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027A -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027A
KR20040082027A KR1020040008717A KR20040008717A KR20040082027A KR 20040082027 A KR20040082027 A KR 20040082027A KR 1020040008717 A KR1020040008717 A KR 1020040008717A KR 20040008717 A KR20040008717 A KR 20040008717A KR 20040082027 A KR20040082027 A KR 20040082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valve
output
oi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591B1 (ko
Inventor
아다찌마사또시
고지마마사히로
후나바시마꼬또
나까와끼야스노리
무라까미아끼라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 B60K6/365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with the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60K6/445Differential gearing distribut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4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 B60K6/547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the transmission being a stepp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7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 F16H3/72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with at least two dynamo electric machines for creating an electric power path inside the gearing, e.g. using generator and motor for a variable power torque path
    • F16H3/7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with at least two dynamo electric machines for creating an electric power path inside the gearing, e.g. using generator and motor for a variable power torque path with means to change ratio in the mechanic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16H37/0833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 F16H37/08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at least one power path be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e. CVT
    • F16H2037/0866Power split variators with distributing differentials, with the output of the CVT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utput shaft
    • F16H2037/0873Power split variators with distributing differentials, with the output of the CVT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utput shaft with switching, e.g. to change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32Bringing the control into a predefined state, e.g.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actuators or gear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변속기의 변속비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력원 및 제 2 구동력원과, 제 1 구동력원의 동력을 차륜 및 회전장치에 분배하는 동력분배장치와, 제 2 구동력원으로부터 차륜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에 배치된 변속기와, 변속기의 변속비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기구를 갖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에서, 변속비 제어기구 (SL1,SL2) 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변속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특정 제어기구 (88)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HYBRID CAR}
본 발명은 복수의 구동력원을 갖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출력하는 엔진과, 전력의 공급에 의해 동력을 출력하는 모터ㆍ제너레이터를 탑재시켜 엔진 및 모터ㆍ제너레이터의 동력을 차륜에 전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차에서는 각종 조건에 기초하여 엔진 및 모터ㆍ제너레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연비의 향상 및 소음의 저감 및 배기가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 종류의 구동력원을 탑재시킨 하이브리드차의 일례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25578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하이브리드차는 구동력원으로서의 엔진 및 제 2 모터ㆍ제너레이터를 갖고 있다. 또, 엔진 및 제 2 모터ㆍ제너레이터와 차륜 사이의 동력전달경로에 유성기어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성기어기구는 선기어 및 링기어와, 선기어 및 링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지지하는 캐리어를 갖고 있다. 이 캐리어와 엔진이 연결되고, 링기어와 차륜 및 제 2 모터ㆍ제너레이터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선기어에는 제 1 모터ㆍ제너레이터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링기어와 제 2 모터ㆍ제너레이터 사이의 동력전달경로에는 변속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변속기구를 로우 상태 또는 하이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환기구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하이브리드차에서는 엔진 또는 제 2 모터ㆍ제너레이터의 적어도 한쪽 동력이 유성기어기구를 경유하여 차륜에 전달된다. 또, 제 2 모터ㆍ제너레이터의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경우는 요구토크에 기초하여 변속기구를 로우 상태 또는 하이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구동력원으로서 엔진 및 모터ㆍ제너레이터를 갖는 하이브리드차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74607호에도 기재되어 있다. 또한,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의 일례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71586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25578호에서는 변속기구를 로우 상태또는 하이 상태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 어떻게 하여 변속기구를 제어해야 하는지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변속기의 변속비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갖는 하이브리드차의 파워 트레인 및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차량의 회전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속도선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유압회로의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유압회로의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유압회로의 작용을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변속모드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유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엔진
6,7: 모터ㆍ제너레이터
10: 동력분배장치
19: 변속기
31: 차륜
52: 유압제어장치
B1,B2: 브레이크
88,122: 페일 세이프 밸브
101,102,132,144,145: 전환밸브
SL1,SL2: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Ve: 차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은, 차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력원 및 제 2 구동력원과, 상기 제 1 구동력원의 동력을 상기 차륜 및 회전장치에 분배하는 동력분배장치와, 상기 제 2 구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차륜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에 배치된 변속기와, 이 변속기의 변속비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기구를 갖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변속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특정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제 1 구동력원 또는 제 2 구동력원의 적어도 한쪽 동력이 차륜에 전달된다. 또, 제 1 구동력원의 동력은 차륜 및 회전장치에 분배가 가능하다. 그리고,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는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변속기의 상태가 제어된다.
이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특정 제어기구는 상기 변속기의 변속비로서 최대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를 설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저하가 발생한 경우에, 변속기의 변속비로서 최대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가 설정된다.
이 발명은, 상기 어느 한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변속기는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를 갖고 있고,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가 걸림ㆍ해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속기는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정상이면서 상기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를 걸고, 또한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가 해방되는 기능과,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정상이며 상기 제 2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를 걸고, 또한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를 해방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가 걸리는 경우는, 상기 특정 제어기구가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저하시켜 이 제 2 마찰걸림장치를 해방시킴으로써, 상기 변속기의 변속비로서 최대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를 설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제 1 마찰걸림장치가 걸리는 경우는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이 저하되어 제 2 마찰걸림장치가 해방된다.
이 발명은, 최초에 상술한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변속기로 제 1 변속비 또는 제 2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걸림ㆍ해방되는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와, 신호유압에 따라 소정의 제어유압을 생성하는제어유압 생성밸브를 갖고,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는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생성된 제어유압을 조압하여,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로 조압된 유압, 또는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생성된 제어유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전환밸브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최초에 상술한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한 작용이 발생하는 것 외에,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제어유압이 생성되고, 그 제어유압이 변속비 제어기구에 의해 다시 조압되고, 조압된 유압이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되어 변속기로 제 1 변속비 또는 제 2 변속비가 설정된다. 또, 변속비 제어기구로 조압된 유압, 또는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생성된 제어유압 중 어느 하나가 제어유압 생성밸브의 신호유압으로 선택된다.
이 발명은,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높이고, 또한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저하시켜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높이고, 또한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저하시켜 제 2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제 1 변속비와 제 2 변속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생성된 제어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높이고, 또한 제 1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저하시켜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는,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이 신호유압으로 선택된다. 또, 제 1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높이고, 또한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을 저하시켜 제 2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는, 제 1 마찰걸림장치에 전달되는 유압이 신호유압으로 선택된다. 또한, 제 1 변속비와 제 2 변속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경우는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생성된 제어유압이 신호유압으로 선택된다.
이 발명은, 상기 변속기를 토크전달이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에 입력되는 신호유압을 소정 유압 이하로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한 작용이 발생하는 것 외에, 변속기를 토크전달이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경우는 제어유압 생성밸브에 입력되는 신호유압이 소정 유압 이하로 제어된다.
이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오일이, 상기 전환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에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오일을,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환밸브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여기에서, 「오일을,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한다」라는 것은,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오일을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공급한다」라는 시간경과에 따른 오일공급방식, 오일공급타이밍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한 작용이 발생하는 것 외에, 변속비 제어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유압을 신호유압으로 제어유압 생성밸브에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 변속비 제어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오일이 제 1 마찰걸림장치 또는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변속기로 제 1 변속비와 제 2 변속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되는 윤활유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기능을 상기 전환밸브가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어느 하나의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한 작용이 발생하는 것 외에, 변속기로 제 1 변속비와 제 2 변속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되는 윤활유량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이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의한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방법의 발명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도면은 오직 예시일뿐 본원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 (Ve) 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낸 차량 (Ve) 은 FㆍR (프런트 엔진ㆍ리어 드라이브; 전부 (前部) 엔진 후륜 구동) 형식의 차량이다. 도 2 에서 차량 (Ve) 은 제 1 구동력원으로서의 엔진 (1) 을 갖고 있다.
상기 엔진 (1) 으로는 내연기관, 구체적으로는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LPG 엔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엔진 (1) 의 크랭크 샤프트 (2) 에는 댐퍼기구 (3) 를 경유하여 인풋(input) 샤프트 (4) 가 연결되어 있다. 또, 케이싱 (5) 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 (5) 내부에는 모터ㆍ제너레이터 (6) 및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모터ㆍ제너레이터 (6) 및 모터ㆍ제너레이터 (7) 로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행기능과, 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회생기능을 겸비한 모터ㆍ제너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모터ㆍ제너레이터 (6) 는 스테이터 (8) 및 로터 (9) 를 갖고 있고, 스테이터 (8) 는 케이싱 (5)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케이싱 (6) 내부에는 동력분배장치 (1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동력분배장치 (10) 는 싱글 피니언형식의 유성기어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동력분배장치 (10) 는 중공 샤프트 (11) 에 형성된 선기어 (12) 와, 선기어 (12) 와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링기어 (13) 와, 선기어 (12) 및 링기어 (13) 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14) 를 지지한 캐리어 (15)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인풋 샤프트 (4)와 캐리어 (15)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인풋 샤프트 (4) 는 중공 샤프트 (11) 내에 배치되고, 인풋 샤프트 (4) 와 중공 샤프트 (11) 는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그 중공 샤프트 (11) 에 모터ㆍ제너레이터 (6) 의 로터 (9) 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ㆍ제너레이터 (7) 는 스테이터 (17) 및 로터 (18) 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 (17) 및 케이싱 (5)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케이싱 (5) 내부에는 변속기 (1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속기 (19) 는 유성기어식 변속기이다. 즉, 변속기 (19) 는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선기어 (20) 및 링기어 (21)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대경 피니언기어 (22) 및 소경 피니언기어 (23) 와, 쇼트 피니언기어 (50) 와, 대경 피니언기어 (22), 소경 피니언기어 (23) 및 쇼트 피니어기어 (50) 를 일체적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유지하는 캐리어 (24)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쇼트 피니언기어 (50) 가 선기어 (20) 와 링기어 (21) 에 맞물려 있다. 또한, 쇼트 피니언기어 (50) 에 대경 피니언기어 (22) 가 맞물려 있다. 또, 소경 피니언기어 (23) 에 맞물리는 여타의 선기어 (28) 가, 상기 선기어 (20) 와 동일 축선상에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라비뇨(ravigneaux)형 유성기어기구에 의해 변속기 (19)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변속기 (19) 는, 싱글 피니언형 유성기어기구와 더블 피니언형 유성기어기구 등의 복수조의 유성기어기구를 조합시킨 복합구조의 유성기어기구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캐리어 (24) 에는 아웃풋 샤프트 (25)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인풋 샤프트 (4) 와 아웃풋 샤프트 (25) 가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아웃풋 샤프트 (25) 와, 동력분배장치 (10) 의 링기어 (13)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아웃풋 샤프트 (25) 외측에는 중공 샤프트 (26) 가 배치되어 있고, 아웃풋 샤프트 (25) 와 중공 샤프트 (26) 는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이 중공 샤프트 (26) 와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로터 (18)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공 샤프트 (26) 와 선기어 (20)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선기어 (28) 의 회전을 허가 또는 규제하는 브레이크 (B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기어 (21) 의 회전을 허가 또는 규제하는 브레이크 (B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웃풋 샤프트 (25) 와 디퍼렌셜 (29) 의 입력부재 (도시하지 않음) 가 프로펠러 샤프트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디퍼렌셜 (29) 의 회전부재 (도시하지 않음) 와 드라이브 샤프트 (30) 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 (30) 에는 차륜 (31) 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 (1) 및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동일한 차륜 (31) 에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엔진 (1) 과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차량 (Ve) 의 제어계통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제어장치 (32) 가 형성되어 있고, 전자제어장치 (32) 에는 엔진 (1) 의 시동ㆍ정지요구를 나타내는 신호, 모터ㆍ제너레이터 (6,7) 의 제어요구신호, 시프트 포지션 선택신호, 차속을 나타내는 신호, 가속요구를 나타내는 신호, 제동요구를 나타내는 신호, 엔진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신호, 유압제어장치 (52) 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등이 입력된다. 시프트 포지션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시프트 포지션으로는, 예컨대 P (파킹) 포지션, R (리버스) 포지션, N (뉴트럴) 포지션, D (드라이브) 포지션이 있다. 여기에서, P 포지션 및 N 포지션은 변속기를 동력전달이 불가능한 상태 (비구동 상태, 비주행 상태) 로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포지션이며, D 포지션 및 리버스 포지션은 변속기 (19) 를 동력전달이 가능한 상태 (구동 상태, 주행 상태) 로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포지션이다.
