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723A -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이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이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723A
KR20040066723A KR1020040003353A KR20040003353A KR20040066723A KR 20040066723 A KR20040066723 A KR 20040066723A KR 1020040003353 A KR1020040003353 A KR 1020040003353A KR 20040003353 A KR20040003353 A KR 20040003353A KR 20040066723 A KR20040066723 A KR 20040066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license
eng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하라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9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183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288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88855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3Needle cushions or needle plates for supporting flowers in pots o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인증되지 않은 이용자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은: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기지국; 및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량 통신 수단; 및 차량을 운전하는데 필수적인 작동을 수행하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잠금 해제 요소가 차량이 이용되는 것을 허용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차량 잠금 해제 요소가 차량이 이용되는 것을 불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가지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이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는 차량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인증되지 않은 사람의 이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할 목적으로 많은 차량 보안 시스템이 제공되어 왔다.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 중의 하나의 전형적인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이 일본국 특개2003-12009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은, 이용자가 자신의 전자 키를 입력하여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인증 정보 입력 수단(600), 등록 인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601),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602),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 로크 조작 유닛(603), 차량 내의 전기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제어 유닛(604), 그리고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어 유닛(605)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 유닛(602)은, 인증 정보 입력 수단(600)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저장 장치(601)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인증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사람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 로크 조작 유닛(603)을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하도록 작동한다. 더욱이, 제어 유닛(602)은, 전원 제어 유닛(604) 또는 엔진 제어 유닛(605)을 제어하여 인증되지 않은 사람이 차량을 운전하지 못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전체 작동에 대한 설명을 단순화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키가 설명되어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기만 한다면, 전자 키는 예를 들면 기계 키, ID 카드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은,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이라 하더라도 전자 키를 분실하면 차량 보안 시스템이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이용자는 도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전문가를 불러야 하고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까지 장시간 기다려야 한다.
더욱이,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은, 이용자의 운전 면허가 유효한지 여부에 관계 없이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이라고 판단되기만 하면 이용자는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고 하는 또 다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으로서,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전자 키를 분실하였더라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전자 키를 분실하였더라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으로서,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으로 판단되더라도 이용자의 운전 면허가 유효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으로 판단되더라도 이용자의 운전 면허가 유효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서,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전자 키를 분실하였더라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보안 제어 장치로서,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으로 판단되더라도 이용자의 운전 면허가 유효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에 부가된 여러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할 때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보안 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보안 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의 부분을 형성하는 차량 안전 제어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의 부분을 형성하는 운전자 면허 조정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차량 보안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차량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차량 보안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운전자 면허 조정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그리고
도 10은 종래의 차량 보안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양태에 따르면,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차량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이 제공 되며, 이 차량 보안 시스템은 차량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으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그리고 차량에 제공된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 수단; 및 차량을 운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작동을 수행하고,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차량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 개의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차량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로크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로크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로크 제어 수단은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로크를 잠그는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로크를 제어한다. 기지국은 제어 신호로서 인증 신호와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인증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운전 가부를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운전 인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로크 제어 수단은 운전 인증 유닛에 의해 인증 신호가 생성될 때에만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서 로크 제어 수단이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을 취하도록 작동된다. 기지국이 복수의 차량 및 복수의 차량 이용자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부터 송신된 잠금 해제 요구에 따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기지국은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부터 잠금 해제 요구를 수신할 때 수집된 정보와 차량 잠금 해제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때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차량 통신 수단은 공중전화 통신망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한 차량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엔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엔진 작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한다.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휴대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전자 운전 면허증; 및 차량에 제공되어 있으며,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판독하는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차량 통신 수단은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의해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기지국은 복수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각각 대응하는 저장된 복수의 운전자 정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 중에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이 허용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허용 신호와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은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엔진 작동 제어 장치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허용 신호에 따라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불허 신호에 따라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가 복수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운전자 정보 저장 수단; 운전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 중에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자 정보선택 수단; 상기와 같이 선택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한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운전 가부 판단 수단; 그리고 운전 가부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신호 송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정보 요소 각각은 전자 운전 면허증의 소지자에 대한 정보, 전자 운전 면허증이 실효되었는지 아닌지 여부, 그리고 교통 사고의 기록, 교통 위반의 기록, 및 교통 범칙금의 납부의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는 운전자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전자 운전 면허증의 소지자에게 제공되기 위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통지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제어 신호 송신 수단은 통지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통지 정보를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그리고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통지 정보를 제공하는 통지 정보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통지 정보가 제공된 후에 이용자의 통지 확인 정보에 따라 통지 확인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그리고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통지 확인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는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허용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작동될 수 있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통지 확인 정보 신호를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통지 확인 정보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는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된 날에기초하여 실효일을 산정하는 실효일 산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그리고 실효일 산정 수단은 운전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에 상기와 같이 산정된 실효일을 기입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은 운전자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전자 운전 면허증이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해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하여 송신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전자 운전 면허증에 기입하는 운전자 정보 기입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은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더욱 판독할 수 있고,그리고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차량 통신 수단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운전자 정보 요소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은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그리고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이용자 확인 정보 송신 유닛이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이용자 확인 정보 요소를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할 때마다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 때에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엔진이 정지할 때까지는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을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불허 신호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저장하는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수단, 및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는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그리고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인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인증 신호 및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양태에 따르면, 차량 보안 제어 장치가 제공되고, 이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판독하는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 그리고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엔진의 작동이 허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허가 신호와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을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 작동 제어 장치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 양태에 따르면, 차량 잠금 해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수단 및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서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로크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양태에 따르면,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차량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이 제어 방법은 차량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으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그리고 차량에 제공된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 수단; 및 차량을 운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작동을 수행하고,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차량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 개의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그리고 차량 잠금 해제 요소가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차량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 개의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100)의 제 1 실시예는 지금 도 1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차량 보안 시스템(100)의 구성이 먼저 설명될것이다.
