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124Y1 -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124Y1
KR200226124Y1 KR2020000031982U KR20000031982U KR200226124Y1 KR 200226124 Y1 KR200226124 Y1 KR 200226124Y1 KR 2020000031982 U KR2020000031982 U KR 2020000031982U KR 20000031982 U KR20000031982 U KR 20000031982U KR 200226124 Y1 KR200226124 Y1 KR 200226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cking
hole
hand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윤
Original Assignee
임원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윤 filed Critical 임원윤
Priority to KR2020000031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124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묶음용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선단에 분할축을 설치하되 분할축의 삽입홈을 외측으로 노출시켜 로프 등의 끈을 삽입홈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고, 분할축은 회전단속부에 의해 회전시켜 끈을 팽팽하게 당겨서 조임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분할축의 로프삽입홈에는 벨트는 물론 두께가 다소 두꺼운 로프 및 고무바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로프삽입홈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묶음 끈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며, 묶음용 끈이 끼워진 다음 래치기어의 회전에 따라 분할축에 감겨지는 화물 묶음 끈이 가이드편에 의해 외측으로 벗겨지거나 밀려나가지 않는 것이며, 화물용 묶음 끈으로 화물을 적재함에 묶어 놓은 상태에서 묶여진 묶음용 끈에 끈 조임장치를 장착하여 묶음 끈은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 혼자서도 화물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 Tools for tighten a rope }
본 고안은 화물 묶음용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적재함에 화물을 고정시킨 로프 또는 벨트 또는 고무바 등을 단단히 조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선단에 분할축을 설치하되 분할축의 삽입홈을 외측으로 노출시켜 로프 등의 끈을 삽입홈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고, 분할축은 회전단속부에 의해 회전시켜 끈을 팽팽하게 당겨서 조임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단속부에는 래치기어를 장착하고, 래치기어를 제어하기 위한 로킹장치 및 스톱퍼를 구비하며, 스톱퍼는 손잡이와 연동하도록 하여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단계적으로 래치기어를 회전시키거나 회전상태를 고정하며, 회전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로프 등의 끈을 풀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에는 적재된 화물이 운행 중에 흐트러지거나 추락하지 않도록 로프, 벨트 및 고무바 등의 묶음 수단으로 묶어주게 되며, 이러한 화물 묶음용 수단으로는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가 사용되고,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1)는 일반적으로 분할축으로 연결된 몸체와 손잡이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손잡이 조립체에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스톱퍼와 록킹편이 탄발 설치되며, 스톱퍼와 록킹편은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래치기어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거나 멈춰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첨부된 도1a 및 도1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1)는 몸체(2)와 손잡이(13)의 상단에 한 쌍의 래치기어(23)를 장착하고, 몸체(2)와 손잡이(13)에 장착되는 록킹편(10)과 스톱퍼레버(18)에 의해 래치기어(23)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2)는 상단에는 유통공(6)을 형성하고 유통공(6)의 상측에는 고정홈(5)을 형성하며 고정홈(5)의 전방에 단턱(7)을 형성하고, 유통공(6)의 하측으로 가이드홈(8)을 형성하며, 하단에는 길이가 짧은 벨트(3)와 고리(4)를 구비하고, 배면패널의 하단에는 받침편(9)을 형성한 것이며, 록킹편(10)은 양단부가 가이드홈(8)에서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하단부에는 스프링가이드(11)를 형성하여 스프링가이드(11)에 압축스프링(12)을 끼워 받침편(9)에 스프링가이드(11)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13)는 손잡이몸체(14)를 이격시켜 동일한 형상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손잡이(13)의 상단에는 유통공(16)을 형성하고 유통공(16)의 배면 외측으로 만곡된 곡면의 단턱(17)을 형성하며, 유통공(16)의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가이드홈(15)을 형성하고, 손잡이몸체(14)의 내측으로 스톱퍼레버(18)와 스프링받침편(20)을 장착하며, 스톱퍼레버(18)의 하단에는 스프링가이드(19)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21)을 끼워 