이에 대해, 전자제어장치 (32) 로부터는 엔진 (1) 을 제어하는 신호, 모터ㆍ제너레이터 (6) 를 제어하는 신호, 모터ㆍ제너레이터 (7) 를 제어하는 신호, 유압제어장치 (52) 를 제어하는 신호 등이 출력된다. 이 유압제어장치 (52)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유압제어장치 (52) 로부터 브레이크 (B1,B2) 에 전달되는 유압에 따라서, 브레이크 (B1,B2) 가 걸림ㆍ해방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차량 (Ve) 에서는 엔진 (1) 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전자제어장치 (32) 에 입력되는 신호 및 전자제어장치 (32) 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터ㆍ제너레이터 (6) 를 전동기로서 구동시키고, 모터ㆍ제너레이터 (6) 의 토크를 엔진 (1) 에 전달하여 엔진 (1) 을 크랭킹하는 동시에, 연료 공급 및 연료의 연소를 실시하면, 엔진 (1) 의 자율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 차량 (Ve) 에서는 복수의 구동력원의 구동ㆍ정지의 조합에 의해 제 1 구동형태 내지 제 3 구동형태를 선택적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제 1 구동형태가 선택된 경우는, 엔진 (1) 이 구동되어 모터ㆍ제너레이터 (7) 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엔진 (1) 이 자율 회전하고 있는 경우, 엔진 토크는 인풋 샤프트 (4),캐리어 (15), 링기어 (13) 를 경유하여 아웃풋 샤프트 (25) 에 전달된다. 아웃풋 샤프트 (25) 의 토크는 프로펠러 샤프트 (도시하지 않음), 디퍼렌셜 (29), 드라이브 샤프트 (30) 를 경유하여 차륜 (31) 에 전달되어 구동력이 발생한다. 또한, 엔진 토크를 동력분배장치 (10) 를 경유시켜 모터ㆍ제너레이터 (6) 에 전달하고, 모터ㆍ제너레이터 (6) 를 발전기로서 기동시켜 발전된 전력을 축전장치 (도시하지 않음) 에 축전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제 2 구동형태가 선택된 경우는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전동기로서 구동되고,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토크가 변속기 (19) 를 경유하여 차륜 (31) 에 전달된다. 이 제 2 구동형태가 선택된 경우는 엔진 (1) 에 연료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제 3 구동형태가 선택된 경우는 엔진 (1) 및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함께 구동되고, 엔진 (1) 의 토크 및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토크가 함께 차륜 (31) 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엔진 토크를 동력분배장치 (10) 에 의해 차륜 (31) 과 모터ㆍ제너레이터 (6) 에 기계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차량 (Ve) 은 엔진 (1) 또는 모터ㆍ제너레이터 (7) 중 적어도 한쪽을 구동력원으로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이다.
그런데,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토크를 차륜 (31) 에 전달하는 경우는, 변속기 (19) 를 제어하는 모드로서 2 종류의 변속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변속모드는 차속, 요구구동력 등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저속모드 또는 고속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차속이 소정 차속 이하이며, 또한 요구구동력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는 저속모드가 선택된다. 이에 반해, 차속이 소정 차속을 초과하고, 또한 요구구동력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는 고속모드가 선택된다.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브레이크 (B1) 가 해방되고, 또한 브레이크 (B2) 가 걸린다. 이 저속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토크가 선기어 (20) 에 전달된 경우는 링기어 (21) 가 반력요소가 되고, 선기어 (20) 의 토크가 캐리어 (24) 및 아웃풋 샤프트 (25) 및 디퍼렌셜 (29) 을 경유하여 차륜 (31) 에 전달된다. 여기에서,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회전속도가 변속기 (19) 에 의해 감속된다. 또한,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의 변속기 (19) 의 변속비는 「로우 (최대 변속비)」이다.
한편,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브레이크 (B2) 가 해방되고, 또한 브레이크 (B1) 가 걸린다.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전동기로 구동되고, 또한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선기어 (28) 가 반력요소로 되어, 선기어 (20) 의 토크가 캐리어 (24) 및 아웃풋 샤프트 (25) 및 디퍼렌셜 (29) 을 경유하여 차륜 (31) 에 전달된다. 즉,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회전속도가 변속기 (19) 에 의해 감속된다. 또한,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의 변속기 (19) 의 변속비는 「하이 (소변속비)」이다.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의 변속기 (19) 의 변속비는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설정되는 변속기 (19) 의 변속비보다 작다.
여기에서, 도 2 에 나타내는 파워 트레인의 각 회전요소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의 일례를 도 3 의 속도선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 의 속도선도는 엔진 (1) 및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함께 구동되고 있고, 엔진 토크가 아웃풋 샤프트 (25) 에 전달되고, 또한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토크가 아웃풋 샤프트 (25) 에 전달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ㆍ제너레이터 (6) 와 엔진 (1) 과 아웃풋 샤프트 (25) 와의 관계가 선분 (Al) 으로 표시되고, 모터ㆍ제너레이터 (7) 와 아웃풋 샤프트 (25) 와 선기어 (28) 와 링기어 (21) 와의 관계가 선분 (Lo) 및 선분 (Hi) 으로 표시되어 있다. 선분 (Lo) 은 변속기 (19) 에 의해 로우가 설정된 경우에 상당하는 선분이며, 선분 (Hi) 은 변속기 (19) 에 의해 하이가 설정된 경우에 상당하는 선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MG1」이 모터ㆍ제너레이터 (6) 의 회전속도이며, 「MG2」가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회전속도이며, 「ENG」가 엔진 회전속도이며, 「차」가 아웃풋 샤프트 (25) 의 회전속도이며, 「B1」이 브레이크 (B1) 에 의해 정지되는 선기어 (28) 의 회전속도이며, 「B2」가 브레이크 (B2) 에 의해 정지되는 링기어 (21) 의 회전속도이다. 도 3 과 같이 엔진 (1) 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아웃풋 샤프트 (25) 도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엔진 회전속도는 동력분배장치 (10) 에 의해 증속되기 때문에 엔진 회전속도보다 아웃풋 샤프트 (25) 의 회전속도가 높아진다. 또, 로우 또는 하이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회전속도는 변속기 (19) 에 의해 감속된다. 이하, 상기 유압제어장치 (52) 의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유압제어장치 (52) 의 제 1 실시예를 도 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 1 실시예는 청구항 1 내지 3 의 발명에 대응하는 실시예이다. 우선, 오일 펌프(53,54) 가 형성되어 있고, 오일 펌프 (53) 는 엔진 (1) 에 의해 구동되고, 오일 펌프 (54) 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오일 팬 (55) 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이 오일 펌프 (53,54) 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퍼올려진다. 또, 오일 펌프 (53,54) 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가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는 탄성부재 (57) 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58) 과, 통로 (59) 와, 포트 (60,61,62) 와, 유압실 (63) 을 갖고 있다.
그리고, 오일 펌프 (53,54) 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유로 (64) 를 경유하여 통로 (59) 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로 (59) 에는 유로 (65) 가 연통되어 있고, 유로 (65) 의 유압이 포트 (피드백포트: 60) 에 전달된다. 그리고, 포트 (60)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 유압실 (63) 의 유압 및 탄성부재 (57) 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이 스풀 (58) 에 서로 역방향으로 작용하고, 각 탄성지지력끼리의 대응관계에 따라 스풀 (58) 이 동작한다. 스풀 (58) 의 동작에 의해 유로 (64) 로부터 유로 (65) 에 공급되는 오일량, 통로 (59) 로부터 포트 (61,62) 에 배출되는 오일량이 조정된다. 또한, 포트 (61) 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유로 (66) 를 경유하여 오일 펌프 (53,54) 의 흡입구로 복귀된다. 또, 포트 (62) 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유로 (67) 를 경유하여 오일 펌프 (53) 의 토출구로 복귀되거나, 유로 (67,98), 쿨러 (99) 를 경유하여 오일 팬 (55) 으로 복귀된다. 즉, 통로 (59) 에 나타나는 유압이, 유압실 (63) 의 유압과 탄성부재 (57) 에 의한 탄성력에 대응한 압력 (라인압) 으로 조정된다.
상기 유로 (65) 의 오일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에 공급된다.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는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스풀 (도시하지 않음) 과, 스풀을 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전자코일 (도시하지 않음) 과, 스풀을 역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도시하지 않음) 와, 포트 (68,69,70,71,72) 를 갖고 있다. 또, 포트 (69) 와 상기 유압실 (63) 이 유로 (73) 에 의해 연통되고, 포트 (70) 는 오일 팬 (55) 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포트 (71) 와 포트 (72) 가 연통되어 있다.
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에서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흡인력, 및 포트 (72)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 탄성부재의 탄성지지력과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스풀의 동작이 제어되고, 포트 (68) 와 포트 (69,71) 의 연통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포트 (69) 와 포트 (70) 의 연통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이 실시되고 있지 않는 경우 (오프의 경우) 에 포트 (68) 와 포트 (69,71) 의 연통면적이 최대가 되고, 또한 포트 (69) 와 포트 (70) 의 연통면적이 최소가 되는 기능을 구비한 노멀 오픈형 밸브이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이 증대함으로써 출력압이 저하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통전전류가 낮을수록 유로 (73) 및 유압실 (63) 의 유압이 높아진다. 즉, 플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조절압력 레밸이 높아 진다.
