 항복신장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내캐스터 시험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바닥재용 시트의 기본적 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바닥재용 시트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의 바닥재용 적층체의 합성수지층을 구분하기 위한 가장자리의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바닥재용 적층체에다 홈을 형성시킨 경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바닥재용 적층체에다 홈을 형성시킨 경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자 등은 나무재질 기재 상에, 특정한 물성치를 가진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내캐스터성과 내충격성, 내찰상성,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여러 가지 물성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변화도 적고,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도 한층 더 개선된 바닥재용 적층체를 얻을 수가 있음을 알게 되어, 그와 같은 사정을 기초로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으로는,나무재질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구성한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이 바닥재용 적층체는,
상기 합성수지층이 항복점하중이 9kgf 이상, 인장탄성율(引張彈性率)이 50kgf/mm2이상, 항복신장율(降伏伸張率)이 3 ~ 8%이고,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시험의 결과가, 상기 표면의 함몰 깊이가 100㎛ 이하로서,
상기 내캐스터시험이, 회전가능 캐스터고정재와 이 캐스터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고정대에다 고정하고,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캐스터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kg이고,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를 회전하도록 해서 시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닥재용 적층체는,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과 같은 여러 가지 물성을 갖게 됨과 더불어,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변화가 적은 바닥재용 적층체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나무재질의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이루어잔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이는,
상기 합성수지층이, 침입온도(針入溫度)가 75℃ 이상, 항복점하중이 10kgf 이상, 인장탄성율이 100kgf/mm2이상, 항복신장율이 4 ~ 8%인 것이다.
이와 같은 바닥재용 적층재는,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충격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그중 특히 내열성이 뛰어나 경화수축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바닥재용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한, 합성수지층과 이 합성수지층 상에 형성되는 화장층으로 구성되는 바닥재용 시트로서, 이는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갖되,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인 경우에는 상기 단층이,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인 경우에는 그 중 적어도 1층이 비정성(非晶性)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바닥재용 시트는,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을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나무재질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바닥재용 적층체는,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나무재질 기재와 합성수지층과의 열팽창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열팽창차로 인해 휘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방지될 수가 있게 된다. 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이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기본적 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바닥재용 적층체(1)는,나무재질의 기재(2) 상에 합성수지층(3)이 접착제층을 매개로 배치되고서, 이 합성수지층(3) 상에 화장층(4)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상기 합성수지층(3)이 소정의 치수를 갖게 됨으로써 내캐스터성과 내충격성, 내수성 등이 충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는 그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한 내캐스터시험의 결과, 상기 표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내캐스터시험의 결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화장층쪽 표면에 패어들어간 함몰깊이가 100㎛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80㎛ 이하로 되는 것이 좋다.
내캐스터시험
본 발명에서의 내캐스터시험은 내캐스터 시험장치를 사용해서 시행할 수가 있응바, 이를 내캐스터 시험장치의 1례가 단면도로 나타내어진 도 9를 가지고 설명한다. 내캐스터 시험장치(1000)는,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분동(1001)을 가진 가중부(加重部; 1002)와, 조절핸들(1003), 회전할 수 있는 캐스터고정대(1010), 상기 캐스터고정대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1011) 및, 시료고정대(1013) 갖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내캐스터시험의 1예에 대해 설명한다.
시험할 바닥재용 적층체(1012)를 시료고정대1013)에다 고정시키고, 가중부(1002)에 70kg의 분동(1001)을 올려놓고 조절핸들(1003)로 바닥재용 적층체(1020)의 화장층쪽 표면에다 회전할 수 있는 캐스터고정대(1010)에 고정된 3개의 캐스터(1011)를 접촉하도록 하고서, 이 캐스터고정대(1010)를 가동시켜 바닥재용 적층체(1012)의 화장층쪽 표면 상에 상기 3개의 캐스터(1011)를 20rpm의 속도로 5분간씩 반회전하도록 해서 1000회를 회전시키고 나서 상기 표면에 발생한 균열의 유무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여기에 쓰이는 내캐스터 시험장치로는 예컨대 내캐스터 시험장치 L6-04를들 수 있는바, 이는 일본국 아사노기계제작(주)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으로, 이는 예컨대 햄머캐스터(HAMMERCASTER)사의 420 SA-N(차륜:나일론제)를 입수해서 사용하면 된다.
합성수지층
본 발명에 쓰이는 합성수지층은, 단층으로 된 것이어도 복층을 된 것이어도 상관이 없지만, 그 물리적 특정성으로는 항복점하중이 9kgf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2kgf 이상, 인장탄성율이 50kgf/mm2이상, 항복신장율이 3~8%, 3 ~ 5%일 것이 요구된다. 합성수지층의 두께는, 하한으로서 20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50㎛ 이상, 상한으로는 800㎛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500㎛ 이하인 것이 좋다. 합성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바람직하기로는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열성이 높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상품명 PET-G(이스트만 케미컬 컴퍼니사제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텔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일물 또는 혼합물이어도 좋다.
화장층
화장층을 구성하는 기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박지(薄紙)나 상질지(上質紙), 크라프트지, 일본종이(和紙), 티탄지, 수지함침지, 지간강화지(紙間强化紙)와 같은 종이, 나무재질 섬유, 유리섬유, 석면, 폴리에스텔섬유, 비닐론섬유, 레이온섬유와 같은 섬유로 된 직포(織布)나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텔,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제로 된 시트 등을 1종또는 2종 이상 적층한 적층체를 쓸 수가 있다. 이들 기재의 두께로는 20 ~ 300㎛가 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 화장층으로 쓰이는 기재는 필요에 따라 필요한 층에다 안료 등을 첨가해서 착색을 하여도 좋고, 필요한 쪽 면에다 코로나방전처리나 플라즈마처리, 오존처리와 같은 쉬운 접착처리를 하여도 좋다.
화장층의 형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구체적인 1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화장층(4')은,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한쪽 면에 엠보싱가공을 해서 요철모양(41) 만들고, 그 위에다 와이핑처리를 하여 상기 요철모양(41)의 오목부(凹部) 내에 와이핑잉크(42)를 충전한 하고 나서 표출면 전체에다 프라이머층(43)을 형성한 후, 이 프라이머층(43) 상에 표면보호층(44)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다른쪽 면에 프라이머층(45)을 매개로 무늬층(46)과 베타인쇄층(47)시켜 만들어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구체적인 1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화장층(4'')은, 착색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45)을 형성한 후 이 프라이머층(45) 상에 베타인쇄층 (47)과 무늬층(46)을 차례로 인쇄하고, 이어 상기 무늬층(46) 상에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와 같은 주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 된 잡착제층(48)을 매개로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나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층(40'')을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법 또는 T다이압출법으로 적층하고 나서,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 또는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층(40'')의 표출면 전체에프라이머층(43)을 형성하고, 다시 이 프라이머층(43) 상에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킨 것이다. 착색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아래쪽 면(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에는 프라이머층과 같은 합성수지층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구체적인 1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화장층(4''')은, 착색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45)을 형성하고서, 이 프라이머층(45) 상에 베타인쇄층(47)과 무늬층(45)을 차례로 인쇄한 다음, 상기 무늬층(45) 상에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와 같은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 된 접착제층(48)을 매개로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또는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층(40'')을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법 또는 T다이압출법으로 적층하고,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 또는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층(40'')의 표면에 엠보싱가공을 해서 요철모양(41)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와이핑처리를 하여 상기 요철모양(41)의 오목부 내에 와이핑잉크(42)를 충전한 다음 표출면 전체에 프라이머층(43)을 형성하고, 이 프라이머층 (43) 상에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킨 구조로 된 것이다. 착색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아래쪽 면(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에는 프라이머층과 같은 합성수지층이 형성되게 된다.
지금까지는 화장용 기재를 이용한 화장층(4)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화장층(4)은 그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양각으로 부조된 철판(凸板)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철판의 표면에 투명보호층으로서 UV(자외선경화형)수지를 도장한 것이나,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장층(4', 4'')을화장층(4', 4'')의 표면보호층(44)이 표출되도록 철판표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접착시키는 등의 가공을 한 것이 사용된다.
도 2~ 도 4에 도시된 화장층(4', 4'', 4''')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4)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 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라면 그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박지의 한쪽 면에 베타인쇄층과 무늬층 순으로 인쇄하고서 이 무늬층이 형성된 쪽 면 전체에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킨 구조로 된 화장층이어도 좋다.
1)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43)은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또는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층(40'')과 상기 표면보호층(44)과의 접착강도를 높일 목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상기 프라이머층(43)을 배치하는 쪽이 접착강도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도 2 ~ 도 4에 도시된 상기 프라이머층(45)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40'')와 무늬층(45), 베타인쇄층(47) 등의 인쇄층과의 접착성을 높일 목적으로 형성한 것이고, 상기 프라이머층(43)과 마찬가지의 수지를 가지고 마찬가지 방법으로 형성한 것이 상기 프라이머층(43)과 마찬가지 의미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43, 45)은 상기와 같이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40', 40'')의 표면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 쓰이는 수지로는 에스텔수지나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등을 들 수 있는바,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혼합해서 도료조성물 또는 잉크조성물로 하고서 롤코팅법이나 그라비아인쇄법과 같은 적절한 도포수단을 가지고 형성시킬 수 있다.
2) 요철모양
요철모양(41)은 가열프레스나 헤어라인가공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모양(41)으로는 예컨대 도관홈, 석판표면요철, 직포표면텍스처, 모래무늬, 헤어라인와 같은 것이 있다.
