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462A -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462A
KR20040043462A KR1020020071718A KR20020071718A KR20040043462A KR 20040043462 A KR20040043462 A KR 20040043462A KR 1020020071718 A KR1020020071718 A KR 1020020071718A KR 20020071718 A KR20020071718 A KR 20020071718A KR 20040043462 A KR20040043462 A KR 20040043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locking device
roof
roof ra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2114B1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1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장착되는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의 잠금장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루프랙과,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루프랙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진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루프랙에 삽입되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을 형성한 루프랙과; 일측의 작동편의 조작이 타측의 작동편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Crossbar locking device of roof rack}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장착되는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의 잠금장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레저용으로 활용되는 자동차는 좁은 실내 공간의 협소함을 해소하기 위한 한가지 방편으로 차량의 루프패널상에 루프캐리어를 장착하고 여기에 화물을 적재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루프캐리어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루프랙과, 상기 루프랙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크로스바가 루프랙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적재하는 화물을 형태에 따라서 크로스바의 위치를 변경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루프캐리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누름식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캐리어는, 루프패널(1)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루프랙(5)과, 상기 루프팩(5)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바(6)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로스바(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잠금장치(10)는 외부의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 작동편(11)과, 상기 작동편(1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이삽입될 수 있도록 루프랙에 형성된 고정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편의 걸림턱이 고정공에 삽입된 상태에는 고정되고, 상기 걸림턱이 고정공에서 빠져 나오면 크로스바가 움직일 수 있는 해제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크로스바 잠금장치는 크로스바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자 혼자서는 양측을 모두 해제상태로 유지시킬수 없는 구조를 가진것들이 많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운전자가 한쪽의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승차자가 반대쪽으로 돌아가서 또 하나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도록 되어있어서, 잠금장치 해제를 위해서 승차자가 한쪽에서 작업을 한 후 반대쪽에서 또 다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의 스위치 조작으로도 양측의 잠금이 해제되어 크로스바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루프캐리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누름식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는 크로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크로스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해제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운동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50 : 루프랙52 : 고정공
60 : 크로스바100 : 작동편
110 : 조절레버120 : 고정핀
140, 144 : 연결부재142 : 가이드부재
150 : 회전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루프랙과,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루프랙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진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루프랙에 삽입되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을 형성한 루프랙과; 일측의 작동편의 조작이 타측의 작동편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여 연결부재와 크로스바 내부의 접촉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는 크로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크로스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해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 잠금장치는 크로스바(60)에 부착된 회전축(15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작동편(100)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편(100)의 회전에 의하여 크로스바(60)의 잠금과 해제를 조절하도록 되어있다.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작동편(100)의 일측에 고정핀(12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핀(120)이 루프랙(50)에 형성된 고정공(52)에 삽입 또는 분리 될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작동편(100)의 회전에 의하여 크로스바(60)의 잠금과 해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편(10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레버(110)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상기 조절레버(110)를 손으로 조작하면, 상기 작동편(10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편(100)은 그 회전축(150)에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고정핀(120)이 고정공(52)에 삽입되도록 하여 크로스바(6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레버(110)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작동편(100)이 회전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20)이 고정공(52)으로부터 이탈하여 크로스바(60)를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운동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60)의 양측에는 각각 작동편(100a, 100b)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작동편의 회전축(150)에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작동편이 고정핀(120)을 고정공(52)에 삽입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작동편(100a, 100b)들은 연결부재(140)로서의 와이어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어서, 양측의 작동편(100a, 100b)과 회전축(150)이 부착된 크로스바(60), 그리고 연결부재(140)가 4절 링크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레버(110)에 화살표 방향의 힘을 가하면 그와 일체로 형성된 좌측의 작동편(100a)이 조절레버(110)에 의하여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력이 연결부재(140)의 장력으로 타측의 작동편(100b)에 작용하여 타측의 작동편(100b)도 같이 회전하게 되어, 양측의 고정핀(120)이 모두 고정공(52)에서 이탈되어 크로스바(60)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크로스바(6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레버를 놓아주면 양측의 회전축(150)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작동편(100a, 100b)들이 원복되어 고정핀(120)이 다시 고정공(52)에 삽입되므로 크로스바(60)를 움직일 수 없는 잠금상태로 돌아가게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42는 연결부재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 