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013B1 - 가압이동장치 - Google Patents

가압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013B1
KR100886013B1 KR1020070063860A KR20070063860A KR100886013B1 KR 100886013 B1 KR100886013 B1 KR 100886013B1 KR 1020070063860 A KR1020070063860 A KR 1020070063860A KR 20070063860 A KR20070063860 A KR 20070063860A KR 100886013 B1 KR100886013 B1 KR 10088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isk
protrusion
pressure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4372A (ko
Inventor
유옥상
Original Assignee
(주)나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라기술 filed Critical (주)나라기술
Priority to KR102007006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013B1/ko
Publication of KR2008011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84Casings, cabinets or frameworks; Trolleys or like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2Devices for applying air or other gas pressure for forcing liquid to delivery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성이 있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외주면이 밀착되고 중앙에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액체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도관, 상기 탱크의 상부를 덮으며 공기 투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캡, 상기 밀폐캡의 공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의 내부에 마련된 디스크를 하향시킬 수 있는 가압공기를 투입시키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디스크를 하향이동시켜 내용물을 좀 더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장치에 있어 효율을 도모한 가압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압이동장치, 디스크, 실링부재. 배출도관, 화장품

Description

가압이동장치{Apparatus Using Pressure For Moving Liquid}
도 1은 종래의 기어펌프의 작용단면도,
도 2a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탱크의 상단과 밀폐캡 클램프의 발췌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 A-A'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 B-B'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 C-C'의 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의 밀폐캡의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 B-B'의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 C-C'의 작용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의 작용도,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이동장치의 디스크 실리콘튜브의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가압이동장치 10:가압이동탱크
11:탱크 12:디스크
12a:실리콘튜브 12b:배출도관
12c:고무튜브 13:밀폐캡
13a:공기투입구 13b:손잡이부
13c:클램프 13d:오링
13e:휠 14:제3돌출부
15:제1돌출부 16:제2돌출부
20:프레임 21:지지대
22:연결제어부 23:가이드 부
24:지지부 30:가압조절기
31:에어라인 40:상하이동수단
본 발명은 가압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체성분류 및 고점도 Gel류의 내용물이송시 기어펌프를 이용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공기의 압력으로 디스크를 이용하여 점성이 있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가압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내용물의 정량주입장치는 과일즙, 참기름, 케찹, 크림,소스류, 화장품, 약품 등을 일정양씩 정해진 용기에 반복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장치는 대형 자동화 기기가 있고 소형기기가 있다. 대형 자동화 기기는 음료수나 약품 등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소형기기에 있어서는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기어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실린더 교체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너무 높아지고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기어펌프가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펌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펌프(100)는 용기에 액상 내용물을 이동 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공급파이프(300)와 연결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액상 내용물의 공급을 차폐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기어펌프(100)와 공급파이프(300)사이에 설치된다.
기어펌프의 작동을 살펴보면, 한 쌍의 톱니바퀴가 그 바깥 둘레의 옆면이 딱들어 맞는 케이스 속에서 회전하면 톱니바퀴의 물림이 떨어지는 부분에 진공부분이 생겨 흡입작용을 일으키게 되어 톱니 홈에 액체가 채워지고 이 액체는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토출구 쪽으로 밀려나는 일련의 계속된 작용이 일어난다. 모터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는 기어펌프(100)는 액상 내용물을 공급파이프(300)로 배출시킨다.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ON/OFF 됨에 따라 액상 내용물이 이동되거나 차단된다.