3)무늬층 및 베타인쇄층
상기 무늬층(45) 및 상기 베타인쇄층(47)은 일반적으로는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인쇄, 실크스크린 인쇄와 같은 주지된 인쇄법으로 잉크를 써서 형성시킬 수가 있다. 상기 무늬층(45)으로는 예컨대 나뭇결모양, 돌무늬모양, 옷감무의모양, 가죽무의모양, 기하학모양, 문자, 기호, 선그림, 각종 추상적인 모양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베타인쇄층(47)은 은폐성을 가진 착색잉크로 베타인쇄를 한 것이다. 또, 도 2 ~ 도 4에는 상기 무늬층(45) 및 상기 베타인쇄층(47) 모두를 형성시킨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어느 한쪽만을 구성한 것이어도 상관이 없다.
상기 무늬층(45) 및 상기 베타인쇄층(47)에 쓰여지는 잉크조성물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해서 쓰고서, 여기에다 안료와 용제 및 각종 보조제 등을 첨가한 것을 쓸 수가 있다. 그러나, 환경문제나 피인쇄면과의 접착성 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부터 만들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쓰게 된다. 한편, 와이핑잉크(42)에 대해서도 앞에서 설명한 무늬층(45) 및 베타인쇄층(47)에 쓰이는 잉크와 같은 잉크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4) 표면보호층
다음에는 화장층(4)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보호층(44)에 대해 설명한다. 이 표면보호층(44)은 바닥재용 적층체(도 1 참조)에 요구되는 내찰상성과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과 같은 표면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이 표면보호층(44)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열경화형수지 내지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 와 같은 경화형 수지를 써서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표면경도가 커 생산성이 우수한 점 등에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가 유리하다.
열경화형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수지(2액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수지, 아미노알키드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수지, 멜라민수지, 구아나민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수지, 규소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나 중합개시제와 같은 경화제 또는 중합촉진제를 첨가해서 쓰게 된다. 경화제로는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유기슬폰산염와 같은 것을 불포화 폴리에스텔수지나 폴리우레탄수지등에 첨가하고, 유기아민와 같은 것을 에폭시수지에 첨가하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와 같은 과산화물이나 아조이소부틸니트릴와 같은 라디칼개시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에 첨가하게 된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상기한 열경화형 수지를 용액으로 만들어 올코팅법이나 그라비아코팅법과 같은 공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해서 건조시켜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그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 ~ 30㎛가 되는 것이 적당한데, 바람직하기는 15 ~ 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電離放射線硬化型樹脂)는, 전리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중합반응(架橋重合反應)을 일으켜 3차원의 고분자구조로 변하게 되는 수지이다. 여기서, 전리방사선은 전자파 또는 하전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하고, 가교해서 얻는 에너지양자를 가진 것을 의미하는바, 가시광선, 자외선 (근자외선, 진공자외선 등), X선, 전자선, 이온선와 같은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이 쓰이게 된다. 자외선원으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 램프등과 같은 것을 광원으로 쓸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는 190 ~ 380㎚ 정도의 파장대역을 가진 것이 쓰이게 된다. 또, 전자선원으로는 콕크로프트왈톤(Cockcroft-Walton)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변압기형, 절록코어변압기형이나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드론형, 고주파형과 같은 각종 전자선가속기를 쓸 수가 있다. 여기에 쓰이는 전자선으로는 100 ~ 1000keV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100 ~ 300keV의 것이 사용된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통상 2 ~ 15Mrad 정도이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같은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 또는 에폭시기와 같은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 프리폴리머(이하, 이들을 총칭해서 화합물이라 함)로부터 만들어지게 된다. 이들 단량체와 프리폴리머 및 폴리머는 단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여러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의미로 쓰여진다.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폴리에스텔(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 프리폴리머는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10000 정도 이하인 것을 쓰게 된다. 분자량이 이 정도로 되어 있어서 경화된 수지층의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열성과 같은 표면물성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같이 쓰여질 수 있으나, 전리방사선으로의 가교경화속도라고 하는 점에서 아크릴레이트 쪽이 훨신 빠르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단시간에 능률적으로 경화시킨다고 하는 목적에서는 아크릴레이트 쪽이 유리하다.
양이온중합성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비스페놀형 에폭시수지, 노볼락형 에폭시수지, 고리형 에폭시수지와 같은 에폭시계 수지, 지방족계 비닐에텔, 방향족계비닐에텔, 우레탄계 비닐에텔, 에스텔계 비닐에텔과 같은 비닐에텔계 수지, 환상에텔화합물, 스피로화합물과 같은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라디칼중합성불포화기를 가진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의 단관능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벤질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하이드로겐테레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다관능단량체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로는 상기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의 단량체를 쓸 수 있다.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전자선을 조사하면 충분히 경화되지만,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킨 경우에는 증감제로서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게 된다.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수지계인 경우의 광중합개시제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치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텔,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히라-케톤, 디페닐설파이드, 디벤질디설파이드, 디에틸옥사이드, 트리페닐비이미다졸(triphenylbiimidazole),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수지계인 경우에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텔, 푸릴옥시슬폭소늄디아릴요드실염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광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 100중량%에 대해 0.1~10 중량% 정도가 되도록 한다. 또, 이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를 가지고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이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를 용액화하고서 그라비아코팅법이나 롤코팅법과 같은 공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의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30㎛이 적당하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5 ~ 25㎛로 되는 것이 좋다.
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표면보호층(44)에다 내찰상성과 내마모성을 보다 더 부여하는 경우에는, 분말형상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이산화규소, 티탄산칼슘, 티탄산바륨, 마그네슘파이로보레이트, 산화아연, 질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크롬, 산화철, 질화붕소, 다이아몬드, 금강사, 유리섬유와 같은 연마재를 첨가함으로써 달성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연마재의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 100중량%에 대한 비율은 1 ~ 8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한편, 지금까지는 표면보호층(44)을 화장층(4)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표면보호층(44)은 화장층(4)의 표면에다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라이머층(43)과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키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화장층(4"")으로 하고서, 이 화장층(4"")과 합성수지층(3) 및 합판으로 만들어진 기재(2)를 차례로 적층시킨 적층체를 만든 후,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프라이머층(43)과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상기 프라이머층(43)과 상기 표면보호층(44)을 형성한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바닥재 적층체에 의장성을 높여줄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정의 최종단계에서 홈이나 모따기부를 절삭가공으로 형성하게 되지만, 도 2 ~ 도 4에 도시된 제 1~ 제3실시예에서는 홈부나 모따기부에 표면보호층(44)이 존재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이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상기 프라이머층(44)과 상기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킨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화장층(4"")쪽부터 홈부나 모따기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시킨 다음 홈부나 모따기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시킨 표면 전체에 프라이머층(43)과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켜 홈부나 모따기부에도 표면보호층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되어, 홈부나 모따기부의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수성과 같은 표면물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홈부나 모따기부에 예컨대 착색도료나, 필요에 따라 내수성을 가진 착색도료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깊이가 있는 홈부나 내수성을 가진 깊이가 있는 홈부가 되도록 할 수가 있고, 홈부의 의장성이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홈부나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절삭가공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최상표층쪽에서부터 엠보싱가공을 해서 홈부나 모따기부를 형성시켜도 된다.
나무재질기재
나무재질기재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회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나왕목, 티크, 메라피와 같은 각종 소재로 만들어진 철판, 목재단판, 목재합판, 파티클 보드, 중밀도섬유판(MDF) 등을 들 수 있다. 바닥재에다 적층하는 방법도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착제를 가지고 화장시트를 기재에다 첩착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로는 기재의 종류 등에 따라 공지의 접착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은바, 예컨대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ㆍ초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공중합체, 아이오노머(ionomer) 외에, 부타디엔ㆍ아크릴니트릴고무, 네오프렌고무, 천연고무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나무재질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나무재질 기재 상에 항복점하중이 9kgf 이하, 인장탄성율이 50kgf/mm2이상, 항복신장률이 3 ~ 8%인 상기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합성수지층 상에 상기 화장층을 형성하되,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한 내캐스터시험의 결과가,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 이하로서,
상기 내캐스터시험이, 회전가능 캐스터고정재와 이 캐스터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고정대에다 고정하고,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캐스터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kg이고,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를 회전하도록 해서 시험함으로써 박닥용 적층체를 제조하게 된다.
용도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는 건축자재로서, 특히 (화장용) 바닥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합판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킨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① 침입온도(針入溫度)가 75℃ 이상,
② 항복점하중이 10kgf 이상,
③ 인장탄성율이 100kgf/mm2이상,
④ 항복신장율이 4 ~ 8%인 바닥재용 적층체(바람직하기로는 화장바닥재)이다.
이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상기 합성수지층은,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서, 여기에 주성분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를 부성분으로 첨가시킨 층으로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 서의 상기 합성수지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심재층(芯材層)으로 하고서, 이 심재층의 양면에 그 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층은 적층된 3층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상기 폴리에스텔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서, 여기에 주성분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을 부성분으로 첨가된 층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적어도 한 층이 착색수지층으로 되어도 좋다.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화장층쪽에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홈이 그 바닥부가 상기 합성수지층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이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홈의 바닥부가 위치하는 상기 합성수지층이 착색수지층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홈에더 직접 도료를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화장층의 표면에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이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에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의하면, 나무재질의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할 수가 있는바, 이는 상기 합성수지층이, 침입온도가 75℃ 이상, 항복점하중이 10kgf 이상, 인장탄성율이 100kgf/mm2이상, 항복신장율이 4~8% 이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바닥재용 적층체(1)는, 합성수지층의 침입온도가 75℃ 이상으로 되어, 내열성이 뛰어나 난방수단의 열의 영향으로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에 주름 같은 것이 생겨 의장성이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합성수지의 침입온도 측정은 JIS K7196 규정에 기준으로 하는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시험편(試驗片)의 표면에 침상의 압자(직경 0.5mm, 길이 1mm 이상의 원주형상)를 수직으로 세워 0.5N의 힘을 가한다.
