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049A -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 Google Patents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049A
KR20040083049A KR1020040072125A KR20040072125A KR20040083049A KR 20040083049 A KR20040083049 A KR 20040083049A KR 1020040072125 A KR1020040072125 A KR 1020040072125A KR 20040072125 A KR20040072125 A KR 20040072125A KR 20040083049 A KR20040083049 A KR 2004008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kin layer
foam
expansion tub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244B1 (ko
Inventor
우상일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2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08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층과 스킨층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층을 형성하여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발포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금형을 이루는 하부금형의 성형면 가장자리측에 스킨층의 하부로 위치하게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이 요홈부에 팽창튜브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폴리우레탄 발포시 요구하는 시점에 팽창튜브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스킨층이 코어층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발포가스는 원활하게 배출시키면서도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은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발포제품의 품질향상과 그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팽창튜브로 주입되는 공기량 및 그 주입압력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실링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팽창튜브의 손상시 팽창튜브만을 하부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설치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Sealing apparatus for a foaming mould using expansive tube}
본 발명은 코어층과 스킨층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층을 형성하여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발포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금형을 이루는 하부금형의 성형면 가장자리측에 스킨층의 하부로 위치하게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이 요홈부에 팽창튜브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폴리우레탄 발포시 요구하는 시점에 팽창튜브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스킨층이 코어층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발포가스는 원활하게 배출시키면서도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은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발포제품의 품질향상과 그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팽창튜브로 주입되는 공기량 및 그 주입압력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실링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팽창튜브의 손상시 팽창튜브만을 하부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설치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속도와 연료의 잔량 및 각종 경고 등의 정보를 부여하는 계기판을 포함하여, 오디오 시스템의 설치나 각종 물건의 보관을 위한 다양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일부 흡수하여 탑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최근에 들어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품에 고급스런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도록 인스투르먼트 패널을 코어층과 폴리우레탄 폼층및 스킨층의 삼중구조로 이루어진 발포제품으로 제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발포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금형(1)(2)의 내부 성형면에 코어층(3)과 스킨층(4)을 각각 장착시킨 다음, 상,하부금형(1)(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코어층(3)과 스킨층(4) 사이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주입 및 발포경화시킴으로서 폴리우레탄 폼(5)을 성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의 발포작업시 그 발포가스는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킴과 동시에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은 차단시키도록 하는 것이 발포제품의 품질향상과 그 제조단가의 절감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도 1의 확대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발포시 발생하는 발포압력에 따라 코어층(3)의 말단부가 스킨층(4)을 향하여 서서히 강제 변형되도록 함으로서, 코어층(3)과 스킨층(4)이 형성하는 매칭부(Matching part)를 통하여 발포가스는 배출시킴과 동시에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은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어층(3)의 변형에 의한 강제 밀폐방식은 코어층(3)의 변형에 의한 매칭시점이 정확하게 조절되지 못할 경우 발포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여 폴리우레탄 폼(5)의 내부에 액빔공간(Void part)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코어층(3)과 스킨층(4)이 설계대로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을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과도하게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코어층(3)의 변형을 감안한 금형수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서 발포제품의 제조에 따른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킨층(4)이 부착되는 하부금형(2)의 표면부 내측부위에 외부의 가스공급에 의하여 팽창되는 인플레이트 튜브(6)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인플레이트 튜브(6)의 팽창작용에 따라 코어층(3)과 스킨층(4)의 말단부를 통한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하여 누액제거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폴리우레탄 발포시 발생하는 발포가스는 원활하게 배출시켜 액빔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용 발포금형 구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4-42676호(공개일자: 2004년 5월 20일)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포금형 구조는 인플레이트 튜브(6)가 하부금형(2)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금형(2)과 함께 팽창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트 튜브(6)를 하부금형(2)의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한 튜브(6)의 설치작업이 매우 난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성 유체에 해당하는 가스를 인플레이트 튜브(6)의 내부로 주입하여 인플레이트 튜브(6) 및 하부금형(2)의 표면을 요구하는 