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642B1 -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642B1
KR100603642B1 KR1020050047373A KR20050047373A KR100603642B1 KR 100603642 B1 KR100603642 B1 KR 100603642B1 KR 1020050047373 A KR1020050047373 A KR 1020050047373A KR 20050047373 A KR20050047373 A KR 20050047373A KR 100603642 B1 KR100603642 B1 KR 10060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oof
roof rack
main bod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이근식
염영진
Original Assignee
(주)진원
(주)부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원, (주)부전금속 filed Critical (주)진원
Priority to KR1020050047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크로스바 양단부 내측에 각각 좌우로 소정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본체; 각각의 본체 일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설치되어 루프랙의 걸림홈 체결에 따라 크로스바와 루프랙을 착탈시키는 걸림부; 각 본체의 측면부를 관통한 상태로 크로스바의 내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전핀에 결합되어 본체와 걸림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크로스바와 루프랙의 고정 및 해제를 조절하는 조절레버; 한쌍의 본체 사이를 연결하여 일측의 조절레버의 작동으로 타측의 본체를 이동시키는 연결부; 각 본체내에 인입되어 걸림부가 루프랙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이와같은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루프랙 일측의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면 일측의 걸림체와 타측의 본체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크로스바 해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루프캐리어, 루프랙, 크로스바, 록킹장치, 루프

Description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Locking apparatus for roof rack and cross bar of roof carrier}
도 1은 종래의 루프캐리어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a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의 작동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루프랙 11:걸림홈
20:크로스바 30:본체
31:슬라이딩공간부 32:관통공
40:걸림부 41:걸림체
42,62:고정단 50:조절레버
51:회전핀 60:연결부
61:연결축 70:탄성체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짐이나 물건 등의 수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루프캐리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루프패널(1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Roof rack)(110)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110)과 연결된 크로스바(Cross bar)(12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루프캐리어(200)에서 크로스바(120)는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 폭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120)의 루프랙(110)에 대해 고정 및 해체가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루프캐리어(200)는 루프랙(110)과 크로스바(120)의 록킹장치(130)가 크로스바(120)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혼자서는 양측을 모두 해체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크로스바(12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한쪽의 록킹장치(130)를 해제한 후 반대쪽으로 돌아가서 다른쪽의 록킹장치(130)를 다시 해 체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과 해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루프패널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설치되는 루프랙과, 차체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의 걸림홈에 연결된 상기 크로스바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양단부 내측에 각각 좌우로 소정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본체와; 각각의 상기 본체 일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설치되어 상기 루프랙의 걸림홈 체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착탈시키는 걸림부와; 각 상기 본체의 측면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크로스바의 내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전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의 고정 및 해제를 조절하는 조절레버와; 한쌍의 상기 본체 사이를 연결하여 일측의 상기 조절레버의 작동으로 타측의 상기 본체를 이동 시키는 연결부와; 각 상기 본체내에 인입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루프랙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의 대한 개략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상기 크로스바(20)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본체(30)와, 상기 크로스바(20)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본체(30) 일단부에 슬라이드되게 관통결합되어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이 착탈되게 하는 걸림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40)와 상기 본체(3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의 고정 및 해제를 조절하는 조절레버(50)와, 한쌍의 상기 본체(30)사이를 연결하여 일측에 설치된 상기 조절레버(50)의 작동만으로 타측의 상기 본체(30)를 작동되게 하는 연결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40)가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루프랙(10)과 상기 크로스바(20)를 차체루프상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탄성체(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부 내측에 한쌍이 좌우로 소정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부분으로, 각각의 상기 본체(30)는 내부에 소정의 슬라이딩공간부(31)를 가지며, 전후단부에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로 관통연결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40)는 각 상기 본체(30)에 형성된 일단부의 관통공(32)을 통해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상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40)는 상기 루프랙(10)에 형성된 걸림홈(11)에 끼어지는 걸림체(41)와, 상기 걸림체(4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체(41)가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에서 이동시 상기 본체(30)에서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단(4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40)의 걸림체(41)가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으로 돌출되면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은 상호 결합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걸림부(40)의 걸림체(41)가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로 인입되면서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에서 완전이탈되면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은 해제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조절레버(50)는 상기 본체(3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30)와 상기 걸림부(4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의 고정 또는 해제가 되도록 하는 레버이다.
이러한, 상기 조절레버(50)는 상기 슬라이딩공간부(31)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태로 양단이 상기 크로스바(20)의 내측에 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회전핀(5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레버(50)의 양측부는 상기 걸림부(40)와 상기 연결부(60)를 동시에 걸림시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걸림부(40)와 상기 연결부(60)가 작동되도록 양측에 대칭되는 고리가 형성된 S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60)는 한쌍의 상기 본체(30)사이를 연결하여 일측의 상기 조절레버(50) 작동만으로 타측의 상기 본체(30)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의 고정 또는 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축부이다.
상기 연결부(60)에는 각각의 상기 본체(30)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61)과, 상기 연결축(61)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61)이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에서 슬라이드되면서도 외부로 이탈이 되지않도록 하는 고정단(62)이 포함된다.
상기 탄성체(70)는 상기 본체(30)내 슬라이딩공간부(31)의 상기 걸림부(40)와 상기 연결부(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40)의 걸림체(41)가 상기 본체(30) 외측으로 돌출되게하여 상기 걸림체(41)가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체(70)로는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의 의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의 작동을 도 4a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10)과 상기 크로스바(20)가 상호결합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내에 설치된 상기 탄성체(70)에 의해 각 상기 걸림부(40)의 고정단(42)은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상 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걸림부(40)의 걸림체(41)가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0)의 고정단(62)은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상 후단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크로스바(20)를 상기 루프랙(10)에서 해제시키려면 먼저 상기 크로스바(20)의 일단부에 설치된 일측의 상기 조절레버(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4b와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레버(50)가 회전하면서 상기 조절레버(50) 양측부 각각의 고리부분이 상기 걸림부(40) 및 상기 연결부(60)의 고정단(62)을 각각 걸림된 상태로 상기 회전핀(51)에 인접하게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상기 걸림부(40)와 상기 연결축(60)은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로 인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20)의 일측부에 설치된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로 상기 걸림부(40)가 인입되면서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 일측의 걸림은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부(60)의 연결축(61)도 상기 본체(30)내 슬라이딩공간부(31)로 인입되면서 연결된 타측부의 상기 본체(30)를 상기 크로스바(2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타측부의 상기 본체(30)상에 설치된 걸림부(40)의 걸림체(41)도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은 완전한 해제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루프랙 일측의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면 일측의 걸림체와 타측의 본체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크로스바 해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차체 루프패널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설치되는 루프랙과, 차체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의 걸림홈에 연결된 상기 크로스바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20) 양단부 내측에 각각 좌우로 소정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본체(30)와;
    각각의 상기 본체(30) 일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설치되어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 체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을 착탈시키는 걸림부(40)와;
    각 상기 본체(30)의 측면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크로스바(20) 내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전핀(51)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30)와 상기 걸림부(4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바(20)와 상기 루프랙(10)의 고정 및 해제를 조절하는 조절레버(50)와;
    한쌍의 상기 본체(30) 사이를 연결하여 일측의 상기 조절레버(50)의 작동으로 타측의 상기 본체(30)를 이동시키는 연결부(60); 및,
    각 상기 본체(30)내에 인입되어 상기 걸림부(40)가 상기 루프랙(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체(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는 내부에 소정의 슬라이딩공간부(31)를 가지며, 전후단부에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로 관통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0)는
    상기 루프랙(10)에 형성된 걸림홈(11)에 끼어지는 걸림체(41)와;
    상기 걸림체(4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체(41)가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에서 이동시 상기 본체(30)에서 상기 루프랙(10)의 걸림홈(11)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단(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50)는 양측에 대칭되는 고리가 형성된 S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60)는
    각각의 상기 본체(30)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61)과;
    상기 연결축(61)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61)이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공간부(31)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외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단(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70)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20050047373A 2005-06-02 2005-06-02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373A KR100603642B1 (ko) 2005-06-02 2005-06-02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373A KR100603642B1 (ko) 2005-06-02 2005-06-02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642B1 true KR100603642B1 (ko) 2006-07-24

