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000A -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000A
KR20040081000A KR1020040014796A KR20040014796A KR20040081000A KR 20040081000 A KR20040081000 A KR 20040081000A KR 1020040014796 A KR1020040014796 A KR 1020040014796A KR 20040014796 A KR20040014796 A KR 20040014796A KR 20040081000 A KR20040081000 A KR 2004008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ntermediate plate
sheet feeding
lever
sta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822B1 (ko
Inventor
쯔찌다다께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2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weight of pile; Flo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급송 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시트 급송 장치에는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 적재부와,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롤러와,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가 시트 급송 롤러와 압접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적재된 시트가 시트 급송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시트 적재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 이동 부재가 제공되며, 수동 이동 부재는 시트 적재부 위에, 그리고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가 레버 조작에 의해 시트 급송 수단과 압접되도록(pressure contact) 설계된,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또는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로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시트 급송 장치로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바닥부에 장전된 카세트 내에 수납된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카세트 급송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인출 가능하게 또는 개폐 가능하게 제공된 트레이에 시트를 적재하도록 설계된 수동 급송부인 멀티 급송부가 있다.
첨부 도면 중 도12는 이러한 멀티 급송부가 제공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12에서, 멀티 급송부(14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내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고, 시트(P)를 적재하기 위한 트레이(145)와,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 시트(P)를 트레이(145)로부터 급송하는 시트 급송 롤러(143)를 구비한다.
또한, 카세트 급송부(116)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의 바닥부에 장전된 카세트(117)와, 카세트(117)의 중간판(117a)에 적재된 시트(P)를 급송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내에 제공된 시트 급송 롤러(118)와, 시트(P)를 하나씩 분리하기 위한 한 쌍의 지연 롤러(119)가 제공된다.
시트(P)가 멀티 급송부(140)로부터 화상 형성부(101)로 급송될 때, 시트(P)가 급송 롤러(143)에 의해 트레이(145)로부터 하나씩 급송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시트(P)가 카세트 급송부(116)로부터 화상 형성부(101)로 급송될 때, 카세트 내에 수납된 시트(P)가 급송 롤러(118) 및 한 쌍의 지연 롤러(119)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어 급송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멀티 급송부(140) 또는 카세트 급송부(116)로부터 급송되는 시트(P)는, 이 후, 화상 형성부(101)로 반송되어, 화상이 형성된다.
도13은 이러한 멀티 급송부(140)의 구성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이며, 도13에서,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하고 시트 급송 롤러(143)의 아래에 제공된 중간판(146)은, 시트가 트레이(145) 상에 세팅될 때 첨부 도면의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피봇 이동되며, 이와 같이 중간판(146)이 피봇 이동됨으로써, 세팅될 시트의 두께 이상의 갭(a)이 시트 급송 롤러(143)와 중간판(146)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갭(a)이 시트 급송 롤러(143)와 중간판(146)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시트(P)는 시트 급송 롤러(143)와 중간판(146) 사이로 압입될 수 있다. 이 후, 첨부 도면의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146)이 상향으로 피봇 이동됨에의해, 시트(P)는 시트 급송 롤러(143)와 압접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시트 급송 롤러(143)가 회전될 때, 시트(P)는 송출되게 된다. 도면 부호 147은 시트 급송 롤러(143)와 압접하도록 구성된 마찰 패드이며, 시트(P)는 이 마찰 패드(147)에 의해 하나씩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러한 중간판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급송부(116)의 카세트(117) 내에 제공된다. 카세트 급송부(116)에서는, 시트(P)가 카세트(117) 내에 세팅된 후 카세트(117)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수납될 때, 중간판(117a)은 도12에 도시된 위치까지 자동으로 피봇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한편, 멀티 급송부(140)에서는, 카세트 급송부(116)와 유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트레이(145)가 개방된 상태에서 시트 급송 동작이 가능하며, 제조 비용 및 가동 비용 등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도16에 도시된 수동 이동 수단인 레버(148)가 상하 방향으로 수동으로 조작되어서, 중간판(146)을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도13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146)이 이러한 레버 조작에 의해 피봇 이동되도록 설계된 멀티 급송부(140)가 제공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이 레버(148)는 트레이(145)의 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폭 방향이라 함)으로 대향 관계로 배치되며, 시트의 폭 방향으로 시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측부 규제판(149)에 의해 숨겨진 위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레버(148)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148)를 보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레버 조작을 잊으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 조작을 잊은 경우, 예를 들어 레버(148)의 상향 피봇 이동 조작을 잊은 경우에, 시트는 시트 급송 롤러(143) 아래로 압입될 수 없어서, 급송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하향 피봇 이동 조작을 잊은 경우에, 시트는 시트(P)와 압접될 수 없어서, 시트 급송 롤러(143)가 회전되더라도, 시트는 송출될 수 없거나,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상 형성부(101)로 송출될 수 없다.