부재는 연결부재(140)의 운동범위를 제한하여 연결부재(140)가 크로스바(60)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소음을 감소하고 연결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3b의 실시예는 1개의 와이어로 된 연결부재(140)를 이용하여 운동을 전달하는 것으로, 좌측의 작동편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와이어의 장력을 통해서 우측으로 전달되나, 우측의 작동편이 회전하면 와이어가 휘어지게 되어서 좌측으로 운동이 전달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양측의 운동이 모두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도 4a와 같이 연결부재(140)를 2개 사용하거나, 도 4b에서와 같이 연결부재로 길다란 스트립을 연결부재(144)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의 연결형태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수 있으나, 기본적인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도 4a와 같이 양측 작동편(100a, 100b)의 양단을 모두 연결부재(140)로 연결하게 되면, 회전력의 전달이 더욱 확실해지며, 좌측의 작동편(100a)이 움직이면 그 힘이 도면에서 아래에 있는 연결부재(140)를 통하여 우측에 전달되고, 우측의 작동편(100b)이 움직이면 그 힘이 도면상에서 위에 있는 연결부재(140)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한개의 연결부재(140)가 파손되더라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도 4b는 연결부재로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박판이나 그 밖의 적절한 재질로 이루어진 가느다란 막대형의 스트립을 연결부재(144)로 이용한 것인데, 스트립을 연결부재(144)로 이용하게 되면 중량은 증가하지만,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한 와이어 부재는 당기는 힘만을 전달할 수 있는 반면에 밀어주는 힘도 전달할 수 있어서, 한 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도 양측의 운동을 모두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크로스바 잠금장치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서, 양측 중 일측의 레버만 작동하여도 양쪽의 잠금장치가 모두 해제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등의 전자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요소로만 구성되어있어서, 전자적인 제어 방식에 비하여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루프랙과,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루프랙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진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루프랙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을 형성한 루프랙과;
    일측의 작동편의 조작이 타측의 작동편에 전달될 수 있도록 작동편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부재이며, 상기 작동편의 회전에 의해 장력을 전달하여 타측의 작동편의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공에서 벗어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2002-0071718A 2002-11-18 2002-11-18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46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718A KR100462114B1 (ko) 2002-11-18 2002-11-18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718A KR100462114B1 (ko) 2002-11-18 2002-11-18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462A true KR20040043462A (ko) 2004-05-24
KR100462114B1 KR100462114B1 (ko) 2004-12-17

Family

ID=3733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718A KR100462114B1 (ko) 2002-11-18 2002-11-18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1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489B1 (ko) * 2005-06-13 2006-08-0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55613B1 (ko) * 2005-11-21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 랙 베이스 레일과 크로스 바 슬라이더의 조립부 구조
KR100677672B1 (ko) * 2006-10-12 2007-02-02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73157B1 (ko) * 2005-10-10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925686B1 (ko) * 2004-12-13 2009-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93B1 (ko) 2005-05-16 2006-07-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593857B1 (ko) 2005-05-25 2006-06-2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3642B1 (ko) 2005-06-02 2006-07-24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5B1 (ko) * 2005-06-09 2006-07-31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8B1 (ko) * 2005-06-13 2006-07-31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33341B1 (ko) 2005-09-16 2006-10-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705099B1 (ko) * 2005-11-15 2007-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 자동록킹장치
KR100666275B1 (ko) * 2005-12-0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6534A (ja) * 1996-02-13 1997-08-19 Araco Corp 車両用ルーフラックにおけるクロスバーの取付構造
KR20040039821A (ko) * 2002-11-05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랙
KR100490371B1 (ko) * 2002-11-05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86B1 (ko) * 2004-12-13 2009-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609489B1 (ko) * 2005-06-13 2006-08-0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73157B1 (ko) * 2005-10-10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655613B1 (ko) * 2005-11-21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 랙 베이스 레일과 크로스 바 슬라이더의 조립부 구조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77672B1 (ko) * 2006-10-12 2007-02-02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2114B1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114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JP7216787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US4821605A (en) Transmission shift control assembly
JP472039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695554B2 (ja) ドア開閉装置
JP2002147084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のロック機構
US20040119296A1 (en) Door lock device
JP2006152619A (ja) ドア開閉装置
KR840004386A (ko) 유압식 건축기계의 만능 레버장치
JP200101867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GB2228041A (en) Vehicular door locking device
US20010013237A1 (en) Key interlock mechanism for column automatic-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KR100666275B1 (ko)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JP2004036311A (ja) リッドロック装置
JP2000177422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4169428B2 (ja) 車両における扉体の開閉操作装置
JPH0932386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操作装置
JPH09290657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62113B1 (ko)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A2350474A1 (en) Linear recliner assembly
JP2000274129A (ja) 建設機械のスライドドアロック装置
JP3582250B2 (ja) ドアクローザ装置
JP3582251B2 (ja) ドアクローザ装置
JP3713670B2 (ja) 建機等の特殊車輛用のドア錠
JP4530712B2 (ja) ドアロック用遠隔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