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998B1 -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998B1
KR100822998B1 KR1020060053179A KR20060053179A KR100822998B1 KR 100822998 B1 KR100822998 B1 KR 100822998B1 KR 1020060053179 A KR1020060053179 A KR 1020060053179A KR 20060053179 A KR20060053179 A KR 20060053179A KR 100822998 B1 KR100822998 B1 KR 100822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crossbar
side rail
housing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899A (ko
Inventor
안형준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5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99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17Ski carrier
    • Y10S224/9175Vehicle atta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에 착탈되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록킹핀 및 상기 제2록킹핀을 상기 사이드레일에 착탈시키는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일단이 상기 제1록킹핀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1래크가 형성된 제1크로스바와, 일단이 상기 제2록킹핀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래크가 형성된 제2크로스바와, 상기 제1래크 및 제2래크에 치합되고 상기 제1크로스바 및 제2크로스바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크로스바;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서 일측의 고정장치를 해제시키면 한 쌍의 래크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크로스바가 연동되면서 반대측 고정장치도 함께 해제되므로 차량 양측의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가 모두 해제되며, 이에 따라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가 사이드레일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제1사이드레일, 제2사이드레일, 제1크로스바, 제1래크, 제2크로스바, 제2래크, 피니언, 제1록킹핀, 제2록킹핀, 제1작동레버, 제2작동레버

Description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Cross-bar fix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및 그 작동상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및 그 작동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1사이드레일 30 : 제2사이드레일
40,160 : 제1하우징 50,170 : 제2하우징
60,120,180 : 제1록킹핀 70,130,200 : 제2록킹핀
83 :제1스프링 84 : 제2스프링
90,140 : 제1작동레버 100,150 : 제2작동레버
110 : 크로스바 112,190 : 제1크로스바
113 :제1래크 114,210 : 제2크로스바
115 : 제2래크 116 : 피니언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크로스바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작동시키면 크로스바 양단이 사이드레일로부터 해제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차량의 천장 위에 설치되어 각종 화물이나 스키 장비 등과 같이 차체의 폭에 비해 부피가 크거나 차체의 천장에 비해 길이가 긴 짐들을 적재하는 장비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루프캐리어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로써, 이는 차량의 루프 양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레일(1)과, 양단이 이 사이드레일(1)에 결합되고 화물의 크기에 맞게 이동하면서 화물을 고정하는 크로스바(2)와, 크로스바(2)의 양단과 사이드레일(1)에 설치되어서 크로스바(2)를 사이드레일(1)에 착탈시키는 고정부(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루프캐리어는 크로스바(2)의 양단에 고정부(3)가 각각 구비되며, 구비된 고정부(3)들이 별개로 조작된다. 따라서 이들을 동시에 조작하여서 크로스바(2)의 양단을 사이드레일(1)로부터 해제하려면 운전자 이외의 다른 한 사람이 필요하였다.
물론, 한 명의 작업자가 각 고정부(3)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서 크로스바(2)의 양단을 해제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차량의 좌우측을 번갈아 가면서 양측의 고정부(3)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양측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를 작동시켜서 크로스바의 일단과 사이드레일을 해제시키면 나머지 하나의 고정부도 이와 함께 연동되면서 크로스바의 타단과 사이드레일이 해제되도록 한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2005-0035591호에는 상술한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일측에서 캠(13)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압축로드(14)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찰패드(15)를 사이드레일(11)에 밀착시키며, 마찰패드(15)와 사이드레일(11) 상호 간의 마찰력으로 크로스바(12)가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마찰패드(15)와 사이드레일(11)의 마찰력만으로 화물의 중량을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그 고정력이 약하다. 즉, 이들의 마찰력에 비해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 등으로 인해 화물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더 클 경우, 화물이 루프캐리어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캠(13)을 조작할시 한쌍의 압축로드(14)가 동시에 연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한쌍의 압축로드(14)와 캠(13)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비교적 긴 길이의 와 이어(16)가 설치되는데, 장기간 사용시 종종 와이어(16)의 일부가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와이어(16)의 단선시 크로스바 고정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였다. 즉,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탄성부재(17)는 고정장치의 고정이 해제될 경우 압축로드(14)에 복원력을 제공하여서 압축로드(14)가 마찰패드(15)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와이어(16)가 단선될시 탄성부재(17)에 의해 양측의 고정장치가 동시에 해제되면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캠(13)이 크로스바(12)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한 측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정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캠(13)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양측 중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로스바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가 모두 해제되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크로스바를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에 착탈되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록킹핀 및 상기 제2록킹핀을 상기 사이드레일에 착탈시키는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상기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에 연결되고, 상기 두 록킹핀 중 어느 한 록킹핀이 상기 사이드레일에서 착탈되면 나머지 한 록킹핀을 