넣고 압축스프링(21)의 하단은 스프링받침편(20)에 의해 받쳐지도록 하며 스톱퍼레버(18)의 양단은 가이드홈(15)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래치기어(23)는 한 쌍을 구비하는 것이며, 래치기어(23)의 중앙에는 반달형상의 통공을 대칭되도록 2개를 형성하여 분할축(24)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분할축(24)은 반달형상으로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몸체(2) 및 손잡이(13)와 체결조립 후에 고정핀(25)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몸체의 유통공(6)과 손잡이의 유통공(16)과 래치기어(23)의 반달형상의 통공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분할축(24)을 끼워 넣고 양측으로 노출되는 단부에 고정핀(25)을 끼워 분할축(24)을 고정하고 고정핀(25)은 절곡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록킹편(10)의 상단과 스톱퍼레버(18)의 상단은 래치기어(23)의 요홈에 자동적으로 삽입되어지도록 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1)는 몸체(2)의 하단에 구비된 고리(4)를 화물차의 적재함에 형성된 걸고리에 걸고 반대쪽에서 넘겨진 벨트를 분할축(24)의 로프삽입홈(26)에 끼우고 손잡이(13)를 상측으로 젖혀들어 올리면 스톱퍼레버(18)의 단부에 래치기어(23)가 밀려서 회전하게 되며, 래치기어(23)는 분할축(24)을 회전시켜 벨트를 감으면서 당기게 되며, 손잡이(13)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스톱퍼레버(18)와 록킹편(10)은 래치기어(23)의 만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후퇴한 다음 다시 래치기어(23)의 요홈에 삽입되어지는 것으로 손잡이(13)를 상·하측으로 반복하여 움직여주게 되면 래치기어(23)는 계속적으로 벨트를 당겨 화물을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래치기어(23)는 록킹편(10)에 걸려서 역회전이 억제되어 벨트를 조인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조임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13)를 상측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스톱퍼레버(18)를 당겨 몸체(2)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홈(5)에 스톱퍼레버(18)의 단부를 삽입시켜 고정시킴과 동시에 록킹편(10)을 하강시켜 손잡이(13)의 상단에 형성된 만곡된 단턱(17)에 올려지도록 하여 래치기어(23)의 걸림을 완전히 해제하고,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벨트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래치기어(23)는 역회전하면서 벨트가 풀려져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종래의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1)는 사용 시에 로프삽입홈에 묶음 끈을 삽입시킨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르고 대개 휴대용 조임장치는 벨트형태로 된 묶음용 끈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로프형태나 고무바와 같이 단면의 두께가 두꺼운 끈은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 화물을 묶음에 있어서 고무바 또는 로프를 사용하여 화물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두 개의 패널을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상품보호대(78)를 화물의 모서리에 결착시키고 고무바 또는 로프를 잡아 당겨서 묶어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상품보호대(78)가 고무바 또는 로프에 밀려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작업인원은 2인이 1조가 되어 한사람은 로프를 잡아당기고, 다른 한사람은 상품보호대(78)의 위치를 보정해주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와 손잡이의 상단에 래치기어를 구비하고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래치기어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거나 고정시켜 화물 묶음용 끈을 조일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래치기어에 끼어지는 분할축의 간격을 넓히고 일측을 개방하여 화물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끈 즉, 로프, 고무바, 벨트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할축의 일측에 가이드편을 고정하고 2개의 분할축 사이의 일측을 개방하여 보다 용이하게 로프, 고무바 및 벨트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고, 끼워진 다음 래치기어의 회전에 따라 분할축에 감겨지는 화물 묶음 끈이 외측으로 벗겨져 밀려나가지 않도록 하는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용 묶음 끈으로 화물을 적재함에 묶어 놓은 상태에서 묶여진 끈에 끈 조임장치를 장착하여 묶음 끈은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 혼자서도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몸체와 손잡이의 상단에 분할축을 구비하고 분할축은 래치기어에 끼워져 손잡이의 전후방향 조작에 의해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몸체(31)와 손잡이(37)의 전방에 유통공(32)(40)을 형성하여 유통공(32)(40)의 내측에 회전단속부(51)를 구성하고, 회전단속부(51)에 분할축(45)을 끼워 넣어 분할축(45)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킨 