② 시험편의 분위기온도를 매분 5℃로 높여, 시험편에 압자(壓子)의 침입이 완료할 때 까지 온도와 압자의 변위량을 기록한다.
③ 횡축에는 온도, 종축에는 압자의 변위량을 측정해서 그려진 곡선(TMA 곡선)으로부터 침입온도를 구한다.
④ 구체적으로는, 상기 TMA 곡선에서 압자가 침입하기 시작했을 때 보다도 낮은 온도쪽으로 인지되는 직선부분을 고온쪽으로 연장해서, 침입속도가 최대로 로 이루어진 부분의 접선(接線)의 저온쪽으로 연장된 선과의 교차점을 침입온도(T1)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층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아도 좋고, 예컨대 도 1 ~ 도 5에서 설명된 것과 같아도 좋다.
합성수지층
합성수지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텔계 수지의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이른바 A-PET(일본국 미쓰비시화학: 노바클리어 (상품명)로 불리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하고서, 이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렌과 같은 수지 중 적어도 한 가지를 부성분으로 첨가한 수지를 단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재층으로 하고서, 이 심재층의 양면에 그 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인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나, 또는 A-PET를 주성분으로 하고서 그 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인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렌와 같은 수지의 적어도 하나를 부성분으로 첨가한 수지 등을 적층시켜 3층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비용면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합성수지층을 3층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된 심재층의 양면에 형성시킨 수지층은 동일한 수지를 동일한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합성수지층 이외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이 적층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층 시트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a)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이, b) 2층 이상의 경우에는 이 합성수지층 내의 적어도 최상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3층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적어도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좋다. 또,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3층구조로 이루어진 층구조를 가지고, (2)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이면서 심재층이 A-PET로 된 층으로 되는 것이 좋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이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혼합층이 실질적으로 A-PET 및 PETG의2가지 성분계통으로 이루어지고서, 양자의 합계 100중량% 중 PETG가 20 ~ 90 중량%를 함유하도록 한다.
또,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합성수지층의 두께를 200~60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나무재질재료에다 적층시키면 바닥재용 적층체가 만들어지게 된다.
층의 구조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를 도 10을 참조로 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기본적 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면, 바닥재용 시트(101)가 합성수지층(103) 및 화장층(104)이 적층되어 이루어져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 도 10에서 보면, 이 바닥재용 시트(101)가 나무재질의 기재(102) 상에 적층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101)를 도 11을 가지고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를 구성하는 1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구성은, 합성수지층(103) 상에 접착제층(104)과 프라이머층(105), 기재층(106), 무늬층(107), 접착제층(108), 투명성수지층(109), 프라이머층(110) 및 표면보호층(111)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보호층(111)쪽에서부터 엠보싱가공(133)이 시행되어 요철형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 합성수지층(103)은 그 최상층이 A-PET와 PETG(121)로 구성되고, 심재층은A-PET(122)로 구성되며, 최하층은 A-PET와 PETG(123)로 구성된다.
합성수지층
본 발명에 다른 박닥재용 시트는, 특히 그 합성수지층이 1층(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갖고서, 그 최상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으로 되어 있다. 즉,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에, 2층 이상인 경우에는 가장 화장층과 가까운 층이 상기 혼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 최상층은 접착제층 및/또는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화장층에 적층시켜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최상층을 상기 혼합층으로 함으로써 화장층과의 접착성을 한층 높여줄 수가 있게 된다.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이 혼합층으로 된다.
합성수지층은 상기와 같이 단층이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되어도 좋은바, 2층 이상인 경우에는 그 적층방법을 예컨대 압출법와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적층시키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에서 3층 이상의 층구조를 갖도록 한 경우에는, 적어도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으로 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에 따라, 화장층과의 접착성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층과 바닥재의 접착성도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최상층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화장층에 가장 가까운 층이다. 최하층은, 적층된 나무재질 재료와 가장 가까운 층(즉, 본 발명 바닥재용 시트의 이면을 이루는 층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예컨대 (1) 이 합성수지층이 3층으로이루어진 층구조를 갖고, (2)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한 혼합층이면서심재층이 A-PET로 이루어진 층인 바닥재용 시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의 혼합층은,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바, 이들은 공지의 시판품을 사용하면 된다. A-PET 로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시판되는 A-PET와 같은 것도 적합하다. PETG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서 예컨대 시판품인 「PETG6763」(이스트만 케미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층에는 다른 수지성분이 함유되어도 좋은바,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텔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A-PET 및 PETG로 이루어진 2성분계의 혼합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성분계의 경우에도, 폴리에스텔 수지 이외의 다른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혼합층 중의 A-PET 및 PETG의 함유량은, 각성분의 그레이드나 시트의 사용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에서는 상기 2성분계에서의 A-PET 및 PETG의 합계 100중량% 중 PETG가 20~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0 ~ 6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시트의 합성수지층의 두께(2층 이상인 경우에는 합계의 두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등을 고려하면 20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00 ~ 600㎛ 정도로 하면 좋다. 2층 이상인 경우의 각층의 두께, 각층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합성수지층과,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화장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시트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갖되,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인 경우에는 상기 단층이,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인 경우에는 그 중 적어도 1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에 의해 형성되고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 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바닥재용 시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합성수지층이 3층 이상의 층구조를 갖고서, 이 3층 이상 층구조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폴리에틸렌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시킨 바닥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 사이에 낀 심재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시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상기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20 ~ 90 중량% 함유된 바닥재용 시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화장층
본 발명 시트의 화장층은, 공지의 화장층과 같은 구조로 되어도 좋고, 예컨대 다음에 설명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예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접착제층
접착제층은 공지의 시판되는 접착제 중에서 무늬층 또는 제2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바,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외에 폴리에스텔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내열성 등을 더 높여줄수가 있다는 점에서 우레탄계 수지로 된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수지접착제로는, 폴리올을 주제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를 가소제(경화제)로 하는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로는, 분자 중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것으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텔폴리올, 폴리에텔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와 같은 것이 쓰여지게 된다.
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진 다가이소시아네이트가 쓰여지는바, 에컨대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키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디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톨린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방족 (내지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가 쓰여지게 된다. 또, 상기 각종 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체 또는 다량체를 이용할 수도 있는바, 예컨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면에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탈지처리, 표면조면화처리와 같은 공지의 쉬운 접착처리를 시행할 수도 있다.
접착방법으로는, 이용하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대응해서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면 되는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써서, 용융압출법(extrusion coating method)로 무늬층 상에 바르는 방법, 폴리에스텔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에폭시계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 아미노와 같은 가교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자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같은 중합개시제, 나프텐산코발트, 디메틸아닐린과 같은 중첩촉진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한 접착제를 발라 드라이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열압착될 수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열압착으로 무늬층과 투명성수지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탈지처리, 표면조면화처리와 같은 공지의 쉬운 접착처리를 접착면에다 시행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투명성 보호층이나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0.1~30㎛ 정도가 되도록 하면 된다.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은, 기재층 또는 투명수지층의 표면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이에 쓰여지는 수지로는 에스텔수지,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니트로셀룰로스 수지와 같은 것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내지 혼합시킨 도료조성물 또는 잉크조성물로 하고서 롤코팅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과 같은 적절한 도포수단을 써서 형성시킬 수가 있다.
기재층
기재층은 박지나 상질지, 크라프트지, 화지, 티탄지, 수지함침지, 지간강화지와 같은 종이, 나무재질섬유, 유리섬유, 석면, 폴리에스텔섬유, 비닐론섬유, 레이온섬유와 같은 섬유로 된 직포나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텔,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제 시트 등의 1종 내지 2종 이상의 적층체를 쓸 수가 있고, 그 두께로는 약 20~300㎛가 적당하다. 또, 상기 화장층으로 쓰이는 상기 화장용 기재는 필요에 따라 필요한 층에다 안료 등을 첨가시켜 착색을 하여도 좋고, 필요한 쪽 면에다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오존처리와 같은 쉬운 접착처리를 하여도 좋다.
무늬층
무늬층은 무늬잉크층 및 베타잉크층으로 이루어지는바, 이들은 일반적으로 그라비아 인쇄, 오프세트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와 같은 공지의 인쇄법으로 잉크를 가지고 형성할 수가 있다. 무의잉크층은 예컨대 나뭇결모양, 돌결모양, 옷감결 모양, 피문모양, 기하학모양, 문자, 기호, 선화, 각종 추상적 모양의 무늬를 이루게 된다. 한편 베타잉크층은 은폐성을 가진 착색잉크로 베타인쇄를 한 층인바, 그 실시예로는 무늬잉크층 및 베타잉크층 양쪽에 형성하거나 어느 한 쪽에 형성되도록구성하여도 좋다.
무늬층에 쓰여지는 잉크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해서 이용하고, 여기에 도료와 용제, 각종 보조제 등을 첨가하여 잉크화한 것을 쓸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환경문제나 피인쇄면과의 접착성 등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같은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쓰게 된다. 또, 와이핑잉크에 대해서도 앞에서 설명한 무늬층에 사용되는 잉크와 같은 잉크로 형성할 수가 있다.