대응 사이드레일에 착탈시키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일측 단부에,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상기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을 이송을 안내하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의 회동공간을 제공하는 제1레버작동구멍 및 제2레버작동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에, 상기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을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크 로스바는, 일단이 상기 제1록킹핀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1래크가 형성된 제1크로스바와, 일단이 상기 제2록킹핀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래크가 형성된 제2크로스바와, 상기 제1래크 및 제2래크에 치합되고 상기 제1크로스바 및 제2크로스바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록킹핀과 상기 제1크로스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록킹핀과 상기 제2크로스바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서 일측의 고정장치를 해제시키면 한 쌍의 래크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크로스바가 연동되면서 반대측 고정장치도 함께 해제되므로 차량 양측의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가 모두 해제되며, 이에 따라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가 사이드레일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 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는 그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써, 이는, 차량의 루프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쌍의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과,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각각 결합되는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과,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과, 양단이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에 연결되는 크로스바(110)와,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에 각각 연결되어서 이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로 대분된다.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은, 후술할 제1하우징(40)의 제1가이드부(42) 및 제2하우징(50)의 제2가이드부(52)가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내부에 제1가이드홈(21) 및 제2가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이 착탈되도록 복수의 제1체결구멍(22)들 및 제2체결구멍(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은, 제1하우징몸체(41) 및 제2하우징몸체(51)와, 제1하우징몸체(41) 및 제2하우징몸체(51)에 형성된 제1가이드부(42) 및 제2가이드부(52)로 이루어진다.
제1가이드부(42) 및 제2가이드부(52)는, 제1사이드레일(20)의 제1가이드 홈(21) 및 제2사이드레일(30)의 제2가이드홈(31)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1하우징(40) 및 제1하우징(40)의 내부 중앙에는 후술할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관통부(43) 및 제2관통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몸체(41) 및 제2하우징몸체(51)의 상부에는,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의 회동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레버작동구멍(44) 및 제2레버작동구멍(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레버작동구멍(44) 및 제2레버작동구멍(54)에는 제1중심핀(93) 및 제2중심핀(103)이 구비되어 있어 후술할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가 이에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제1하우징(40)의 제1관통부(43) 일단과 제2하우징(50)의 제2관통부(53) 일단에는 제1턱(45) 및 제2턱(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턱(45) 및 제2턱(55)들은 제1관통부(43) 및 제2관통부(53)에 삽입된 제1스프링(83) 및 제2스프링(84)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은, 제1하우징(40)의 제1관통부(43) 및 제2하우징(50)의 제2관통부(53)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착탈된다.
이러한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은, 그 둘레에 제1작동돌기(61) 및 제2작동돌기(71)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1작동레버(90)의 제1캠부(92) 및 제2작동레버(100)의 제2캠부(102)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1캠부(92) 및 제2캠부(102)가 작동될시 제1작동돌기(61) 및 제2작동돌기(71)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이에 연결 된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을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의 일측 둘레에는 제1지지돌부(62) 및 제2지지돌부(7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지지돌부(62) 및 제2지지돌부(72)에는 제1스프링(83) 및 제2스프링(84)의 일단이 지지된다.
여기서 제1스프링(83) 및 제2스프링(84)은, 일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돌부(62) 및 제2지지돌부(72)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하우징(40)의 제1턱(45) 및 제2하우징(50)의 제2턱(55)에 지지되며,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을 제1사이드레일(20)의 제2체결구멍(22) 및 제2사이드레일(30)의 제2체결구멍(32)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는,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에 연결되며,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을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착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는, 제1파지부(91) 및 제2파지부(101)가 구비되고, 그 단부에 제1캠부(92) 및 제2캠부(10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파지부(91) 및 제2파지부(101)와 제1캠부(92) 및 제2캠부(102) 사이에는 제1중심핀(93) 및 제2중심핀(103)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중심핀(93) 및 제2중심핀(103)은 그 양단이 제1하우징(40)의 제1레버작동구멍(44) 및 제2하우징(50)의 제2레버작동구멍(54)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작동레버(90)의 제1캠부(92) 및 제2작동레버(100)의 제2캠부(102)는 제1록킹핀(60)의 제1작동돌기(61) 및 제2록킹핀(70)의 제2작동돌기(71)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를 회동시키면 제1캠부(92) 및 제2캠부(102)가 회동되면서 제1작동돌기(61) 및 제2작동돌기(71)를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 측으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이 제1사이드레일(20)의 제2체결구멍(22) 및 제2사이드레일(30)의 제2체결구멍(32) 측으로 이송된다.
크로스바(110)는,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에 연결되고, 두 록킹핀 중 어느 한 록킹핀이 사이드레일에서 착탈되면 나머지 한 록킹핀을 대응 사이드레일에 착탈시킨다.
