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770Y1 -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770Y1
KR200404770Y1 KR20-2005-0025849U KR20050025849U KR200404770Y1 KR 200404770 Y1 KR200404770 Y1 KR 200404770Y1 KR 20050025849 U KR20050025849 U KR 20050025849U KR 200404770 Y1 KR200404770 Y1 KR 200404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oof
vehicle
fixing device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5-0025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이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하며,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을 해제하는 과정이 차량의 양측 중 어느 곳에서도 한 명의 운전자(혹은, 작업자)에 의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랙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 및 제2조작레버; 상기 각 하우징 내에 각각 탄력 장착되고, 상기 각 조작레버와 직접 결합된 상태로 연동되면서 루프랙에 걸리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그리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가 회동될 경우 그의 반대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을 록킹 해제시키거나 혹은, 록킹시키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를 보다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지붕에 결합되어, 각종 화물 혹은, 스키 등과 같이 차체의 폭에 비해 비교적 부피가 크거나 혹은, 차체의 전장에 비해 비교적 길이가 긴 짐들을 적재하는 장비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루프 캐리어가 도시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지붕 양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루프랙(10)과, 상기 루프랙(1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20) 및 상기 크로스바(20)를 상기 루프랙(10)에 고정하는 고정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20)는 상기 각 루프랙(1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의 저면은 상기 각 루프랙(10)의 면상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루프랙(10)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듯, 전술한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결합된 각 고정부(30)가 서로 별개의 동작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20)를 루프랙(10)에 구속시키거나 혹은, 구속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루프 캐리어에 적재되는 화물(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명의 작업자가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각 고정부(30)를 동시에 조작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물론, 한 명의 작업자가 각 고정부(30)를 순차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크로스바(20)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라도 작업상의 불편함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5591호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차량의 한 측편에서 캠(25)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압축로드(21)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찰패드(22)를 루프랙(10)에 밀착시켜 상기 마찰패드(22)와 상기 루프랙(10) 상호간의 마찰력으로 상기 크로스바(20)가 고정되도록 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 역시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화물의 하중을 견디는 구성이 단순히 마찰패드(22)와 루프랙(10)의 마찰력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상기 마찰력에 비해 차량의 주행시 화물에 작용되는 관성력이 더욱 클 경우(예컨대, 차량의 급정거 혹은, 급출발 등) 화물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안전 운전에 큰 위험이 되고 있다.
둘째, 고정부를 구성하는 탄성부재(23)는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될 경우 압축로드(21)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24)가 끊어지는 등과 같은 불의의 사고시 고정이 강제로 해제되어 화물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셋째, 고정부를 구성하는 압축로드(21)의 이동 거리는 상기 마찰패드(22)를 상기 루프랙(10)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되, 과도한 가압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확히 조절되어야만 함으로써 높은 가공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그 조립시의 주의가 필요시 되어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
넷째, 고정부의 조작을 위한 캠(25)이 크로스바(20)의 어느 한 측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이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을 해제하는 과정이 차량의 양측 중 어느 곳에서도 한 명의 운전자(혹은, 작업자)에 의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랙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 및 제2조작레버; 상기 각 하우징 내에 각각 탄력 장착되고, 상기 각 조작레버와 직접 결합된 상태로 연동되면서 루프랙에 걸리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그리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가 회동될 경우 그의 반대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을 록킹 해제시키거나 혹은, 록킹시키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는 크게 좌측 루프백(110) 및 우측 루프랙(120)과, 크로스바(200) 및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루프랙(110,120)은 차량의 천장 양측에 그 길이 방향(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각각 길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걸림공(111,121)이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루프랙(110,120)의 내측면에는 고정장치의 끝단을 감싸면서 그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12,1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20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두 루프랙(110,1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크로스바(200)를 상기 각 루프랙(110,12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고정장치는 크게 한 쌍의 하우징(510,520)과, 한 쌍의 조작레버(310,320)와, 한 쌍의 록킹핀(330,340) 및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한 쌍의 하우징(510,520)은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200)의 좌측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측 