한편, 유로 (65) 의 오일은 유로 (74) 를 경유하여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SL1,SL2) 에 공급된다.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는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스풀 (도시하지 않음) 과, 스풀을 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전자코일 (도시하지 않음) 과, 스풀을 역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도시하지 않음) 와, 포트 (75,76,77,78,79) 를 갖고 있다. 또, 포트 (79) 와 오일 팬 (55) 을 연통하는 유로 (10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트 (76) 와 포트 (77) 가 연통되어 있다. 또, 포트 (78) 에는 유로 (80) 를 경유하여 브레이크 (B1) 의 유압실 (81) 이 연통되어 있다.
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에서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흡인력, 및 포트 (77)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 탄성부재의 탄성지지력과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스풀의 동작에 제어되고, 포트 (75) 와 포트 (76,78) 의 연통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포트 (78) 와 포트 (79) 의 연통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이 실시되고 있지 않는 경우 (오프의 경우) 에 포트 (75) 와 포트 (76,78) 의 연통면적이 최대가 되고, 또한 포트 (78) 와 포트 (79) 의 연통면적이 최소가 되는 기능을 구비한 노멀 오픈형 밸브이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로의 비통전시에 유로 (80) 의 출력유압이 최고압이 된다. 이렇게 하여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의 전자코일로의 통전전류와, 유로 (80) 의 유압과의 관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이 증대함으로써 출력압이 저하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한편,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는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스풀 (도시하지 않음) 과, 스풀을 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전자코일 (도시하지 않음) 과, 스풀을 역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도시하지 않음) 와, 포트 (82,83,84,85) 를 갖고 있다. 그리고, 포트 (82) 와 유로 (74) 가 연통되어 있다. 또, 포트 (85) 와 오일 팬 (55) 이 유로 (100)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포트 (83) 와 포트 (84) 가 연통되어 있다. 또, 포트 (83) 에는 유로 (86) 가 연통되어 있다.
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에서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 탄성부재의 탄성지지력 및 포트 (84)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스풀의 동작에 제어되고, 포트 (82) 와 포트 (83) 의 연통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포트 (83) 와 포트 (85) 의 연통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이 실시되고 있지 않는 경우 (오프의 경우) 에 포트 (82) 와 포트 (83) 의 연통면적이 최소가 되고, 또한 포트 (83) 와 포트 (85) 의 연통면적이 최대가 되는 기능을 구비한 노멀 클로즈형 밸브이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로의 통전전류가 최대가 된 경우에 유로 (86) 의 출력유압이 최고압이 된다. 이렇게 하여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전자코일로의 통전전류와, 유로 (86) 의 유압과의 관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이 증대함으로써 출력압이 증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또한, 유로 (86) 와 브레이크 (B2) 의 유압실 (87) 사이의 경로에는 페일 세이프 밸브 (8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페일 세이프 밸브 (88) 는 소정 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한 스풀 (89) 과, 포트 (90,91,92,93,94,97) 를 갖고 있다. 포트 (90,93) 는 모두 유로 (86) 에 연통되고, 포트 (출력포트: 91) 에는 유로 (95) 를 경유하여 유압실 (87) 이 연통되어 있다. 또, 포트 (제어포트: 94) 와 유로 (74) 가 유로 (96) 에 의해 연통되고, 포트 (드레인: 92) 가 오일 팬 (55) 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포트 (제어포트: 97) 는 유로 (80) 에 연통되어 있다. 또, 스풀 (89) 을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98) 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98) 의 탄성지지력 및 포트 (93,97)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 포트 (94)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스풀 (89) 이 동작한다. 이 스풀 (89) 의 동작에 의해 포트 (입력포트: 90) 와 포트 (91) 의 연통면적과, 포트 (91) 와 포트 (92) 의 연통면적이 조정된다. 즉, 출력포트 (91) 가 입력포트 (90) 와 드레인포트 (92) 에 전환되어 연통된다.
이어서, 도 1 에 나타내는 유압제어장치 (52) 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오일 펌프 (53,54) 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이 유로 (64) 에 공급된다. 또,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로의 통전전류에 따라 유압실 (63) 의 유압이 제어된다. 그리고, 유압실 (63)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 및 탄성부재 (57) 의 탄성지지력과, 포트 (60)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에 따라 스풀 (58) 이 동작하여 유로 (65) 의 유압 (라인압) 이 제어된다. 즉,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에 연통된유로 (73) 의 유압을 파일럿압으로 하여 라인압을 조압한다. 이렇게 하여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의 전자코일로의 통전전류와, 유로 (65) 의 유압과의 관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이 유로 (65) 의 오일은 유로 (74) 를 경유하여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포트 (75) 및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포트 (82) 에 공급된다.
우선,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에서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전류의 제어에 의해, 유로 (80) 의 유압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압) 이 상승하여 유압실 (81) 의 유압이 높아져, 브레이크 (B1) 의 걸림 압력이 높아진다.
또, 상기 유로 (80) 의 오일은 페일 세이프 밸브 (88) 의 포트 (97) 에도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B1) 가 걸리는 경우, 즉 유로 (80) 의 유압이 상승하는 경우는 스풀 (89) 이 도 1 에서 상측으로 동작하여 포트 (90) 와 포트 (91) 의 연통면적이 축소되는 동시에, 포트 (91) 와 포트 (92) 의 연통면적이 확대된다. 즉, 포트 (97) 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B1) 의 걸림압에도 의거하여 스플 (89) 을 도 1의 윗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과, 포트 (93) 에 작용하고 있는 브레이크 (B2) 의 걸림압에도 의거하여 스플 (89) 을 도 1의 윗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과, 스프링 (93) 의 탄성력과의 총합이 포트 (94) 에 작용하고 있는 라인압에 의거하여 스플 (89) 을 도 1 의 아랫방향으로 밀어 내리는 힘을 초과한 경우에, 스플 (89) 이 윗방향으로 동작하고, 그 결과 출력포트 (91) 가 입력포트 (90) 으로부터 드레인 포트 (92) 에 전환되어 연통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B2) 의 유압실 (87) 의 오일이 유로 (95) 및 포트 (92) 를 경유하여 드레인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저하되고, 브레이크 (B2) 의 걸림압이 저하된다. 또한, 하이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통전전류의 제어에 의해, 유로 (86) 의 오일이 포트 (85) 로부터 드레인된다. 그 결과, 페일 세이프 밸브 (88) 에서의 포트 (93) 의 유압이 저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통전전류의 제어에 의해, 브레이크 (B2) 의 유압실 (81) 의 오일이 드레인되어 브레이크 (B1) 의 걸림압이 저하된다. 또,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에서는 전자코일로의 통전전류의 제어에 의해, 출력유압이 증대된다.
또한, 브레이크 (B1) 가 해방되는 경우, 즉 유로 (80) 의 유압이 저하되는 경우는, 페일 세이프 밸브 (88) 의 제어포트 (93) 에 작용하는 유압이 저하하므로, 스풀 (89) 이 도 1 에서 하측으로 동작하여 출력포트 (91) 가 입력포트 (90) 에 연통된다. 이로 인해, 유로 (74) 로부터 유로 (86) 에 공급된 오일이 유로 (95) 를 경유하여 유압실 (87) 에 공급되어 브레이크 (B2) 의 유압실 (87) 의 유압이 상승하고, 브레이크 (B2) 의 걸림압이 높아진다. 따라서, 저속모드와 고속모드의 전환, 즉 변속기 (19) 의 변속제어를 실행하는 경우는 어느 한쪽 브레이크의 걸림ㆍ해방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와, 다른쪽 브레이크의 해방ㆍ걸림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병행하여 실행하는 변속, 소위 클러치ㆍ투ㆍ클러치변속이 된다.
도 4, 도 5 는 각종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유압제어장치 (52) 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서 「뉴트럴모드」란 「모터ㆍ제너레이터 (7) 와 아웃풋 샤프트 (25) 사이에서 토크전달을 실시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고, 「Lo 모드」란 전술한 「저속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Hi 모드」란 전술한 「고속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페일모드」란 유압제어장치 (52) 의 기능이 양호한지의 여부를 의미하고, 도 4, 도 5 에서 「Sol1」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를 의미하고, 「Sol2」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를 의미하고, 「(N/O)」는 노멀 오픈형을 의미하고, 「(N/C)」는 노멀 클로즈형을 의미한다.
또, 도 4, 도 5 에서는, 페일의 형태로서「정상시」, 「Sol1 단선」, 「Sol2 단선」, 「전체 Sol 단선」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Sol1 단선」이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단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Sol2 단선」이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단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전체 Sol 단선」이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및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단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Sol1」, 「Sol2」에 대응하는 「○」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통전되는 것을 의미하고, 「Sol1」, 「Sol2」에 대응하는 「×」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통전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FS 밸브」란 페일 세이프 밸브 (88) 를 의미하고 있고, 「FS 밸브」에 대응하는 「×」는 페일 세이프 밸브 (88) 의 스풀 (89) 이 도 1 에서 좌측 절반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트 (90) 와 포트 (91) 가 차단되고, 포트 (91) 와 포트 (92) 가연통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FS 밸브」에 대응하는 「○」은 페일 세이프 밸브 (88) 의 스풀 (89) 이 도 1 에서 우측 절반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트 (90) 와 포트 (91) 가 연통되고, 포트 (91) 와 포트 (92) 가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B1」은 브레이크 (B1) 를 의미하고, 「B2」는 브레이크 (B2) 를 의미한다. 또, 「B1,B2」에 대응하는 「×」는 브레이크가 해방되는 것을 의미하고, 또 「B1,B2」에 대응하는 「○」은 브레이크가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각 모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 의 내용을 설명한다.
[뉴트럴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① 유압제어장치 (52) 가 정상인 경우
Sol1 이 통전되고, Sol2 가 비통전이 된다. 또, FS 밸브는 「×」가 된다. 즉, 브레이크 (B1,B2) 가 모두 「×」가 된다. 또, 주행모드 변화는 발생하지 않고 림프홈 주행모드도 존재하지 않는다.
② Sol1 이 단선인 경우
Sol1 이 통전에서 비통전으로 변화하고, 브레이크 (B1) 가 해방에서 걸림으로 변화한다. 그 결과, 주행모드가 뉴트럴모드로부터 Hi 모드로 변화한다. 그래서, 모터ㆍ제너레이터 (MG2 : 7) 의 회전속도를 차속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림프홈 주행모드를 뉴트럴모드에서의 구동모드와 동등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ㆍ제너레이터 (7) 로부터 아웃풋 샤프트 (25) 에 전달되는 토크를 제로로 제어한다.