사용자가 레버(148)를 인지하더라도 조작을 잊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설명서(150)가 레버(148)의 근처, 예를 들어 트레이(145)의 시트 적재부(145a)의 외측에 제공되지만, 이러한 위치에 제공된 설명서(150)는 시인성이 나빠서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를 알아차리더라도 레버 조작을 잊은 경우에는, 시트가 급송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며, 레버가 확실히 조작되어서 시트를 확실하게 급송시킬 수 있는 시트 급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 급송 장치를 제공하며, 이 시트 급송 장치에는,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 적재 수단과,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수단과,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가 시트 급송 수단과 압접하게 되는 제1 위치로, 또는 적재된 시트가 시트 급송 수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시트 적재수단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 이동 부재가 제공되며,
수동 이동 부재는 시트 적재 수단의 시트 적재부 위에, 그리고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복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복사기의 멀티 급송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멀티 급송부의 트레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복사기의 멀티 급송부에 제공된 레버의 조작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레버가 하향 피봇 이동될 때의 중간판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레버가 상향 피봇 이동될 때의 중간판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시트의 삽입이 레버에 제공된 시트 스토퍼에 의해 방해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멀티 급송부의 중간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중간판에 제공된 규제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중간판에 제공된 규제 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도면.
도11은 본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멀티 급송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종래의 멀티 급송부의 트레이에 제공된 중간판이 하향 피봇 이동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종래의 멀티 급송부의 트레이에 제공된 중간판이 상향 피봇 이동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종래의 멀티 급송부의 트레이에 제공된 중간판을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간판
2 : 시트 급송 롤러
4 : 트레이
4a : 시트 적재부
6 : 측부 규제판
8 : 레버
8a : 지시부
11 : 시트 스토퍼
12 : 레버
13 : 중간판 시트
14 : 보조 중간판 시트
15 : 규제 부재
15a : 경사면
40 : 화상 형성부
50 : 멀티 급송부
P : 시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복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1에서, 화상 판독부인 스캐너부(30)는 복사기 주 본체(이하, 장치 주 본체라 함)의 상부에 배치되며, 시트(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40)는 장치 주 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화상 형성부(40)로 시트(P)를 급송하기 위한 카세트 급송부(16) 및 멀티 급송부(50)는 장치 주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다.
화상 형성부(40)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하, 감광 드럼이라 함)(41), 현상 장치(42) 등을 가진다. 레이저 스캐너(43)로부터 사출된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이 감광 드럼 표면 상에 주사될 때, 잠상이 감광 드럼 표면 상에 형성되며, 이 잠상은 현상 장치(42)에 의해 현상되어, 이에 의해,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 표면 상에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 후,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감광 드럼(41) 및 전사 대전 장치(44)에 의해 구성되는 전사부로 시트가 반송될 때, 감광 드럼(4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시트에 전사되도록 설계된다.
한편, 카세트 급송부(16)는 전사부로 시트(P)를 급송하기 위한 것이며, 장치주 본체(200A)의 바닥부에 장전된 카세트(17)와, 이 카세트(17)에 수납된 시트(P)를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롤러(18)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동안에, 시트 급송 롤러(18) 및 한 쌍의 지연 롤러(19)가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서, 카세트(17)로부터 시트(P)를 하나씩 분리하여 급송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멀티 급송부(50)는 전사부로 시트(P)를 급송하기 위한 것이며, 장치 주 본체(200A) 내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된 시트 적재 수단인 트레이(4)와, 이 트레이(4)에 적재된 시트(P)를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수단인 시트 급송 롤러(2)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동안에, 시트 급송 롤러(2)가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서, 트레이로부터 시트(P)를 하나씩 급송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스캐너부(30)는 원고 유리 스탠드(301) 상에 위치된 원고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원고 화상을 판독한 후에 화상 정보를 전기적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전기적 화상 신호로 변환된 화상 정보를 이미 상술한 화상 형성부(40)의 레이저 스캐너(43)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복사기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원고의 화상 정보가 스캐너부(30)에 의해 판독되면, 이 화상 정보는 화상 처리되고, 그 후,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화상 형성부(40)의 레이저 스캐너(43)에 전송된다. 몇몇 경우에는, 화상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도시되지 않음)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부(40)에 입력된다.