부피만큼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량의 가스를 상당한 주입압력으로 주입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발포금형의 실링을 위한 장치의 설치 및 그 유지관리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우레탄 발포시 발포액의 누설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인플레이트 튜브(6)가 하부금형(2)과 함께 팽창되어지는 시점을 그 발포가스의 배출시간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하여야만 보다 우수한 품질의 발포제품을 저렴한 제조단가로 생산할 수 있게 되는 데,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트 튜브(6)를 하부금형(2)과 함께 팽창시킴에 따라 인플레이트 튜브(6)에 의한 실링작업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발포금형에서 제조되는 발포제품의 품질향상 및 그 단가절감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플레이트 튜브(6)가 하부금형(2)과 함께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도록 인플레이트 튜브(6)의 설치 위치를 하부금형(2)의 표면 직하방으로 조정하게 되면, 발포작업에 따른 반복적인 팽창과 수축작용에 의하여 하부금형(2)의 표면이 인플레이트 튜브(6)와 함께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우 인플레이트 튜브(6)를 하부금형(2)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교체하는 매우 까다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하부금형(2)의 손상된 표면을 통하여 발포액이 누설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하부금형(2) 자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서 발포금형의 유지관리가 매우 번거롭고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 역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는 하부금형의 성형면 가장자리측에 스킨층의 하부로 위치하게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이 요홈부에 팽창튜브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폴리우레탄 발포시 요구하는 시점에 팽창튜브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스킨층이 코어층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발포가스는 원활하게 배출시키면서도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은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발포제품의 품질향상과 그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팽창튜브로 주입되는 공기량 및 그 주입압력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실링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팽창튜브의 손상시 팽창튜브만을 하부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설치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금형의 내부 성형면에 코어층과 스킨층을 각각 장착하여 코어층과 스킨층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시키도록 한 발포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성형면 가장자리에는 하부금형의 몸체 내측을 통하여 "∪"자 형태로 절개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스킨층의 장착시 상기 요홈부가 스킨층의 외주연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에는 그 몸체의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스킨층을 코어층과 밀착시키는 팽창튜브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요홈부의 바닥면에는 요홈부의 폭보다 적게 되는 자루 형태의 2단 고정홈이 하부금형의 몸체 내측을 통하여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팽창튜브는 그 하부측이 자루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2단 고정홈에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부분발포부 제조를 위한 발포금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의 (가) 및 (나)는 종래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실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실링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금형 2 : 하부금형 3 : 코어층
4 : 스킨층 5 : 폴리우레탄 폼 5' : 발포공간
10 : 튜브실링장치 11 : 요홈부 11': 2단 고정홈
12 : 팽창튜브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실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실링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금형(1)(2)의 내부 성형면에 코어층(3)과 스킨층(4)을 각각 장착하여 코어층(3)과 스킨층(4)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5)을 발포시킬 수 있도록 발포금형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발포금형을 이루는 하부금형(2)의 성형면 가장자리에는 하부금형(2)의 몸체 내측을 통하여 개략 "∪"자 형태로 절개되는 요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1)는 하부금형(2)에 스킨층(4)을 장착할 시 스킨층(4)의 외주연부(말단부)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요홈부(11)에는 그 몸체의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스킨층(4)을 코어층(3)과 밀착시키는 팽창튜브(12)가 삽입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부금형(2)에 형성되는 요홈부(11)의 개수나 그 절개 형태 자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각종 발포제품의 형상과 치수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지만, 하나의 압축공기 주입수단을 사용하여 발포가스의 배출 및 발포액의 누설차단을 효과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내부로 삽입되는 팽창튜브(12)를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절개되며 하부금형(2)의 성형면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연이어진 하나의 홈으로 형성시키는 것이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창튜브(12)는 압축공기의 주입과 제거에 따른 팽창과 수축작용을 용이하게 이루어낼 수 있도록 그 두께가 얇으면서도 반복적인 팽창과 수축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각종 고무나 합성수지 중에서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팽창튜브(12)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수단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각종 에어탱크나 실린더 등을 발포금형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공기주입관에 의하여 상기 팽창튜브(12)를 에어탱크 또는 실린더와 연결 설치한 것을 예로 들수 있다.
