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470A -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 - Google Patents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470A
KR20040072470A KR1020040008168A KR20040008168A KR20040072470A KR 20040072470 A KR20040072470 A KR 20040072470A KR 1020040008168 A KR1020040008168 A KR 1020040008168A KR 20040008168 A KR20040008168 A KR 20040008168A KR 20040072470 A KR20040072470 A KR 2004007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weight
polypropylene
multilay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668B1 (ko
Inventor
텍상시와
르뒤이브
로베르빠뜨리스
Original Assignee
아토피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피나 filed Critical 아토피나
Publication of KR2004007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06B1/363Bay window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하기를 함유하는 연결체 (tie) 를 포함하는 다중층 구조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금속화된 필름이다:
- 하기를 함유하는 배합물 (A) 5 내지 50 중량%:
- 밀도 0.865 내지 0.915 의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C1) 90 내지 20 중량%, 및 비-메탈로센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중합체 (C2) 10 내지 80 중량% 로 이루어진, 중합체 (C1) 및 (C2) 의 그라프트 (graft) 된 배합물 5 내지 100 중량%,
- 폴리에틸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폴리에틸렌 (D) 95 내지 0 중량%;
(상기 배합물 (A) 는 하기와 같은 것임:
그라프트된 그라프팅 (grafting) 단량체의 함량이 30 내지 105ppm 이고;
MFI 즉 용융흐름지수 (ASTM D 1238, 190℃/2.16 ㎏ 하) 가 0.1 내지 30 g/10 분임);
-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50 내지 95 중량%.

Description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 {METALLIZED MULTILATER FILM}
본 발명은, 특히 이축 배향 또는 무배향 다중층 필름으로, 금속화되고,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BOPP) 필름 또는 이축 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OPET) 필름으로 적층된 것으로서, 프린팅 또는 비프린팅 된 경우 모두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 필름이 약해지는 경우에도 층간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는 다중층 필름을 사용한 포장 분야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이들 용접된 필름에서 제조된 새칫, 백, 파우치 또는 패킷 타입의 포장들에 특히 적용되며, 이의 조성물은 포장이 손에 의해 쉽게 열리도록 한다. 일례로, 크리스프, 비스킷, 단 것 또는 고기의 포장을 비제한적 예로 들 수 있다.
WO 01/34389 문헌은, 산소 및 물-증기 장벽 특성을 가지는 다중층 필름을 사용한 포장을 개시하는데, 이 포장은 열고자할 때 잘 안 열리는 문제를 가진다. 이는, 금속층이 가해진 폴리프로필렌층 및 금속층 사이의 탈적층화 때문이다.
포장 분야에서, 적당한 힘을 가해고 포장이 깨끗이 열리는 성질이 중요한데, 이로써 어른 및 아이 모두에 의해 개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름이 산소 및 물-중기 장벽 특성을 가지는 포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포장 내에 담긴 액체 또는 고체, 먹을 수 있는 것 또는 기타 등을 보존한다.
본 출원인은, (i) 대부분 폴리프로필렌 기재 및 (ii) 소량의 공그라프트 폴리에틸렌 (g-PE로 약칭) 또는 공그라프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배합물 및 (iii) 임의로 비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엘라스토머 기재의 조성물을 함유한 층 및 금속층 사이에 강한 접착을 가지는 필름을 발견하였다. 선행 기술과 달리, 용접 밴드 내에서 포장의 열림 문제에 대한 선택적인 탈적층화 또는 금속 및 PP층 사이의 박리가 없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이, 다른 곳의 다중층 구조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도 용접 밴드 내에서 깨끗이 열리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하나의 구현예를 나타내며, 상기의 금속화된 캐스트 (cast) 폴리프로필렌 (MCPP) 필름은 하기의 순서로 차례로 배열된 층 (1) 내지 (4) 를 가진 구조를 갖는다: 금속의 층 (1), 공그라프트 (cograft) 된 PE 및 LLDPE 의 배합물, LLDPE 의 배합물 및 PP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배합물의 층 (2), PP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층 (3) 및 열-밀봉에 적합한 중합체의 층 (4).
도 2는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라, 개방의 시도 실패후, 용접 밴드 (5a) 에 의해 폐쇄된 백 (bag) (6) 의 종단면을 보여주며, 상기 백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 금속의 층 (11), 신디오탁틱 PP 및 부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배합물 또는 신디오탁틱 PP 및 그라프트화 PP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배합물의 층 (12), PP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층 (13),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삼원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메탈로센 PE 의 층 (14).