화상 형성부(40)에서는, 감광 드럼(41)의 표면이 레이저 스캐너(43)로부터사출된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주사되어, 잠상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며, 이 후, 이 잠상은 현상 장치(42)에 의해 현상되어, 이에 의해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41) 표면상에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한편, 이 동작과 병행하여, 시트(P)가 멀티 급송부(50)로부터 화상 형성부(40)로 급송될 때, 시트(P)는 시트 급송 롤러(2)에 의해 트레이로부터 하나씩 급송된다. 또한, 시트(P)가 카세트 급송부(16)로부터 급송될 때, 카세트 내에 수납된 시트(P)는 시트 급송 롤러(18) 및 한 쌍의 지연 롤러(19)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어 급송되도록 설계된다.
그 후, 이와 같이 멀티 급송부(50) 또는 카세트 급송부(16)로부터 급송된 시트(P)는 레지스터 롤러(20)로 반송된다. 이 때, 레지스터 롤러(20)는 정지하고 있어, 이에 따라, 시트(P)는 사행이 보정되며, 이 위치에서 일단 정지하여 대기한다.
그 후, 레지스터 롤러(20)는 회전되며, 대기된 시트(P)는 타이밍에 맞추어 감광 드럼(41)과 전사 대전 장치(44)에 의해 구성되는 전사부에 급송되며, 시트(P)가 닙부를 통과할 때, 감광 드럼 상의 토너 화상은 시트(P)에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이러한 방식으로 전사되는 시트(P)는 정착 장치(45)에 반송되며, 시트(P)가 정착 장치(45)를 통과할 때, 시트(P)는 가열 및 가압되어, 이에 의해, 토너 화상이 시트 표면에 정착된다. 그 후, 이와 같이 토너 화상이 정착된 시트(P)는 시트 배출 롤러(46)에 의해 배출 트레이(47)에 배출된다.
도2는 멀티 급송부(50)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에서, 도면 부호 1은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하고 시트 급송 롤러에 인접한 트레이(4)의 단부, 즉 시트 급송 롤러(2)의 아래쪽에 제공되는 중간판이며, 시트가 트레이(4) 상에 세팅될 때, 중간판(1)은 후술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피봇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중간판(1)이 하향 피봇 이동됨으로써, 세팅될 시트의 두께 이상의 갭(a)이 시트 급송 롤러(2)와 중간판(1)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시트가 급송될 때, 중간판(1)이 후술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피봇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중간판(1)이 상향 피봇 이동됨으로써, 시트는 시트 급송 롤러(2)와 압접하게 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시트 급송 롤러(2)가 회전될 때, 시트가 송출되게 된다.
중간판(1)을 하향 피봇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 이동 부재인 레버(8)는, 트레이(4)의 시트 적재부(4a)의 위에, 그리고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레버(8)의 양단부는 트레이(4)의 양측부의 외측에 제공되고, 시트의 양 측부 에지 부분과 접촉하고 시트의 측부 에지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 부재인 측부 규제판(6)의 근처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8)는 측부 규제판(6) 및 트레이(4)를 걸치도록 제공되며, 이와 같이 레버(8)가 측부 규제판(6) 및 트레이(4)를 걸치도록 제공됨으로써, 레버(8)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레버(8)의 조작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8)는 통상 조작으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측부 규제판(6)의 근처에 배치되며, 레버(8)의 시인성은 향상되며, 사용자가 레버(8)의 존재를 보지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레버(8)는 측부 규제판(6) 및 트레이(4)를 걸치도록 제공되며, 이에 의해 레버(8)는 그 양단 부분에서 지지될 수 있어서, 레버(8)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레버(8)의 상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 등을 지시하는 지표, 혹은 지표 라벨 등으로 구성되는 지시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이 지시부(8a)는 레버(8)의 이면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레버(8)는 트레이(4)의 시트 적재부(4a)의 위에 위치되어서, 트레이(4) 상에 시트를 세팅할 때 사용자가 레버(8)를 보면, 사용자는 레버(8)의 상면에 형성된 지시부(8a)를 보게 되어, 지시부(8a)의 시인성이 높아지며, 지표로서의 효과가 없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4a 및 도4b는 레버(8)와 중간판(1) 사이의 연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는 트레이(4)의 측부 부분에 제공된 축(4b)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하도록 트레이(4) 상에 지지되며, 링크 기구(25)를 통해 피봇 지지된 중간판(1)에 연결된다. 또한, 중간판(1)은 스프링(26)에 의해 상향 편의된다.