이러한 크로스바(110)는, 제1크로스바(112), 제2크로스바(114), 피니언(116), 케이스(118)로 이루어진다. 제1크로스바(112)는, 일단이 제1록킹핀(60)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1래크(113)가 형성된다. 이 제1크로스바(112)와 제1록킹핀(60)에는 제1체결핀(81)이 체결되어 있다.
제2크로스바(114)는, 일단이 제2록킹핀(70)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래크(115)가 형성된다. 이 제2크로스바(114)와 제2록킹핀(70)에는 제2체결핀(82)이 체결되어 있다.
피니언(116)은, 제1래크(113) 및 제2래크(115)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에 치합되며, 제1크로스바(112) 및 제2크로스바(114)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제1크로스바(112)의 제1래크(113) 및 제2크로스바(114)의 제2래크(115), 그리고 피니언(116) 둘레에는 케이스(118)가 씌워지며, 이 케이스(118)의 양면 및 피니언(116)의 회전중심에는 회전축(117)이 결합되어 있어서 피니언(116)의 회전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제1작동레버(90) 또는 제2작동레버(100)가 회동되면 제1록킹핀(60) 또는 제2록킹핀(70)이 연동되면서 제1사이드레일(20) 또는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해제된다.
도 4는,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을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두 작동레버 중 제1작동레버(90)의 제1파지부(91)를 잡고 화살표(A)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1작동레버(90)가 제1중심핀(93)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제1작동레버(90)의 제1캠부(92)가 제1록킹핀의 제1작동돌기(61)를 화살표(B)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제1사이드레일(20)의 제2체결구멍(22)에 삽입된 상태의 제1록킹핀(60)이 이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제1하우징(40)이 제1사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제1작동레버(90)에 의해 제1록킹핀(60)이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록킹핀(60)에 체결된 제1크로스바(112)가 이와 함께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 며, 제1크로스바(112)의 제1래크(113)에 치합된 피니언(116)을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116)은 회전축(11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그 상부에 치합된 제2크로스바(114)를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제2크로스바(114)에 체결된 제2록킹핀(70)도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록킹핀(70)이 제2사이드레일(30)의 제2체결구멍(32)에서 분리되며, 제2하우징(50)이 제2사이드레일(30)을 따라 이송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제1작동레버(90)를 회동시키면 제1록킹핀(60)이 제1사이드레일(20)의 제2체결구멍(2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크로스바(112)를 이동시키게 되며, 이동되는 제1크로스바(112)에 의해 피니언(116), 제2크로스바(114)가 연동된다. 따라서 제2크로스바(114)에 체결된 제2록킹핀(70)이 제2사이드레일(30)의 제2체결구멍(32)으로부터 이탈되므로 크로스바(110) 양측의 고정장치가 모두 해제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작동레버(90)를 회동시켜서 크로스바(110)의 양측의 고정장치를 해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제2작동레버(100)를 회동시켜도 상술한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크로스바(110)의 양측에 제1작동레버(90)와 제2작동레버(100)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차량의 양측 중 어느 위치에서도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 모두가 해제되므로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서 일측의 고정장치를 해제시키면 제1래크(113), 제2래크(115) 및 피니언(116)으로 이루어진 크로스바(110)가 연동되면서 반대측 고정장치도 함께 해제된다. 그러므로 차량 양측의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가 모두 해제되며, 이에 따라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가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고정장치 중 어느 일측의 고정장치가 파손되어도 크로스바(110) 전체가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및 그 작동상태 단면도로써, 이는, 제1작동레버(140) 및 제2작동레버(150)의 형태와, 제1록킹핀(120) 및 제2록킹핀(130)과의 연결관계가 도 3 및 도 4의 발명과 다르다.
이러한 고정장치의 제1작동레버(140) 및 제2작동레버(150)는, 제1파지부(141) 및 제2파지부(151)와, 제1파지부(141) 및 제2파지부(151)에 연장형성된 제1연동부(142) 및 제2연동부(152)로 이루어진다.