도 3은 용접밴드내에서 개봉된 후의 본 발명에 따른 백의 종단면을 보여주며, 개방은 가장자리 (5b) 에 의해 정의되며, 백은 도 1 에 나타낸 다층 구조(층 1-4) 를 가진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하기를 함유하는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 하기를 함유하는 배합물 (A) 5 내지 50 중량%:
- 밀도 0.85 내지 0.915의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C1) 90 내지 20 중량%, 및 비-메탈로센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중합체 (C2) 10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진, 중합체 (C1) 및 (C2) 의 배합물로서, 그라프팅 단량체인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상기 산의 작용기성 유도체에 의해 공그라프트된 중합체 (C1) 및 (C2)의 배합물 5 내지 100 중량%,
- 폴리에틸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폴리에틸렌 (D) 95 내지 0 중량%;
(상기 배합물 (A) 는 하기와 같은 것임:
그라프트된 그라프팅 단량체의 함량이 30 내지 105ppm 이고;
MFI 즉 용융흐름지수 (ASTM D 1238, 190℃/2.16 ㎏ 하) 가 0.1 내지30 g/10 분임);
-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50 내지 95 중량%.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연결체 층을 함유한 다중층 구조와 관련된다.
한 구현에서, 다중층 구조는 연결체 층에 결합된 금속층을 가진다.
한 구현에서, 구조는, 금속층이 Al, Fe, Cu, Sn, Ni, Ag, Cr, 또는 Au 또는, 이들 금속 중 하나 이상을 과량으로 함유하는 합금의 층임을 그 선특징으로한다.
한 구현에서 다중층 구조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공폴리머 (3) 을 포함하여, 연결체 층 (2) 는 금속층 (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층 (3) 사이에 삽입 (sandwich)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현에서, 다중층은, 열-밀봉에 적합하고,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테르폴리머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메탈로센 PE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층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배합물은 상기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며, 프로필렌층은 연결체 층 및 상기 열결합에 적합한 층 사이에 삽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 상기 필름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금속화 다층 필름이 접착제에 의해서 적용된 이축 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OPET) 또는 인쇄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BOPP)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름은 이축으로 배향되거나 되지 않으며, 상기 금속화 다층필름의 금속층은 접착제에 의해서 인쇄된 BOPP 또는 BOPET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다층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연결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진 제품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 제품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필름으로 제조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 제품은 포장재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추가로 상술한다. 본 발명의 제품인 포장재는 금속화 캐스트 PP (간략하게는 MCPP) 로 제조된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필름은 하기의 형태의 구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 BOPP 또는 BOPET 층/잉크 층/접착제 층/MCPP 필름.
MCPP 필름은 하기의 형태를 갖는, 도 1 에 나타낸 다층 구조를 갖는다 : 층 (1)/층 (2)/층 (3)/층 (4), 이의 조성은 하기에 주어질 것이다.
따라서, MCPP 필름내에는, 하기 순서로 차례로 배열된 하기의 층들이 존재한다 :BOPP 또는 BOPET 층/잉크 층/접착제 층/층 (1)/층 (2)/층 (3)/층 (4).
층 (1) 은 층 (2) 에 적용되는 금속층이다. 예컨대, 이는 Al, Fe, Cu, Sn, Ni, Ag, Cr, Au 또는 상기 금속중 하나 이상을 주로 포함하는 합금과 같은 금속의 호일 또는 필름일 수 있다.
층 (3) 은 PP 층이다. 층 (3) 의 폴리프로필렌은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단량체로는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
α-올레핀, 유리하게는 탄소수 2 내지 30 의 α-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1-도코센, 1-테트라코센, 1-헥사코센, 1-옥타코센 및 1-트리아콘텐. 상기 α-올레핀은 그자체로 또는 이의 둘 이상의 배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디엔.
폴리프로필렌은 또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층 (3) 은 몇가지 중합체의 배합물을 함유하며, 여기에서 50 몰%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약 75 몰% 이상의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이 존재한다. 예로서, 층 (3) 의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EPDM 또는 폴리프로필렌/EPR 배합물일 수 있다.
PP 동종중합체로서, 8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95 % 의 아이소택틱 PP 를 언급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는, ASTM D1238 에 따라 측정하여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g/10 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g/10 분의 MFI (용융흐름지수) 를 갖는다.
층 (4) 는 열-밀봉에 적합한 층이다. 이는 예로서,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삼원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 PE 또는 그의 배합물 (상기 언급된 화합물들의 둘 이상의 배합물) 을 함유한다. 유리하게는, 층 (4) 는 공단량체로서 주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삼원중합체를 함유한다.