레버(8)가 도4a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피봇 이동될 때, 중간판(1)은 링크 기구(25)를 통해 상향 피봇 이동되며, 중간판(1)은 스프링(26)에 의해 상향 편의되며, 시트(P)는 시트 급송 롤러(2)와 압접하게 된다.
또한, 도4b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가 상향 피봇 이동될 때, 중간판(1)은 스프링(26)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링크 기구(25)를 통해 하향 피봇 이동되어, 이에 의해, 세팅될 시트 두께 이상의 갭(a)이 시트 급송 롤러(2)와 중간판(1) 사이에 형성되며, 시트(P)는 시트 급송 롤러(2)의 아래까지 압입될 수 있다. 도5 및 도6에서, 상단부 상에 분리 패드(3)를 보유하는 분리 패드 홀더(3A)는 도시되지 않은 편의 수단에 의해 시트 급송 롤러(2)와 분리 패드(3)가 압접하게 되는 방향으로 편의된다.
이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의 하측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가 하향 피봇 이동될 때, 트레이(4)의 시트 적재부(4a)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되도록 구성된 스토퍼 부재인 시트 스토퍼(11)가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스토퍼(11)가 제공됨으로써, 레버(8)가 하향 피봇 이동되고 시트(P)가 시트 급송 롤러(2)와 압접하게 되는 제1 위치로 중간판(1)이 이동되었을 때, 시트(P)를 삽입하려고 시도한다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급송 롤러(2)와 중간판(1) 사이로의 시트(P)의 삽입이 시트 스토퍼(11)에 의해 방해된다.
이와 같이 레버(8)가 하향 피봇 이동되었을 때, 시트(P)의 삽입이 시트 스토퍼(11)에 의해 방해되며, 즉, 레버(8)가 하향 피봇 이동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시트(P)가 삽입될 수 없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레버 조작을 잊은 경우에 사용자는 레버 조작을 잊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가 상향 피봇 이동되고 시트(P)가 시트 급송 롤러(2)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중간판(1)이 이동되었을 때, 즉, 시트(P)의 삽입(압입)이 가능해졌을 때, 시트 스토퍼(11)는 트레이(4)의 시트 적재부(4a)로부터 분리되며, 시트(P)는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트(P)는 삽입될 수 있으며, 시트(P)는 시트 급송 롤러(2)와 중간판(1) 사이에 정상적으로 세팅된다.
이와 같이 레버(8)가 상향 피봇 이동되고 시트(P)가 삽입된 후, 레버(8)가 하향 피봇 이동될 때, 시트 스토퍼(1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P)에 접촉하지만,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스토퍼(11)는 레버(8)의 하측에 피봇 지지되어서, 시트(P)에 접촉한 후, 상향 피봇 이동된다. 이에 의해, 시트(P)가 삽입(세트)된 상태로 레버(8)가 하향 피봇 이동되더라도, 시트 스토퍼(11)는 시트(P)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유지되고, 시트(P)의 반송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이 시트 스토퍼(11)의 하향 피봇 이동된 위치는, 방해(restraining)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규제되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가 상향 피봇 이동될 때, 시트 스토퍼(11)는 시트(P)가 삽입 가능한 위치에서 보유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P)를 삽입할 때 레버(8)의 조작을 잊었을 때, 시트(P)의 삽입은 레버(8) 상에 제공된 시트 스토퍼(11)에 의해 방해되며, 이에 의해, 레버(8)의 조작이 필요하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시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레버(8)를 확실하게 조작하여, 시트 급송이 가능한 상태 및 시트(P)의 삽입이 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도8은 중간판(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에서, 중간판 시트(13)는 시트 급송 롤러(2)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며, 보조 중간판 시트(14)는 중간판 시트(13)의 상류에 배치된다.