투명수지층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성을 가진 것이라면 어느 한 가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질이거나 반경질 또는 경질의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에스텔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아크릴산에스텔, 메타아크릴산에스텔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2투명성 수지층으로서 폴리프로필렌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착색을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에다 착색재(도료나 염료)를 첨가시켜 착색할 수 있다. 착색재로는 상기 착색반투명층으로 든 바 있는 도료나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착색재의 첨가량도 소망하는 색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투명성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탈염제, 발포제, 난연제(難燃劑), 활제(滑劑),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화제(光安定化劑), 라디칼보촉제, 경질성분(예컨대 고무)과 같은 각종 첨가제가 함유되어도 좋다.
표면보호층
표면보호층은 바닥재용 시트에 요구되는 내찰상성과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와 같은 표면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하게 된다. 그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키는 수지로는, 열경화형수지 또는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와 같은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표면이 단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경화형수지로는 예컨대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수지(2액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수지, 규소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나 중합개시제와 같은 경화제, 중합촉진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나 유기술폰산염와 같은 것을 불포화 폴리에스텔수지나 폴리우레탄수지 등에 첨가하고, 유기아민와 같은 것을 에폭시수지에 첨가하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와 같은 과산화물이나 아조이소부틸니트릴와 같은 라디칼 개시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형수지로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앞에서 설명한 열경화형수지를 용액으로 만들어 그 용액을 롤코팅법이나 그라비아코팅법와 같은 공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하고서 건조하고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액의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30㎛가 적당한바, 바람직하기는 15 ~ 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는, 전리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중합반응을 일으켜 3차원의 고분자구조로 변화하는 수지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리방사선은 전자파 또는 하전입자선 중에서 분자를 중합하고 가교해서 얻어지는 에너지양자(量子)를 가진것을 의미하는바, 그 예로서는 가시광선이나 자외선(근자외선, 진공자외선 등), X선, 전자선, 이온선와 같은 것이 있고, 그 중 특히 자외선과 전자선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원으로는 초고압수은등과 고압수은등, 저압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램프과 같은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는 190 ~ 380㎚ 정도의 파장역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전자선원으로는 예컨대 콕크로프트왈톤(Cockcroft-Walton)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변압기형, 색녹코어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드론형, 고주파형과 같은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용하는 전자선으로는 일반적으로는 100~1000keV 정도, 바람직하기는 100 ~ 300keV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통상 2~15Mrad 정도면 된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같은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 또는 에폭시기와 같은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단량체, 프리폴리머 또는 폴리머(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화합물이라 함)로 이루어진다. 이들 단량체, 프리폴리머 및 폴리머는 단체로 쓰이게 되지만,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의미로 사용된다.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폴리에스텔(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프리폴리머는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10000 정도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면 경화된 수지층의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열성과 같은 표면물성이 부족하게 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더불어 사용할 수는 있지만, 전리방사선으로서의 가교경화속도라는 점에서 아크릴레이트의 쪽이 빠르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단시간에 능률적으로 경화시킨다고 하는 목적에서는 아크릴레이트 쪽이 유리하다.
양이온중합성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비스페놀형에폭시 수지, 노볼락형에폭시 수지, 지환형(脂環型)에폭시 수지와 같은 에폭시계 수지, 지방족계 비닐에텔, 방향족계 비닐에텔, 우레탄계 비닐에텔, 에스텔계 비닐에텔과 같은 비닐에텔계 수지, 환위에텔화합물, 스피로화합물과 같은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라디칼중합성불포화기를 가진단량체로는 예컨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단관능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벤질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하이드로겐테레탈레이트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다관능단량체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는 상기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전자선을 조사하면 충분히 경화되기는 하지만,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증감제로서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게 된다.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수지계인 경우의 광중합개시제로는, 예컨대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치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텔,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히라-케톤, 디페닐설파이드, 디벤질디설파이드, 디에틸옥사이드,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수지계인 경우에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텔, 푸릴옥시술폭소늄디아릴요드실염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광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중량%당 0.1 ~ 10 중량% 정도가 되도록 하면 좋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를 용액으로 만들어 이 용액을 그라비아코팅법이나 롤코팅법와 같은 주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하면 된다. 이 경우의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 ~ 30㎛가 되도록 하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기는 15 ~ 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표면보호층(11)에다 한층 더 내찰상성과 내마모성을 부여하려면, 필요에 따라 무기충전제를 배합할 수도 있는바, 그 예로서는 분말상의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이산화규소, 티탄산칼슘, 티탄산바륨, 마그네슘파이로보레이트, 산화아연, 질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크롬, 산화철, 질화붕소, 다이아몬드, 금강사, 유리섬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무기충전재의 사용량은 한정적이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 100 중량%에 대해 1 ~ 80 중량% 정도로 하면 된다.
각 층의 적층방법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각 층의 적층방법은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 등에 따른 접착이나 라미네이트와 같은 각 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은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해서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층의 적층은 통상적인 순으로 실시하면 된다. 예컨대 도 11을 이용해서 설명하자면, 착색된 기재층(106)의 한쪽 면에 무늬층(107)을 차례로 인쇄하여 형성시킨 후 이 무늬층(107) 상에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와 같은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션용 접착제로 된 접착제층(108)을 매개로 투명성 수지층(109)를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션법이나 T다이압출법 등으로 적층하고 나서, 이 투명성 수지층(109) 전체에 프라이머층(110)을 형성시킨 다음, 그 위에 표면보호층(111)을 형성시키면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표면보호층(111)쪽에다 엠보싱가공을 함으로써 요철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바, 그 요철모양은 가열프레스나 헤어라인가공 등으로 형성시키면 된다. 상기 요철모양으로는 예컨대 도관홈, 석판표면요철, 직포표면텍스춰, 배껍질모양, 모래무늬, 헤아라인, 만선조형 홈 등을 들 수 있다.
바닥재용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를 나무재질의 기재에다 적층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합성수지층쪽에 나무재질로 된 기재가 적층시켜지게 된다. 나무재질 기재로는 특히 어떤 한 가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삼나부, 회나무, 소나무, 나왕, 티크, 메라피와 같은 각종 소재로 만들어진 철판, 목재단판, 목재합판, 파티클보드, 중밀도섬유판(MDF) 등을 들 수 있다.
바닥재를 적층하는 방법도 어떤 한 가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착제로 화장시트를 기재에다 첩착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 공지의 접착제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폴리초산비닐나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ㆍ초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공중합체, 아이오노머와 같은 것 외에, 부타디엔ㆍ아크릴니트릴고무, 네오프렌고무,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는, 앞에서 설명한 내용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도 좋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의 이 합성수지층쪽에 나무재질로 된 재료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로서, 이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화장층쪽에서부터 나무재질 재료에 이르는 홈을 형성시켜줌으로써 이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합성수지층의 두께는 2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1) 이 합성수지층이 단독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a)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 또는 b) 2층 이상인 경우에는 이 합성수지층 중 적어도 그 최상층이 A-PET와 PETG 또는 PEN을 포함하는 혼합층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적어도 그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와 PETG 또는 PEN과를 포함하는 혼합층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이 합성수지층이 3층으로 로 이루어진 층구조를 갖고, (2)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와 PETG 또는 PEN과를 포함하는 혼합층이고, 심재층이 A-PET로 이루어진 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이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혼합층이 실질적으로 A-PET와 PETG 또는 PEN과의 2가지 성분계로 이루어지고서 양자의 합계 100중량% 중 PETG 또는 PEN이 20 ~ 80 중량%를 함유하도록 되어 있다.
층구성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는,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다시 말해, 합성수지층이 복수의 합성수지제 구획편(區劃片; 이하 단지구획편이라 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1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합성수지층의 배치예(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합성수지층(201)은 3개의 구획편(202, 203 ,20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편끼리는 서로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지만, 특히 구획편 사이는 일정한 간극(205)이 갖고 있는 것이 좋다. 이 경우의 간극의 두께(구획편 사이의 거리)는 2mm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mm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간극을 형성시킴으로써, 보다 큰 팽창차를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2에서는 3개의 구획편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2개의 구획편, 3개 이상의 구획편 등 어떤 것이어도 좋다. 이 구획은 도 12와 같은 세로줄무늬모양으로 구분되는 것 말고도, 격자모양, 가로줄무늬와 같은 것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구획편의 합성수지층 형성
구획편으로 합성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리 준비한 복수의 구획편을 나무재질 재료(기재) 또는 화장시트의 화장층에다 적층하는 방법과,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합성수지층을 화장층 전체에 적층한 후 합성수지층이 구획편 마다 구분되도록 합성수지층을 절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획편을 형성시키는 1예를 도 13을 가지고 설명한다. 도 13은 본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수지층(201) 상 전체에 화장층(210)을 적층시켜 바닥재용 시트(211)를 만들고, 이것과 나무재질의 기재(212)를 적층시켜 바닥재용 적층체(213)를 구성한 후, 합성수지층이 독립된 구획편으로 구분되도록 합성수지층에 이르는 홈(214)을 화장층쪽에서부터 패어들어가도록 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화장층쪽에서부터 홈을 패어들어가게 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층과 같이 화장층도 복수의 구획편으로 구분되게 된다. 홈을 파는 방법 자체는 공지의 방법을로 하면 되는바, 예를 들어 테노너와 같은 공지의 장치로 가공하면 된다. 홈을 파넣는 경우 그 단면은 한정되지 않고 V자모양, 오목모양(정방형, 장방형) 중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한, 홈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나무재질 재료의 일부가 노출하기 때문에, 그 노출부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방수처리, 발수처리 등)를 하여도 좋다.