③ Sol2 가 단선인 경우
각 시스템의 상태는 상기 ① 의 경우와 동일해진다. 또 주행모드는 뉴트럴모드 상태이며, 림프홈 주행모드도 뉴트럴모드 상태이다.
④ Sol 이 모두 단선인 경우
각 시스템의 상태는 상기 ② 의 경우와 동일해진다. 또 주행모드는 뉴트럴모드 상태이며, 림프홈 주행모드도 뉴트럴모드에서의 구동모드와 동등하다.
[Lo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① 유압제어장치 (52) 가 정상인 경우
Sol1 및 Sol2 가 모두 통전되고, FS 밸브는 「×」이다. 브레이크 (B1) 가 해방되고, 브레이크 (B2) 가 걸린다.
② Sol1 이 단선인 경우
FS 밸브가 「×」에서 「○」으로 변화하고, 브레이크 (B1) 가 해방에서 걸림으로 변화한다. 또, 브레이크 (B2) 가 걸림에서 해방으로 변화한다. 즉, 주행모드는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 변화하고, 림프홈 주행모드는 Hi 모드에서의 구동모드와 동등하게 된다.
③ Sol2 가 단선인 경우
브레이크 (B2) 가 걸림에서 해방으로 변화하고, 주행모드는 Lo 모드로부터 뉴트럴모드로 변화한다. 그래서, 림프홈 주행모드로서 Hi 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Sol1 를 「○」에서 「×」로 전환하여 브레이크 (B1) 를 걸리게 한다.
④ Sol 이 모두 단선인 경우
브레이크 (B1) 가 해방에서 걸림으로 변화하고, 브레이크 (B2) 가 걸림에서 해방으로 변화한다. 이로 인해, 주행모드는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 변화하고, 림프홈 주행모드로서 Hi 모드가 선택된다.
[Hi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① 유압제어장치 (52) 가 정상인 경우
브레이크 (B1) 가 걸리고, 브레이크 (B2) 가 해방된다.
② Sol 의 적어도 한쪽이 단선인 경우
각 시스템의 상태는 상기 ① 과 동일하며, 주행모드는 Hi 모드로부터 변화되지 않고, 림프홈 주행모드도 Hi 모드가 된다.
이어서, 도 5 의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주행모드가 Lo 모드이며, 또한 시스템이 정상인 경우는 각 시스템의 상태는 전술과 동일해진다. 그리고, Sol1 이 단선되면, Sol1 이 「○」에서 「×」로 변화하고, 브레이크 (B1) 가 걸린다. 즉, 브레이크 (B1,B2) 가 모두 걸리는 상태, 소위 타이업 상태가 된다. 그래서, Sol2 를 「○」에서 「×」로 전환하여 브레이크 (B2) 를 해방시키고, 주행모드를 Hi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도 1 의 유압제어장치 (52) 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Lo 모드 또는 Hi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유압제어장치 (52) 가 페일된 경우라도 변속기 (19) 의 변속비를 하이로 설정하여 림프홈 주행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또, Hi 모드가 선택되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SL2) 를 모두 비통전으로 제어하게 되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력의 소비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o 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Sol1 이 단선 페일된 경우는, 「브레이크 (B1,B2) 가 모두 걸려 아웃풋 샤프트 (25) 가 정지하여 차속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변속기 (19) 의 변속비가 하이로 설정되기 때문에 모터ㆍ제너레이터 (7) 의 회전수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구성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를 설명하면, 엔진 (1) 이 본 발명의 제 1 구동력원에 상당하고, 모터ㆍ제너레이터 (7) 가 본 발명의 제 2 구동력원에 상당하고, 모터ㆍ제너레이터 (6) 가 본 발명의 회전장치에 상당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Sl2) 가 본 발명의 변속비 제어기구에 상당하고, 페일 세이프 밸브 (88) 가 본 발명의 특정 제어기구에 상당하고, 브레이크 (B1) 가 본 발명의 제 1 마찰걸림장치에 상당하고, 브레이크 (B2) 가 본 발명의 제 2 마찰걸림장치에 상당하고, 차량 (Ve) 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차에 상당한다.
또,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SL2) 중 적어도 한쪽이 단선된 경우」가 본 발명의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 상당하고, 「주행모드로서 Hi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본 발명의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변속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 상당하고, 로우의 변속비가 본 발명의 「최대 변속비」및 「제 1 변속비」에 상당하고, 하이의 변속비가 본 발명의 「최대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및 「제 2 변속비」에 상당한다. 또한, 이 제 1 실시예에서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선페일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 발명의「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상시 전력이 공급되는 쇼트 페일이 발생한 경우도 포함된다.
(제 2 실시예)
유압제어장치 (52) 의 제 2 실시예를 도 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청구항 4 및 청구항 5 의 발명에 대응하는 실시예이다. 이 도 6 의 구성에서, 도 1 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의 상이점을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서는 유로 (74,80,86) 의 오일을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유압실 (63) 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로 (74,80,86) 의 오일을 유압실 (63) 에 공급하기 위해 전환밸브 (101,102) 가 형성되어 있다. 우선, 전환밸브 (101) 에 대해 설명하면, 이 전환밸브 (101) 는 탄성부재 (103) 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104) 과, 포트 (105) 내지 포트 (110)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74) 와 포트 (106) 가 연통되고, 유로 (80) 와 포트 (105,107) 가 연통되고, 유로 (86) 와 포트 (110) 가 연통되어 있다.
한편, 전환밸브 (102) 는 탄성부재 (111) 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112) 과, 포트 (113) 내지 포트 (116) 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86) 와 포트 (113) 가 연통되고, 포트 (116) 와 유압실 (63) 이 유로 (117)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포트 (114) 와 포트 (108) 가 유로 (118) 에 의해 연통되고, 포트 (115) 와 포트 (109) 가 유로 (119)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그런데, 제 2 실시예에서도 페일 세이프 밸브 (120) 가 형성되어 있다.이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기능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페일 세이프 밸브 (88) 의 기능과 동일하지만,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구성과 페일 세이프 밸브 (88) 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구성을 설명한다. 페일 세이프 밸브 (120) 는 탄성부재 (121) 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122) 과, 포트 (123) 내지 포트 (128) 를 갖고 있다. 그리고, 포트 (123) 와 유로 (80) 가 연통되고, 포트 (124,125) 와 유로 (86) 가 연통되고, 포트 (126) 와 오일 팬 (55) 이 연통되고, 포트 (127) 와 유로 (96) 가 연통되고, 포트 (128) 와 유로 (95) 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서는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포트 (62) 에는 유로 (129) 를 경유하여 쿨러 (99) 및 윤활계통 (도시하지 않음) 이 연통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실시예에서의 유압제어장치 (52) 의 작용 즉 이 발명에 관련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SL2) 의 작용 및 기능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통전제어에 의해 유로 (80) 의 유압이 조압되어 유압실 (81) 의 유압이 높아진 경우는 브레이크 (B1) 의 걸림압이 높아진다. 이에 반해, 유압실 (81) 의 유압이 저하된 경우는 브레이크 (B1) 의 걸림압이 저하된다.
또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통전제어에 의해 유로 (86) 의 유압을 조압하여 유압실 (87) 의 유압을 제어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브레이크 (B1) 를 거는 경우는 유로 (80) 의 유압이 상승하고, 또한 유로 (123) 의 유압이 상승한다. 이로 인해,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스풀 (122) 은 도 6 에서상측으로 탄성지지되어 포트 (125) 와 포트 (128) 의 연통면적이 축소되는 동시에, 포트 (드레인포트: 126) 와 포트 (출력: 128) 가 연통함으로써, 유압실 (87) 의 오일이 유로 (95) 를 경유하여 배출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저하되고, 브레이크 (B2) 의 걸림압이 저하된다.
이에 대해, 브레이크 (B1) 의 걸림압을 저하시키고 브레이크 (B2) 의 걸림압을 상승시키는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통전전류가 저하되고, 또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통전전류가 높아진다. 그러면, 유로 (80) 의 유압이 저하되고, 또한 유로 (123) 의 유압이 저하되는 동시에, 유로 (86) 의 유압이 상승한다. 유로 (80) 의 유압이 저하되면,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스풀 (122) 은 탄성부재 (121)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도 6 에서 하측으로 탄성지지되어 포트 (입력포트: 125) 와 포트 (128) 가 연통하므로, 유로 (86) 의 오일이 유로 (95) 를 경유하여 유압실 (87) 에 공급되어 브레이크 (B2) 의 걸림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서 저속모드 또는 고속모드 또는 뉴트럴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 각종 페일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6 의 페일 세이프 밸브 (122) 가 도 4 의 FS 밸브에 상당한다.
이어서,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에 의해 유로 (74) 의 유압 (라인압) (PL) 을 조압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유로 (80) 의 유압이 저하되어 전환밸브 (101) 의 포트 (107) 의 유압도 저하된다.그러면, 탄성부재 (103)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스풀 (104) 이 도 6 에서 상측으로 탄성지지되어 포트 (106) 와 포트 (109) 가 차단되는 동시에, 포트 (109) 와 포트 (110) 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유로 (74) 의 오일은 유로 (119) 에는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유로 (86) 의 유압이 높아져 있고, 유로 (86) 의 오일이 유로 (119) 를 경유하여 전환밸브 (102) 의 포트 (115) 에 공급된다. 즉, 전환밸브 (112) 의 포트 (115) 에는, 라인압으로 바꾸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에서 조압된 유압이 공급된다.
그런데, 유로 (86) 의 오일은 포트 (113) 에도 공급되고 있어 포트 (113) 의 유압 상승에 의해 스풀 (112) 이 도 6 에서 상측으로 탄성지지된다. 이로 인해, 포트 (114) 와 포트 (116) 가 차단되고, 또한 포트 (116) 와 포트 (115) 가 연통된다. 그 결과, 유로 (119) 의 오일이 유로 (117) 를 경유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유압실 (63) 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이 유압실 (63) 에 전달되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가 유로 (74) 의 유압을 조압한다.
이에 반해,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유로 (80) 의 유압이 상승하여 전환밸브 (101) 의 포트 (107) 의 유압도 상승한다. 그러면, 스풀 (104) 이 도 6 에서 하측으로 탄성지지되어 포트 (109) 와 포트 (110) 가 차단되는 동시에, 포트 (105) 와 포트 (108) 가 연통되고, 또한 포트 (106) 와 포트 (109) 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유로 (86) 의 오일은 유로 (119) 에는 공급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유로 (80) 의 오일이 유로 (118) 를 경유하여 전환밸브 (102) 의 포트 (114) 에 공급된다. 또, 유로 (74) 의 오일이 유로 (119) 를 경유하여 전환밸브 (102) 의 포트 (115) 에 공급된다.