루프랙(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우징(510)과,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200)의 우측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 루프랙(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양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2,1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도록 다단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가이드돌기(511,52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조작레버(310,320)는 상기 각 하우징(510,520)에 그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310)와 제2조작레버(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는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끝단 상면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손잡이(311,321)와, 상기 조작 손잡이(311,321)의 조작에 의해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그 둘레면에는 다수의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312,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록킹핀(330,340)은 상기 각 하우징(510 520) 내부 중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와 직접 결합된 상태로 연동되면서 각 루프랙(110,120)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한 쌍의 록킹핀(330,340)은 상기 제1조작레버(310)를 이루는 피니언(312)의 저부에 구비된 제1록킹핀(330)과, 상기 제2조작레버(320)를 이루는 피니언(322)의 저부에 구비된 제2록킹핀(3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록킹핀(330,340)의 후방측에는 탄력부재(331,34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탄력부재(331,341)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각 록킹핀(330,340)이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각 걸림공(111,121)에 걸리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록킹핀(330,340)의 상면에는 각 조작레버(310,320)의 피니언(312,322)과 치합되는 래크(332,34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조작레버(310)와 상기 제1록킹핀(330)은 서로 직접 결합되며, 상기 제2조작레버(320)와 상기 제2록킹핀(340)은 서로 직접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가 회동될 경우 그 반대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을 록킹 해제시키거나 혹은, 록킹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제1와이어(370)와 제2와이어(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37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조작레버(310)를 이루는 조작 손잡이(311)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록킹핀(340)의 후면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조작레버(310)의 저면에는 연결고리(3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와이어(370)는 상기 연결고리(313)에 연결된다.
상기 제2와이어(380)는 그 일단이 상기 제2조작레버(320)를 이루는 조작 손잡이(321)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록킹핀(330)의 후면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조작레버(320)의 저면에는 연결고리(3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와이어(380)는 상기 연결3고리(323)에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물을 루프 캐리어에 싣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화물의 크기에 따라 크로스바(20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최초의 상태는 첨부된 도 3과 같다.
즉, 한 쌍의 록킹핀(330,340)은 각 루프랙(110,120)의 어느 한 걸림공(111,121)을 관통하여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각 하우징(510,520)에 그 양단이 결합된 크로스바(200)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작레버(310,320)가 조작되면 한 쌍의 록킹핀(330,340)이 그 후방측(크로스바의 내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록킹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예컨대, 제1조작레버(310)가 첨부된 도 4와 같이 그 회동 중심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면 상기 제1조작레버(310)의 피니언(312)에 치합된 제1록킹핀(330)의 래크(332)가 연동되면서 상기 제1록킹핀(330)을 도면상 우측편으로 후퇴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일단이 상기 제1조작레버(310)의 연결고리(313)에 연결된 제1와이어(370)가 도면상 좌측편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와이어(370)의 타단에 연결된 제2록킹핀(340) 역시 도면상 좌측편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록킹핀(340)의 래크(342)와 치합된 제2조작레버(320)의 피니언(322)은 상기 제2록킹핀(340)의 이동에 의해 래크(342)와 연동되면서 그 회동 중심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제1록킹핀(330) 및 제2록킹핀(340)은 좌측 루프랙(110) 및 우측 루프랙(120)의 걸림공(111,121)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각 하우징(510,520)은 상기 각 루프랙(110,120)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각 록킹핀(330,340)의 후방측에 구비된 각각의 탄력부재(331,341)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 하우징(510,520)이 좌측 및 우측 루프랙(110,120)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면 사용자는 크로스바(200)를 차량의 전방측 혹은,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그의 필요에 따라(화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11,521)는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가이드레일(112,122)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이후, 제1조작레버(310)에 가하고 있던 회동력을 제거하면, 각 록킹핀(330,340)은 그 후방측에 각각 구비된 탄력부재(331,341)의 복원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즉, 각 탄력부재(331,341)의 복원에 의해 각 록킹핀(330,340)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각 루프랙(110,120)의 걸림공(111,121)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크로스바(200)의 양측 끝단은 상기 각각의 루프랙(110,12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1조작레버(310)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원위치로 북귀되고, 제2조작레버(320)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물론, 상기 크로스바(200)를 상기 각 루프랙(110,120)에 고정시키는 일련의 과정은 제1조작레버(31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강제 회동시키거나 