또한, 에어탱크와 같은 수단을 압축공기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에어탱크의 공기배출관측이나 상기 공기주입관상에 2-way 또는 3-way 밸브를 설치하여 팽창튜브(12)로의 공기주입 및 그 배출을 필요시 밸브작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린더와 같은 수단을 압축공기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실린더 자체가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공기의 주입과 배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밸브수단이 불필요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공기의 주입속도와 그 주입압력을 손쉽게 조절하기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튜브(12)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수단은 발포금형 자체의 형상이나 치수 뿐만 아니라 팽창튜브(12)의 재질과 같은 여러 가지의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최적의 수단을 선택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팽창튜브(12)를 하부금형(2)의 요홈부(11)에 설치하는 작업 및 팽창튜브(12)를 하부금형(2)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가급적 공기주입관이 일체로 연결된 팽창튜브(12)를 사용하여 해당 공기주입관이 하부금형(2)에 형성된 삽입공이나 삽입통로를 거쳐 에어탱크나 실린더와 같은 압축공기의 주입수단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실링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요홈부(11)의 바닥면상에 요홈부(11)의 폭보다 적게 되는 자루 형태의 2단 고정홈(11')을 하부금형(2)의 몸체 내측을 통하여 추가로 형성시킨 다음, 상기 요홈부(11)를 통하여 삽입되는 팽창튜브(12)의 하부측이 자루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2단 고정홈(11')에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팽창튜브(12)를 상기 요홈부(11)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팽창튜브(12)의 팽창작동시 발생하는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포금형을 이루는 상부금형(1)과 하부금형(2)의 내부 성형면상에 코어층(3)과 스킨층(4)을 각각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하부금형(1)(2)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코어층(3)과 스킨층(4)의 사이에 해당하는 내부공간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주입시켜 폴리우레탄 폼(5)을 발포 및 경화시키기 위한 발포작업을 행하게 되는 데, 폴리우레탄의 발포 초기단계에서는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코어층(3)과 스킨층(4)의 매칭부(Matching part) 즉, 코어층(3)과 스킨층(4)의 말단부까지 밀려오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탄의 발포 초기단계에서는 도 4의 (가) 및 도 5의 (가)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튜브실링장치(10)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 즉 팽창튜브(12)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코어층(3)과 스킨층(4)의 말단부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에 발생하는 발포가스가 발포금형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발포 초기단계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됨으로서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코어층(3)과 스킨층(4)의 말단부까지 밀려오는 시점이 되면,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의 주입수단으로부터 상기 팽창튜브(12)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본 발명의 튜브실링장치(10)를 작동시킴으로서, 도 4의 (나) 및 도 5의 (나)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팽창튜브(12)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튜브(12)의 부피를 팽창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튜브(12)의 부피팽창이 이루어지게 되면, 최초 스킨층(4)의 하부에서 수축된 상태로 존재하던 팽창튜브(12)가 그 부피팽창에 의하여 얇은 두께의 스킨층(4)을 코어층(3)을 향하여 가압 밀착시킴으로서 코어층(3)과 스킨층(4)의 말단부가 폐쇄된 상태로 세팅되는 데, 본 발명에 의한 튜브실링장치(20)는 그 팽창튜브(12)만을 요구하는 부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팽창시켜 해당 실링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하부금형(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요홈부(11)에 상기 팽창튜브(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주입수단에 의하여 팽창튜브(12) 자체만의 부피팽창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인플레이트 튜브(6)를 하부금형(2)의 내부로 삽입시킨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팽창튜브(12)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량 및 그 주입압력을 최소화시키더라도 팽창튜브(12)를 요구하는 부피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팽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부피팽창 과정에서 팽창튜브(12)의 몸체가 요홈부(11)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는 상기 2단 고정홈(11')에 의하여 팽창튜브(12)가 요홈부(11)의 내측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서, 코어층(3)과 스킨층(4)을 요구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튜브실링장치(10)를 이용하여 코어층(3)과 스킨층(4)의 실링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발포가스의 대부분이 발포금형의 외부로 배출되고 해당 발포액이 코어층(3)과 스킨층(4)의 말단부까지 밀려오는 시점과 거의 동시에 팽창튜브(12)에 의한 코어층(3)과 스킨층(4)의 실링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폴리우레탄 폼(5)의 내부에 액빔공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품질의 발포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여 누액제거공정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발포제품의 단가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코어층(3)과 스킨층(4)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5)이 발포된 발포제품을 제조한 다음, 상,하부금형(1)(2)을 개방시켜 성형된 발포제품을 발포금형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팽창튜브(12)의 내부로 주입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팽창튜브(12)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튜브실링장치(10)가 설치된 발포금형을 이용하여 요구하는 발포제품을 지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튜브실링장치(10)가 설치된 발포금형을 이용하여 발포제품을 지속적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그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부품은 팽창튜브(12)만으로 한정되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경우와 같이 하부금형(2)의 표면과 팽창튜브(12)가 동시에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하부금형(2)의 요홈부(11)에 팽창튜브(12)를 삽입 설치하는 작업 및 하부금형(2)의 요홈부(11)로부터 팽창튜브(12)를 제거하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튜브실링장치(10)의 설치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과 발포금형에 대한 전반적인 유지관리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는, 하부금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요홈부에 팽창튜브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팽창튜브 자체만의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팽창튜브로 주입되는 공기량 및 그 주입압력을 최소화시키더라도 팽창튜브를 요구하는 부피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팽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부피팽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팽창튜브의 유동을 방지하여 코어층과 스킨층이 요구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발포작업시 발생하는 발포가스의 대부분이 발포금형의 외부로 배출되고 해당 발포액이 코어층과 스킨층의 말단부까지 밀려오는 시점과 거의 동시에 팽창튜브에 의한 코어층과 스킨층의 