그러나, 이 경우 두 개의 기어가 서로 물림에 의해서 생기는 폐입 부분의 액체는 입구압력보다 출구압력이 높기 때문에 입구에 되돌려지는 폐입현상에 의해 토출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어펌프는 압력이 불평형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 압력의 불평형으로 인해 액체의 물성이 바뀌어 변질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어를 통해서 액체가 통과하기 때문에 기어에 액체가 장시간 묻어있 어서 세균이 번식하기 쉬고 이 세균으로 인해 오염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어를 사용한 펌프를 이용하지 않고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점성이 있는 액체가 손실량이 없도록 하는 가압이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어펌프를 사용하지 않아 액체의 물성이 바뀌지 않고 기어에 잔량이 묻어있지 않아 세균이 번식하지 않는 가압이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크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디스크의 실리콘튜브가 기밀성을 유지하고 가압이동장치의 이동시 중심고정 및 상하요동을 방지하는 가압이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가압이동장치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외주면이 밀착되고 중앙에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액체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도관, 상기 탱크의 상부를 덮으며 공기투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캡, 상기 밀폐캡의 공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의 내부에 마련된 디스크를 하향시킬 수 있는 가압공기를 투입시키는 가압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며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공기의 투입에 의해 팽창하는 실리콘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는 지지대와 상기 양측 지지대의 상면에 상기 양측 지지대를 연결시키고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캡이 승하강하도록 이동기구를 구비한 연결제어부를 갖추고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의 양측으로 대향되게 돌출된 원기둥 모양의 제1돌출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제1돌출부의 중심을 안내하는 그루브가 형성된 가이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2돌출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하요동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홈을 갖추고 있는 제3돌출부, 상기 밀폐캡의 하단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3돌출부의 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3돌출부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인 가압이동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인 가압이동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탱크의 상단과 밀폐캡 클램프의 발췌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이동장치(1)는 가압이동탱크(10), 가압이동탱크(10)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프레임(20)과 가압조절기(30)로 구성된다.
가압이동탱크(10)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담아 놓는 탱크(11), 탱크(11) 내부에서 액체에 압력을 가하는 원판 형상의 디스크(12), 디스크(12)의 외주면에는 탱크의 내부에 밀착하여 액체가 디스크(12)의 압력에 의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2a), 디스크(12)의 압력으로 인해 액체가 외부로 배출할 때 용이하게 나오도록 디스크(12)의 중앙에 연결된 배출도관(12b), 탱크의 상단을 덮는 밀폐캡(13), 밀폐캡의 상면에는 공기가 챔버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공기투입구(13a), 밀폐캡(13)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3돌출부(14)에 고정되는 클램프(13c), 밀폐캡 하단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오링(13d), 탱크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여 클램프(13c)가 통과 되는 홈을 가지고 있는 제3돌출부(14), 탱크의 중앙영역에 양측으로 돌출된 원통모양의 제1돌출부(15), 탱크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돌출부(16)로 구성된다.
탱크(11)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담아두고 하면에는 이동가능 하도록 이동부재로서 360도 회전할 수 있는 바퀴가 달렸있다. 탱크(11)의 상부에는 탱크를 밀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인 가압이동장치의 디스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2)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작이 되며 탱크(11)의 내부에 밀착되게 마련된다. 실링부재(12a)는 디스크의 내측에 안착되고 실링부재는 실리콘튜브(12a)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도관(12b)은 디스크(12)의 중앙에 액체 배출구에 연결된다. 디스크(12)의 일영역에 실리콘튜브(12a)에 공기압을 넣을 수 있는 고무튜브(12c)가 마련된다. 이 공기압에 의해 탱크(11)의 내측과 실리콘튜브(12a)가 밀착되어 기밀성이 유지된다. 디스크(12)를 탈부착하기 위해 손잡이부가 배출도관(12b)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마련된다.
밀폐캡(13)은 연결제어부(22)의 저면에 이격된 위치에 후술할 상하이동수단(40)에 의해 매달려 위치하고 있다. 호상모양인 밀폐캡(13)의 외면에는 공기투입구(13a)가 형성된다. 공기투입구(13a)에 에어라인(31)이 연결된다. 원형의 휠(13e)이 밀폐캡(13)의 하부에 마련된다. 휠(13e)을 기준으로 상단에는 손잡이부(13b)가 위치하고 하단에는 롤러(미도시)가 마련된다. 휠(13e)과 롤러 사이에 클램프(13c)가 고정된다.