층 (2) 는 하기를 함유하는 배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 (A) 의 배합물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 중합체 (B) 5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
중합체 (D) 와 임의 배합되는 배합물 (C) 에 의해 정의되는 배합물 (A) 의 경우, 이는 하기를 함유한다:
- 5 내지 100 중량% (배합물 (A) 에 대해) 의 배합물 (C), 이는 밀도가 0.865 내지 0.915 인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C1) 80 내지 20 중량% (배합물 (C) 에 대해), 및 비-메탈로센 LLDPE (C2) 20 내지 80 중량% (배합물 (C) 에 대해) 로 이루어지고, 중합체 (C1) 및 (C2) 의 배합물은 그라프팅 단량체로서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이 산의 작용기성 유도체에 의해 공그라프트됨; 및
-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된 95 내지 0 중량% 의 폴리에틸렌 (D) (배합물 (A) 에 대해);
상기 배합물 (A) 는
- 그라프트된 그라프팅 단량체의 함량이 30 내지 105 ppm 이고;
- MFI 또는 용융흐름지수 (ASTM D 1238, 190 ℃/2.16 kg) 가 0.1 내지
30 g/10 분이다.
중합체 (C1) 에 있어서,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에틸렌과 α-올레핀, 예로서 프로필렌, 부텐, 헥센 또는 옥텐을, 지르코늄 또는 티타늄일 수 있는 금속 원자, 및 상기 금속에 연결된 2 개의 알킬 시클릭 분자로 일반적으로 이루어진 단일부위 촉매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탈로센 촉매는 일반적으로 상기 금속에 연결된 두 개의 시클로펜타디엔 고리로 구성된다. 이들 촉매는 종종 공촉매 또는 활성화제로서 알루미녹산, 바람직하게는 메틸알루미녹산 (MAO) 과 함께 사용된다. 하프늄 또한 시클로펜타디엔이 부착되는 금속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메탈로센은 IVA, VA 및 VIA 족의 전이 금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란탄계 금속들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그들의 Mw/Mn비율 <3, 바람직하게는 < 2 에 의해 특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Mw및 Mn은 각각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도 MFR (용융 흐름 속도) < 6.53 이고, Mw/Mn 비 > (MFR-4.63) 인 것들을 의미한다. MFR 은 MFI2(2.16 kg 하중 하의 MFI) 에 대한 MFI10(10 kg 하중 하의 MFI) 의 비율을 의미한다. 기타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6.13 이상의 MFR 및 (MFR-4.63) 값 이하의 Mw/Mn 비율에 의해 정의된다.
유리하게는, (C1) 의 밀도는 0.870 내지 0.900 이다.
중합체 (C2) 의 경우, 이는 메탈로센 기원이 아닌 LLDPE 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공단량체로서 예로서 α-올레핀 또는 디엔과의 공중합체이다. 중합체 (C2) 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은 유리하게는 3 내지 30 개의 탄소수를 갖는다.
3 내지 30 개의 탄소수를 갖는 α-올레핀의 예는 에틸렌 (PP 의 공단량체만), 프로필렌 (PE 의 공단량체만),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1-도코센, 1-테트라코센, 1-헥사코센, 1-옥타코센 및 1-트리아콘텐을 함유한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배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C2) 의 밀도는 유리하게는 0.900 내지 0.950 이다. (C2) 의 MFI 는 0.1 내지 8 g/10분 (190 ℃/2.16 kg) 이다.
(C1)/(C2) 배합물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작용성 유도체의 기로부터 얻어진 그라프팅 단량체에 의해 그라프트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예에는 탄수소가 2 내지 20 인 것들,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이 있다. 이들 산의 작용성 유도체에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에스테르 유도체, 아미드 유도체, 이미드 유도체 및 금속염 (예컨대, 알칼리 금속염) 이 포함된다.
탄수소 4 내지 10 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이의 작용성 유도체, 특히 이들의 무수물은 특히 바람직한 그라프팅 단량체이다.
이들 그라프팅 단량체에는, 예를 들어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알릴숙신산, 시클로헥스-4-엔-1,2-디카르복실산, 4-메틸시클로헥스-4-엔-1,2-디카르복실산, 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실산 및x-메틸비시클로[2.1.1]헵트-5-엔-2,2-디카르복실산, 및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알릴숙신산, 시클로헥스-4-엔-1,2-디카르복실산, 4-메틸렌시클로헥스-4-엔-1,2-디카르복실산, 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실산 및 x-메틸-비시클로[2.1.1]헵트-5-엔-2,2-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이 포함된다.