혹은, 제2조작레버(32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강제 회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제1조작레버(310) 혹은, 제2조작레버(3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의 피니언(313,323)에 치합되어 있던 각 록킹핀(330,340)의 래크(332,342)가 연동되면서 각 록킹핀(330,340)이 각 루프랙(110,120)의 걸림공(111,121)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 하우징(510,520)은 각 루프랙(110,120)에 고정되고, 이로 인해 크로스바(200) 역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크로스바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급정거나 급발진이 발생되더라도 화물의 떨어짐은 방지되어 안전 운행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한명의 사용자로만 루프 캐리어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혹은, 화물을 내릴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차량의 양측 중 어느 곳이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크로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가 크로스바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20. 좌/우측 루프랙 111,121. 걸림공
112,122. 가이드레일 200. 크로스바
310,320. 조작레버 311,321. 조작 손잡이
312,322. 피니언 313,323. 연결고리
330,340. 록킹핀 331,341. 탄력부재
332,342. 래크 370,380. 와이어
510,520. 하우징 511,521. 가이드돌기

Claims (3)

  1. 크로스바를 한 쌍의 루프랙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랙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 및 제2조작레버;
    상기 각 하우징 내에 각각 탄력 장착되고, 상기 각 조작레버와 직접 결합된 상태로 연동되면서 루프랙에 걸리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그리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가 회동될 경우 그의 반대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을 록킹 해제시키거나 혹은, 록킹시키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레버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손잡이와, 상기 조작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그 둘레면에는 다수의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록킹핀의 상면에는 그에 인접된 조작레버의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1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록킹핀에 연결된 제1와이어와,
    일단이 상기 제2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록킹핀에 연결된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2005-0025849U 2005-09-07 2005-09-07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4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49U KR200404770Y1 (ko) 2005-09-07 2005-09-07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49U KR200404770Y1 (ko) 2005-09-07 2005-09-07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770Y1 true KR200404770Y1 (ko) 2005-12-28

Family

ID=4929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849U KR200404770Y1 (ko) 2005-09-07 2005-09-07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77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962B1 (ko) * 2006-06-15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00963B1 (ko) * 2006-06-15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22998B1 (ko) * 2006-06-13 2008-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916262B1 (ko) 2008-02-12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921075B1 (ko) * 2004-12-03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1241097B1 (ko) 2006-02-03 2013-03-08 (주)진원 차량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75B1 (ko) * 2004-12-03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1241097B1 (ko) 2006-02-03 2013-03-08 (주)진원 차량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822998B1 (ko) * 2006-06-13 2008-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00962B1 (ko) * 2006-06-15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00963B1 (ko) * 2006-06-15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916262B1 (ko) 2008-02-12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DE102006014929B4 (de)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n Motorrad-Seitenkoffer und Motorradkoffer
CN102712271B (zh) 用于交通工具座椅的靠背翻转机构
EP1612089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H11321402A (ja) 車両シ―ト用スライドレ―ルおよびこのスライドレ―ルを有するシ―ト
DE10046271B4 (de) Verschluß, insbesondere Gurtschloß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8056782B2 (en) Cross bar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KR100862204B1 (ko) 일측 해제 방식의 차량용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
EP1930213B1 (en) Apparatus for locking cross bar to side bars of roof carrier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404769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EP3864242B1 (de) Fahrzeugtürgriff
KR100921075B1 (ko)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N207790423U (zh) 交通工具扶手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ITTO960249A1 (it) Dispositivo di blocco per una leva di selezione
KR100925686B1 (ko)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RU2381918C1 (ru) Механизм стопорения салазок автомобильных сидений
EP1132258B1 (de) Gehäuse mit einem daran durch eine Rastverbindung befestigten Bauteil
KR200153922Y1 (ko) 트럭 센터시트 장착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080143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EP0976900A1 (de) Schloss, insbesondere Handschuhkastenschloss eines Kraftfahrzeu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