손잡이부(13b)는 밀폐캡(13)의 고정을 위해서 클램프(13c)가 제3돌출부(14)에 맞닿을 수 있도록 원형의 휠(13e)이 돌려질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클램프(13c)는 휠(13e)과 롤러 사이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하향으로 절곡된 후크모양을 가진다. 클램프(13c)는 원형의 휠(13e)에 상하좌우에 대칭이 되도록 4개로 이루어진다. 5개 또는 6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롤러(미도시)는 클램프가 휠에 고정되는 부분의 저면에 마련된다. 밀폐캡(13)의 하부에 롤러가 움직일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오링(13d)은 밀폐캡(13)의 하단에 위치하여 탱크(11)와 밀폐캡(13)의 결합시 자연스럽게 기밀을 유지한다. 클램프(13c)는 클램프(13c)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이 이격되게 형성된 제3돌출부(14)와 체결된다.
제3돌출부(14)는 탱크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서 이격되게 형성된 홈을 갖추고 있다. 제3돌출부(14)의 홈은 클램프(13c)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클램프(13c)와 동일한 갯수가 형성된다. 제3돌출부(14)의 상하좌우 홈은 클램프(13c)와 각각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1돌출부(15)는 원기둥모양으로 탱크의 중앙일영역에 양측으로 대향되게 위치하고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부(23)와 일면이 맞닿아 있다. 제2돌출부(16)는 탱크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된 지지부(24)에 삽입되어 있다.
프레임(20)은 탱크의 양측으로 대향되게 마련되는 지지대(21), 지지대(21)의 상면에 마련되는 연결제어부(22),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되어 탱크의 제1돌출부(15)와 맞닿는 가이드 부(23),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되어 탱크의 제2돌출부(16)와 맞닿는 지지부(24)로 구성된다.
지지대(21)는 탱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향되게 위치하며 하단에는 이동부재로서 바퀴가 구비된다. 연결제어부(22)는 양 지지대(21)의 상단에 위치하고 일영역에는 제어버튼을 구비한다. 연결제어부(22)의 중앙에 관통된 후술할 상하이동부(40)에 의해서 밀폐캡(13)이 매달린 상태로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B-B'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23)는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되어 일측면이 경사가 지면서 그루브를 형성하고 있다. 이 그루브부분에 탱크(11)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15)의 원기둥의 일면이 맞닿게 되어 중심을 잡아주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C-C'의 단면도 및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4)는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되어 중앙이 중공부를 갖추고 탱크의 제2돌출부(16)와 접하는 부분이 슬릿을 형성한다. 탱크의 제2돌출부(16)는 슬릿에 삽입되어 상하요동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가압조절기(30)는 에어라인(31)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를 조절한다. 가압조절기(30)는 밀폐캡의 공기투입구(13a) 및 디스크의 고무튜브(12c)에 연결되는 에어라인(31)에 각각 연결된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에어라인(31)은 상하이동수단(40)에 연결되고 상하이동수단(40)에 연결되는 에어라인(31)으로부터 두 개의 에어라인(31)이 마련된다. 하나의 에어라인(31)은 밀폐캡의 공기투입구(13a)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에어라인(31)은 디스크의 고무튜브(12c)에 연결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가압이동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이동장치의 밀폐캡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결제어부(22)의 일영역에 위치한 조작버튼으로 밀폐캡(13)을 들어 올린다. 내용물을 탱크(11)안에 채워넣고 디스크(12)를 삽입한 후 탱크(11)를 밀폐캡(13)과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조작버튼으로 밀폐캡(13)을 탱크(11)의 상면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클램프(13c)가 제3돌출부(14)의 각각의 홈을 통과하게 한다. 밀폐캡(13)을 탱크(11)에 고정시키려면 밀폐캡(13)의 손잡이(13b)를 이용하여 제3돌출부(14)의 홈을 통과한 각각의 클램프(13c) 4개를 동시에 제3돌출부(14)에 체결시킨다. 밀폐캡(13)이 가압이동탱크(10)에 밀착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이동장치의 이동시 중심을 잡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이동장치(1)를 이동시키면 가압이동탱크(100가 완전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흔들리게 되어있다. 이 경우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부(23)의 경사면이 탱크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15)의 안내역할을 하여 항상 제1돌출부(15)가 가이드 부(23)의 그루브에 위치하도록 하여 가이드 부(23)와 제1돌출부(15)가 가압이동장치(1)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이동장치의 이동시 요동을 방지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이동장치(1)를 이동시키면 가압이동탱크(11)가 완전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바닥에 이물질들이 있는 경우 바퀴가 걸려서 상하로 요동을 일으켜서 내용물의 위치에 변동이 생긴다. 