기타 그라프팅 단량체의 예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 또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유도체,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모노에틸 말레에이트, 디에틸 말레레이트, 모노에틸 푸마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모노메틸 이타코네이트 및 디에틸 아타코네이트;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아미드 유도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산의 모노아미드, 말레산의 디아미드, 말레산의 N-모노에틸아미드, 말레산의 N,N-디에틸아미드, 말레산의 N-모노부틸아미드, 말레산의 N,N-디부틸아미드, 푸마르산의 모노아미드, 푸마르산의 디아미드, 푸마르산의 N-모노에틸아미드, 푸마르산의 N,N-디에틸아미드, 푸마르산의 N-모노부틸아미드 및 푸마르산의 N,N-디부틸아미드;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미드 유도체, 예컨대 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 아크릴레이트, 나트륨 메타크릴레이트, 칼륨 아크릴레이트 및 칼륨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C1) 및 (C2) 의 배합물 상으로 그라프팅 단량체를 그라프트하기 위해서, 각종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라프팅 단량체의 양은 적당한 방식으로 선택되고, 그라프트된 (C1) 및 (C2) 의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600 ppm 내지 5000 ppm 이다. 그라프트된 단량체의 양은, FTIR 분광계에 의해서 숙신산 작용기를 검사함으로써 결정된다. (C), 즉 공그라프트되는 (C1) 및 (C2) 의 MFI 은 0.1 내지 10 g/10 분이다.
폴리에틸렌 (D) 에 관하여, 이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단량체로서 (C2) 에 대해서 상기 정의된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또는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와의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에는, 예를 들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의 알킬은 탄소수가 1 내지 24 이다) 가 있다.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예에는,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포화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에는,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폴리에틸렌 (D) 는 고밀도 PE (HDPE), 저밀도 PE (LDPE), 선형 저밀도 PE (LLDPE), 초저밀도 PE (VLDPE) 또는 메탈로센 PE 일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D) 는 엘라스토머 특성을 갖는 중합체일 수 있고, 즉 이는 (i) 상온에서 두 배의 길이로 신장시키고, 상기 신장 상태를 5 분동안 유지하면, 풀어진 후에 개시 길이로부터 10% 미만의 상이한 길이로 되돌려질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ASTM D412 의 의미내의 엘라스토머; 또는 (ii) 상기 특성을 정확하게 갖지는 않지만, 신장된 후 대략 개시 길이로 되돌려질 수 있는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 EP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EPD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및
- 스티렌 엘라스토머, 예컨대 SBR (스티렌/부타디엔/고무), S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테렌) 블록 공중합체 및 SI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유리하게는, 폴리에틸렌 (D) 는 0.900 내지 0.935 사이의 밀도를 갖는 LLDPE, 또는 0.935 내지 0.950 사이의 밀도를 갖는 HDPE 이다.
유리하게는, 중합체 (C) 및 (D) 의 배합물 (A) 내의 분율은 90 내지 70 중량% 의 (D) 당 각각 10 내지 30 중량% 의 (C) 이다.
배합물 (A) 가 희석된 중합체 (B) 에 관하여, 이는 PP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이다. 공단량체로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α-올레핀, 유리하게는 탄소수 2 내지 30 의 α-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1-도코센, 1-테트라코센, 1-헥사코센, 1-옥타코센 및 1-트리아콘텐. 이들 α-올레핀은 그 자체로 또는 둘 이상의 배합물로 사용될 수 있음;
디엔.
폴리프로필렌은 또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중합체 (B) 는,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상의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이 존재하는, 몇몇 중합체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예로서, 중합체 (B) 는 폴리프로필렌/EPDM 또는 폴리프로필렌/EPR 배합물일 수 있다.
층 (1), (2), (3) 및 (4) 는 층 (1) 의 경우 50 내지 500 옹스트롬, 층 (2) 의 경우 2 내지 6 ㎛, 층 (3) 의 경우 5 내지 30 ㎛, 층 (4) 의 경우 2 내지 10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층 (2), (3) 및 (4) 는 금속층 (1) 을 적용하기 전에, 공압출 공정에 의해 함께 적층될 수 있다. 층 (1) 에 관해서는, 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증기 증착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진공 하에 증착된다.
금속층 (1) 은 우수한 산소 및 수-증기 배리어 (barrier) 를 구성한다.