제1연동부(142) 및 제2연동부(152)는, 제1하우징(160)의 제1레버작동구멍(161) 및 제2하우징(170)의 제2레버작동구멍(171)에 제1중심핀(144) 및 제2중심핀(154)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연동부(142) 및 제2연동부(152)의 단부는 제1록킹핀(120) 및 제2록킹핀(130)에 형성된 제1작동돌기(121) 및 제2작동돌기(131)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연동부(142) 및 제2연동부(152)에는 제1장홈(143) 및 제2장홈(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장홈(143) 및 제2장홈(153) 내에 제1작동돌기(121) 및 제2작동돌기(131)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제1작동레버(140) 또는 제2작동레버(150)를 회동시키면 제1연동부(142) 및 제2연동부(152)가 제1중심핀(144) 및 제2중심핀(154)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1록킹핀(120) 및 제2록킹핀(130)을 연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작동레버(140)의 제1연동부(142) 및 제2작동레버(150)의 제2연동부(152)가 제1록킹핀(120) 및 제2록킹핀(130)에 결합된 상태이다. 즉 제1연동부(142)의 제1장홈(143)이 제1록킹핀(120)의 제1작동돌기(121)에 결합되어 있고, 제2연동부(152)의 제2장홈(153)이 제2록킹핀(130)의 제2작동돌기(13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연동부(142) 및 제2연동부(152)의 단부가 제1작동돌기(121) 및 제2작동돌기(131)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제1작동레버(140) 및 제2작동레버(150)의 작동 및 그 결합 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제1작동레버(140) 및 제2작동레버(150)의 형태와, 제1록 킹핀(120) 및 제2록킹핀(130)과의 연결관계만 다를 뿐 그 이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도 3 및 도 4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제1록킹핀(180) 및 제2록킹핀(200)이 제1크로스바(190) 및 제2크로스바(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도 3 내지 도 6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록킹핀(180) 및 제2록킹핀(200)이 제1크로스바(190) 및 제2크로스바(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1체결핀 및 제2체결핀이 필요 없으며, 부품수가 그만큼 절감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서 일측의 고정장치를 해제시키면 한 쌍의 래크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크로스바가 연동되면서 반대측 고정장치도 함께 해제되므로 차량 양측의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가 모두 해제되며, 이에 따라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가 사이드레일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가 방 지된다.

Claims (5)

  1. 크로스바(110)를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
    상기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에 착탈되는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
    상기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에 연결되며, 상기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을 상기 사이드레일에 착탈시키는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 및
    상기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에 연결되고, 상기 두 록킹핀 중 어느 한 록킹핀이 상기 사이드레일에서 착탈되면 나머지 한 록킹핀을 대응 사이드레일에 착탈시키는 크로스바(110)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바(110)는 일단이 상기 제1록킹핀(60)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 1 래크(113)가 형성된 제 1크로스바(112);
    일단이 상기 제2록킹핀(70)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래크(115)가 형성된 제2크로스바(114);
    상기 제1래크(113) 및 제2래크(115)에 치합되고 상기 제1크로스바(11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피니언(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50)은,
    일측 단부에, 상기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1가이드부(42) 및 제2가이드부(52)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상기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을 이송을 안내하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관통부(43) 및 제2관통부(53)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가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90) 및 제2작동레버(100)의 회동공간을 제공하는 제1레버작동구멍 및 제2레버작동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에,
    상기 제1록킹핀(60) 및 제2록킹핀(70)을 상기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제1스프링(83) 및 제2스프링(8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일단이 상기 제1록킹핀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1래크가 형성된 제1크로스바와,
    일단이 상기 제2록킹핀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래크가 형성된 제2크로스바와,
    상기 제1래크 및 제2래크에 치합되고 상기 제1크로스바 및 제2크로스바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핀과 상기 제1크로스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록킹핀과 상기 제2크로스바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 스바 고정장치.
KR1020060053179A 2006-06-13 2006-06-13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22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79A KR100822998B1 (ko) 2006-06-13 2006-06-13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79A KR100822998B1 (ko) 2006-06-13 2006-06-13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99A KR20070118899A (ko) 2007-12-18
KR100822998B1 true KR100822998B1 (ko) 2008-04-17

Family

ID=3913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179A KR100822998B1 (ko) 2006-06-13 2006-06-13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67B1 (ko) * 2013-12-13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 캐리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75B1 (ko) * 2004-12-03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916262B1 (ko) * 2008-02-12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770Y1 (ko) * 2005-09-07 200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770Y1 (ko) * 2005-09-07 200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04770호Y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67B1 (ko) * 2013-12-13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 캐리어 장치
US9108572B2 (en) 2013-12-13 2015-08-18 Hyundai Motor Company Bumper carrier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99A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472B1 (ko) 크로스바 고정 장치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8827228B2 (en) Fastener device, a seat provided with said device, and a vehicle
US8056782B2 (en) Cross bar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462114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7766200B2 (en) Cross bar lock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800962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EP2630892A1 (en) Two-way shifting device for tables
KR100609489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66275B1 (ko)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KR100800963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90092206A (ko)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레일바와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 장치
KR101238106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EP3446923B1 (en) Bike carrier
KR10060565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0143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527930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411498B1 (ko) 차량용 시트의 트랙겸용착탈장치
CN115789087A (zh) 滑轨结构及移动系统
KR100939521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