이 경우 지지대(21)로부터 돌출된 지지부(24)의 슬릿에 탱크의 제2돌출부(16)가 삽입되어 맞닿아 있어 가압이동탱크(11)가 상하요동을 치더라도 항상 정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슬릿을 갖추고 있는 지지부(24)와 제2돌출부(16)가 상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이동장치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이동장치(1)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가압이동장치(1)를 이동시키고 에어라인(31)을 밀폐캡의 공기투입구(13a)에 연결시킨다. 가압조절기(30)에 의해 압축공기가 챔버내로 보내진다. 압축공기가 디스크(12)의 상면전체를 고르게 압박하여 디스크(12)가 내려가면서 내용물이 배출도관(12b)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 압축공기는 일반적으로 6~7kgf/cm2 를 사용한다. 가압조절기(30)는 압축공기를 압력설정을 하여 내용물에 따라 디스크(12)를 가압하기 위한 압력공기를 제어한다. 또한 가압조절기(30)는 압축공기를 제어하여 디스크의 실리콘튜브(12a)에 일정한 가압을 한다. 이 경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압축공기의 수치가 달라진다. 내용물이 크림 및 로션류인 경우 압축공기 0.8~0.9kgf/cm2 로 가압시 크림 및 로션류가 15kg/min 로 외부로 이송된다. 내용물이 스킨류인 경우 압축공기 0.2kgf/cm2 로 가압시 스킨류가 20kg/min 로 외부로 이송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리콘튜브에 공기압의 작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디스크(12)와 탱크(11)사이의 틈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을 실리콘튜브(12a)가 막아준다. 가압펌프(30)로부터 들어온 압축공기는 제어부에 의해서 실리콘튜브(12a)에 이용될 수 있는 압축공기로 제어된 후 실리콘튜브(12a)로 보내진다. 이 경우 실리콘튜브(12a)에 4~5kgf/cm2 의 공기압이 유지된다. 실리콘튜브(12a)의 공기압이 제거될 경우에 디스크(12)의 제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어를 사용한 펌프를 이용하지 않고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점성이 있는 액체가 손실량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펌프를 사용하지 않아 액체의 물성이 바뀌지 않고 기어에 잔량이 묻어있지 않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지 않아 내용물의 오염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이송량을 간편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디스크의 실리콘튜브가 기밀성을 유지하고 가압이동장치의 이동시 중심고정 및 상하요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점성이 있는 액체를 이동시키는 가압이동장치에 있어서,
    점성이 있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외주면이 밀착되고 중앙에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액체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도관;
    상기 탱크의 상부를 덮으며 공기투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캡;
    상기 밀폐캡의 공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의 내부에 마련된 디스크를 하향시킬 수 있는 가압공기를 조절하는 가압조절기;
    상기 탱크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는 지지대와, 상기 양측 지지대의 상면에 상기 양측 지지대를 연결시키고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캡이 승하강하도록 이동기구를 구비한 연결제어부를 갖추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의 양측으로 대향되게 돌출된 원기둥 모양의 제1돌출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제1돌출부의 중심을 안내하는 그루브가 형성된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이동장치.
  6. 점성이 있는 액체를 이동시키는 가압이동장치에 있어서,
    점성이 있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외주면이 밀착되고 중앙에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액체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도관;
    상기 탱크의 상부를 덮으며 공기투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캡;
    상기 밀폐캡의 공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의 내부에 마련된 디스크를 하향시킬 수 있는 가압공기를 조절하는 가압조절기; 및,
    상기 탱크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는 지지대와, 상기 양측 지지대의 상면에 상기 양측 지지대를 연결시키고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캡이 승하강하도록 이동기구를 구비한 연결제어부를 갖추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2돌출부와, 선단에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후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탱크의 상하요동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이동장치.