층 (2), (3) 및 (4) 의 조성물은, 10 ppm 내지 5% 의 함량을 갖는 폴리올레핀 처리에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컨대 치환 페놀성 분자 기재 산화방지제, UV 차단제, 가공 조제, 예컨대 지방 아미드, 스테아르산 및 그의 염, 불화중합체 (압출 결함을 피하기 위한 작용제로서 알려짐), 아민계 김서림방지제, 블로킹방지제, 예컨대 실리카 또는 탈크, 및 염료와 핵제를 갖는 마스터 배치를 함유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결과를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명백히 보여준다. 이들 도면에서 보여진 백은, 우선도 2의 경우 다층 구조물 (11, 12, 13, 14) 로둘러싸이고,도 3의 경우 다층 구조물 (1, 2, 3, 4) 로 둘러싸인 포켓 (pocket) 을 포함하고, 층 (4) 또는 (14) 가 포켓의 내부와 접촉되어있는 한편, 금속층 (1) 또는 (11) 이 포켓의 외부와 접촉되어 있는, 빳빳한 패킷 (crisp packet) 과 유사하다. 2 개의 백 또는 패킷은 그들을 구성하는 다층 필름의 용접 스트립 (5a) 로 밀봉되고, 백 (6) 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각각의 용접 가장자리 (5b) 의 층 (4) 또는 (14) 는 그 자체에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패킷을 열기 위해, 이들 두 패킷에 대해, 용접 밴드 (5a) 를 접합하는 영역의 각 측면 상에서 동일한 힘 (f) 를 적용한다. 상기 도면에 제시된 방향으로 패킷의 각 측면 상에 동일한 힘 (f) 를 가함으로써, 패킷이 선행 기술에 따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인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패킷인지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이 관찰되었다.도 2의 백 또는 패킷의 경우, 함께 결합된 채로 존재하는 층 (12), (13) 및 (14) 로부터 금속층 (11) 의 층간박리 (delamination), 즉 분리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층 (11) 을 층간박리시키기 위한 힘은 용접 밴드 (5a) 를 파열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 적다고 말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경우의 백은 열기가 어렵고, 금속층 (11) 이 먼저 탈결합된다.
도 3의 경우, 층 (1), (2), (3) 및 (4) 의 탈결합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오히려 백의 용접 밴드 내의 파손으로, 패킷이 가장자리 (5b) 를 통해 열렸다. 금속층 (11) 의 접착 강도는 용접 밴드 (5a) 를 파열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욱 크므로, 백이 열리도록 한다.
필름 견본 1 내지 8 (하기 표 1 참조) 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은 BOPP (대략20 ㎛)/잉크 층/액체 접착층/MCPP 필름 (대략 25 ㎛) 유형의 다층 구조를 가진다.
MCPP 필름은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4층 구조를 가졌다. 즉:
두께가 250 Å 인 Al 층 (1);
하기를 함유하는, 두께가 3 ㎛ 인 층 (2):
ㆍ(C1)/(C2) 배합물이 0.8 %의 그라프트도로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공단량체로서 1-옥텐을 가지고 밀도 d=0.870 인 메탈로센 PE (C1) 및 공단량체로서 1-부텐을 가지고 밀도 d=0.920 인 LLDPE (C2) 25 중량% 및 공단량체로서 1-부텐을 가지고 d=0.910 인 LLDPE (D) 75 중량% 를 그 자체로서 함유하는 배합물 (A) X 중량%,
ㆍMFI=7 및 d=0.900 인 PP 단일중합체 Y 중량% 및
ㆍ표 1 의 두 번째 열에 제시되는 X 값 및 100 - X 인 Y 값;
MFI=7 및 d=0.900 인 PP 단일중합체의 두께가 17 ㎛ 인 층 (3);
주로 프로필렌을 가지고; MFI=7, d=0.900 이고; 굴곡 탄성율 = 1000 mPa 인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 PP 의 두께가 5 ㎛ 인 층 (4); 및
[g/cm3으로 표시되고, 1900 mPa 에서 ASTM D790 표준에 따라 측정된 d 및 230 ℃ 에서 ASTM D 1238 표준에 따라 g/10 분으로 표시되는 MFI 또는 용융흐름지수].
층 (1), (3) 및 (4) 는 견본 1 내지 8 의 경우에 동일하다. 오직 층 (2) 만이 중량% 로 표시되는 X 및 Y 의 비율 때문에 다르다. 이어서 밀봉된 백을 제조하였고, 박리 강도를 g/15 mm 로 측정하였다.
5 내지 50 % 의 배합물 (A) 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에, Al 층이 층 (2) 에 강하게 결합되어,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층 (2) 가 실패하고 , 반면, (*) 로 표시되는 경우에, Al 층이 층 (2) 에 더 약하게 결합되어,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Al 층과 층 (2) 의 사이 공간이 실패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5 내지 50 % 의 함량으로 배합물 (A) 를 함유하는 필름이 본 발명에 따른 백, 봉지 (sachet), 포켓 및 갑 (packet) 의 제조에 적합하다.