도면중 도 1을 참조하면, 인증받지 않은 사람에 의한 이용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이 차량 보안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되고, 차량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기지국(102) 및 차량에 구비된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를 포함하고 있다. 이 기지국(102)은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용된다. 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량 통신 유닛(111)으로, 그리고 차량을 운전하는데 동작이 필요한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로 구성되는 차량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는 예를 들면 도어 로크, 전원 공급 유닛, 엔진 동작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가 차량을 이용할 때의 차량 운전 상태 및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가 차량이 이용됨을 방지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개의 동작 상태를 추정하여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가 차량을 차량 통신 유닛(111)에 의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이용될 수 있는 차량 운전 상태를 추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CPU"로서 간단하게 이후에 참조되는 중앙 처리 유닛을 갖추고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CPU"로서 간단하게 이후에 참조되는 중앙 처리 유닛을 갖추고 있다.
다음 설명은 차량 이용자가 차량의 전자 키이를 분실을 했을 경우에 플로우차트를 구비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100)의 제 1 실시예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이용하고 그리고 복수의 차량 및 복수의 차량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102), 그리고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의 CPU에 의하여 제어되는 프로세스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차량의 이용자는 송신기의 방식에 의하여 차량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요구를 기지국(102)에 송신하고, 이 기지국은 차량의 전자 키이에 대한 정보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이 송신기는 이용자의 휴대 전화이다. 이 기지국(102)은 휴대 전화의 전화 번호에 기초한 인증자에 의하여 송신된 잠금 해제 요구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동작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 이용자는 잠금 해제 요구를 송신할 시 휴대 전화에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고, 그리고 이 기지국(102)은 패스워드의 기초하여 인증자에 의하여 송신된 잠금 해제 요구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 기지국(102)은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잠금 해제 요구의 기록으로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로부터 잠금 해제 요구를 수신할 때 수집되는 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으로 구성되는 저장 수단으로 구비된다. 잠금 해제 요구를 수신할 때 수집된 정보는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요구가 수신된 날짜 및 시간, 이용자의 패스워드, 전화 번호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지국(102)의 저장 유닛은 따라서 잠금 해제 요구 데이터베이스 기록으로 구성되어 소용되어, 잠금 해제 요구 이후에 재검토가 가능하다.
인증자에 의하여 잠금 해제 요구가 송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이 기지국(102)은 차량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동작된다. 다른 한편으로, 인증자에 의하여 잠금 해제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단될 때, 이 기지국(102)은 제어 신호를 차량에 송신하도록 동작된다.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의 차량 통신 유닛(111)은 기지국(102)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되고, 그리고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112)가 차량을 차량 통신 수단(111)에 의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이용되게 하는 차량 운전 상태를 추정하여 동작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차량 보안 시스템(100)에 따라 구성된 제 1 실시예는 기지국(102)에 의하여 원격으로 기동되고 기동되지 않을 수 있어서, 이용자가 전자 키이를 분실했을 경우 조차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차량 보안 시스템의 모든 동작에 대하여 이해를 돕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전자 키이만을 설명하였다. 실제로, 이 전자 키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계적인 키이, ID 카드,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설명되었을 지라도, 제 1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는 이때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도면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의 구성 요소및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설명에서 나타나는 구성 요소 및 단계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것들과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의 구성 요소 및 단계만이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될 차량 보안 시스템의 다른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 및 단계가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200)의 제 2 실시예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가 로크로 구성되고, 잠금 제어 수단이 잠금을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 및 잠금 제어 수단이 차량 통신 유닛(211)에 의하여 구성된 차량 통신 수단으로써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로크를 잠그는 차량 보호 상태를 추정하여 선택적으로 로크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 제어 수단을 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가 더 포함하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음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단계가 다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단계를 나타낸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200)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복수의 도어(212)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는 도어 제어 유닛(213)이 도어(212)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 그리고 도어 제어 유닛(213)이 차량 통신 유닛(211)으로 구성되는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212)를 잠그는 차량 보호 상태를 추정하여 선택적으로 도어(212)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제어유닛(213)으로 구성되는 잠금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도어(212)는 트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지국(202)은 차량 통신 유닛(211)과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 통신 유닛(222)으로 이후에 참조되는 기지국 통신 유닛, 그리고 기지국(202)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 유닛(221)으로 이후에 참조되는 기지국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 기지국(202)은 인증 신호 및 잠금 해제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는 차량 통신 유닛(211)에 의하여 수신되는 기본 인증 신호에 기지국(202)의 운전 가부를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도시 생략된 운전 인증 유닛을 더 포함한다. 도어 제어 유닛(213)은 인증 신호가 운전 인증 유닛에 의하여 생성될 때만 잠금 해제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212)를 도어 제어 유닛(213)이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를 추정하여 동작한다.
다음 설명은 차량 이용자가 차량의 도어(212)의 전자 키이를 분실했을 경우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제어하는 방법을 이용하도록 도어 제어 유닛(213) 및 기지국 제어 유닛(221)에 의하여 제어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그리고 기지국(202)은 복수의 차량 및 복수의 차량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차량 이용자는 송신기에 의하여 차량의 로크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요구를 기지국(202)에 송신하고, 이 스테이션은 차량의 전자 키이에 대한 정보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이 송신기는 이용자의 휴대 전화이다. 이기지국(202)은 잠금 해제 요구가 휴대 전화의 전화 번호에 기초한 인증자에 의하여 송신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동작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자는 잠금 해제 요구가 송신될 때 휴대 전화에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고, 그리고 기지국(202)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판단하여 동작된다. 이 기지국(202)은 잠금 해제 요구 기록으로서 차량 잠금 해제 장치(101)로부터 잠금 해제 요구를 수신할 때 수집된 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저장 유닛으로 구성되는 저장 수단으로 구비된다. 잠금 해제 요구를 수신할 때 수집된 정보는 예를 들면 전화 번호, 이용자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요구가 수신될 때의 날짜와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202)의 저장 유닛은 잠금 해제 요구의 데이터베이스 기록으로 구성되어 소용되어, 후에 검토되는 잠금 해제 요구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 기지국(202)은 제어 신호 기록으로서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때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 유닛에 축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 대한 이 정보는 일련 번호의 로크, 차량의 차량 넘버, 이용자의 이름, 잠금 해제 동작의 결과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202)의 저장 유닛은 제어 신호의 기록과 관련하여 각각 잠금 해제 요구 기록을 저장한다.