화장층
본 발명에 따른 화장층은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닥재용 시트(바닥재용 적층체)의 구체적인 층구성을 보면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14를 보면, 함성수지층(223) 상에 접착제층(224)과, 프라이머층(225), 기재층(226), 베타잉크층(227), 병잉크층(228), 접착제층(229), 투명성 수지층(230), 프라이머층 및 표면보호층(투명성 보호층: 231)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엠보싱가공이 실시되어 오목모양의 엠보싱부(232)가 붙여져 있다. 한편, 합성수지층의 다른 면에는나무재질의 기재(221)가 접착제층(222)을 매개로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재용 적층체는 화장층쪽에서부터 나무재질 기재(221)에 이르러 나무재질 기재 중에 그 선단부가 있도록 파고 든 홈(220)이 형성됨으로서, 그에 의해 합성수지층이 독립된 구획편마다 구분되게 된다.
합성수지층
합성수지층은 다음과 같은 점 말고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도 좋다.
혼합층 중의 A-PET 및 PETG의 함유량은, 각 성분의 등급, 본 발명 시트의 사용조건 등에 대응헤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시트에서는, 상기 2가지 성분계에서 A-PET 및 PETG의 합계 100중량% 중 PETG는 20 ~ 8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시트의 합성수지층의 두께(2층 이상인 경우에는 두께의 합계)는 한정되지 않고,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등을 고려하면 200㎛ 이상, 바랍직하기로는 200 ~ 500㎛ 정도가 되도록 하면 좋다. 2층 이상인 경우의 각 층의 두께는 각 층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구획편의 도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합성수지층을 2개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함으로써 노출시켜진 구분부와,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을 각각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함으로써 노출시켜진 각각의 전기 구분부와를 아크릴우레탄계 수지가 함유된 수성조성물로 도포함으로써 바닥재용 시트 또는 바닥재용 적층체가구성되도록 되어 잇다. 그에 따라, 나무재질 기재가 충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수성도료
수성도료는 수성성분으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가 함유된 것인바, 여기에 쓰이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아크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의 반응생성물,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수지와 관능기를 가진우레탄수지를 가교시켜 복합화되도록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로는, 케토기를 함유한 아크릴수지와 히드라지드기를 함유한 우레탄수지를 혼합해서 만드는 것이 좋은바, 이렇게 하면 보다 뛰어난 내수성과 내약품성, 내찰상성 등과 더불어 합성수지층(특히 올레핀계 수지)과의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크릴수지와 우레탄수지는 케토기 및 히드라진기에 의해 가교되어, 아크릴수지 및 우레탄수지가 복합화되게 된다. 그리고, 이 복합화된 수지가 수성 중에서 수성에멀젼(우레탄/아크릴 복합 에멀젼)의 형태를 이루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수성에멀젼은, 그 수지의 입자가 입자 내부에는 아크릴수지성분이, 입자 외부에는 우레탄수지성분이 존재하는 복합입자로 분산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복합에멀젼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제품명「폰코트CG-5000」(일본국 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 복합에멀전 중 아크릴수지 성분과 우레탄수지 성분과의 비율은 한정적이지 않은바, 양자의 합계 100중량% 중 우레탄수지성분이 20 ~ 40중량%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합성수지층과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수성도료 중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의 함유량은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는바, 5 ~ 60중량% 정도, 특히 20 ~ 4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우레탄수지에 대해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바, 이를 사용함으로써 가교정도를 높일 수가 있게 된다.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멜라민계 경화제, 아지리진계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저온가교성능, 내후성, 내수성 등을 보다 더 높일 수가 있다는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경화제의 종류 등에도 좌우되지만, 통상적으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100중량%에 대해 20 ~ 70 중량% 정도로 하면 좋다.
수성도료에는 실리콘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실리콘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소포효과(消泡效果)와, 요수효과(擾水效果) 등을 얻을 수가 있다. 실리콘의 첨가량은 본 발명 도료 중 0.5 ~ 5 중량%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수성도료에서는 공지의 수성도료에 함유되어 있는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는바, 예컨대 착색재(안료, 염료)나 점도조정제, 기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수성도료에서는 용매로 주로 물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수용성 유기용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소프로필알콜와 같은 알콜류 외에 글리콜류, 글리콜에텔류 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료의 고형분함유량으로서, 통상적으로 5 ~ 8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쓰이는 도료는 용액이나 에멀젼 등 어떤 형태로 된 것이라도 좋지만, 특히 에멀젼형태로 된 것이 좋다.
기타의 층구성
바닥재용 시트의 합성수지층 이외에 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실험예]
(실험예 A)
다음에는 본 발명의 내용을 실험한 실험예 A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다음과 같은 층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실험예 A1
화장시트와 A-PET(0.4mm 두께)층과 라왕합판(12mm 두께)
실험예 A2
화장시트와 2축연신 PET( 두께 0.25mm) 및 라왕합판(두께 12mm)
예 A1
철판과 라왕합판(일반 컬러플로어)
예 A2
철판+MDF(두께 3mm)와 라왕합판(두께 9mm) (내캐스터성을 부여한 컬러플로어)
예 A3
화장시트와 라왕합판(두께 12mm)
예 A4
화장시트와 A-PET(두께 0.2mm) 및 라왕합판(두께 12mm)
상기와 같은 조제예에에서 화장시트는 도 3에 구성된 화장층이고, A-PET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축연신 PET는 2축연신 폴리에닐렌테레프탈레이트, 철판은 깨끗한 자연목재를 얇게 썬 단판을 각각 의미한다.
평가시험
다음과 은 평가시험을 행하고서 그 결과를 표 A에 기재하였다.
시험A1 : 내캐스터시험
설명과 같이 해서 만든 A1 ~ A4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아래와 같은 내캐스터 시험장치에다 설치하고서, 하기와 같은 조건에 따라 시험을 하였다. 시험을 한 후에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갈라진 금이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였다. 또, 바닥재용 적층체의 오모부의 깊이를 데프스메타(depthmeter)로 측정하였다.
내캐스터 시험장치
내캐스터 시험장치 L6-04(일본국 덴노기계제작소)를 사용하였는바, 이 장치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시료고정대: Φ80cm, 두께 8mm의 아크릴제
3개의 캐스터: HAMMER CASTER 製 420 SA-N 75 (Φ75mm ×25mm, 차륜나일론 제)
캐스터고정대의 회전속도 : 0~60rpm (변속모터구동식)
가중부: 40 ~ 210 kg에서 조절가능
조절핸들: 웨이트대의 핸들을 돌려줌우로써 캐스터가 상하로 이동한다.
회전방향 반전간격 : 1 ~ 12분(타이머에로 설정가능)
프리세트카운터 : 회전수의 설정 및 누적회전수를 표시
디지털타코미터 : 캐스터 회전속도를 표시
시료의 크기: 30cm ×30cm
시험조건
상기 내캐스터 시험장치에서, 시험대상인 바닥재용 적층체를 시험고정대에다 고정시켰다. 이 바닥재 적층체의 표면에 3개의 캐스터가 접촉하지 않도록 조절핸들로 캐스터고정대를 위로 올린 후, 무게 70kg이 되도록 하중대(荷重臺)에다 분동을 얹었다.
회전속도를 20rpm, 5분마다 반회전, 1000회 회전으로 세팅하고서 조절핸들을 돌려 캐스터고정대를 시험대상인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 상에 내려놓았다.
캐스터고정대의 회전구동장치의 시동스위치를 넣어 시험을 개시하였다. 시험을 종료한 후, 조정핸들을 회전시켜 캐스터고정대를 띄워 시험대상인 바닥재용 적층체를 끄집어내어 평가하였다.
시험 A2 : 내듀폰충격시험
앞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해서 제조한 시험예 A1~ A4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JIS K5600 듀폰충격시험에 준거해서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r = 6.3mm의 타격형을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에다 놓고서, 500g의 분동을 300mm 높이에서 앞의 타격형의 위로 낙하시켰다. 시험을 한 후, 바닥재용 적층체를 육안을 관찰하여, 그 표면에 갈라진 금이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였다. 또, 바닥재용 적층체의 오목부 깊이를 데프스메타로 측정하였다.
표 A
평가시험/시료 실시예 A1 실시예 A2 예 A1 예 A2 예 A3 예 A4
평가시험 A1
표면 갈라진 목 유무
요(凹) 의깊이(㎛) 70 60 160 60 150 190
평가시험 A2
표면 갈라진 목 유무
요의깊이(㎛) 260 300 800 270 580 390
(실험예 B)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실험예B를 가지고 설명한다.
1)바닥재용 적층체의 제조
표층재 B의 조정
양면을 크로나방전처리한 40μ두께의 착색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는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무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상기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접착제를 매개로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를 T다이압출기로 두께 80㎛가 되도록 압출시켜 중간적층체를 만들었다. 그 후, 상기 중간적층체의 상기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우레탄계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를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하여 나뭇결도관 요철모양이 형성된 화장시트를 만들어 표층재 B로 하였다.
다음, 시험에 제공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다음과 같은 합성수지층으로 쓰이는 수지의 종류와 두께를 변화시킨 것으로 24가지를 준비하여 이들을 상기 표층재 B와 합쳐지도록 해서 시험체 B1 ~ 24를 얻었다.