견본 층 (2) 중배합물 (A) 의 중량% 밀봉 직후 측정한박리 강도 (g/15 mm) 밀봉 1 개월 후 측정한박리 강도 (g/15 mm)
8 0 % 50* 30*
1 5 % 186 40
2 10 % 198 80
3 20 % 219 132
4 30 % 212 180
5 40 % 240* 210
6 50 % * 240
7 100 % * *
*Al 필름의 박리
상기 언급한 다른 금속으로 수행된 시험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본 발명은, 특히 이축 배향 또는 무배향 다중층 필름으로, 금속화되고,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BOPP) 필름 또는 이축 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OPET) 필름으로 적층된 것으로서, 프린팅 또는 비프린팅 된 경우 모두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 필름이 약해지는 경우에도 층간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는 다중층 필름을 사용한 포장재를 제공한다.

Claims (12)

  1. 하기를 함유하는 연결체 (tie):
    - 하기를 함유하는 배합물 (A) 5 내지 50 중량%:
    - 밀도 0.865 내지 0.915 의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C1) 90 내지 20 중량%, 및 비-메탈로센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중합체 (C2) 10 내지 80 중량% 로 이루어진, 중합체 (C1) 및 (C2) 의 배합물로서, 그라프팅 (grafting) 단량체로서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상기 산의 작용기성 유도체에 의해 공그라프트 (cograft) 된 중합체 (C1) 및 (C2) 의 배합물 5 내지 100 중량%,
    - 폴리에틸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폴리에틸렌 (D) 95 내지 0 중량%;
    (상기 배합물 (A) 는 하기와 같은 것임:
    그라프트된 그라프팅 단량체의 함량이 30 내지 105ppm 이고;
    MFI 즉 용융흐름지수 (ASTM D 1238, 190℃/2.16 ㎏ 하) 가 0.1 내지 30 g/10 분임);
    -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50 내지 95 중량%.
  2. 제 1 항에 따른 연결체의 층 (2) 를 포함하는 다중층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체 층 (2) 에 결합된 금속층 (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층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Al, Fe, Cu, Sn, Ni, Ag, Cr 또는 Au, 또는 이들 금속 중 하나 이상을 주로 함유하는 합금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층 (3)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 층 (2) 가 금속층 (1) 과 상기 폴리프로필렌 층 (2) 사이에 삽입 (sandwich)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층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층 (4) 를 포함하는데, 폴리프로필렌 층 (3) 이 연결체 층 (2) 와 상기 층 (4)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층 (4) 는 열-밀봉에 적합하고,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삼원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메탈로센 PE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함유하며, 이 경우 상기 배합물은 둘 이상의 상기 언급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층 구조물.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필름.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물을 갖는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이 접착제에 의해 도포된, 인쇄된 이축배향 폴리프로필렌 (BOPP) 또는 이축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OPET) 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이축배향 되거나 되지 않으며, 상기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의 금속층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인쇄된 BOPP 또는 BOPET 층에 직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9. 제 1 항에 따른 연결체의,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층 구조물의 제조에서의 용도.
  10.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층 구조물을 갖는 물품.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물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포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040008168A 2003-02-07 2004-02-07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 KR100629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1458A FR2850975B1 (fr) 2003-02-07 2003-02-07 Objet fabrique avec un film multicouche metallise ou une structure multicouche comprenant une couche de liant a base de pe et llpde
FR0301458 2003-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470A true KR20040072470A (ko) 2004-08-18
KR100629668B1 KR100629668B1 (ko) 2006-09-29

Family

ID=3273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168A KR100629668B1 (ko) 2003-02-07 2004-02-07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80131672A1 (ko)
EP (1) EP1606367A2 (ko)
JP (2) JP2004263171A (ko)
KR (1) KR100629668B1 (ko)
CN (1) CN100523108C (ko)
AU (1) AU2004200499B2 (ko)
BR (1) BRPI0401000A (ko)
CA (1) CA2456668C (ko)
FR (1) FR2850975B1 (ko)
IL (1) IL160279A (ko)
MX (1) MXPA04001232A (ko)
MY (1) MY140678A (ko)
NO (1) NO20040574L (ko)
NZ (1) NZ531048A (ko)
SG (1) SG115614A1 (ko)
TW (1) TW200426024A (ko)
WO (1) WO20040722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7256A1 (en) * 2004-01-26 2005-07-27 Arkema Copolyester-based structure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hollow bodies by coextrusion blow-molding
FR2886307B1 (fr) * 2005-05-26 2007-07-13 Arkema Sa Liant de coextrusion de pe et pp cogreffes dilues dans un pe non greffe.