단계(S201)에서, 이 기지국(202)은 차량의 이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잠금 해제 요구에 응답하는 기지국 통신 유닛(222)을 통하여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의 차량 통신 유닛(211)에 개시 요구를 송신하도록 동작된다. 이 단계(S201)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가 차량 통신 유닛(211)에 의하여 수신되는 개시 요구에 응답하는 단계(S202)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는 개시 요구를 즉시 준비하도록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S202)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가 기지국(202)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되는 단계(S203)로 진행한다.
이 단계(S203)는 기지국(202)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의 차량 통신 유닛(211)에 인증 요구를 나타내는 인증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되는 단계(S204)로 진행한다. 이 단계(S204)는 기지국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 즉 기지국(202)이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에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할 권리를 갖추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가 동작되는 단계(S205)로 진행한다. 기지국(202)이 단계(S205)에서 인증되도록 판단되는 단계(S206)에서 판단될 때, 단계(S206)은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가 기지국(202)의 운전 가부를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되는 단계(S207)로 진행한다. 인증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는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도록 준비되어 동작된다.
다른 한편으로, 기지국(202)이 단계(S205)에서 인증되었는지 판단하지 않는 단계(S206)에서 판단될 때, 이 단계(S206)는 통신 종료 단계로 진행된다.
단계(S208)에서,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는 단계(S205)에서 만들어진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 결과 통지를 기지국(202)에 송신하도록 동작된다. 단계(S208)은 기지국(202)이 인증 결과 통지에 기초하여 인증되도록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에 의하여 판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동작되는 단계(S209)로 진행한다. 기지국(202)이 인증되도록 판단되는 판단 시에, 단계(S209)는기지국(202)이 잠금 해제 신호를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에 송신하도록 동작되는 단계(S210)으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지국(202)은 인증되도록 않도록 판단되는 판단 시에, 단계(S209)는 통신 종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S210)는 도어 제어 유닛(213)이 잠금 해제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212)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를 추정하도록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의 도어 제어 유닛(213)이 동작되는 단계(S211)로 진행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에 따라 구성된 차량 보안 시스템(200)의 제 2 실시예가 기지국(202)에 의하여 기동되고 기동되지 않아서, 이용자가 전자 키이를 잃어버렸을 지라도 차량 도어의 신속한 잠금 해제를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차량 보안 시스템의 모든 동작에 대하여 이해를 돕고 설명을 간략화 하기 위하여 전자 키이만을 설명한다. 실제로, 전자 키이는 예를 들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기계적인 키이, ID 카드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로크가 복수의 도어(212)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잠금 제어 수단이 도어 제어 유닛(213)에 의하여 이루어짐이 위에서 설명되는 경우, 차량 보안 시스템(200)의 차량 잠금 해제 장치(201)는 잠금 제어 수단이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 그리고 잠금 제어 수단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로크를 잠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추정하여 선택적으로 잠금 제어 수단이 로크를 제어할 수 있는 동안 임의의 다른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로크가 예를 들면 엔진, 전자 구성요소 등과 같은 것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고, 그리고 잠금 제어 수단이 엔진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 등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 및 단계와 다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단계를 나타낸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300)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복수의 도어(312)로 이루어지고,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는 도어 제어 유닛(313)이 도어(312)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 및 도어 제어 유닛(313)이 차량 통신 유닛(311)으로 이루어지는 차량 통신 수단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312)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추정하여 도어(312)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제어 유닛(313)으로 이루지는 잠금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도어(312)는 트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차량 통신 유닛(311)은 공중전화 통신망에 의하여 기지국(302)과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기지국(302)은 차량 통신 유닛(211)과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 통신 유닛(322)으로 이후에 참조되는 기지국 통신 유닛, 및 기지국(302)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 유닛(321)으로 이후에 참조되는 기지국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 기지국(302)은 인증 신호 및 잠금 해제 신호를 제어 신호로 송신하도록 동작한다.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는 차량 통신 유닛(311)에 의하여 수신되는 인증 신호에 기초한 기지국(302)의 운전 가부를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운전 인증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 도어 제어 유닛(313)은 인증 신호가 운전 인증 유닛으로 생성될 때에만 잠금 해제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312)를 도어 제어 유닛(313)이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를 추정하도록 동작한다.
다음 설명은 차량의 이용자가 차량의 도어(312)의 전자 키이를 분실하고, 그리고 기지국(302)이 복수의 차량 및 복수의 차량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거기에 저장하는 추정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제어하는 방법을 이용하도록 도어 제어 유닛(313) 및 기지국 제어 유닛(321)에 의하여 제어되는 프로세스를 지금 나타낼 것이다.
차량 이용자는 차량의 로크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요구를, 차량의 전자 키이에 대한 정보를 갖추고 있는 기지국(302)으로 송신한다.
단계(S301)에서, 기지국(302)은 차량 이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잠금 해제 요구에 응답하는 공중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기지국 통신 유닛(322)에 의하여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의 차량 통신 유닛(311)에 개시 요구를 송신하도록 동작된다. 이 단계(S301)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가 차량 통신 유닛(311)에 의하여 수신되는 개시 요구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단계(S302)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는 개시 요구에 대하여 신속히 준비되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서 동작될 수 있다. 이 단계(S302)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가 기지국(302)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되는 단계(S303)로 진행한다.