또한, 유로 (86) 의 유압이 저하되고, 또한 포트 (113) 의 유압이 저하되고 있기 때문에, 전환밸브 (102) 의 스풀 (112) 이 도 6 에서 하측으로 탄성지지된다. 이로 인해, 포트 (115) 와 포트 (116) 가 차단되고, 또한 포트 (114) 와 포트 (116) 가 연통된다. 그 결과, 유로 (118) 의 오일이 유로 (117) 를 경유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유압실 (63) 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이 유압실 (63) 에 전달되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가 유로 (74) 의 유압을 조압한다.
또한, 저속모드와 고속모드의 전환시, 즉 변속기 (19) 로 변속비를 변경하는 경우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변속기 (19) 의 변속비를 전환하는 경우는 과도적으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SL2) 가 모두 통전 상태로 제어된다. 즉, 전환밸브 (101) 의 포트 (107) 의 유압이 소정 유압 이상이 되고, 또한 전환밸브 (102) 의 포트 (113) 의 유압이 소정 유압 이상이 된다. 그러면, 전환밸브 (101) 에서는 포트 (106) 와 포트 (109) 가 연통되고, 또한 포트 (109) 와 포트 (110) 가 차단되고, 또한 포트 (105) 와 포트 (108) 가 연통된다. 또, 전환밸브 (102) 에서는 포트 (115) 와 포트 (116) 가 연통되고, 또한 포트 (114) 와 포트 (116) 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유로 (74) 의 오일이 유로 (119) 및 유로(117) 를 경유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유압실 (63) 에 공급된다. 또한, 유로 (80,86) 의 오일은 유로 (117)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유로 (74) 의 유압 자체를 신호압으로 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가 유로 (74) 의 유압을 조압한다.
이어서, 제 2 실시예에서 저속모드로부터 고속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작용을 도 7 의 타임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시각 (tl) 이전에는 저속모드가 선택되어 있다. 이 저속모드에서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저압 (예컨대, 제로) 으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고압 (예컨대, 유압 (P3)) 으로 제어되고 있다. 또, 유로 (74) 의 유압은 유압 (PL) 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압 (P3) 은 유압 (PL) 보다 저압이다. 그 이유는, 유압 (PL) 을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에 의해 감압하여 유압 (P3) 을 생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저속모드에서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유압 (PL) 이 생성되고 있다.
그리고, 시각 (t1) 에서 변속지령이 발생, 즉 저속모드로부터 고속모드로 전환하는 지령이 발생하면, 변속을 실행하기 전의 준비제어가 실행된다.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이 유압 (P1) 을 초과하고, 또한 유압 (P2) 이하의 유압까지 상승된다. 그러면, 유로 (74) 의 유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유압 (PL) 이 생성되게 된다.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보다 고압의 유압 (PL) 이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유압실 (63) 에 전달된다. 그 결과,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조압레벨이 높게 되어, 유압 (PL) 은 시각 (t1) 이전보다 고압이 된다. 즉, 포트 (59) 로부터 출력되는 유압 (라인압: PL) 이, 유압실 (63) 의 유압과 탄성부재 (57) 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되는 조압레벨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대략 일정의 압력으로 제어된다.
이어서, 시각 (t2) 에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저하되고, 또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이 상승된다. 이로 인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및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모두 유압 (P2) 보다 고압이 되는 시기가 있다. 그 후,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유압 (P2) 미만으로 저하되는 동시에, 시각 (t3) 에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이 유압 (P3) 으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제로로 제어되어 변속제어가 종료된다. 또한, 상기 설명 중, 유압 (P2) 은 유압 (P3) 보다 저압이며, 유압 (P1) 은 유압 (P2) 보다 저압이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서술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T) 를 사용하지 않고, 전환밸브 (101,102) 의 기능에 의해 유압 (PL) 을 조압할 수 있다. 또, 고속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저속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변속제어중인 경우의 각 경우에서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에 대한 신호유압으로서 사용하는 유압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각 경우에 적합한 필요 최저압의라인압을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펌프 (53,54) 의 구동에 소비되는 만큼의 동력손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저속모드로부터 고속모드로의 전환시에는 유압 (PL) 을 거의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유압 (PL) 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고, 아웃풋 샤프트 (25) 에 전달되는 토크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변속기 (19) 의 변속특성이 향상된다.
상기 변속제어에서의 전환밸브 (101,102) 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7 과 같이 시각 (tl) 이전에는 전환밸브 (101) 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 있고, 전환밸브 (102) 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 상태에 있다. 여기에서, 전환밸브 (101) 의 오프 상태란, 스풀 (104) 이 도 6 의 우측 절반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하여 유로 (109) 와 유로 (110) 가 연통되고, 유로 (80) 와 유로 (118) 가 차단되고, 유로 (74) 와 유로 (119) 가 차단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 전환밸브 (102) 의 온 상태란, 스풀 (112) 이 도 6 의 좌측 절반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하여 유로 (119) 와 유로 (117) 가 연통되고, 유로 (118) 와 유로 (117) 가 차단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 시각 (t1) 에서 시각 (t3) 사이는 전환밸브 (101,102) 가 모두 온 상태에 있다. 여기에서, 전환밸브 (101) 의 온 상태란, 스풀 (104) 이 도 6 의 좌측 절반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하여 유로 (74) 와 유로 (119) 가 연통되고, 유로 (80) 와 유로 (118) 가 연통되고, 유로 (86) 와 유로 (119) 가 차단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시각 (t3) 이후는 전환밸브 (101) 가 온 상태에 있고, 전환밸브 (102) 가 오프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전환밸브 (102) 의 오프 상태란, 스풀 (112) 이 도 6 의 우측 절반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하여 유로 (118) 와 유로 (117) 가 연통되고, 유로 (119) 와 유로 (117) 가 차단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어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SL2) 의 출력유압과 변속모드의 대응관계를 도 7 의 타임차트 및 도 8 의 도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뉴트럴모드로서 2 종류의 뉴트럴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우선, 뉴트럴모드 (1) 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유압 (P1) 이하의 영역 ① 내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유압 (P1) 을 초과하고, 또한 유압 (P2) 이하인 영역 ② 내로 제어된다. 이에 반해, 뉴트럴모드 (2) 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유압 (P1) 을 초과하고, 또한 유압 (P2) 이하인 영역 ② 내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유압 (P1) 이하의 영역 ① 내로 제어된다. 또한, 뉴트럴모드 (1) 와 뉴트럴모드 (2) 는 뉴트럴모드 다음에 저속모드 또는 고속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가에 따라 뉴트럴모드 (1) 와 뉴트럴모드 (2) 가 구별되어 사용된다.
이에 대해, 저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유압 (P1) 이하의 영역 ① 내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유압 (P2) 을 초과하는 영역 ③ 내로 제어된다. 또한 고속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영역 ③ 내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영역 ① 내로 제어된다. 뉴트럴모드 다음에 저속모드를 선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는 뉴트럴모드 (1) 가 선택되고, 뉴트럴모드 다음에 고속모드를 선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는 뉴트럴모드 (2) 가 선택된다. 또한, 뉴트럴모드 (3) 는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선택되지 않는다. 이 뉴트럴모드 (3)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저속모드로부터 고속모드로의 변속을 실행하기 전의 준비제어중에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영역 ② 내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영역 ③ 내로 제어된다. 이에 반해, 고속모드로부터 저속모드로의 변속을 실행하기 전의 준비제어중에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영역 ③ 내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영역 ② 내로 제어된다.
또한, 시각 (t2) 에서 시각 (t3) 에 이르는 변속도중에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영역 ③ 내로 제어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은 영역 ③ 내로 제어된다. 또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유압이 P2 이하인 경우는 각 브레이크는 비걸림 (토크용량 제로) 이 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유압이 P1 이하인 경우는 각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응하는 전환밸브는 오프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제 2 실시예에서 서술한 사항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를 설명하면, 유압실 (63) 에 전달되는 유압,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SL2) 의 유압, 및 유로 (74) 의 유압이 본 발명의 신호유압에 상당하고, 유로 (74) 의 유압 (PL) 이 본 발명의 소정 제어유압에 상당하고,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가 본 발명의 제어유압 생성밸브에 상당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서술한 그 외의 사항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는, 제 1 실시예에서 서술한 사항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와 동일하다.
(제 3 실시예)
이어서, 유압제어장치 (52) 의 제 3 실시예를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청구항 6 의 발명에 대응하는 실시예이다. 도 9 의 구성에서, 도 1 또는 도 6 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또는 도 6 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전환밸브 (101) 에 포트 (130) 가 형성되어 있고, 포트 (130) 와 유로 (100) 가 유로 (131)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 (101) 가 오프 상태가 된 경우는 포트 (108) 와 포트 (130) 가 연통된다. 이에 반해, 전환밸브 (101) 가 온 상태가 된 경우는 포트 (130) 가 폐쇄된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변속기 (19) 를 제어하는 모드로서 도 8 의 뉴트럴모드 (3) 를 선택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뉴트럴모드 (1), 뉴트럴모드 (2) 는 선택되지 않는다. 이 뉴트럴모드 (3) 가 선택된 경우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은 도 7 에 나타내는 영역 ① 로 제어되고,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도 도 7 에 나타내는 영역 ① 로 제어된다. 즉, 제 3 실시예에서 뉴트럴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01) 및 전환밸브 (102) 가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그러면, 유로 (117,118,131) 가 연통되고, 유압실 (63) 의 오일이 유로 (117,118,131) 를 경유하여 오일 팬 (55) 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유압실 (63) 의 유압이 소정 유압 이하, 구체적으로는 제로로 제어된다. 즉,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에 의해 조압되는 유로 (74) 의 유압 (PL) 의 최저압을,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를 구성하는 부품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기계적인 값, 구체적으로는 탄성부재 (57) 의 탄성지지력에 따른 값으로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뉴트럴모드 (3) 가 설정된 경우에 유로 (74) 의 유압 (PL) 의 최저압의 편차가 작아져 오일 펌프 (53,54) 의 부하를 추정하는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오일 펌프 (53) 의 부하가 작은 경우는 엔진출력을 낮게 제어함으로써 엔진 (1) 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서 도 7 의 타임차트 및 그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또, 제 3 실시예에서 뉴트럴모드 (3) 이외의 변속모드로는 도 8 의 도표에 나타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실시예의 구성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를 설명하면, 「뉴트럴모드가 선택되는 경우」가 본 발명의 「변속기를 토크전달이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경우」에 상당하고, 「유압실 (63) 의 유압을 제로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신호유압을 소정 유압 이하로 제어하는」것에 상당한다. 또한, 제 3 실시예 그 외의 구성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는, 제 1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와 동일하다.