US7550533B2 (en) * 2005-07-01 2009-06-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cid anhydride-grafted polyolefin
GB2439728B (en) * 2006-07-03 2010-07-21 Fuji Seal Int Inc Heat-shrinkable film
WO2010147703A2 (en) * 2009-06-19 2010-12-23 Exxonmobil Oil Corporation Metallized polypropylene film and a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5566238B2 (ja) * 2010-09-29 2014-08-06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136644A1 (en) * 2011-04-08 2012-10-11 Ineos Europe Ag Laminate comprising a polyolefin layer adhered to a base layer
FR2994435B1 (fr) 2012-08-09 2014-10-24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meres a base de pla
CN103756128A (zh) * 2013-12-18 2014-04-30 芜湖万润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电容器用等规聚乙烯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FR3014891B1 (fr) * 2013-12-18 2016-11-04 Arkema France Liant pour structure multicouche
US20150183980A1 (en) * 2014-01-02 2015-07-02 Evergreen Packaging, Inc.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Based Tie Resin for Co-Extrusion
CN103786387A (zh) * 2014-02-20 2014-05-14 福建凯达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镀铝流涎聚丙烯
CN103865148A (zh) * 2014-03-04 2014-06-18 芜湖市艾德森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复合聚乙烯电容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834104A (zh) * 2014-03-04 2014-06-04 芜湖市艾德森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综合性能好的电容器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865161A (zh) * 2014-03-04 2014-06-18 芜湖市艾德森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超薄电容器用金属化膜及其制备方法
CN103834082A (zh) * 2014-03-04 2014-06-04 芜湖市艾德森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以低密度聚乙烯为基体的电容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834092A (zh) * 2014-03-04 2014-06-04 芜湖市艾德森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物理性能优异的电容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923385B (zh) * 2014-04-10 2016-04-06 铜陵市新洲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牢度电容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923386B (zh) * 2014-04-10 2016-08-17 铜陵市新洲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聚丙烯电容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937098B (zh) * 2014-04-12 2016-06-08 安徽江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综合性能优良的电容器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937104B (zh) * 2014-04-12 2016-06-08 安徽江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阻燃抗击穿等规聚丙烯电容器用金属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04449470B (zh) * 2014-12-12 2016-08-24 广州市合诚化学有限公司 一种用于阻隔复合软管的粘接树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527987A (zh) * 2018-04-08 2018-09-14 常州钟恒新材料有限公司 一种改进型bopet涂布中离型膜
CN108544818A (zh) * 2018-04-08 2018-09-18 常州钟恒新材料有限公司 一种改进型bopet涂布离型膜
CN113621196B (zh) * 2021-08-23 2023-01-17 中国科学技术大学先进技术研究院 一种聚乙烯强力交叉膜及其制备方法、以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84A (en) * 1894-09-04 Pill-machine
BE573836A (ko) * 1957-12-12
US3920587A (en) * 1972-08-11 1975-11-18 Union Carbide Corp Open-cell rigid polyether polyurethane foam
US4058493A (en) * 1974-12-27 1977-11-15 Union Carbide Corporation Polyester urethane foam produced with cyano-ether polysiloxane-polyoxyalkylene copolymers
US4085244A (en) * 1976-02-10 1978-04-18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Balanced orientated flexible packaging composite
US4472555A (en) * 1980-08-15 1984-09-18 Chemplex Company Adhesive blends containing ethylene polymer grafted with carboxylic reactant
CA1150882A (en) * 1980-08-15 1983-07-26 Seymour Schmukler Adhesive blends and composite structures
US4477532A (en) * 1980-08-15 1984-10-16 Chemplex Company Composite structures
US4419408A (en) * 1981-12-04 1983-12-06 Chemplex Company Composite structures
US4430135A (en) * 1981-12-04 1984-02-07 Chemplex Company Adhesive blends and methods of making composite structures
US4452942A (en) * 1982-02-19 1984-06-05 Chemplex Company Adhesive blends containing anacid or anhydride grafted LLDPE
DE3709252A1 (de) * 1987-03-20 1988-09-29 Hoechst Ag Metallisierbare mehrschichtfoli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4874656A (en) * 1988-04-27 1989-10-17 A. Ahlstron Corporation Multi-layer packaging material