단계(S303)는 기지국(302)이 공중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의 차량 통신 유닛(311)에 인증 요구를 나타내는 인증 신호를 송신하도록동작되는 단계(S304)로 진행한다. 단계(S304)는 기지국(302)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 즉, 기지국(302)이 잠금 해제 신호를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에 송신하는 권리를 갖추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가 동작되는 단계(S305)로 진행한다. 기지국(302)이 단계(S305)에서 인증되도록 판단되는 단계(S306)에서 판단될 때, 이 단계(S306)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가 기지국(302)의 운전 가부를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되는 단계(S307)로 진행한다. 인증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는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도록 준비되어 동작된다. 다른 한편으로, 기지국(302)이 단계(S305)에서 인증되도록 판단되지 않는 단계(S306)에서 판단될 때, 단계(S306)는 통신 종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S308)에서,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는 단계(S305)에서 만들어진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 결과 통지를 기지국(302)에 송신하도록 동작된다. 이 단계(S308)는 기지국(302)이 인증 결과 통지에 기초하여 인증되도록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에 의하여 판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기지국(302)이 동작되는 단계(S309)로 진행한다. 기지국(302)이 인증되도록 판단되어 판단될 때, 이 단계(S309)는 단계(S310)로 진행하고, 여기서 기지국(302)은 잠금 해제 신호를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로 송신하도록 동작된다. 다른 한편으로, 기지국(302)이 인증되도록 판단되지 않도록 판단될 때, 이 단계(S309)는 통신 종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S310)는 도어 제어 유닛(313)이 잠금 해제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312)를 잠금 해제하는 차량 운전 상태를 추정하도록 차량의 잠금 해제 장치(301)의 도어 제어 유닛(313)이 동작되는 단계(S311)로 진행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에 따라 구성된 차량 보안 시스템(300)의 제 3 실시예가 기지국(302)에 의하여 원격으로 기동되고 기동되지 않아서, 이용자가 전자 키이를 분실했을 경우 조차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게 함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차량 보안 시스템의 모든 동작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리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전자 키이가 설명된다. 실제로, 전자 키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면 기계적인 키이, ID 카드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차량 잠금 해제 장치가 차량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을지라도,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경우 임의의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통신 유닛은 예를 들면 휴대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된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구성이 간단할 수 있고 그리고 생산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보안 시스템의 앞서의 실시예들에 대한 하나의 수정으로서, 기지국은 인터넷과 접속되어 웹 사이트에서 홈페이지를 가질 수 있다. 이 수정된 실시예에서, 차량 이용자는 먼저 로그인 패스워드로 웹 사이트에서 홈페이지에 액세스한 다음 웹 사이트의 홈페이지상에서 잠금 해제 요구를 기지국내로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차량 보안 시스템의 이 수정된 실시예는 차량의 이용자가 기지국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하여 퍼스널 컴퓨터 또는 이동전화를 사용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잠금 해제 요구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앞선 실시예들의 또다른 수정으로서, 기지국은 이용자에 의해 휴대될 수 있는 이동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수정된 실시예에서, 차량의 이용자는 패스워드를 가지고서 이동전화로 잠금 해제 요구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동전화는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인증된 이용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자가 인증된 이용자로 판단되었을 때 잠금 해제 요구에 응답하여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도록 작동한다. 이렇게 구성된 차량 보안 시스템의 이 수정된 실시예는 이동전화에 의해 직접적으로 비작동화 및 작동화될 수 있어, 이용자가 전자 키이를 잃어버린 경우에도 차량의 도어를 즉각 잠금해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에서 로크가 복수의 도어(312)를 포함하고 있고 로크 제어 수단이 도어 제어 유닛(313)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차량 보안 시스템(300)의 차량 잠금 해제 장치(301)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로크 제어 수단이 로크를 잠금 해제하고 있는 차량 운전 상태와 로크 제어 수단이 로크를 잠금하고 있는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로크 제어 수단이 로크를 제어할 수 있기만 한다면, 임의의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로크가 예컨대 엔진, 전자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로크 제어 수단이 엔진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 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방법이 설명된다.
도 6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보안 시스템(400)에서는, 차량 구성요소는 도 6에서 도시되지 않는 엔진을 포함하고 있고,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하는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를 포함하고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도로 근처에 위치된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은 중계국을 통해 기지국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안테나, 변조기, 복조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중계국은 예컨대 인터넷, 공중 전화망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기지국에 대해 송수신될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송수신된 직후에 버퍼내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와 기지국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는 암호화되어져야 하며, 이것은 아래의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휴대될 수 있는 전자 운전 면허증(404)과 차량내에 제공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자 운전 면허증(404)은 운전자의 식별 정보 요소를 내장하고 있는 비접촉형 IC 칩 구비하고 있다. 전자 운전 면허증(404)은 전자기파에 의해 공급된 전력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판독하기 위한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을 포함하는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생성하고 전자 운전 면허증(404)을 작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작동된 전자 운전 면허증(404)은 내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으로 송신하도록 작용한다.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은 리더/라이터 디바이스(414)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차량 통신 수단은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412)을 더 포함하고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운전자 정보 요소를 내장하고 있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를 포함하고 있다.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로부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수신하고,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들 중에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로부터 수신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선택하도록 작동한다.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는 그렇게 선택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전자 운전 면허증(404)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작동한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엔진의 작동이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지시된 판단의 결과에 응답하여 허용될 것인지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을 포함하는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은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지시하는 허용 신호와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을 지시하는 불허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작동한다.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는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허용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불허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한다.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는 예컨대 불허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의 점화 스위치를 동작 억제하도록 설계된 이모빌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는: 다수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운전자 정보 요소를 내장하는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을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 저장 수단,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들 중에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로부터 수신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선택하는 운전자 정보 선택 유닛(432)을 포함하는 운잔자 정보 선택 수단, 및 그렇게 선택된 이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기초로 전자 운전 면허증(404)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운전 가부 판단 유닛(433)을 포함하는 운전 가부 판단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은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러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들 각각은 예컨대 이름, 본적, 거주 주소, 생일, 운전 면허 실효의 여부, 운전 면허의 일시정지/취소 여부, 교통사고 기록, 교통위반 기록, 및 벌금 납부의 기록 중 적어도 하나 등과 같은 전자 운전 면허증(404) 소지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들 각각은 또한 예컨대 교부일, 운전 면허 번호, 운전 종별, 실효일, 교부원 등과 같은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 저장된 각각의 운전자 정보 요소의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소지자에 관한 정보는 관련 기관에 의해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운전 가부 판단 유닛(433)은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들 중에서 운전자 정보 선택 유닛(432)에 의해 선택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전자 운전 면허증(404)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의 결과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는 운전 가부 판단 유닛(433)이, 예를 들면 운전자 정보 선택 유닛(432)에 의해 선택된 운전자 정보 요소가 예컨대 운전 면허가 실효된 것, 운전 면허가 일시중지/취소된 것, 세금납부가 미납되어 있다는 것 등과 같은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소지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때 전자 운전 면허증(404)이 무효인 것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 대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 및 운전 가부 판단 유닛(433)에의해 이루어진 판단의 결과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차량보안 제어 장치(401)로 송신하는 제어 신호 송신 유닛(434)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도로 근처에 위치된 중계국을 통해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 대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안테나, 변조기, 복조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예컨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가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국과 통신을 유지하고 있을 때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는 암호화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 각각은 예컨대 공개키와 비밀키를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의 비밀키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의 공개키를 내장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의 비밀키와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의 공개키를 내장하고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로부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 송신되는 정보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의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의 비밀키로 암호화된 서명과 결합된다. 