이러한 중간판 시트(13) 및 보조 중간판 시트(14)를 제공함으로써, 시트(P)에 대해 적절한 백 장력(back tension)을 제공할 수 있어서, 이중 급송, 특히 시트 다발이 시트 급송 롤러(2)와 분리 패드(3) 사이로 진입함으로써 발생하는 다발 이중 급송이 방지될 수 있다.
시트가 적재되지 않았을 때 중간판 시트(13)가 시트 급송 롤러(2)와 접촉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트 급송 롤러(2)와의 접촉 상태를 견딜 수 있기 위해, 코르크 또는 우레탄과 같은 고무 재료가 중간판 시트(13)의 재료로서 적절하다. 또한, 보조 중간판 시트(14)가 시트 급송 롤러(2)와 접촉하지 않고 시트(P)를 통해 적극적으로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털형(fur-like) 표면을 갖는 재료가 보조 중간판 시트(14)의 재료로서 적절하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P)의 폭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판(1) 상에 규제 부재(15)가 제공되며, 그 사이에 시트 급송 롤러(2)가 개재된다. 이들 규제 부재(15)는 중간판(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중간판(1)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규제 부재(15)에는 시트 급송 롤러(2)를 대면하는 경사면(15a)이 제공된다. 규제 부재(15)에 이러한 경사면(15a)이 제공됨으로써, 도10에 도시된 시트 급송 동안, 시트(P)가 시트 급송 롤러(2)에 대해 그의 폭 방향으로 편향될 때조차도, 시트(P)는 규제 부재(15)에 의해 그 편향이 규제되어, 우수한 반송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레버(8)가 측부 규제판(6) 및 트레이(4)를 걸치도록 배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레버(8)는 레버(8)의 적어도 일 단부가 서로 대향된 관계로 제공된 측부 규제판(6) 중 하나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2)는 레버(12)의 일 단부가 측부 규제판(6) 중 하나의 근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측부 규제판(6)을 걸치지 않고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12)의 일단부가 측부 규제판(6) 중 하나의 근처에 위치되어 레버(12)가 캔틸레버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레버(12)가 배치되더라도, 레버(12)는 트레이(4)의 시트 적재부(4a)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트레이(4)의 선단부측상에 제공되고 시트의 선단 에지측을 지지하는 중간판(1)이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 가능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시트 전체를 지지하는 트레이가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트 적재 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 이동 부재를 시트 적재 수단의 시트 적재면의 상측에 배치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수동 이동 부재를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여 수동 이동 부재를 크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 이동 부재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동 이동 수단을 확실하게 조작시킬 수 있어, 시트를 확실하게 급송할 수 있다.

Claims (15)

  1.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 적재 수단과,
    상기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수단과,
    상기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가 상기 시트 급송 수단과 압접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적재된 시트가 상기 시트 급송 수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 이동 부재는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시트 적재부 위에, 그리고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시트 급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이동 부재는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을 걸치도록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상기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시트 급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이동 부재는 상기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일 측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일 측 단부로부터 타 측 단부로 연장하도록 캔틸레버된 상태로 지지되는 시트 급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시트의 양 측부 에지 부분과 접촉하여 시트의 측부 에지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양측부 상에 서로 대향된 관계로 제공되는 규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 이동 부재는 상기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수동 이동 부재의 적어도 일 단부가 서로 대향된 관계로 배치된 상기 규제 부재 중의 하나의 근처에 위치될 수 있는 시트 급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이동 부재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부가 상기 수동 이동 부재의 적어도 상면에 제공되는 시트 급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이동 부재에는, 상기 수동 이동 부재가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을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시트 급송 수단과 상기 시트 적재 수단 사이로의 시트의 삽입을 방해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수동 이동 부재가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시트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 부재가 제공되는 시트 급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시트가 상기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상태로 상기 수동 이동 부재가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을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와 접촉하여, 상향 이동되는 시트 급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은 트레이를 가지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중간판과, 고정식 시트 적재부를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
  9. 시트가 적재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에 적재된 시트와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시트 급송 롤러와,
    링크 기구를 통해 중간판에 연결되는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피봇 이동됨으로써 상기 중간판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가 제2 방향으로 피봇 이동됨으로써 상기 중간판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레버는 상기 중간판 위로, 그리고 상기 시트 급송 롤러에 의한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의 상기 중간판 쪽으로의 피봇 이동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의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멀어지는 피봇 이동 방향인 시트 급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중간판을 걸치도록 제공되는 시트 급송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중간판의 일 측 단부로부터 타 측 단부로 연장하도록 캔틸레버된 상태로 제공되는 시트 급송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중간판 쪽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레버가 피봇 이동되는 동안에 중간판 상으로의 시트의 삽입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가 피봇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중간판 상으로의 시트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