시험체 B1
상기 표층재 B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시킨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3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일본국 미쓰비시화학 :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의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인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시켜 시험에 쓰여질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시험체 B 2-0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400㎛ 두께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3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88㎛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일본국 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4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25㎛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일본국 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5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00㎛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6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75㎛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7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50㎛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8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400㎛ 두께의 비정성 폴리에스텔(이스트만 케미칼 컴퍼니 제품: Easter PETG676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9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00㎛ 두께의 비정성 폴리에스텔(이스트만 케미칼 컴퍼니 제품: Easter PETG676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0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00㎛ 두께의 ABS(테크노폴리머 제품: TECNO ABS 81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1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200㎛ 두께의 ABS(테크노폴리머 제품: TECNO ABS 81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2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00㎛ 두께의 ABS(테크노폴리머 제품: TECNO ABS 81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3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60㎛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제품: 유피론(ユ-ピロン) S2000 )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4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35㎛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미쓰비시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제품: 유피론 S2000 )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5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85㎛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製: 유피론 S2000 )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6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7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20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8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5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19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6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20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8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뎃꼬광석유화학 제품: F39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21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20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뎃꼬석유화학 제품: F39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22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6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뎃꼬출광석유화학 제품: F39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23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30㎛ 두께의 폴리스티렌(A&M 폴리스티렌 제품: HF77)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시험체 B 24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60㎛ 두께의 폴리스티렌(A&M 폴리스티렌 제품: HF77)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평가시험 B
시험 B1 :내듀폰충격시험
조정을 한 24가지 종류의 시험체에 대해, 표층재 B측으로부터 듀폰식 충격시험을 행하고, 그때의 각 시험체의 오목부의 함몰깊이(단위: ㎛)를 측정해서 오목부의 깊이와 합성수지층의 물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듀폰식 충격시험은 평가시험 A1과 마찬가지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 각 시험체 B의 오목부의 함몰깊이와 항복점하중과의 사이에 도 6과 같은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오목부가 눈에 띄기 어려운 깊이는 450㎛ 이하이고, 그 때의 합성수지층은 그 항복점하중이 9kgf 이상인 수지종류의 두께와 같았다.
도 7에 나타내어진 항복점하중과 항복신장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로부터 인장탄성율이 50kgf/mm2이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8에 나타내어진 항복점하중과 항복신장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로부터 항복신장율이 3 ~ 8%인 것임을 알 수 있음과 더불어, 또 오목부가 눈에 띄기 어렵고 화장층이 갈라지기가 어려운 바람직한 것으로는, 항복점하중이 13kgf 이하이고 항복신장률이 3 ~ 5%인 수지종과 두께로 된 합성수지층임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임을 알 수가 있었다. 한편, 도 6 ~ 도 8에 기재된 숫자는 시험체 B 의 번호이다. 또, 도면 중의 ●표시는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가장 적합한 것을 나타내고, ▲표시는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나타내고, ×표시는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사용하기가 적절치 못한 것을 나타낸다.
시험체 B 2-1 ~ B 2-6의 조정
합성수지층으로서 상기 시험을 행하는 도중 결과가 양호하였던 시험체 B 2-0에 쓰여진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으로 줄이고, 화장층으로서의 표층재 B를 다른 표층재로 대신해서 별도 6가지 종류의 표층재를 상기 수지층과 각각 접합시킴으로써 시험체 B2-1~2-6을 만들었다.
시험체 B 2-1
양면을을 코로나방전처리를 한 80㎛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는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시켰다. 그 후, 상기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수지층을 형성시키고,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된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시행하여 나뭇결도관 요철모양을 형성한 화장시트를 만들고, 이 표층재의 인쇄층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일본국 쥬오이화공업 제품 BA-10L)을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자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시험체 B2-2
일반적인 얇은 박엽지(30g/m2)의 한쪽 면에 우레탄계 잉크로 착색베타무늬층과 도안인쇄층,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차례로 형성시킨 표층재를 만들어, 이 표층재의 비인쇄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NOVAPEX GM700)층을 형섬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BA-10L)을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합시키고, 다시 상기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다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 피치(pitch)로 폭 3.0mm, 깊이 0.3mm의 V자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한 다음, 절삭가공을 한쪽 면 전체에 폴리메디딕 SKS-087(2)[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제품]를 건조시킨 후 2.0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중간도포층을 형성하고, 다음에는 이 중간도포층 상에 폴리메딕 SKS-327Y(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제품)를 건조시킨 후 2.5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중간칠층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상기 중간칠 층 면을 연마포 #400으로 연마하고, 이 연마된 한쪽 면에다 폴리메딕 SK164-40A(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제품)를 건조시킨 후 1.2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마무리칠층을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시험예 B 2-3
표면재 B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두께를 100㎛으로 하고,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의 압출한 막두께를 100㎛으로 한 것 말고는 표층재 B와 같은 표층재를 만들어, 이 표층재의 상기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시킨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BA-10L)을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다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시험예 B 2-4
표면재 B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두께를 150㎛으로 하고,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의 압출한 막두께를 150㎛으로 한 것 말고는 표층재 B와 같은 표층재를 만들어, 이 표층재의 상기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시킨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BA-10L)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하여 형성시킨 시험에 제공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시험예 B 2-5
0.2mm 두께의 철판에 도포량이 5g/m2인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製 BA-10L)을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면에 수용성 우레탄 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製 BA-10L)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고, 다시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한 후, 상기 철판 표면에 폴리메디크 SKS-088(다이니뽄잉크화학 제품)을 건조시킨 후 0.4g/900cm2이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줄무늬층을 형성한 다음, 이 줄무늬층 상에 미라조르컬러(다이니뽄잉크화학 제품)를 건조시킨 후에 1.3g/900cm2가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착색층을 형성하고, 이 착색층 상에 폴리메디크 SKS-087(2) [다이니뽄잉크화학 製]을 건조 후에 2.0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애벌칠층을 형성하고, 이 애벌칠층 상에 폴리메디크 SKS-327Y [다이니뽄잉크화학 製]를 건조시킨 후에 2.5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된 중간칠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중간칠층 면을 와이드쎈더(#400)로 연마하고, 이 연마한쪽 면에다 폴리메디크 SK164-40A(다이니뽄잉크화학 제품)를 건조시킨 후에 1.29/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된 마무리칠층을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시험체 B 2-6
0.2mm 두께의 철판에 도포량 5g/m2의 수용성 우레탄 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제품 BA-10L)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 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製 BA-10L)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고, 다시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한 후, 상기 철판 표면에 별도로 준비한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를 한 80μ두께의 투명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 한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의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해서 나뭇결도관상 요철모양을 형성시킨 시트를 이 시트의 인쇄층이 상기 철판쪽에 위치하도록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해서 만들어진 6가지 종류의 시험체 B2-1 ~ 2-6에 대해 화장층쪽으로부터 듀폰식 충격시험(분동 :500g, 낙하높이: 300mm, 타격직경R: 6.3mm)을 시행하였는바, 그 때의 각 시험체 B의 함몰깊이(단위:㎛)를 측정함과 더불어 화장층의 균열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B에 정리해서 나타냄과 더불어 도 6에 다 좌표로 나타내었다.
표 B
시험체 B 함몰 깊이 (㎛) 화장층의 균열
2-1 303
2-2 331
2-3 278
2-4 294
2-5 302
2-6 270
(실험예 C)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다음 실험예 C를 가지고 설명한다.
화장층 시트의 조정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상기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를 T다이압출기로 두께가 80㎛이 되도록 압출해서 중간적층체를 만들었다. 그 후, 상기 중간적층체의 상기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해서 나뭇결도관상 요철모양이 형성된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바닥재용 적층체의 조정
실험예 C1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비정성 PET라 함)을 심재층으로 하고서, 이 심재층의 양면에 비정성 PET/폴리아릴레이트 = 50/50(질량%)의 혼합수지를 두께비가 1/8/1이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함께 압출해서 0.4mm 두께의 합성수지층으로 제공되는 합성수지제 시트를 만들었다. 다음, 상기 합성수지제 시트와 상기와 같이 만든 화장시트를 폴리에스텔우레탄계 접착제를 가지고 드라이라미네이션 법으로 적층시킨 적층체를 만들어, 이 적층체의 상기 합성수지제 시트면과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수용성 우레탄계 에멀젼접착제를 매개로 적층시켜 본 발명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실험예 C2
비정성 PET의 양면에 비정성 PET/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 60/40 (질량%)인 혼합수지를 두께비가 1/14/1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함께 압출한 0.4mm 두께의 합성수지제 시트를 이용하는것 말고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실험예 C3
0.4mm 두께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합성수지제 시트를 이용하는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본 발명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예 C1
0.4mm 두께의 비정성 PET의 합성수지제 시트를 이용한 것 말고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비교예로 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예 C2
상기 대로 제작한 화장시트를 이 화장시트의 표면보호층이 표출되도록 12mm 두께의 라왕합판과 수용성 우레탄계 에멀젼접착제를 매개로 적층시켜 비교예로 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평가시험 C
다음과 같이 평가시험을 한 결과는 표 C에 기재된 겉과 같다.
시험 C1 :내수축현상 평가
실험예 1 ~ 비교예 2의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A) 60℃와 (B) 80℃의 항온조 내에 24시간 보관하고서, 화장층 표면의 수축현상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평가 A: 수축 현상 무
평가 B: 수축현상 약간 유
평가 C: 수축현상 유.