다른 한편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부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로 송신되는 정보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의 공개키로 암호화되고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의 비밀키로 암호화된 서명과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는: 운전자 정보선택 유닛(432)에 의해 선택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기초로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소지자에게 제공되는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통지 정보 생성 유닛(435)를 포함하는 통지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제어 신호 송신 유닛(434)은 통지 정보 생성 유닛(435)에 의해 생성된 통지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경유하여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로 송신하도록 작동한다.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소지자에게 제공되는 통지 정보는 운전 면허가 갱신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 날짜, 벌금이 납부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 날짜 등의 재촉 정보를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차량 보안 시스템(400)은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소지자로 하여금 망각으로 인해 운전 면허가 실효되거나 일시정지/취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제어 신호 송신 유닛(434)에 의해 송신된 통지 정보를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소지자에게 제공하는 통지 정보 제공 유닛(415)을 포함하는 통지 정보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통지 정보 제공 유닛(415)은 예컨대 스크린상에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통지 정보를 음성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통지 정보가 제공된 후에 이용자의 통지 확인 정보 지시에 응답하여 통지 확인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유닛(416)을 포함하는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유닛(416)은 예컨대 스크린상에 터치 패널을 가진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이용자는 터치 패널을 터치함으로써 통지 확인 정보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은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는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지시하는 허용 신호를 송신하도록 작동하지 않는다. 이렇게 구성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이용자가 통지 확인 정보 지시를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유닛(416)에 입력하여 통지 정보가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소지자에게 제공되었음을 확인하지 않으면, 이용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유닛(416)에 의해 생성된 통지 확인 정보 신호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경유하여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 송신하는 통지 확인 정보 송신 유닛(417)을 포함하는 통지 확인 정보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는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된 날짜를 기초로 실효일을 산정하는 실효일 산정 유닛(436)을 포함하는 실효일 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효일 산정 유닛(436)은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된 날짜로부터 실효일을 기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효일 산정 수단(436)은 이렇게 산정된 실효일을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입하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차량이 도로 근처에 위치된 중계국이 커버할 수 없는 불감지대(silent zone)을 주행할 때 제어 신호 송신 유닛(434)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지 못할 수 있다.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는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에 의해서 생성된 허용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차량 주행 상태를 제어 신호에기초하여 추정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신호가 없으면,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는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차량 주행 상태를 추정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 송신 유닛(434)은 운전자 정보 선택 유닛(432)에 의해서 선택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 전송하도록 작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저장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 송신 유닛(434)에 의해서 송신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기입하기 위한 운전자 정보 기입 유닛(418)으로 구성된 운전자 정보 기입 수단을 더 포함한다. 운전자 정보 기입 유닛(418)과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은 공동으로 리더/라이터 장치(414)를 형성한다. 운전자 정보 기입 유닛(418)은 파워를 공급하고 전자 운전 면허증(404)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산출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활성화된 전자 운전 면허증(404)은 그 안에 운전자 정보 요소를 기입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이 작동하여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판독하고,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이 작동하여 차량 통신 인터페이스(410)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때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 판독된 운전자 정보 요소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그 안에 저장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으로구성된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수단, 그리고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서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증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인증 유닛(420)으로 구성된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에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구비된다.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에는 예를 들면 스크린에 터치 패널을 갖고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용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입력,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에는 이용자에 의해서 삭제될 수 없는 차량 소유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가 저장되어 있다. 차량 소유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는 예를 들면 제조 공장, 판매점과 같은 제한된 곳에서만 등록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량 소유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는 차량 소유자에 의해서만 차량에 등록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인증 유닛(420)은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서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에 저장된 각각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와 비교하도록 설계된다. 인증 유닛(420)은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서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가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중의 하나와 일치할 때에만 증명 신호를 생성하도록 작동한다. 다른 한편, 인증 유닛(420)은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서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가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유닛(419)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정보 요소중의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지 않을 때는 증명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은 인증 유닛(420)에 의해서 생성된 증명 신호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서 지시된 판단의 결과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한다.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400)의 제4 실시예의 부분을 형성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중앙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후 간단히 "CPU"라고 한다. CPU에 의해서 제어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의 프로세스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단계(S401)에서,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는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서 판독된다. 단계(S401)는 단계(S402)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증명 신호가 인증 유닛(420)에 의해서 생성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증명 신호가 인증 유닛(420)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2)는 단계(S403)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증명 신호가 인증 유닛(420)에 의해서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2)는 단계(S410)로 진행한다. 단계(S403)에서,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서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는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412)에 의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 송신된다. 단계(S403)는 단계(S404)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제어 신호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수신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4)는단계(S405)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4)에서의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단계(S405)에서, 운전자 정보 요소는 운전자 정보 기입 유닛(418)에 의해서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기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운전자 정보 요소와 통지 정보는 단계(S404)에서 수신될 수 있고, 제어 신호와 통지 정보는 단계(S405)에서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기입될 수 있다.
