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962B1 -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962B1
KR100800962B1 KR1020060054046A KR20060054046A KR100800962B1 KR 100800962 B1 KR100800962 B1 KR 100800962B1 KR 1020060054046 A KR1020060054046 A KR 1020060054046A KR 20060054046 A KR20060054046 A KR 20060054046A KR 100800962 B1 KR100800962 B1 KR 10080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rossbar
side rail
housing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426A (ko
Inventor
손영기
김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5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96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17Ski carrier
    • Y10S224/9175Vehicle atta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크로스바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에 착탈되는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와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 또는 제2작동레버가 상기 제1사이드레일 또는 제2사이드레일에서 해제되도록 회동되면 이에 대응된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동레버가 크로스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양측 중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 모두가 해제되므로,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작동레버가 양측의 사이드레일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이므로 한쌍의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 전체가 사이드레일로부터 해제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제1가이드바, 제2가이드바, 제1작동레버, 제2작동레버, 제1하우징, 제1슬롯, 제2하우징, 제2슬롯, 제1록킹핀, 제2록킹핀, 제1파형돌부, 제2파형돌부

Description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Cross-bar fix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1사이드레일 29 : 제1가이드바
30 : 제2사이드레일 39 : 제2가이드바
40 : 크로스바 50 : 제1작동레버
60 : 제2작동레버 70,110 : 제1하우징
75,115 : 제1슬롯 80,120 : 제2하우징
85,125 : 제2슬롯 90 : 제1록킹핀
100 : 제2록킹핀 116 : 제1파형돌부
126 : 제2파형돌부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크로스바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작동시키면 크로스바 양단이 사이드레일로부터 해제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차량의 천장 위에 설치되어 각종 화물이나 스키 장비 등과 같이 차체의 폭에 비해 부피가 크거나 체체의 천장에 비해 길이가 긴 짐들을 적재하는 장비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루프캐리어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로써, 이는 차량의 루프 양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레일(1)과, 양단이 이 사이드레일(1)에 결합되고 화물의 크기에 맞게 이동하면서 화물을 고정하는 크로스바(2)와, 크로스바(2)의 양단과 사이드레일(1)에 설치되어서 크로스바(2)를 사이드레일(1)에 착탈시키는 고정부(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루프캐리어는 크로스바(2)의 양단에 고정부(3)가 각각 구비되며, 구비된 고정부(3)들이 별개로 조작된다. 따라서 이들을 동시에 조작하여서 크로스바(2)의 양단을 사이드레일(1)로부터 해제하려면 운전자 이외의 다른 한 사람 이 필요하였다.
물론, 한 명의 작업자가 각 고정부(3)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서 크로스바(2)의 양단을 해제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차량의 좌우측을 번갈아 가면서 양측의 고정부(3)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양측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를 작동시켜서 크로스바의 일단과 사이드레일을 해제시키면 나머지 하나의 고정부도 이와 함께 연동되면서 크로스바의 타단과 사이드레일이 해제되도록 한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2005-0035591호에는 상술한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일측에서 캠(13)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압축로드(14)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찰패드(15)를 사이드레일(11)에 밀착시키며, 마찰패드(15)와 사이드레일(11) 상호 간의 마찰력으로 크로스바(12)가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마찰패드(15)와 사이드레일(11)의 마찰력만으로 화물의 중량을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그 고정력이 약하다. 즉, 이들의 마찰력에 비해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 등으로 인해 화물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더 클 경우, 화물이 루프캐리어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캠(13)을 조작할시 한쌍의 압축로드(14)가 동시에 연동되도록 하기 위 해서 한쌍의 압축로드(14)와 캠(13)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비교적 긴 길이의 와이어(16)가 설치되는데, 장기간 사용시 종종 와이어(16)의 일부가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와이어(16)의 단선시 크로스바 고정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였다. 즉,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탄성부재(17)는 고정장치의 고정이 해제될 경우 압축로드(14)에 복원력을 제공하여서 압축로드(14)가 마찰패드(15)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와이어(16)가 단선될시 탄성부재(17)에 의해 양측의 고정장치가 동시에 해제되면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캠(13)이 크로스바(12)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한 측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정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캠(13)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양측 중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로스바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 모두가 해제되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루프에 그 길 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크로스바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에 착탈되는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와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 또는 제2작동레버가 상기 제1사이드레일 또는 제2사이드레일에서 해제되도록 회동되면 이에 대응된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은,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착탈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이 형성된 제1레일몸체 및 제2레일몸체와,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상기 제1레일몸체 및 제2레일몸체를 따라 이동되거나 상기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레일몸체 및 제2레일몸체 일측에 구비된 제1가이드바 및 제2가이드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는, 상기 제1가이드바 및 제2가이드바에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 측으로 회동되는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와,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에 연장되며 상기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제1착탈부 및 제2착탈부로 이루어진 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하우징몸체 및 제2하우징몸체와, 상기 제1하우징몸체 및 제2하우징몸체에 연장되고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에 연결되는 제1슬롯 및 제2슬롯이 형성된 제1연장링크 및 제2연장링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1하우징과 제2레버몸체 및 제2하우징에,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상기 제1가이드바 및 제2가이드바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이 더 설치된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작동레버 또는 제2작동레버가 회동되면 이에 연결된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에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이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을 따라 이송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은,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이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 내에서 간헐적으로 이송되도록 그 둘레에 복수의 파형돌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두 작동레버 중 어느 한 작동레버가 회동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면, 상기 크로스바의 타단이 이에 대응된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나머지 한 작동레버가 대응 사이드레일에서 해제되도록 된다.