(제 4 실시예)
이어서, 유압제어장치 (52) 의 제 4 실시예를 도 1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이 전달되는 전환밸브 (132) 의 구성이 제 3 실시예와 다르다. 전환밸브 (132) 는 탄성부재 (133) 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134) 과, 포트 (135) 내지 포트 (140)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 (101) 의 포트 (108) 와, 전환밸브 (132) 의 포트 (136) 가 유로 (118) 에 의해 연통되고, 포트 (109) 와 포트 (137) 가 유로 (119)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 유로 (86) 와 포트 (135,138) 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유압실 (63) 과 포트 (139) 가 유로 (141)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포트 (140) 와,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포트 (124,125) 가 유로 (142)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 유로 (118) 와 유압실 (81) 이 유로 (143)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환밸브 (132) 에서는 탄성부재 (133) 의 탄성지지력과, 포트 (135)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스풀 (134) 의 동작이 결정된다. 또한, 도 10 의 구성에서, 도 1, 도 6 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도 6 의 구성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도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과, 전환밸브 (101) 의 온ㆍ오프와의 관계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대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상승한 경우는, 스풀(134) 이 도 10 에서 상측으로 동작하여 전환밸브 (132) 가 온 상태가 된다. 전환밸브 (132) 가 온 상태가 되면 포트 (136) 와 포트 (139) 가 차단되고, 포트 (137) 와 포트 (139) 가 연통되고, 포트 (138) 와 포트 (140) 가 연통된다.
이에 반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저하된 경우는, 스풀 (134) 이 도 10 에서 하측으로 동작하여 전환밸브 (132) 가 오프 상태가 된다. 전환밸브 (132) 가 오프 상태가 되면 포트 (136) 와 포트 (139) 가 연통되고, 포트 (137) 와 포트 (139) 가 차단되고, 포트 (138) 와 포트 (140) 가 차단된다.
제 4 실시예에서 Lo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01)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전환밸브 (102) 가 온 상태로 제어된다. 그러면, 유로 (86) 의 오일이 유로 (142) 를 경유하여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포트 (124,125) 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Lo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유로 (80) 의 유압이 낮고, 포트 (123) 의 유압이 저압이기 때문에 스풀 (122) 이 도 10 에서 하측으로 동작한 상태, 즉 페일 세이프 밸브 (120) 가 온 상태에 있다. 따라서, 유로 (142) 의 오일이 유로 (95) 를 경유하여 유압실 (87) 에 공급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상승하고, 브레이크 (B2) 가 걸린다. 또한, 유로 (119) 의 오일이 유로 (141) 를 경유하여 유압실 (63) 에 공급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에 의해 유로 (74) 의 유압 (PL) 이 제어된다.
또, Lo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01) 가 오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로 (80) 의 오일은 유압실 (81) 에는 공급되지 않는 동시에, 유압실 (81) 의 오일이 유로 (143,131) 를 경유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B1) 가 해방된다.
이에 반해,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01) 가 온 상태로 제어되어 포트 (105) 와 포트 (108) 가 연통되기 때문에, 유로 (80) 의 오일이 유로 (143) 를 경유하여 유압실 (81) 에 공급되어 유압실 (81) 의 유압이 상승하고, 브레이크 (B1) 의 걸림압이 높아진다. 또,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32)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이로 인해, 유로 (118) 의 오일이 유로 (141) 를 경유하여 유압실 (63) 에 공급된다.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에 의해 유로 (74) 의 유압 (PL) 이 제어된다. 또한,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01) 가 온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로 (86) 의 오일은 유로 (119)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32)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유로 (74) 의 오일은 유로 (141)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유로 (86) 의 오일은 유로 (142)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유로 (80) 의 유압이 높기 때문에, 포트 (123) 의 유압이 상승하여 스풀 (122) 이 도 10 에서 상측으로 동작하고, 포트 (128) 와 포트 (126) 가 연통된다. 따라서, 유압실 (87) 의 오일이 유로 (95) 로부터 드레인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저하되고, 브레이크 (B2) 가 해방된다.
또한, 뉴트럴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01,132) 가 모두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전환밸브 (101)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 경우는 유로 (80) 의 오일은유압실 (81) 에는 공급되지 않고, 유압실 (81) 의 오일이 유로 (143,131) 를 경유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B1) 가 해방된다. 또한, 전환밸브 (101) 가 오프 상태라면 유로 (74) 의 오일은 유로 (141)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전환밸브 (132)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 경우는 유로 (86) 의 오일은 유압실 (87) 에는 공급되지 않고, 유압실 (87) 의 오일이 유로 (95) 로부터 배출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저하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B2) 도 해방된다.
또, 이 제 4 실시예에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타임차트는 도 7 과 동일하다. 또, 제 4 실시예에서도 도 8 의 뉴트럴모드 (1), (2) 이외의 각 변속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전환,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전환시의 준비제어도 도 8 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전환 도중, 또는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전환 도중의 제어도 도 8 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변속제어의 과도시에는 전환밸브 (101,132) 가 모두 온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유로 (74) 의 오일이 유로 (119,141) 를 경유하여 유압실 (63) 에 전달된다. 즉, 유로 (74) 의 유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조압이 실시된다.
한편, 그리고 전환밸브 (101,132) 가 모두 오프 상태로 고정되어 버리는 페일, 즉 스틱 페일이 발생한 경우에 유로 (74) 의 유압 (PL) 은 유로 (74) 의 유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조압되기 때문에 유압 (PL) 은 저압이 된다. 이에 대해, 제 4 실시예에서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이 전환밸브 (101) 를 경유하여 유압실 (81) 로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하 리니어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전환밸브 (132) 를 경유하여 유압실 (87) 로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 (101) 가 오프 상태이면 유로 (80) 의 유압은 유압실 (81) 에는 전달되지 않고, 또한 전환밸브 (132) 가 오프 상태이면 유로 (86) 의 유압은 유압실 (87) 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전환밸브 (101,131) 가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스틱 페일이 발생한 경우에도 「저압의 유압 (PL) 을 감압하여 생성되는 출력유압 (Psol1) 또는 출력유압 (Psol2) 이 브레이크 (B1) 또는 브레이크 (B2) 에 전달되는 것」을,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브레이크 (B1,B2) 는 모두 해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B1,B2) 가 토크용량 부족이 되고, 브레이크 (B1,B2) 가 슬립되는 것, 또는 브레이크 (B1,B2) 가 베이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본 발명의 구성과의 대응관계와 동일하다.
(제 5 실시예)
유압제어장치 (52) 의 실시예를 도 1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 5 실시예는 청구항 8 의 발명에 대응하는 실시예이다. 도 11 에 나타낸 유압제어장치 (52) 는 전환밸브 (144,145) 를 갖고 있다. 전환밸브 (144) 는 탄성부재 (146) 와, 탄성부재 (146) 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147) 과, 포트 (148) 내지 포트 (156) 를 갖고 있다. 포트 (148,151) 가 유로 (80) 에 연통되고, 포트 (152) 가 유로 (131) 를 경유하여 오일 팬 (55) 에 연통되어 있다. 또, 포트 (153) 와 유로 (129) 가 연통되고, 포트 (149) 와 유로 (74) 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유로 (86) 와 포트 (154) 가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환밸브 (144) 는 탄성부재 (146) 의 탄성지지력과, 포트 (148)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에 기초하여 스풀 (147) 의 동작이 결정된다.
한편, 전환밸브 (145) 는 탄성부재 (158) 와, 탄성부재 (158) 보다 소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159) 과, 포트 (160) 내지 포트 (167) 와, 포트 (171) 를 갖고 있다. 포트 (157) 와 포트 (167) 가 유로 (168) 에 의해 연통되고, 유로 (131) 와 포트 (164) 가 유로 (169)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 유로 (86) 와 포트 (160,163) 가 연통되고, 포트 (162) 와 포트 (155) 가 유로 (119)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포트 (161) 와 포트 (156) 가 유로 (118) 에 의해 연통되고, 포트 (167) 와 유압실 (63) 이 유로 (141)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포트 (124,125) 와 포트 (166) 가 유로 (142) 에 의해 연통되고, 그리고 포트 (171) 에는 유로 (170) 가 연통되어 있다. 유로 (170) 는 브레이크 (B1,B2) 부근까지 도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환밸브 (145) 는 탄성부재 (158) 의 탄성지지력과, 포트 (160) 의 유압에 대응하는 탄성지지력에 기초하여 스풀 (159) 의 동작이 결정된다. 도 11 의 유압제어장치 (52) 의 구성에서, 도 1, 도 6, 도 9, 도 10 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도 6, 도 9, 도 10 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제 5 실시예에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이 상승한 경우는 전환밸브 (144) 의 포트 (148) 의 유압이 상승하고, 스풀 (147) 이 도 11 에서 하측으로 동작하여 전환밸브 (144) 가 온 상태가 된다. 전환밸브 (144) 가 온 상태가 되면 포트 (153) 와 포트 (157) 가 연통되고, 포트 (151) 와 포트 (156) 가 연통되고, 포트 (149) 와 포트 (155) 가 연통되는 동시에, 포트 (152) 와 포트 (157) 가 차단되고, 포트 (150) 와 포트 (156) 가 차단되고, 포트 (154) 와 포트 (155) 가 차단된다.
이에 반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이 저하된 경우는 전환밸브 (144) 의 포트 (148) 의 유압이 저하되고, 스풀 (147) 이 도 11 에서 상측으로 동작하여 전환밸브 (144) 가 오프 상태가 된다. 전환밸브 (144) 가 오프 상태가 되면 포트 (152) 와 포트 (157) 가 연통되고, 포트 (150) 와 포트 (156) 가 연통되고, 포트 (154) 와 포트 (155) 가 연통되는 동시에, 포트 (153) 와 포트 (157) 가 차단되고, 포트 (151) 와 포트 (156) 가 차단되고, 포트 (149) 와 포트 (155) 가 차단된다.
한편,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상승한 경우는 전환밸브 (145) 의 포트 (160) 의 유압이 상승하고, 스풀 (159) 이 도 11 에서 상측으로 동작하여 전환밸브 (145) 가 온 상태가 된다. 전환밸브 (145) 가 온 상태가 되면 포트 (162) 와 포트 (167) 가 연통되고, 포트 (163) 와 포트 (166) 가 연통되고, 포트 (165) 와 포트 (171) 가 연통되는 동시에, 포트 (161) 와 포트 (167) 가 차단되고, 포트 (164) 와 포트 (171) 가 차단된다.
이에 반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저하된 경우는 전환밸브 (145) 의 포트 (160) 의 유압이 저하되고, 스풀 (159) 이 도 11 에서 하측으로 동작하여 전환밸브 (145) 가 오프 상태가 된다. 전환밸브 (145) 가 오프 상태가 되면 포트 (161) 와 포트 (167) 가 연통되고, 포트 (164) 와 포트 (171) 가 연통되는 동시에, 포트 (162) 와 포트 (167) 가 차단되고, 포트 (163) 와 포트 (166) 가 차단되고, 포트 (165) 와 포트 (171) 가 차단된다.