단계(S405)는 단계(S406)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통지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통지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5)는 단계(S407)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5)는 단계(S410)로 진행한다. 단계(S407)에서, 통지 정보는 통지 정보 제공 유닛(415)에 의해서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보유자가 함께 제공된다. 단계(S407)는 단계(S408)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통지 확인 지시에 응답하여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유닛(416)에 의해서 생성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생성, 즉 통지 확인 지시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8)는 단계(S409)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통지 확인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08)에서의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단계(S409)에서, 통지 확인 정보 신호는 통지 확인 정보 송신 유닛(417)에 의해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 송신된다. 단계(S409)는 단계(S410)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단계(S402)에서 인증 유닛(420)에 의해서 생성된 증명 신호와 단계(S404)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서지시된 판단의 결과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지 여부가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에 의해서 판단된다. 단계(S410)는 단계(S411)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허용 신호/불허 신호가 단계(S410)에서 이루어진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에 의해서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로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서,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는 비록 허용 신호가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입력되지 않더라도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차량 주행 상태를 추정하여 작동될 수 있다.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400)의 제4 실시예의 부분을 형성하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중앙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후 간단히 "CPU"라고 한다. CPU에 의해서 제어되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의 프로세스는 도 9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단계(S420)에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에 의해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통하여 수신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20)는 단계(S421)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20)는 단계(S425)로 진행한다. 단계(S421)에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로부터 수신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상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는 운전자 정보 선택 유닛(432)에 의해서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중에서 선택된다. 단계(S421)는단계(S422)로 진행하며, 단계(S421)에서 선택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상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전자 운전 면허증(404)이 유효한지 여부가 운전 가부 판단 유닛(433)에 의해서 판단되고, 판단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운전 가부 판단 유닛(433)에 의해서 생성된다. 단계(S422)는 단계(S423)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전자 운전 면허증(404)의 보유자와 함께 제공될 통지 정보가 운전자 정보 선택 유닛(432)에 의해서 선택된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통지 정보 생성 유닛(435)에 의해서 생성된다. 단계(S423)는 단계(S424)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제어 신호, 운전자 정보 요소 및/또는 통지 정보가 제어 신호 송신 유닛(434)에 의해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 송신된다. 만약 통지 정보가 단계(S424)에서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송신되면,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단계(S425)에서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것은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분명해 질 것이다. 단계(S424)는 단계(S420)로 되돌아 간다.
단계(S425)에서,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25)는 단계(S420)로 되돌아 간다. 다른 한편,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단계(S425)는 단계(S426)로 진행하고, 실효일은 실효일 산정 유닛(436)에 의해서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된 날짜에 기초하여 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효일은 실효일 산정 유닛(436)에 의해서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된 날짜로부터 기산된다. 단계(S426)는 단계(S427)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산정된 실효일은 실효일 산정 유닛(436)에 의해서 운전자 정보 저장 유닛(431)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서,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412)은 운전 면허증 판독 유닛(411)에 의해서 판독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에 송신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10)에 의해서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서,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은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이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 엔진이 정지될 때까지 엔진의 작동이 불허라는 것을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는 엔진이 정지될 때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에 의해서 송신된 불허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추정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엔진이 여전히 작동하는 동안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이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지 않다고 판단할 때 엔진이 정지될 때까지 불허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작동 제어 장치(403)가 차량 보호 상태를 추정하지 않도록 구성된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에 의해서 이루어진 판단의 결과로 인해 차량이 주행되는 동안 차량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이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는 차량 운전자에게 엔진이 일단 정지되면 엔진의 작동이 불허될 것이라는 통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에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그 안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 신호 저장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은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때 제어 신호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운전 면허증(404)은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그 안에 저장할 수 있다. 엔진 작동 판단 유닛(413)은 차량 보안 제어 장치(401)가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40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때 전자 운전 면허증(404)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은 비록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이라고 판단되어도 운전 면허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실시예의 다양한 개량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이러한 개량과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인증되지 않은 사람이 차량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전자 키를 분실하였더라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으로 판단되더라도 이용자의 운전 면허가 유효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하면,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전자 키를 분실하였더라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으로 판단되더라도 이용자의 운전 면허가 유효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해제 장치에 의하면,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전자 키를 분실하였더라도 차량의 도어를 즉시 잠금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의하면, 원격으로 작동 해제 및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인증된 사람으로 판단되더라도 이용자의 운전 면허가 유효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Claims (30)

  1.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차량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으로서,
    차량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으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그리고
    차량에 제공된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 수단; 및
    상기 차량을 운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차량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 개의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
    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로크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로크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상기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로크를 잠그는 상기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상기 로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어 신호로서 인증 신호와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인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운전 가부를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운전 인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은 상기 운전 인증 유닛에 의해 상기 인증 신호가 생성될 때에만 상기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서 상기 로크 제어 수단이 상기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상기 차량 운전 상태을 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복수의 차량 및 복수의 차량 이용자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부터 송신된 잠금 해제 요구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요구를 수신할 때 수집된 정보와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에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할 때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신 수단은 공중전화 통신망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엔진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엔진 작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상기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상기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휴대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전자 운전면허증; 및