GB8911609D0 (en) * 1989-05-19 1989-07-05 Bp Chem Int Ltd Adhesive blends and multi-layered structures comprising the adhesive blends
US4933374A (en) * 1989-05-24 1990-06-12 R. T. Vanderbilt Company, Inc. Stabilizer compositions for polyols and polyurethane foam
JPH0435938A (ja) * 1990-05-31 1992-02-06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金属調光沢を有する積層フィルム
US5143943A (en) * 1992-02-18 1992-09-01 R. T. Vanderbilt Company, Inc. Synergistic stabilizer compositions for polyols and polyurethane foam
US6165610A (en) * 1993-01-14 2000-12-26 Printpack Illinois, Inc. Metallized film comprising blend of polyester and ethylene copolymers
JPH07266516A (ja) * 1994-03-30 1995-10-17 Toray Ind Inc 金属蒸着用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複合フイルム
US5824746A (en) * 1995-01-24 1998-10-20 Acushnet Company Golf balls incorporating foamed metallocene catalyzed polymer
CN1073131C (zh) * 1995-08-15 2001-10-17 三井化学株式会社 粘性聚丙烯树脂组合物及使用该树脂组合物的多层层合体
EP0802207B1 (fr) * 1996-04-19 2001-10-24 Atofina Liant de coextrusion à base d'un mélange de polyoléfines cogreffées
US6013353A (en) * 1996-05-07 2000-01-11 Mobil Oil Corporation Metallized multilayer packaging film
JP3223157B2 (ja) * 1998-02-20 2001-10-29 アキレス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樹脂製多層フィルム又はシート
EP0999932B1 (fr) * 1998-05-26 2004-12-29 Atofina Structures comprenant du polyethylene moyenne densite et liants utilises dans ces structures
US6599595B1 (en) * 1998-08-07 2003-07-29 Ferro Corporation Multilayer polymer composite for medical applications
US6503635B1 (en) * 1999-11-08 2003-01-07 Exxon Mobil Oil Corporation Metallized multi-layer film
FR2806734A1 (fr) * 2000-03-24 2001-09-28 Atofina Liant de coextrusion a base de polyethylene metallocene cogref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60279A (en) 2010-04-15
CN100523108C (zh) 2009-08-05
TW200426024A (en) 2004-12-01
MXPA04001232A (es) 2005-06-17
CA2456668A1 (fr) 2004-08-07
AU2004200499B2 (en) 2005-10-20
US20080131672A1 (en) 2008-06-05
CN1532248A (zh) 2004-09-29
CA2456668C (fr) 2010-02-02
SG115614A1 (en) 2005-10-28
JP2006299258A (ja) 2006-11-02
NZ531048A (en) 2005-06-24
FR2850975A1 (fr) 2004-08-13
WO2004072200A2 (fr) 2004-08-26
AU2004200499A1 (en) 2004-08-26
MY140678A (en) 2010-01-15
IL160279A0 (en) 2004-07-25
WO2004072200A3 (fr) 2004-10-21
JP2004263171A (ja) 2004-09-24
EP1606367A2 (fr) 2005-12-21
KR100629668B1 (ko) 2006-09-29
FR2850975B1 (fr) 2006-07-07
BRPI0401000A (pt) 2004-11-09
NO20040574L (no) 2004-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668B1 (ko) 금속화된 다중층 필름
KR100222141B1 (ko) 접착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다층 적층필름
US7510775B2 (en) Composition based on isotactic polypropylene obtained by metallocene catalysis and on grafted isotactic polypropylene obtained by ziegler-natta catalysis
US6184298B1 (en) Adhesive compositions based on blends of grafted polyethylenes and non-grafted polyethylenes and styrene container rubber
US6960392B2 (en) Structure comprising a binder layer non-delaminable with respect to a metallized substrate and peelable with respect to a polypropylene substrate
WO2006104058A1 (ja) プロピレン系接着剤用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積層体
JP6262071B2 (ja)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4620278B2 (ja) 金属化基材に対しては層間剥離不可能で、ポリプロピレン基材に対して剥離可能なバインダー層を含む構造物
KR100190435B1 (ko) 다층 적층필름
JP2001294836A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EP1561574B1 (fr) Film multicouche métallisé
JP2012206438A (ja) 多層フィルム及び輸液バッグの外装袋
JP2017056721A (ja) 積層体及びそれよりなる蓋材
JP4008070B2 (ja) シール材料
JPH10166529A (ja) 積層フィルム
JP3719804B2 (ja) 接着性ポリエチレン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を用いた多層積層フィルム
JPH0157673B2 (ko)
JP2013067733A (ja) 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用樹脂組成物、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およびレトルト食品用包装材
JP2018171807A (ja)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JP2021138798A (ja) 接着性樹脂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4292504A (ja) 蒸着用プロピレン系重合体フィルム及び蒸着フィルム
JP2001088249A (ja) 透明性に優れた積層体
JP2018171808A (ja)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JP2000248246A (ja) 接着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H04288383A (ja) 透明性に優れた接着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