  7. 점성이 있는 액체를 이동시키는 가압이동장치에 있어서,
    점성이 있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외주면이 밀착되고 중앙에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액체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도관;
    상기 탱크의 상부를 덮으며 공기투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캡;
    상기 밀폐캡의 공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의 내부에 마련된 디스크를 하향시킬 수 있는 가압공기를 조절하는 가압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홈을 갖추고 있는 제3돌출부, 상기 밀폐캡의 하단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3돌출부의 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3돌출부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이동장치.
KR1020070063860A 2007-06-27 2007-06-27 가압이동장치 KR10088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60A KR100886013B1 (ko) 2007-06-27 2007-06-27 가압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60A KR100886013B1 (ko) 2007-06-27 2007-06-27 가압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372A KR20080114372A (ko) 2008-12-31
KR100886013B1 true KR100886013B1 (ko) 2009-02-26

Family

ID=4037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860A KR100886013B1 (ko) 2007-06-27 2007-06-27 가압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09Y1 (ko) 2009-08-25 2011-06-09 김경호 액상원료 프레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356B1 (ko) * 2019-09-09 2021-10-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상 원료 공급장치
KR102304604B1 (ko) * 2021-03-25 2021-09-24 (주)에이원텍 액체 원료 이송 및 공급장치
KR102637086B1 (ko) * 2021-09-13 2024-02-19 주식회사 우원 저장탱크의 원료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100A (ja) * 1986-08-26 1988-03-09 中国塗料株式会社 高粘度液体の圧送装置
KR20000007184U (ko) * 1998-09-29 2000-04-25 김용현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
JP2003182800A (ja) * 2001-07-12 2003-07-03 Tatsumo Kk 加圧タンクを用いた高粘度流体の送液装置
KR20040083049A (ko) * 2004-09-09 2004-09-30 덕양산업주식회사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100A (ja) * 1986-08-26 1988-03-09 中国塗料株式会社 高粘度液体の圧送装置
KR20000007184U (ko) * 1998-09-29 2000-04-25 김용현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
JP2003182800A (ja) * 2001-07-12 2003-07-03 Tatsumo Kk 加圧タンクを用いた高粘度流体の送液装置
KR20040083049A (ko) * 2004-09-09 2004-09-30 덕양산업주식회사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09Y1 (ko) 2009-08-25 2011-06-09 김경호 액상원료 프레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372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7791B2 (en) Dispenser
KR100886013B1 (ko) 가압이동장치
US50316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liquid into containers in an aseptic or sterile manner
JP4459766B2 (ja) ボトル、カン等のような容器のための処理機械
KR101571466B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JP6636693B2 (ja) 注入可能な製品で物品を充填するための充填ユニットおよび方法
RU2244666C2 (ru) Способ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наполн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варианты)
JP2011506209A5 (ko)
KR101701773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ITMI952066A1 (it) Apparto per il riempimento di una bottiglia con bevanda gassata e per l'applicazione del tappo alla stessa
KR101460080B1 (ko) 충진 노즐
CN107299053A (zh) 一种生物发酵罐
JPS6382991A (ja) 充填装置
CN114162767A (zh) 负压灌装装置及负压灌装设备
CN215798415U (zh) 一种化妆品脱泡灌装机
KR101128011B1 (ko) 액체 제품의 처리 및 정화 장치
KR101229695B1 (ko) 생수통 세척방법 및 장치
KR20150114754A (ko) 액상물질용 충진노즐
CN201914911U (zh) 手动分灌起泡和/或加气饮料的装置
CN208630891U (zh) 一种全自动灌装机
KR20130039397A (ko) 화장품 혼합기능을 갖는 펌프식 화장품용기
RU23339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очис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CN106811393B (zh) 一种发酵罐补料插口装置
JP2019011130A (ja) 注入可能製品を物品に充填するための充填ユニットおよび方法
JPH0741947B2 (ja) 充填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