실링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에 액빔공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품질의 발포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누설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여 누액제거공정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포제품의 단가절감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발포금형을 이용하여 발포제품을 지속적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그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부품은 팽창튜브만으로 한정시키면서도, 하부금형의 요홈부에 팽창튜브를 삽입 설치하는 작업 및 하부금형의 요홈부로부터 팽창튜브를 제거하는 작업은 상대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튜브실링장치의 설치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 뿐만 아니라 발포금형 자체에 대한 전반적인 유지관리 비용 또한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하부금형(1)(2)의 내부 성형면에 코어층(3)과 스킨층(4)을 각각 장착하여 코어층(3)과 스킨층(4)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5)을 발포시키도록 한 발포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의 성형면 가장자리에는 하부금형(2)의 몸체 내측을 통하여 "∪"자 형태로 절개되는 요홈부(11)가 형성되어 스킨층(4)의 장착시 상기 요홈부(11)가 스킨층(4)의 외주연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11)에는 그 몸체의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스킨층(4)을 코어층(3)과 밀착시키는 팽창튜브(12)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요홈부(11)의 바닥면에는 요홈부(11)의 폭보다 적게 되는 자루 형태의 2단 고정홈(11')이 하부금형(2)의 몸체 내측을 통하여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1)를 통하여 삽입되는 팽창튜브(12)는 그 하부측이 자루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2단 고정홈(11')에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KR1020040072125A 2004-09-09 2004-09-09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KR100633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125A KR100633244B1 (ko) 2004-09-09 2004-09-09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125A KR100633244B1 (ko) 2004-09-09 2004-09-09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049A true KR20040083049A (ko) 2004-09-30
KR100633244B1 KR100633244B1 (ko) 2006-10-11

Family

ID=3736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125A KR100633244B1 (ko) 2004-09-09 2004-09-09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2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31B1 (ko) * 2007-06-05 2008-04-24 엠티코리아 주식회사 스킨층의 밀착 고정을 위한 발포금형
KR100886013B1 (ko) * 2007-06-27 2009-02-26 (주)나라기술 가압이동장치
KR101288992B1 (ko) * 2011-12-20 201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닐링 장치
KR101407428B1 (ko) * 2013-08-13 2014-06-19 주식회사 티포엘 더블 블로잉 방식을 이용한 자전거용 프레임의 성형장치
US8932038B2 (en) 2012-12-12 2015-01-13 Hyundai Motor Company Sealing apparatus for foam injection mold
CN106239817A (zh) * 2015-06-03 2016-12-2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制造车辆内部部件的装置及方法
KR20170119435A (ko) * 2016-04-19 2017-10-27 인미환 타이어 가황용 금형의 컨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292B1 (ko) 2012-12-18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포 일체 사출 금형의 실링 장치
KR20160021997A (ko) 2014-08-19 2016-02-29 김기형 제품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을 차별적으로 구성시킨 충진제 주입형 제품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KR20160021996A (ko) 2014-08-19 2016-02-29 김기형 제품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을 차별적으로 구성시킨 공기주입형 제품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31B1 (ko) * 2007-06-05 2008-04-24 엠티코리아 주식회사 스킨층의 밀착 고정을 위한 발포금형
KR100886013B1 (ko) * 2007-06-27 2009-02-26 (주)나라기술 가압이동장치
KR101288992B1 (ko) * 2011-12-20 201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닐링 장치
US8932038B2 (en) 2012-12-12 2015-01-13 Hyundai Motor Company Sealing apparatus for foam injection mold
KR101407428B1 (ko) * 2013-08-13 2014-06-19 주식회사 티포엘 더블 블로잉 방식을 이용한 자전거용 프레임의 성형장치
CN106239817A (zh) * 2015-06-03 2016-12-2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制造车辆内部部件的装置及方法
US10220552B2 (en) 2015-06-03 2019-03-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part of vehicle
KR20170119435A (ko) * 2016-04-19 2017-10-27 인미환 타이어 가황용 금형의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244B1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244B1 (ko)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JP2006334942A (ja) シーリング剤の保管・注入容器
JP5384317B2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396796B2 (ja)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発泡成形品
CN103987507A (zh) 成形用模具及成形方法
US20070190193A1 (en) Foam molding apparatus
EP1201461B1 (en) Tire containing sealing agent
CN101754844A (zh) 排气装置
US6361054B1 (en) Sealing device
JP3539100B2 (ja) 合成樹脂発泡成形品の成形金型及び成形方法
US8814548B2 (en) Mold assembly
KR100574443B1 (ko) 발포금형의 내압배출장치
JP2006224429A (ja)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H04284209A (ja) 発泡成形装置
JP4323860B2 (ja)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US10882227B2 (en) Foam mix-head bush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interior panel with the bushing
US6981861B2 (en) Foaming mold using hollow tubes
JP4559835B2 (ja)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H09216238A (ja) 発泡成形型及びインサートと一体発泡した成形体の製造方法
CN220052598U (zh) 用于车辆的发泡填充装置
CN219947906U (zh) 一种仪表板骨架、发泡仪表板以及仪表板成型装置
KR102533945B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KR100618643B1 (ko) 발포금형의 스킨층 밀착고정구조
KR20040042676A (ko)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용 발포금형 구조
JP2002307459A (ja) 発泡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