    상기 차량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판독하는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차량 통신 수단은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각각 대응하는 저장된 복수의 운전자 정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 중에서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의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이 허용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허용 신호와 상기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은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엔진 작동 제어 장치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상기 허용 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상기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불허 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상기 차량 보호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가,
    복수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운전자 정보 저장 수단;
    상기 운전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 중에서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자 정보 선택 수단;
    상기와 같이 선택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한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운전 가부 판단 수단; 그리고
    상기 운전 가부 판단 수단에 의한 상기 판단의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신호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 각각은 전자 운전 면허증의 소지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이 실효되었는지 아닌지 여부, 그리고 교통 사고의 기록, 교통 위반의 기록, 및 교통 범칙금의 납부의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운전자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의 소지자에게 제공되기 위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통지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은 상기 통지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작동되고,그리고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통지 정보를 제공하는 통지 정보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상기 통지 정보가 제공된 후에 이용자의 통지확인 정보에 따라 통지 확인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통지 확인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는 상기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허용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상기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통지 확인 정보 신호를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통지 확인 정보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된 날에 기초하여 실효일을 산정하는 실효일 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그리고
    상기 실효일 산정 수단은 상기 운전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에 상기와 같이 산정된 상기 실효일을 기입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은 상기 운전자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를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이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를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에 기입하는 운전자 정보 기입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은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를 더욱 판독하고,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차량 통신 수단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은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되고,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이용자 확인 정보 송신 유닛이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용자 확인 정보 요소를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할 때마다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 때에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이 정지할 때까지는 상기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을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상기 불허 신호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상기 차량 보호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저장하는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수단, 및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는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인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증 신호 및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8.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판독하는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 그리고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허가 신호와 상기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것을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 작동 제어 장치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통지 정보를 제공하는 통지 정보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가 제공된 후 이용자의 통지 확인 정보 지시에 따라서 통지확인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통지 확인 정보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는 상기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허용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확인 정보 생성 수단에 생성된 상기 통지 확인 정보 신호를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통지 확인 정보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이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하여 송신된 운전자 정보 요소를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에 기입하는 운전자 정보 기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은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를 더욱 판독하도록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차량 통신 수단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이 유효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은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되고,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이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할 때마다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 때에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이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이 정지할 때까지는 상기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을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25. 제 18 항에 있어서,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저장하는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수단; 및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기초하여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신호를 생성하는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인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증 신호 및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이 허용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
  26. 기지국으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 수단 및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서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로크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해제 장치.
  27.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차량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으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그리고 차량에 제공된 차량 잠금 해제 장치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 수단; 및 상기 차량을 운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차량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 개의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차량 잠금 해제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요소가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차량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보호 상태를 포함하는 2 개의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로크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로크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로크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로크를 잠금 해제하는 상기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로크를 잠그는 상기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상기 로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요소는 엔진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엔진 작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상기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상기 차량 보호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장치는,
    휴대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전자 운전 면허증; 및
    상기 차량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에 저장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판독하는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보안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차량 통신 수단은 상기 운전 면허증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각각 대응하는 저장된 복수의 운전자 정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 중에서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요소를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운전자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운전 면허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의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 보안 제어 장치는,