  14.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 적재 수단과,
    상기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부 쪽으로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수단과,
    상기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가 상기 시트 급송 수단과 압접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적재된 시트가 상기 시트 급송 수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 이동 부재는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시트 적재부 위에, 그리고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화상 형성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가 적재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에 적재된 시트와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시트 급송 롤러와,
    링크 기구를 통해 중간판에 연결되는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피봇 이동됨으로써 상기 중간판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봇 이동 가능한 레버가 제2 방향으로 피봇 이동됨으로써 상기 중간판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레버는 상기 중간판 위로, 그리고 상기 시트 급송 롤러에 의한 시트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14796A 2003-03-07 2004-03-05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663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1692 2003-03-07
JP2003061692 2003-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000A true KR20040081000A (ko) 2004-09-20
KR100663822B1 KR100663822B1 (ko) 2007-01-03

Family

ID=3295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796A KR100663822B1 (ko) 2003-03-07 2004-03-05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49631B2 (ko)
KR (1) KR100663822B1 (ko)
CN (1) CN1003943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9044B2 (ja) * 2006-03-27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387311B (zh) * 2008-07-18 2013-02-21 Primax Electronics Ltd 具有名片饋送機構之饋紙式掃描器
JP6565833B2 (ja) * 2016-08-29 2019-08-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3535A (en) * 1969-05-05 1971-02-16 Scm Corp Sheet feeding assembly
US3689064A (en) * 1969-05-05 1972-09-05 Scm Corp Paper feed arrangement
JPS574835A (en) * 1980-06-05 1982-01-11 Ricoh Co Ltd Paper containing device
US4406448A (en) * 1981-07-24 1983-09-27 Pitney Bowes Inc. Paper cassette
US4772007A (en) * 1984-10-19 1988-09-20 Canon Kabushiki Kaisha Cut sheet holding and feeding apparatus
JP2634431B2 (ja) * 1987-06-26 1997-07-23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複写機用の給紙装置
JP3016530B2 (ja) 1992-04-17 2000-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72570A (ja) * 1992-06-25 1994-03-15 Sharp Corp 給紙カセット
US5648807A (en) * 1992-09-10 1997-07-15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an antismear sheet deformation discharge system
JPH1149380A (ja) 1997-07-28 1999-02-23 Canon Inc 記録装置
JP3860318B2 (ja) 1997-12-25 2006-12-20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
JPH11199078A (ja) 1998-01-16 1999-07-27 Matsushita Denso System Kk 給紙装置
JP2000198551A (ja) 1998-12-28 2000-07-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TW399527U (en) * 1999-08-21 2000-07-21 Acer Peripherals Inc Paper receiving assembly used for office machine
JP2003089433A (ja) 2001-09-19 2003-03-25 Ricoh Co Ltd 手差し給紙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822B1 (ko) 2007-01-03
US20040178563A1 (en) 2004-09-16
US7549631B2 (en) 2009-06-23
CN1527152A (zh) 2004-09-08
CN100394313C (zh)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3746B2 (en) Sheet feed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83715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3219801B (zh) 原稿输送装置、图像读取装置和图像形成装置
CN110668214A (zh) 供纸装置以及具备其的图像形成装置
KR100663822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108342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2180706A (zh) 成像装置
JP2012030921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13538B2 (ja) 画像形成装置
US8360419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70343B2 (ja) 給紙装置、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EP1892580A2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nual paper feed tray
JP4136781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92681B2 (en) Sheet feed device for restricting noise gene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425048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0122815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US20230391570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3901147B2 (ja) 給紙ユニット
US11613442B2 (en) Sheet discharge device, and documen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include the same
JP2004269148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240174468A1 (en) Sheet feed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356910A (ja) 画像形成装置
JP3611539B2 (ja) 画像形成装置
JP3833451B2 (ja) 原稿自動分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97015B2 (ja) 給紙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