따라서, 작동레버가 크로스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양측 중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 모두가 해제되므로,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작동레버가 양측의 사이드레일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이므로 한쌍의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 전체가 사이드레일로부터 해제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들로써, 이는, 차량의 루프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쌍의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과,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각각 결합되는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와, 크로스바(40)의 양단과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 레버(60)에 각각 결합되는 제1하우징(70) 및 제2하우징(80)으로 대분된다.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가 착탈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체결홈(28)들 및 제2체결홈(38)들이 형성된 제1레일몸체(21) 및 제2레일몸체(31)와, 제1레일몸체(21) 및 제2레일몸체(31)에 구비된 제1가이드바(29) 및 제2가이드바(39)로 이루어진다.
제1레일몸체(21) 및 제2레일몸체(31)는, 차량의 루프에 지지되는 제1기부(22) 및 제2기부(32)와, 제1기부(22) 및 제2기부(32) 일측에 연장된 제1측면부(24) 및 제2측면부(34)와, 제1측면부(24) 및 제2측면부(34) 상에 연장되고 후술할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60)의 제1착탈부(55) 및 제2착탈부(65)가 체결되도록 제1체결홈(28) 및 제2체결홈(38)이 형성된 제1상부(26) 및 제2상부(36)로 이루어진다.
제1가이드바(29) 및 제2가이드바(39)는, 그 양단이 제1레일몸체(21) 및 제2레일몸체(31)의 양단에 고정되며,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의 제1힌지구멍(52) 및 제2힌지구멍(62)이 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가 제1가이드바(29) 및 제2가이드바(39)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레일몸체(21) 및 제2레일몸체(31)를 따라 이동되거나 제1체결홈(28)들 및 제2체결홈(38)들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버몸체(51) 및 제2레버몸체(61)와, 제1레버몸체(51) 및 제2레버몸체(61)에 연장된 제1착탈부(55) 및 제2착탈부(65)로 이루어진다.
제1레버몸체(51) 및 제2레버몸체(61)는, 제1가이드바(29) 및 제2가이드바(39)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거나 제1체결홈(28)들 및 제2체결홈(38)들 측으로 회동되도록 제1힌지구멍(52) 및 제2힌지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레버몸체(51) 및 제2레버몸체(61)의 단부 일측에는 후술할 제1록킹핀(90) 및 제2록킹핀(100)이 결합되도록 제1결합구멍(53) 및 제2결합구멍(63)이 형성되어 있고, 제1레버몸체(51) 및 제2레버몸체(61)의 단부 타측에는 제1하우징(70) 및 제2하우징(80)을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에 결합시키도록 제1가이드핀(56) 및 제2가이드핀(66)이 결합되는 제1핀구멍(54) 및 제2핀구멍(64)이 형성된다.
제1착탈부(55) 및 제2착탈부(65)는, 제1레버몸체(51) 및 제2레버몸체(61)에 연장되며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의 제1체결홈(28)들 및 제2체결홈(38)들에 선택적으로 착탈된다.
제1하우징(70) 및 제2하우징(8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하우징몸체(71) 및 제2하우징몸체(81)와, 이에 연장된 제1연장링크(74) 및 제2연장링크(84)로 이루어진다.