시험 C2 :내캐스터성 및 듀폰내충격성 시험
실험예 1 ~ 비교예 2의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내캐스터시험 및 내충격성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실험예 A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양시험의 평가는 바닥재용 적층체의 함몰깊이(㎛)를 측정하였다.
시험 C3: 물성측정시험
실시예 1 ~ 비교예 2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이용한 합성수지제 시트 또는 화장시트의 각종 물성치, 구체적으로 침입온도(단위: ℃), 항복점하중(단위: kgf),인장탄성율(단위: kgf/mm2), 하복신장율(단위:%)를 측정하였다.
표 C
시험/ 실험예 C1 실험예 C2 실험예 C3 예 C1 예 C2
시험 C1
보관조건
(A) A A A B C
(B) A A A C C
시험 C2
내캐스터성 90 80 90 110 220
내충격성 270 220 210 250 560
시험 C3
침입온도 90 100 210 70 측정불능
항복점하중 24 24 22 23 3.5
인장탄성율 160 160 156 160 93
항복신장율 4 .8 5.0 5.5 5.0 10
(실험예 D)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다음의 실험예 D를 가지고 설명한다.
시험예D1
(1)화장층의 제작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기재)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다른 면에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무늬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무늬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층을 매개로 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성 수지층을 T다이압출기로 두께가 80㎛가 되도록 압출해서 중간적층체를 만든 다음, 이 중간적층체의 상기 투명한 수지\층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고 나서,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된 표면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의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시행하여 나뭇결도관상 요철모양이 형성된 화장시트(화장층)를 만들었다.
(2)합성수지층의 제작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하, 비정성 PET라 칭함)를 심재층으로 하고, 이 심재층의 양면에 비정성 PET/PETG=60/40의 혼합층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구조 (혼합층/심재층/혼합층의 두께비=1/8/1)로 되도록 T다이 압출기로 공압출하여 0.4mm 두께의 합성수지시트 (합성수지층)을 만들었다.
(3)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의 적층
상기 (1)의 화장시트의 이면(우레탄계 프라이머층)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가지고 드라이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4)바닥재의 제작
상기 (3)에서 만들어진 시트를 써서, 이 시트의 합성수지시트면과 라왕합판(두께 12mm)을 수용성우레탄계 에멀젼접착제를 매개로 적층시켜 본 발명의 바닥재를 만들었다.
예 D1
합성수지층으로 A-PET 단층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화장시트 및 바닥재를 만들었다.
예 D2
합성수지층으로 PETG 단층으로 한 것 말고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화장시트 및 바닥재를 만들었다.
평가시험 D
상기대로 작성한 실시예 E1 ~ 예 2의 구성을 가진 화장시트에 대해 합성수지층과 화장층 사이에서의 박리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 하였고, 그 결과는 표 E에 나타내었다.
(1) 전처리
각 합성수지층을 -10℃, 8℃, 25℃, 40℃, 60℃, 70℃, 및 80℃의 조건 하에다 정치하고서 48시간 또는 7일이 경과한 것을 상온환경 하에 이동시켰다.
(2) 화장층과의 적층
화장층의 한쪽 면에 두께 2㎛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킨 후, 다시 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해서 각 합성수지층과 드라이라미네이션법(70℃)으로 적층시켰다. 드라이라미네이션 후 상온 하에서 5일간 양생(養生)한 것을 시험체로 하였다.
(3) 박리시험
각 시험체를 박리시험기(제품명 「RTC1210-A」오리엔테크 제품)으로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를 박리시켜 그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D
온도(℃) 실험예 D1 예 D1 예 D2
48시간
-10 67.0 55.7 58.3
8 64.3 63.0 57.1
25 72.2 68.1 61.7
40 64.4 57.0★ 55.2
60 65.2 63.9★ 57.0
70 65.9 41.9★ 57.7
7일간
-10 70.0 65.1 55.8
8 71.5 55.1 62.6
25 72.2 68.1 61.7
40 69.0 63.8★ 64.5
60 69.6 61.3★ 59.0
70 68.2 24.8★ 60.6
단위는 N/25m 명폭(皿幅), (★)는 층간박리가 인지됨을 의미함
실험예 E1
다음에는 발명의 제4실시예를 실험예 E를 가지고 설명한다.
화장시트의 조제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우레탄셀룰로스계 수지(우레탄 및 초화면(硝化綿)의 혼합물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 2g/m2이 되도록 도장하여 이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른 면에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을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 2g/m2이 되도록 도장하여 인쇄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을 바인더로 한 인쇄잉크를 가지고 그라비아 인쇄를 해서 베타잉크층 및 무늬잉크층을 차례로 형성함으로써 나뭇결 및 추상모양의 무늬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우레탄계 접착제를 무늬층 상에 도장한 후, 그 위에서부터 프로필렌계 수지를 두께 80㎛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가열용융압출시켜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에 코로나방전처리를 시행하고, 그 처리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에 의해 도장하여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경화형 수지를 롤코팅법으로 고형분 15g/m2이 되도록 도포해서 건조시킨 후,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수지층에다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의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 또는 목기(木肌)ㆍ추상조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시행하여 나뭇결 도관상 또는 나무판에 추상형 요철모양을 형성시킨 화장층을 만들었다.
합성수지층의 조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를 심재층으로 하고서, 그 양면에 A-PET 60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40중량%인 혼합수지층이 혼합수지층/심재층/혼합수지 층= 1/14/1의 두께비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함게 압출하는 공법으로 두께 0.4mm의 합성수지시트(합성수지층)를 만들었다.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적층
화장층의 이면 프라이머층에 다시 우레탄계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합성수지층을 드라이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바닥재용 적층체의 조제
상기 (3)의 바닥재용 화장시트의 합성수지층 면에 라왕합판(두께 12mm)을 수용액 에멀젼계 접착제으로 적층시키고, 소정의 치수(300mm×1800mm)로 재단한 후, 테노너를 가지고 4변을 밀봉가공하고, 다시 화장층쪽에서부터 라왕합판에 이르는 깊이의 V형 홈을 바닥재 평면에서 바라본 장척(長尺)방향 및 단척방향으로 형성시켯다. 또, 바닥재 양면에서부터 본 장척방향 측면부에 모따기부를 형성시켰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V형 홈 모따기부의 전체에 수계(水系) 2액경화형 우레탄계 착색도료를 도포함과 더불어 와이핑처리를 함으로써 V형 홈 및 모따기부에 도포층을 형성시켜 소정의 바닥재를 만들었다.
예 E1
홈으로 라왕합판에 이르지 않고 합성수지층의 중간까지의 깊이를 가진 홈을 형성시키는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바닥재를 만들었다.
평가시험 E
시험 E1 : 휘어짐 내성시험
실시예 E1 및 예1에서 만들어진 바닥재에서, 그 「휘어진 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각 바닥재를 온도 35℃ㆍ습도 60%RH의 조건 하에 7일간 방치한 후, 다시 온도 0℃ㆍ습도 30%RH의 조건 하에서 7일간 방치한 후 휘어진 정도를 시험 전의 상태와 비교해서 최대로 휘어진 길이를 측정하고서 그 결과를 표 E에 나타내었다.
표 E
평가 1 실험예 E1 예 E1
휘어짐 길이 2mm 5mm
(실험예 F)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다른 예에 대해 실험예 F를 가지고 설명한다.
조제예 F1
수성도료의 조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제품명 「폰코트CG-5000」(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우레탄/아크릴 복합에멀젼) 약 31중량%(고형분), 본질안료(실리카) 약 7중량%, 실리콘 2중량%,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 및 물 54중량%가 되도록 각 성분을 배합해서 혼합시켰다. 한편,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누레이트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물과 1 : 1 (중량비)로 혼합하고서, 이를 상기 혼합물 100중량%에 대해 20중량% 혼합하였다. 그에 따라 수성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수성도료를 얻을 수 있었다.
조제예 F2
바닥재
가장 먼저, 화장층을 쓰이는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1) 화장층시트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우레탄셀룰로스계 수지(우레탄 및 초화면의 혼합물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이 2g/m2가 되도록 도장하여 이면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른쪽 면에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이 2g/m2가 되도록 도장하여 인쇄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을 바인더로 하는 인쇄잉크를 가지고 그라비아 인쇄로 베타잉크층 및 도안잉크층을 차례로 형성시켜 나뭇결 및 추상모양의 무늬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우레탄계 접착제를 무늬층 상에다 도장한 후, 그 위에서부터 프로필렌계 수지를 두께 80㎛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가열용융압출해서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에 코로나방전처리를 시행하고, 그 처리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도장해서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경화형 수지를롤코팅법으로 고형분이 15g/m2가 되도록 도장해서 건조시킨 후,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상 엠보싱판 또는 나무판에 추상모양을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해서 나뭇결도관모양 또는 목판에 추상모양이 요철로 형성된 화장층을 만들었다.
(2)합성수지층의 조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를 심재층으로 하고, 그 양면에 A-PET 60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40중량%의 혼합수지층이 혼합수지층/심재층/혼합수지층 = 1/14/1의 두께비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공압출법으로 두께 가 0.4mm인 합성수지시트(합성수지층)을 만들었다.