    상기 운전 면허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작동이 허용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진 작동 판단 수단은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허용 신호와 상기 엔진의 작동이 불허되는 것은 나타내는 불허 신호를 엔진 작동 제어 장치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엔진 작동 제어 장치는 상기 허용 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작동을 허용하는 상기 차량 운전 상태와 상기 불허 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작동을 불허하는 상기 차량 보호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40003353A 2003-01-17 2004-01-16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이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20040066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9916A JP2004218381A (ja) 2003-01-17 2003-01-17 解錠装置および解錠システムおよび解錠方法
JPJP-P-2003-00009916 2003-01-17
JPJP-P-2003-00328811 2003-09-19
JP2003328811A JP2005088855A (ja) 2003-09-19 2003-09-19 車両作動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作動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723A true KR20040066723A (ko) 2004-07-27

Family

ID=3259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353A KR20040066723A (ko) 2003-01-17 2004-01-16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이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1464B2 (ko)
EP (1) EP1439100B1 (ko)
KR (1) KR20040066723A (ko)
CN (1) CN1522903A (ko)
DE (1) DE602004001881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99B1 (ko) * 2006-06-19 2008-08-05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제어 시스템 및 차량 내에 제공된 기기를 제어하는방법
KR101051973B1 (ko) * 2009-02-09 2011-07-26 이나루티앤티(주) 무선랜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접속하는 차량단말을 인증하는방법 및 그 차량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6040A1 (en) * 2004-04-29 2005-11-03 Caterpillar Inc. Operator profile control system for a work machine
USRE47678E1 (en) 2004-06-16 2019-10-29 Ipt, Llc Parking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731088B2 (en) * 2004-06-16 2010-06-08 Ipt, Llc Vehicle violation enforcement system and method
JP2006207473A (ja) * 2005-01-28 2006-08-10 Hitachi Ltd 排気ガス診断システムおよび車両制御システム
JP4199207B2 (ja) * 2005-03-23 2008-12-1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盗難車両奪回支援装置および盗難車両奪回支援方法
DE102006015212B4 (de) 2006-03-30 2017-05-04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zum Schutz eines beweglichen Gutes, insbesondere eines Fahrzeugs, gegen unberechtigte Nutzung
GB0621340D0 (en) * 2006-10-26 2006-12-06 Auto Txt Ltd In-vehicle apparatus
US7990255B2 (en) * 2006-11-02 2011-08-02 Audiovox Corporation Range extending positive repeater
US20090021347A1 (en) * 2007-07-18 2009-01-22 U.S. Security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actuating a vehicle gate
JP5104866B2 (ja) * 2007-08-03 2012-12-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載器および配信システム
US20090143878A1 (en) * 2007-12-04 2009-06-04 Caterpillar Inc. Operator profile control system for a machine
US20090302999A1 (en) * 2008-06-05 2009-12-10 Anzen Electronics Llc Security and monitoring control system methods for vehicles
US9406086B2 (en) * 2010-11-03 2016-08-02 Endeavor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violation enforcement utilizing vehicle immobilization
ES2446974T3 (es) * 2011-02-08 2014-03-11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Método y aparato para la seguridad de vehículos
US9032493B2 (en) * 2011-03-31 2015-05-12 Intel Corporation Connecting mobile devices, internet-connected vehicles, and cloud services
US9268545B2 (en) 2011-03-31 2016-02-23 Intel Corporation Connecting mobile devices, internet-connected hosts, and cloud services
CN102529887A (zh) * 2012-02-15 2012-07-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防盗方法和装置
CN102582574B (zh) * 2012-02-23 2015-05-2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汽车借用远程授权启动装置及方法
DE102012009019A1 (de) * 2012-05-05 2013-11-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 sowie entsprechende Betriebseinrichtung und Fahrzeug
DE102012106522A1 (de) * 2012-07-18 2014-01-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Authentifizierung eines Fahrers in einem Kraftfahrzeug
CN103010161B (zh) * 2012-12-26 2016-04-27 江苏大学 基于身份信息的无证驾驶辅助识别方法与系统
CN103693010A (zh) * 2013-12-19 2014-04-02 蔡卫东 一种车载的驾驶员信息处理及控车系统
PL3503063T3 (pl) * 2017-12-22 2020-10-19 Deutsche Telekom Ag System sterowania automatyzacją do sterowania funkcją bezpieczeństwa zdalnej maszyny
US10210689B1 (en) * 2018-03-05 2019-02-19 General Motors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 temporary deactivation of an appliance control device
CN113034750B (zh) * 2018-09-30 2023-01-13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一种车锁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2402A (en) * 1992-01-09 2000-06-06 Slc Technologies, Inc. Secure entry system with radio communications
US5479157A (en) * 1990-01-19 1995-12-26 Prince Corporation Remote vehicle programming system
DE4301039C2 (de) * 1993-01-16 1995-06-14 Uwe Dipl Ing Latsch Elektronisches System zur Verwaltung gemeinschaftlich genutzter Kraftfahrzeuge
US5519260A (en) * 1993-03-19 1996-05-21 Washington; Valdemar L. Vehicle security system using drivers license, time of day and passive tag
US5686765A (en) * 1993-03-19 1997-11-11 Driver Id Llc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ing fingerprint and eyeball part identification
DE19756428A1 (de) * 1997-12-18 1999-06-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absicherungsverfahren
US5990785A (en) * 1998-04-28 1999-11-23 Suda; Raymond A. Pager 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0339029A (ja) * 1999-05-31 2000-12-08 Komatsu Ltd 車両の干渉防止装置
FR2801262A1 (fr) * 1999-11-18 2001-05-25 Siemens Automotive Corp Lp Permis limite et systeme d'immobilisation
DE10009057A1 (de) 2000-02-28 2001-08-30 Klaus Doebel Zugangskontrolleinrichtung
SE520984C2 (sv) * 2000-08-10 2003-09-16 Volvo Technology Corp Metod och system för att låsa upp ett föremål
US6873824B2 (en) * 2000-08-22 2005-03-29 Omega Patents, L.L.C.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ellular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s
DE10107166A1 (de) * 2001-02-15 2002-08-29 Siemens Ag Vorrichtung zur mobilen Nutzung von Mobilfunknetzen
GB2373614B (en) 2001-03-21 2004-11-10 Int Computers Ltd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7023328B2 (en) * 2002-10-28 2006-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obile insurance war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99B1 (ko) * 2006-06-19 2008-08-05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제어 시스템 및 차량 내에 제공된 기기를 제어하는방법
KR101051973B1 (ko) * 2009-02-09 2011-07-26 이나루티앤티(주) 무선랜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접속하는 차량단말을 인증하는방법 및 그 차량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9100A2 (en) 2004-07-21
CN1522903A (zh) 2004-08-25
DE602004001881D1 (de) 2006-09-28
EP1439100B1 (en) 2006-08-16
US20040145447A1 (en) 2004-07-29
US7161464B2 (en) 2007-01-09
DE602004001881T2 (de) 2007-01-18
EP1439100A3 (en)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6723A (ko)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이 차량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EP1564690B1 (en) Security control system for managing registration of ID codes for portable devices
EP1564691B1 (en) Security controller for use with a portable device and a management apparatus, and corresponding security control method
EP1411477B1 (en) Handling device and method of security data
JP4358483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4035719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JP5421202B2 (ja) 携帯機
JP2007210557A (ja) 車両盗難防止装置および車両盗難防止方法
JP4462185B2 (ja) 個人認証制御装置
JP4747778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とその方法、キー情報管理装置、車両、キー発行方法および車両動作制御方法
JP5437958B2 (ja) 車両の電子キーシステム
JP4534455B2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5104327A (ja) 車両移動システムおよび車両移動方法
JP2005513316A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CN112823537A (zh) 服务提供系统以及服务提供方法
KR101406192B1 (ko) 스마트단말을 이용한 차량액세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494851B2 (ja) 錠システム、携帯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パスワード無効化方法
JP200325394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3064920A (ja) 車両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側キー装置並びに電子キー
JP7389692B2 (ja) 車両の貸し出しシステム
CN114511948A (zh) 卡片钥匙及利用卡片钥匙的车辆控制方法
JP2008310497A (ja) 可搬型icカードアダプタ
JP2013233845A (ja) 車輌認証情報書換装置及び車輌認証情報書換システム
JP2006053808A (ja) 作業者認証管理システム
JP2005155236A (ja) 鍵開閉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