제1하우징몸체(71) 및 제2하우징몸체(81)는, 크로스바(4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제1하우징몸체(71) 및 제2하우징몸체(81)의 일측 상부에는 제1작동레 버(50) 및 제2작동레버(60)의 단부 일측이 위치되도록 제1체결공간(72) 및 제2체결공간(82)이 형성된다. 이 제1체결공간(72) 및 제2체결공간(82)에는 후술할 제1록킹핀(90) 및 제2록킹핀(100)의 제1록킹부(93) 및 제2록킹부(103)가 착탈되도록 제1착탈홈(73) 및 제2착탈홈(8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장링크(74) 및 제2연장링크(84)는, 제1하우징몸체(71) 및 제2하우징몸체(81)에 연장되고, 이 제1연장링크(74) 및 제2연장링크(84)에는 제1가이드핀(56) 및 제2가이드핀(66)이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호형상의 제1슬롯(75) 및 제2슬롯(8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하우징(70) 및 제2하우징(8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바(40)와 별도로 제작되어서 그 양단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크로스바의 양단에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제1록킹핀(90) 및 제2록킹핀(100)은,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의 제1결합구멍(53) 및 제2결합구멍(63)에 위치되는 제1파지부(91) 및 제2파지부(101)와, 제1파지부(91) 및 제2파지부(101) 하측으로 연장된 제1안내부(92) 및 제2안내부(102)와, 제1안내부(92) 및 제2안내부(102)에 연장되고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제1착탈홈(73) 및 제2착탈홈(83)에 착탈되는 제1록킹부(93) 및 제2록킹부(1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록킹핀(90) 및 제2록킹핀(100)은,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 버(60)가 제1가이드바(29) 및 제2가이드바(39)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제1작동레버(50) 또는 제2작동레버(60)가 회동되면 제1하우징(70) 또는 제2하우징(80)이 연동되면서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가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해제된다.
도 6은,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를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두 작동레버 중 제1작동레버(50)를 회동시킨다. 제1작동레버(50)를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작동레버(50)와 제1하우징(70) 사이에 체결된 제1록킹핀(90)을 해제시켜야 한다. 제1록킹핀(90)을 해제시키기 위해 제1록킹핀(90)의 제1파지부(91)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록킹핀(90)의 제1록킹부(93)와 제1하우징(70)의 제1착탈홈(73)을 대향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록킹핀(90)의 제1파지부(91) 또는 그 주변의 제1작동레버(50)를 파지하고 도 6과 같이 회동시키면 제1록킹핀(90)의 제1록킹부(93)가 제1하우징(70)의 제1착탈홈(73)을 통과하여 그 상측으로 분리되면서 제1작동레버(50)가 제1가이드바(29)를 중심으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작동레버(50)의 제1핀구멍(54)에 결합된 제1가이드핀(56)은, 제1작동레버(50)와 함께 제1가이드바(29)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 6과 같이 제1하우징(70) 및 이에 결합된 크로스바(40)의 일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록킹핀(90)을 해제시킨 후 제1작동레버(50)를 회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제1하우징(70) 및 이 제1하우징(70)에 연결된 크로스바(40)가 연동된다.
여기서 제1작동레버(50)는 제1가이드바(29)를 중심으로 회동되지만 이와 함께 연동되는 크로스바(40)는 제2가이드바(39)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된다. 즉, 크로스바(40)의 양단에 제1하우징(70)과 제2하우징(80)이 결합된 상태이고, 제2하우징(80)과 제2작동레버(60)는 제2록킹핀(100)에 의해 체결된 상태이므로, 제1작동레버(50)가 회동되면서 제1하우징(70)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제1하우징(70), 크로스바(40), 제2하우징(80), 제2작동레버(60)가 제2가이드바(39)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1작동레버(50)가 제1가이드바(29)를 중심으로 화살표(A) 방향으로 90°회동되면 제2작동레버(60)는 제2가이드바(39)를 중심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면서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해제된다. 즉 제2작동레버(60)가 제2가이드바(39)를 중심으로 약간 회전되는 동안 제2작동레버(60)의 제2착탈부(65)는 제2사이드레일(30)의 제2체결홈(38)에서 분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제1작동레버(50)를 회동시키면 제1작동레버(50)의 제1착탈부(55)가 제1사이드레일(20)의 제1체결홈(28)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크로스바(40)를 제2가이드바(39)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며, 이때 제2작동레 버(60)의 제2착탈부(65)가 제2사이드레일(30)의 제2체결홈(38)으로부터 이탈되므로 크로스바(40) 양측의 고정장치가 모두 해제된다.
도 6과 같이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를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해제시킨 후 크로스바(40)의 어느 한 부분을 잡고 사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밀면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가 제1가이드바(29) 및 제2가이드바(39)를 따라 이송된다.