제 5 실시예에서 Lo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44)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전환밸브 (145) 가 온 상태로 제어된다. 그러면, 유로 (86) 의 오일이 유로 (142) 를 경유하여 페일 세이프 밸브 (120) 의 포트 (124,125) 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Lo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유로 (80) 의 유압이 낮아 포트 (123) 의 유압이 저압이기 때문에, 스풀 (122) 이 도 11 에서 하측으로 동작한 상태, 즉 페일 세이프 밸브 (120) 가 온 상태에 있다. 따라서, 유로 (142) 의 오일이 유로 (95) 를 경유하여 유압실 (87) 에 공급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상승하고, 브레이크 (B2) 가 걸린다. 또한, 유로 (86) 의 오일이 유로 (119,141) 를 경유하여 유압실 (63) 에 공급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에 의해 유로 (74) 의 유압 (PL) 이 제어된다.
또, Lo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44) 가 오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로 (80) 의 오일은 유압실 (81) 에는 공급되는 않는 동시에, 유압실 (81) 의 오일이 유로 (143,131) 를 경유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B1) 가 해방된다.
이에 반해,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44) 가 온 상태로 제어되어 포트 (151) 와 포트 (156) 가 연통되기 때문에, 유로 (80) 의 오일이 유로 (118,143) 를 경유하여 유압실 (81) 에 공급되고 유압실 (81) 의 유압이 상승하고, 브레이크 (B1) 의 걸림압이 높아진다. 또,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45)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이로 인해, 유로 (118) 의 오일이 유로 (141) 를 경유하여 유압실 (63) 에 공급된다.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에 의해 유로 (74) 의 유압 (PL) 이 제어된다. 또한,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44) 가 온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로 (86) 의 오일은 유로 (119)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Hi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44) 가 온 상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유로 (74) 의 오일은 유로 (119)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유로 (86) 의 오일은 유로 (142)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유로 (80) 의 유압이 높기 때문에, 포트 (123) 의 유압이 상승하여 스풀 (122) 이 도 11 에서 상측으로 동작하고, 포트 (128) 와 포트 (126) 가 연통된다. 따라서, 유압실 (87) 의 오일이 유로 (95) 로부터 드레인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저하되고, 브레이크 (B2) 가 해방된다.
또한, 뉴트럴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환밸브 (144,145) 가 모두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전환밸브 (144)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 경우는 유로 (80) 의 오일은 유압실 (81) 에는 공급되지 않고, 유압실 (81) 의 오일이 유로 (143,118,131) 를 경유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B1) 가 해방된다. 또한, 전환밸브(144) 가 오프 상태라면 유로 (74) 의 오일은 유로 (141)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전환밸브 (145) 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 경우는 유로 (86) 의 오일은 유압실 (87) 에는 공급되지 않고, 유압실 (87) 의 오일이 유로 (95) 로부터 배출되어 유압실 (87) 의 유압이 저하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B2) 도 해방된다.
또, 이 제 5 실시예에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타임차트는 도 7 과 동일하다. 또, 제 5 실시예에서도 도 8 의 뉴트럴모드 (1), 뉴트럴모드 (2) 이외의 각 변속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전환,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전환시의 준비제어도 도 8 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전환 도중, 또는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전환 도중의 제어도 도 8 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변속제어의 과도시에는 전환밸브 (144,145) 가 모두 온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유로 (74) 의 오일이 유로 (119,141) 를 경유하여 유압실 (63) 에 전달된다. 즉, 유로 (74) 의 유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프라이머리 레귤레이터 밸브 (56) 의 조압이 실시된다. 또한, 제 5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ㆍ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제 5 실시예에서는 전환밸브 (144) 가 온 상태가 된 경우는 포트 (153) 와 포트 (157) 가 연통된다. 또, 전환밸브 (145) 가 온 상태가 된 경우는 포트 (165) 와 포트 (171) 가 연통된다. 그리고, 제 5 실시예에서는 도 8 의 도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속중에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Psol1) 및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 (Psol2) 이 모두 고압으로 제어되고, 전환밸브 (144,145) 가 모두 온 상태가 된다. 그러면, 유로 (129) 의 오일이 유로 (168,170) 를 경유하여 브레이크 (B1,B2) 에 공급된다. 따라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변속 도중, 또는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변속 도중에 브레이크 (B1,B2) 가 슬립되지만, 브레이크 (B1,B2) 를 윤활 및 냉각시키는 윤활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변속 도중, 또는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변속 도중 이외의 변속모드에서는, 전환밸브 (144,145) 가 모두 온 상태가 되지 않아 윤활유는 브레이크 (B1,B2) 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변속 도중, 또는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변속 도중 이외의 변속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브레이크 (B1,B2) 에 공급되는 윤활유량이 필요 윤활유량보다도 많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B1,B2) 중 어느 한쪽이 해방되어 있는 경우에, 해방되어 있는 브레이크에 윤활유가 공급되어 회전요소의 동력이 윤활유의 점성 저항에 의해 손상되는 것, 소위 「드래그 토크(drag torque)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드래그 토크의 저감에 의해 엔진 (1) 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유압제어장치 (52) 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펌프로서 동력 오일 펌프 또는 가변용량 오일 펌프 등을 사용함으로써, 변속기 (19) 로 변속을 실행하는 경우만 오일 펌프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고, 또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 변속하는 경우의 펌프유량의 시간변화가 도 7 의 타임차트에 나타나 있다. 도 7 과 같이, 변속전후의 펌프유량 (오일 펌프 (53,54) 의토출량) 보다 변속준비영역 및 변속영역에서의 펌프유량이 많아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증가된 펌프유량의 일부가 브레이크 (B1,B2) 의 윤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유압제어장치 (52) 에서의 오일량의 필요량과, 유압제어장치 (52) 에 공급되는 오일량과의 수지관계를 성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Lo 모드로부터 Hi 모드로의 변속 도중, 또는 Hi 모드로부터 Lo 모드로의 변속 도중」이외의 변속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오일 펌프의 토출 손실을 저감시키고, 또한 엔진 (1) 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본 발명의 대응관계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본 발명의 구성의 대응관계와 동일하다.
또한, 도 2 의 파워 트레인에서는 변속기로서 유성기어식 변속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선택기어식 변속기를 갖는 차량에서도 이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클러치로서 마찰걸림장치의 일종인 브레이크를 들 수 있고, 또한 브레이크의 걸림압을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전자클러치를 사용한 차량에서도 이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변속기의 변속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차량에서도 이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변속기는 변속비를 단계적 (불연속) 으로 로우와 하이로 전환할 수 있는 유단 (有段) 변속기이지만, 변속비를 무단계 (연속적) 로 전환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를 갖는 차량에서도 이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및 모터ㆍ제너레이터의 회전축선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FF (프런트 엔진ㆍ프런트 드라이브) 형식의 차량에서도 이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이점을 총괄적으로 상술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림프홈주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저하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변속기의 변속비로서 최대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 2 구동력원의 회전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변속비 제어기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제 1 마찰걸림장치가 걸리는 경우는 제 2 마찰걸림장치를 해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가 모두 걸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비 제어기구로 조압된 유압, 또는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생성된 제어유압 중 어느 하나를 제어유압 생성밸브의 신호유압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변속기의 변속상황에 맞춰 필요 최저압의 제어유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를 뉴트럴 상태등의 토크전달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경우는, 제어유압 생성밸브에 입력되는 신호유압을 소정 유압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유압 생성밸브가 본래 구비하고 있는 기계적인 특성에 의해 제어유압의 최저압을 대략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유압 생성밸브로 생성되는 제어유압이 소정 유압 이하인 경우는, 저압의 제어유압을 감압하여 생성되는 유압에 의해 제 1 마찰걸림장치 또는 제 2 마찰걸림장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마찰걸림장치 또는 제 2 마찰걸림장치가 토크용량 부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로 제 1 변속비와 제 2 변속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에, 제 1 마찰걸림장치 및 제 2 마찰걸림장치에 공급되는 윤활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1)

  1. 차륜 (31) 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력원 (1) 및 제 2 구동력원 (7) 과, 상기 제 1 구동력원 (1) 의 동력을 상기 차륜 (31) 및 회전장치 (6) 에 분배하는 동력분배장치 (10) 와, 상기 제 2 구동력원 (7) 으로부터 상기 차륜 (31) 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에 배치된 변속기 (19) 와, 이 변속기 (19) 의 변속비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를 갖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변속기 (19) 의 상태를 제어하는 특정 제어기구 (88, 120)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제어기구 (88, 120) 는 상기 변속기 (19) 의 변속비로서, 최대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를 설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19) 는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를 갖고 있고,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가 걸림ㆍ해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속기 (19) 는,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의 기능이 정상이고 상기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를 걸고, 또한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가 해방되는 기능과,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의 기능이 정상이고 상기 제 2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를 걸고, 또한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를 해방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의 기능이 저하되어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가 걸리는 경우는, 상기 특정 제어기구 (80, 120) 가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전달되는 유압을 저하시켜 이 제 2 마찰걸림장치 (B2) 를 해방시킴으로써, 상기 변속기 (19) 의 변속비로서 최대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를 설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19) 에서 제 1 변속비 또는 제 2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걸림ㆍ해방되는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와, 신호유압에 따라 소정의 제어유압을 생성하는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를 갖고,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는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서 생성된 제어유압을 조압하여,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전달되는 유압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에서 조압된 유압, 또는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서 생성된 제어유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전환밸브 (101, 102, 132, 144, 145) 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 (101, 102, 132, 144, 145) 는,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전달하는 유압을 높이고, 또한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에 전달하는 유압을 저하시켜 제 1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전달하는 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에 전달하는 유압을 높이고, 또한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전달하는 유압을 저하시켜 제 2 변속비를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에 전달하는 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제 1 변속비와 제 2 변속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서 생성된 제어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19) 를 토크전달이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 입력되는 신호유압을 소정 유압 이하로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로부터 출력되는 오일이, 상기 전환밸브 (101, 102, 132, 144, 145) 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로 (SL1, SL2) 부터 출력되는 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서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로부터 출력되는 오일을,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환밸브 (101, 102, 132, 144, 145) 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19) 로 제 1 변속비와 제 2 변속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공급되는 윤활유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기능을 상기 전환밸브가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19) 는,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걸림ㆍ해방되는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및 제 2 마찰걸림장치 (B2) 를 갖고 있으며,
    상기 변속비 제어기구 (SL1, SL2) 는,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에 대하여 유압을 급배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와,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대하여 유압을 급배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를 갖고,
    제 1 마찰걸림장치 (B1) 가 해방되고 제 2 마찰걸림장치 (B2) 가 걸림으로써 상기 변속기 (19) 에서 변속비가 큰 저속단이 설정되고, 또한 제 1 마찰걸림장치 (B1) 가 걸리고 제 2 마찰걸림장치 (B2) 가 해방됨으로써 상기 변속기 (19) 에서 변속비가 작은 고속단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에 대한 걸림압을 출력하고 온 상태에서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로부터 유압을 드레인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SL2) 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로부터 유압을 드레인시키고 온 상태에서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대한 걸림압을 출력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제어기구 (88, 120) 는,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의 걸림압을 신호압으로서 동작하여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동작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로부터 유압을 드레인시키는 밸브 (88, 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력원 (1) 이 내연기관 (1)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력원 (7) 이 모터ㆍ제너레이터 (7)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장치 (6) 가 다른 모터ㆍ제너레이터 (6)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분배장치 (10) 가, 상기 다른 모터ㆍ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선기어 (12) 와, 상기 선기어 (12) 와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출력부재 (25) 에 연결된 링기어 (13) 와, 상기 선기어 (12) 와 링기어 (13) 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 (14) 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내연기관 (1) 의 토크가 입력되는 캐리어 (15) 로 이루어지는 유성기어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재 (25) 에 상기 변속기 (19) 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19) 가, 상기 제 1 의 마찰걸림장치 (B1) 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정지되는 제 1 고정요소 (28) 와,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정지되는 제 2 고정요소 (21) 와, 상기 제 2 구동력원 (7) 에 연결된 입력요소 (20) 와, 상기 차륜 (31) 에 토크를 전달하는 출력요소 (24) 를 구비하고, 입력요소 (20) 와 출력요소 (24) 와 어느 것인가의 고정요소 (28, 21) 와의 3요소로 차동작용을 행하는 유성기어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기구가 라비뇨형 유성기어기구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신호유압에 대응한 제어유압을 발생시키고, 또한 그 제어유압을 상기 각 솔레노이드 밸브 (SL1, SL2) 에 공급하는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와,