Family

ID=3718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373A KR100603642B1 (ko) 2005-06-02 2005-06-02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6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67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0851968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1238055B1 (ko) 2007-11-09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US5924614A (en) 1997-04-03 1999-07-20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longitudinally adjustable from one side of a motor vehicle
US6779696B2 (en)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KR100462114B1 (ko)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US5924614A (en) 1997-04-03 1999-07-20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longitudinally adjustable from one side of a motor vehicle
US6779696B2 (en)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KR100462114B1 (ko)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67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0851968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1238055B1 (ko) 2007-11-09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500B2 (en)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carrier
US8141760B2 (en) Hitch-mounted carrier
US9199520B2 (en) Adjustable hitch assembly
KR100677672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6976615B2 (en) Vehicle load carrier
KR100603642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20160052426A1 (en) Locking device for baby car seat
US20100270774A1 (en) Rotatable Trailer Hitch
EP3564067A1 (en) Child seat
KR102406053B1 (ko)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CN106564435A (zh) 顶板安装式自行车支架
US20140352482A1 (en) Tilt or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0756472B1 (ko) 크로스바 고정 장치
RU2700636C2 (ru) Сборный задний откидной борт кузов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и трос заднего откидного борта кузова
KR100599495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ITAN20110104A1 (it) Struttura applicabile per il trasporto di imbarcazioni o di portabagagli da tetto
CN207311297U (zh) 后拖式自行车架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605655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923746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WO2021043591A1 (de) Gelenkschloss
KR101786239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JP2010260385A (ja) 車両の荷物保持装置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