한편 도 6에서는 제1작동레버(50)를 회동시켜서 크로스바(40)의 양측의 고정장치를 해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제2작동레버(60)를 회동시켜도 상술한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즉, 본 발명은,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 중 어느 한 작동레버가 회동되어서 크로스바(40)의 일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면, 크로스바(40)의 타단이 이에 대응된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나머지 한 작동레버가 대응 사이드레일에서 해제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크로스바(40)의 양측에 제1작동레버(50)와 제2작동레버(60)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차량의 양측 중 어느 위치에서도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 모두가 해제되므로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가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 서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쌍의 고정장치 중 어느 일측의 고정장치가 파손되어도 크로스바(40) 전체가 사이드레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은 제1하우징(110)의 제1슬롯(115) 및 제2하우징(120)의 제2슬롯(125)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이러한 제1슬롯(115) 및 제2슬롯(125) 내에는 제1파형돌부(116) 및 제2파형돌부(126)가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작동레버(50) 또는 제2작동레버(60)를 회동시킴에 따라 제1가이드핀(56) 또는 제2가이드핀(66)이 제1슬롯(115) 또는 제2슬롯(125) 내에서 간헐적으로 이송되며, 회동된 상태가 지지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제1작동레버(50)를 회동시켜서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를 제1사이드레일(20) 및 제2사이드레일(30)로부터 해제시키면 제1가이드핀(56) 및 제1파형돌부(116)에 의해 해제된 상태가 그대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크로스바(40)를 해제시킨 후 이로부터 손을 떼어도 제1작동레버(50) 및 제2작동레버(60)가 원상태로 회동되는 문제가 해결되므로, 크로스바의 간격 조절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작동레버가 크로스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양측 중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양측의 고정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면 양측의 고정장치 모두가 해제되므로, 한 사람이 양측의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작동레버가 양측의 사이드레일에 각각 착탈되는 구성이므로 한쌍의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레버는 대응 사이드레일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 전체가 사이드레일로부터 해제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Claims (8)

  1.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루프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크로스바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에 착탈되는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와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 또는 제2작동레버가 상기 제1사이드레일 또는 제2사이드레일에서 해제되도록 회동되면 이에 대응된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은,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착탈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이 형성된 제1레일몸체 및 제2레일몸체와,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상기 제1레일몸체 및 제2레일몸체를 따라 이동되거나 상기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레일몸체 및 제2레일몸체 일측에 구비된 제1가이드바 및 제2가이드바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는,
    상기 제1가이드바 및 제2가이드바에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 측으로 회동되는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와,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에 연장되며 상기 제1체결홈들 및 제2체결홈들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제1착탈부 및 제2착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하우징몸체 및 제2하우징몸체와,
    상기 제1하우징몸체 및 제2하우징몸체에 연장되고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에 연결되는 제1슬롯 및 제2슬롯이 형성된 제1연장링크 및 제2연장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1하우징과 제2레버몸체 및 제2하우징에,
    상기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상기 제1가이드바 및 제2가이드바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레버 또는 제2작동레버가 회동되면 이에 연결된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제1레버몸체 및 제2레버몸체에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이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을 따라 이송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은,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이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 내에서 간헐적으로 이송되도록 그 둘레에 복수의 파형돌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작동레버 중 어느 한 작동레버가 회동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면, 상기 크로스바의 타단이 이에 대응된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나머지 한 작동레버가 대응 사이드레일에서 해제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20060054046A 2006-06-15 2006-06-15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0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46A KR100800962B1 (ko) 2006-06-15 2006-06-15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46A KR100800962B1 (ko) 2006-06-15 2006-06-15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26A KR20070119426A (ko) 2007-12-20
KR100800962B1 true KR100800962B1 (ko) 2008-02-11

Family

ID=3913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046A KR100800962B1 (ko) 2006-06-15 2006-06-15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9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770Y1 (ko) * 2005-09-07 200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4769Y1 (ko) * 2005-09-07 200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60062382A (ko) *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382A (ko) *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200404770Y1 (ko) * 2005-09-07 200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4769Y1 (ko) * 2005-09-07 200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6-0062382호 A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04769호 Y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04770호 Y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26A (ko)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73797B (zh) 用于儿童安全座椅的支撑底座
CN101745190B (zh) 用于系在固定绳索上的带有凸轮的上升装置
US9308838B2 (en) Center-pull latch mechanism
GB2298090A (en) Unlocking device
KR100756472B1 (ko) 크로스바 고정 장치
JP5182806B2 (ja) 車両用ルーフキャリアクロスバー
EP3564067A1 (en) Child seat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00962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800963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4769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1238106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226124Y1 (ko)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101739486B1 (ko) 그리퍼 통합형 레일 돌리
US8407865B2 (en) Tie-down tension enhancer
EP2917071B1 (en) Retaining assembly
KR20090092206A (ko)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레일바와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 장치
KR10078546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220814Y1 (ko)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KR10080143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