(3)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적층
화장층의 이면 프라이머층에 다시 우레탄계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합성수지층을 드라이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4)바닥재의 조제
상기 (3)의 바닥재용 화장시트의 합성수지층 면에 라왕합판(두께 12mm)을 수용액 에멀젼계 접착제로 적층하고서, 소정의 치수(300mm×1800mm)로 재단한 후, 테노너를 가지고 4변에 밀봉가공을 행하고, 다시 화장층쪽에서부터 라왕합판에 이르는 깊이의 V형 홈을 바닥재 평면으로부터 본 장척방향 및 단척방향으로 형성시켰다. 또, 바닥재 양면에서 바라본 장척방향 측면부에 모따기부를 형성시켰다.
실험예 F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용성 도료를 이용하여, 제조예 2의 바닥재의 V자형 구와 모따기부의 전체에 도포함과 더불어 와이핑 처리함으로써 조홈 및 모따기부에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예 F1
수성도료로 시판의 수성 우레탄도료를 사용하는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평가시험 F
실시예 F1 및 예 F1에서 형성된 도포층에서, 1) 내수성, 2) 내습열성, 3) 내신너성, 4) 내산성, 5) 내알칼리성, 6) 셀로테이프(상표명)의 밀착성시험, 7) 내기후성에 대해 각각 조사하였다.
각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1) 내수성시험 ;
컵투수(cup 透水) 시험을 하였다. 시험체에 144시간 동안 물방울을 접촉시킨 후 물방울 제거한 다음 시험체의 외관에 변화가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2) 내습열성 시험 :
JAS습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체를 수평으로 고정한 후, 시험체 표면에뜨거운 물이 떨어지도록 하고서, 그 위에 0.5L의 끓는 물을 넣은 1L 용량의 알루미늄용기를 20분 간 방치한 후, 건조한 직포로 마찰하고서, 그대로 24시간 방치하였다가, 24시간이 경과한 후 외관변화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3) 내신너성시험 ;
시험체의 홈 표면에다 신너를 떨어뜨린 후 4시간 방치 후의 외관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4) 내산성 시험:
시험체의 홈 표면에 10%의 염산수용액을 떨어뜨린 후 4시간 방치한 다음의 외관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5) 내알칼리성 시험 ;
시험체의 홈 표면에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떨어뜨린 후 4시간 방치한 다음 외관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6) 셀로테이프(상품명)의 밀착성 시험:
셀로테이프(일본국 니치반 제품)를 도장막에다 압착시켰다가 수직방향으로 떼어내었을 대 거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은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7) 내후성 시험:
내광성시험기(sunshine fade meter)를 500시간 동안 조사한 후 외관변화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평가시험 결과
실시예 F1은 전부의 항목에서 합격한데 대해, 예 F1은 모든 항목에서 불합격 이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용 적층체에 의해,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나무재질 기재와 합성수지층과의 열팽창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열팽창차로 인해 휘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이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5)

  1. 나무재질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항복점하중이 9kgf 이상, 인장탄성율이 50kgf/mm2이상, 항복신장률이 3~8% 이고,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시험을 한 결과가,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 이하로서,
    상기 내캐스터시험이, 회전가능 캐스터고정재와 이 캐스터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고정대에다 고정하고,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캐스터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kg이고,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를 회전하도록 해서 시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항복점하중이 12kgf 이상이고, 항복신장율이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층쪽 표면에서부터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부가 상기 합성수지층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도료가 도포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착색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폴리에스텔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텔 수지가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층의 표면 상에 표면 보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1. 나무재질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침입온도가 75℃ 이상, 항복점하중이 10kgf 이하, 인장탄성율이 100kgf/mm2이상, 항복신장율이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시험을 한 결과가,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 이하로서,
    상기 내캐스터시험이, 회전가능 캐스터고정재와 이 캐스터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고정대에다 고정하고,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캐스터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kg이고,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를 회전하도록 해서 시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층쪽 표면에서부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부가 상기 합성수지층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6. 제15항에서, 상기 홈에 도료가 도포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착색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8.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주성분으로서의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이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19.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층을 심재층으로 하고서, 이 심재층의 양면에 이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층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텔층이, 주성분으로서의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이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을 구성하는 층의 적어도 1층이 착색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22. 합성수지층과 그 위에 형성되는 화장층으로 구성된 바닥재용 시트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되,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인 경우에는 상기 단층이,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인 경우에는 그 중 적어도 한 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23. 제22항에 있어서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3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되,
    상기 3층 이상 층구조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과에 사이에 끼인 심재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상기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20 ~ 90중량%의 량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26.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이,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27.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28. 나무재질 기재 상에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닥재용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시험의 결과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 이하로서,
    상기 내캐스터시험이, 회전가능 캐스터고정재와 이 캐스터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고정대에다 고정하고,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캐스터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kg이고,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를 회전하도록 해서 시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30. 합성수지층과 그 위에 형성되는 화장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시트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독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되,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독인 경우에는 상기 단층이,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이 경우에는 그 중의 적어도 1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3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되,
    상기 3층 이상 층구조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과의 사이에 끼는 심재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상기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20~80중량%의 량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35.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이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36.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
  37. 나무재질 기재 상에 제 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닥재용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
  38. 제37항에 있어서, 화장층쪽에서부터 나무재질 기재에 이르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이 각각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를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노출시켜진 구분부위와,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을 각각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노출시켜진 각 구분부위가, 각각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한 수성조성물로 도포되도록 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에 함유되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가, 케토기를 함유한 아크릴수지 및 히드라지드기를 함유한 우레탄계 수지의 혼합물로 된 것임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이 경화제를 더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이 실리콘을 더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이 에멀젼형태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44.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한 것으로, 제38항에 기재된 바닥재용 적층체에 사용되는 수성조성물.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시험을 한 결과가,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 이하로서,
    상기 내캐스터시험이, 회전가능 캐스터고정재와 이 캐스터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고정대에다 고정하고,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캐스터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kg이고,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를 회전하도록 해서 시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
KR1020040021761A 2003-03-31 2004-03-30 바닥재용 적층체 KR100707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4612 2003-03-31
JP2003094612 2003-03-31
JPJP-P-2003-00338642 2003-09-29
JP2003338642 2003-09-29
JP2003338646 2003-09-29
JPJP-P-2003-00338646 2003-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073A true KR20040085073A (ko) 2004-10-07
KR100707040B1 KR100707040B1 (ko) 2007-04-13

Family

ID=3438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761A KR100707040B1 (ko) 2003-03-31 2004-03-30 바닥재용 적층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032866A (ko)
KR (1) KR100707040B1 (ko)
CN (1) CN15377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14A1 (en) * 2005-04-13 2006-10-19 Lg Chem, Ltd. Anti-caster surface laminate
KR100855545B1 (ko) * 2006-02-15 2008-09-01 최기환 친환경 난연성 합판
KR20230153860A (ko) *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층간소음 완화형 바닥재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06B1 (ko) * 2006-03-30 2009-02-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004614B1 (ko) * 2007-01-23 2010-12-28 (주)엘지하우시스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
JP6102989B2 (ja) * 2015-06-25 2017-03-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材
KR101850083B1 (ko) * 2015-11-09 2018-05-31 유재영 Opet 또는 cpet 무늬목 마루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350696A (zh) * 2015-11-16 2018-07-31 Afi许可有限公司 具有改善的耐磨层的表面覆盖物
CN106280306B (zh) * 2016-08-11 2018-11-30 苏州柯创电子材料有限公司 可热封高阻隔包装膜
CN108556441B (zh) * 2018-01-05 2021-05-28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光学聚酯薄膜
NL2033198B1 (en) * 2022-09-30 2024-04-08 Champion Link Int Corp Panel, composition for impregnating or coating a pane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9718B2 (ja) * 1994-03-30 2005-03-16 東洋紡績株式会社 樹脂製衝撃吸収ブロック
DE10048991A1 (de) * 1999-11-24 2001-06-07 Chemetall Gmbh Verwendung eines Giessharzes und einer dauerplastischen Randabd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andwichanordnung, bestehend aus einem Bildschirm und einer Frontglastafel
JP4329277B2 (ja) * 2001-05-14 2009-09-09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4839541B2 (ja) * 2001-07-25 2011-12-21 凸版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
JP4028369B2 (ja) * 2001-12-14 2007-1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材用化粧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14A1 (en) * 2005-04-13 2006-10-19 Lg Chem, Ltd. Anti-caster surface laminate
KR100855545B1 (ko) * 2006-02-15 2008-09-01 최기환 친환경 난연성 합판
KR20230153860A (ko) *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층간소음 완화형 바닥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7719A (zh) 2004-10-20
KR100707040B1 (ko) 2007-04-13
JP2011032866A (ja)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7347B2 (ja) 防湿フィルム
KR100876787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
JP5360251B2 (ja) 水性塗料
JP2011032866A (ja) 床材用積層体
JP4028369B2 (ja) 床材用化粧材
KR101248643B1 (ko) 바닥재용 화장재
JP5170938B2 (ja) 床材、及び床材表面を保護する方法
CN109414834B (zh) 胶合板及其制造方法
JP4605844B2 (ja) 床材用化粧材の製造方法
WO2013047292A1 (ja) 床用化粧材
KR102120186B1 (ko) 화장재
JP2005127124A (ja) 床材用積層体
KR101456731B1 (ko)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JP5141008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2007077763A (ja) 床材
JP4583059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
JP5879872B2 (ja) 床用化粧材
KR20210124264A (ko) 화장재
JP6036044B2 (ja) 床用化粧材
JP2009084338A (ja) 水性塗料
JP2008240423A (ja) 床材
EP3865298A1 (en) Transparent resin film,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sheet
JP711982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10082972A (ja) 化粧材
JP2004017590A (ja) 床材用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