    그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로 조압하여 출력된 유압과,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로부터 출력된 유압과,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로부터 출력된 유압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유압으로서 선택하여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 공급하는 전환밸브기구 (101, 102, 132, 144, 145)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기구 (101, 102, 132, 144, 145) 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가 유압을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로부터 출력된 유압과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로부터 출력된 유압을 출력하고, 또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가 유압을 출력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로부터 출력된 유압을 출력하는 제 1 전환밸브 (101, 144) 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가 유압을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환밸브 (101, 144) 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가 유압을 출력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환밸브(101, 144) 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 또는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의 출력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서 출력하는 제 2 전환밸브 (102, 132, 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밸브 (101, 144) 는, 상기 각 솔레노이드 밸브 (SL1, SL2) 가 유압을 출력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 상기 신호유압을 공급하는 유로 (117, 141) 를 드레인에 연통시키는 포트 (130, 150)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기구 (101, 102, 132, 144, 145) 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의 출력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서 출력하는 경우에 그 신호유압을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에 걸림압으로서 출력하는 유로 (143) 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의 출력유압을 상기 신호유압으로서 출력하는 경우에 그 신호유압을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걸림압으로서 출력하는 유로 (142) 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밸브 (101, 144) 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로부터 출력된 유압을 상기 제 2 전환밸브 (102, 132, 145) 와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에 출력하는 포트 (108, 156) 를 갖고,
    상기 제 2 전환밸브 (102, 132, 145) 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 1 전환밸브 (101, 144) 를 경유하여 입력된 유압을 상기 제어유압 생성밸브 (56) 에 상기 신호유압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에 대하여 걸림압으로서 출력하는 포트 (153, 157, 168, 171, 17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기구 (101, 102, 132, 144, 145) 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로부터 출력된 유압과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로부터 출력된 유압이 공히 소정치 이상의 경우에,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와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유로 (153, 157, 168, 171, 170)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밸브 (144) 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SL1) 로부터 출력된 유압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윤활유를 상기 제 2 전환밸브 (145) 에 대하여 출력하는 포트 (157) 을 갖고,
    상기 제 2 전환밸브 (145) 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SL2) 로부터 출력된 유압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전환밸브 (144) 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를 상기 제 1 마찰걸림장치 (B1) 와 제 2 마찰걸림장치 (B2) 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유로 (170)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KR1020040008717A 2003-03-17 2004-02-10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KR100576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2588 2003-03-17
JP2003072588A JP2004278713A (ja) 2003-03-17 2003-03-17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27A true KR20040082027A (ko) 2004-09-23
KR100576591B1 KR100576591B1 (ko) 2006-05-04

Family

ID=3282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717A KR100576591B1 (ko) 2003-03-17 2004-02-10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1581B2 (ko)
EP (1) EP1459924B1 (ko)
JP (1) JP2004278713A (ko)
KR (1) KR100576591B1 (ko)
CN (1) CN1530249B (ko)
DE (1) DE60200402665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6977B2 (en) * 2001-05-03 2006-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PL218427B1 (pl) * 2002-12-25 2014-12-31 Toyota Motor Co Ltd Układ sterowania hybrydowego bloku napędowego
JP4046103B2 (ja) * 2004-06-07 2008-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4192897B2 (ja) 2005-02-03 2008-12-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US7832297B2 (en) 2005-04-19 2010-11-16 Hewatt Chris B Method and apparatus for gyroscopic propulsion
US7517296B2 (en) * 2005-04-26 2009-04-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motor/generator cooling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ly variable hybrid vehicular transmissions
JP4600185B2 (ja) * 2005-07-08 2010-1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661482B2 (ja) * 2005-09-20 2011-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トレーン機器の冷却潤滑装置
KR100747822B1 (ko) * 2005-11-04 200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차의 명령토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7139114A (ja) * 2005-11-21 2007-06-07 Toyota Motor Corp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車両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696875B2 (ja) * 2005-11-28 2011-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680075B2 (ja) 2006-02-01 2011-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車両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装置、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217258B2 (ja) * 2006-09-21 2009-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4222414B2 (ja) * 2006-12-04 2009-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それ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自動車、および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464984B2 (ja) 2007-04-20 2010-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オイル供給装置
JP4466685B2 (ja) * 2007-06-19 2010-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5003314B2 (ja) * 2007-07-02 2012-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4257800B1 (ja) * 2007-10-09 2009-04-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7985154B2 (en) * 2007-10-26 2011-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hydraulic pressure for component lubrication in an electro-mechanical transmission
US8170762B2 (en) * 2007-10-29 2012-05-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operation of a hydraulic pump for an electro-mechanical transmission
AU2009206423B2 (en) * 2008-01-23 2012-09-20 Parker-Hannifin Corporation Electro-hydraulic machine for hybri drive system
JP4499170B2 (ja) * 2008-05-27 2010-07-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駆動装置
CN102107604B (zh) * 2009-12-25 2013-12-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混合动力驱动系统及其档位操作方法
EP2529991B1 (en) * 2010-01-29 2019-10-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device
US8925699B2 (en) 2010-10-15 2015-01-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train pressure and flow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s
US8887891B2 (en) * 2010-10-15 2014-1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train pressure and flow control system for dog clutches
US9358867B2 (en) * 2010-10-15 2016-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based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full hybrid vehicles
US8800404B2 (en) * 2010-10-15 2014-08-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cro-electro-mechanical-system (MEMS) based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mild hybrid vehicles
US8935971B2 (en) * 2010-10-15 2015-01-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cro-electro-mechanical-systems based hydraulic control for a powertrain
US8845491B2 (en) 2010-10-15 2014-09-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cro-electro-mechanical-system (MEMS) based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s
JP5639611B2 (ja) * 2012-03-21 2014-12-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DE102012206142A1 (de) * 2012-04-16 2013-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
DE102012212270B4 (de) * 2012-07-13 2015-10-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chsantriebssystem für eine elektrische Achse
US9238461B1 (en) * 2014-08-08 2016-0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utput bump management in a strong hybrid vehicle
CN105299212B (zh) * 2014-12-02 2018-01-16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起重机的动力传动控制方法、装置及起重机
KR101694039B1 (ko) * 2015-07-23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오일 부족 진단방법
JP6644502B2 (ja) * 2015-09-10 2020-02-12 Ntn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JP7176540B2 (ja) * 2020-01-16 2022-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供給システム
CN113650600B (zh) * 2021-09-06 2023-09-05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混动车型模式切换时发动机转速控制方法及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3568A (en) * 1968-05-31 1971-11-30 Nissan Motor Electromechanical power train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JPH0771586A (ja) 1993-08-30 1995-03-17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5842534A (en) * 1995-05-31 1998-12-01 Frank; Andrew A. Charge deple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powered vehicles
JPH0974607A (ja) 1995-09-01 1997-03-18 Toyota Motor Corp Cvt車両のトルクアシスト装置
JP3216501B2 (ja) * 1995-10-13 2001-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3047792B2 (ja) * 1995-10-18 2000-06-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6081042A (en) * 1996-03-22 2000-06-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drive system including controllable device between engine and electric motor and vehicle drive wheel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vice depending upon selected operation mode of the system
JP3749302B2 (ja) 1996-04-11 2006-0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EP1038346A2 (en) * 1997-10-21 2000-09-27 Stridsberg Innovation Ab A hybrid powertrain
JP3536658B2 (ja) * 1998-03-31 2004-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US6203468B1 (en) * 1998-11-18 2001-03-20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3592982B2 (ja) * 2000-01-25 2004-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4151193B2 (ja) 2000-04-04 2008-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6371878B1 (en) * 2000-08-22 2002-04-16 New Venture Gear, Inc. Electr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3580257B2 (ja) 2001-02-05 2004-10-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
JP4438247B2 (ja) * 2001-03-29 2010-03-2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
JP2003049937A (ja) 2001-08-07 2003-02-21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91581B2 (en) 2006-01-31
EP1459924A3 (en) 2006-07-26
JP2004278713A (ja) 2004-10-07
EP1459924A2 (en) 2004-09-22
KR100576591B1 (ko) 2006-05-04
CN1530249A (zh) 2004-09-22
US20040220015A1 (en) 2004-11-04
DE602004026657D1 (de) 2010-06-02
EP1459924B1 (en) 2010-04-21
CN1530249B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591B1 (ko)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
US7905807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hybrid drive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US7819768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of transmission
US8066090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hybrid drive device having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JP4506655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7175556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10399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유압제어시스템
US6881165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CN107336597B (zh) 车辆的供油系统及其控制方法
CN101850769B (zh) 用于多模式混合动力变速器的液压离合器控制机构
CN102165222A (zh) 动力传递装置和安装该动力传递装置的车辆
US6929584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200720537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20140124324A1 (en) Hydraulic controller for hybrid drive system
CN105579745A (zh) 油压控制装置
JP200022471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734342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JP6237878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US8795134B2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5211857B2 (ja) 動力伝達装置用の駆動装置および車両並びに駆動装置の制御方法
JP4735215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983218B2 (ja) 車両の油圧制御装置
JP2021113577A (ja) 潤滑制御装置
JP4976876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06009998A (ja) 伝動機構の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