것과, 상기 몸체(31)는 2개의 패널을 간격봉(36)에 의해 이격시켜 고정하고, 몸체(31)의 후방에는 2개의 가이드봉(33)(33-1)을 이격시켜 형성하며, 각 가이드봉(33)(33-1)의 단부는 절곡하여 가이드봉(33)의 단부는 하향하도록 하고 가이드봉(33-1)의 단부는 상향하도록 하며, 가이드봉(33)의 상측에 걸림봉(34)을 형성하고, 몸체(31)의 하단 일측에 록킹축공(35)을 형성한 것과, 상기 손잡이(37)는 2개의 손잡이몸체(38)(38-1)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간격봉(36-1) 및 각각의 축봉에 의해 패널부분이 이격 되어진 상태에서 일체로 고정하고, 유통공(40)의 상단 후측에 스톱퍼축공(44)을 형성하며, 유통공(40)의 후방에 슬라이드공(41)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슬라이드공(41)의 후방에 레버축공(42)을 형성하며, 손잡이부분은 손잡이몸체(38)(38-1)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손잡이패킹(39)을 끼워 넣은 것과, 상기 회전단속부(51)는 래치기어(52)의 상측에 스토퍼(54)를 구비하고, 래치기어(52)의 후방에 록킹쇠(71)를 구비한 것과, 스토퍼(54)는, 전방하측에는 걸림턱(55)을 형성하고 걸림턱(55)의 전면에는 만곡부(56)를 형성하며, 스토퍼(54)의 중앙에는 축공(57)을 형성하고, 스토퍼(54)의 후방에는 오목한 형상의 누름쇠(58)를 형성하며, 상기 축공(57)과 토션스프링(60)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축(59)을 끼워 넣어 토션스프링(60)의 중앙은 스토퍼(54)의 후단하측을 받쳐지도록 하고 토션스프링(60)의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도록 하여 스토퍼(54)의 걸림턱(55)이 래치기어(52)의 방향으로 항상 밀어 줄 수 있도록 한 것과, 록킹쇠(71)는, 상단 전방에 걸림턱(72)을 형성하고, 걸림턱(72)의 상측으로 만곡부(73)를 형성하며, 록킹쇠(71)의 하단에는 축공(74)을 형성하고, 축공(74)과 토션스프링(76)의 중심을 일치시켜 록킹축(75)을 끼워 넣되 토션스프링(76)의 중앙은 록킹쇠(71)의 후방에 당접시키고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하단모서리에 걸리도록 하여 록킹쇠(71)를 래치기어(52)의 방향으로 항상 밀어 줄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스토퍼(54)와 록킹쇠(71)의 후방으로 록킹레버(61)를 장착하되, 록킹레버(61)는 영문자‘S’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방의 돌출부 중앙에 축공(62)을 형성하고 후방의 돌출부에 핀공(63)을 형성하며, 하단 단부에는 걸림턱(64)을 형성하고, 걸림턱(64)의 하측에는 만곡부(65)를 형성하며, 상기 축공(62)과 토션스프링(66)의 중심을 일치시켜 축(59-1)을 끼우되 토션스프링(66)의 중앙은 록킹레버(61)의 후측 모서리에 당접시키고,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하단 모서리 일측에 당접시켜 록킹레버(61)가 항상 세워지도록 하는 것과, 작동편(67)은, 양측으로 이격시켜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전방에는 슬라이딩축(70)을 끼워 고정하며, 후방에는 장공(68)을 형성하여 상기 핀공(63)과 장공(68)에 슬라이딩핀(69)을 끼워 넣어 슬라이딩핀(69)이 장공(68)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고, 슬라이딩축(70)의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슬라이드공(41)에 끼워지도록 한 것과, 상기 래치기어(52)는 2개의 반달유통공(53)을 형성한 것과, 분할축(45)은. 2개를 한 쌍으로 구성하되 분할축(45)의 단부에는 가이드편(46)을 형성하며 타측 단부에는 체결공(48)을 관통시키고, 체결공(48)에서 몸체(31)의 두께만큼 떨어진 위치에 가이드편(47)을 형성하여 상기 래치기어(52)의 반달유통공(53)에 분할축(45)을 각각 삽입시킨 후에 체결공(48)에 고정핀(50)을 끼워 고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30)에 의해 달성된다.
도1a는 종래의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b는 종래의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에서 록킹을 해제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에서 회전단속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하여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 끈 조임장치 2, 31: 몸체
5: 고정홈 6, 16, 32, 40: 유통공
7, 17: 단턱 8, 15: 가이드홈
9, 20: 스프링받침편 10: 록킹편
11: 스프링가이드 12, 21: 압축스프링
13, 37: 손잡이 14, 38, 38-1: 손잡이 몸체
18: 스톱퍼레버 23, 52: 래치기어
24, 45: 분할축 25, 50: 고정핀
26, 49: 로프삽입홈 33, 33-1: 가이드봉
46, 47: 가이드편 51: 회전단속부
53: 반달유통공 54: 스톱퍼
60, 66, 76: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61: 록킹레버 67: 작동편
69: 슬라이딩핀 70: 슬라이딩축
71: 록킹쇠 77: 화물차 적재함
78: 상품보호대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도2내지 도3c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b는 주요 요부인 회전단속부(51)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4a 내지 도4c는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5는 화물적재함에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30)를 적용하여 화물을 묶은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2 및 도3a에 도시 한 바와 같이 몸체(31)와 손잡이(37)의 전방에 유통공(32)(40)을 형성하여 유통공(32)(40)의 내측에 회전단속부(51)를 구성하고, 회전단속부(51)에 분할축(45)을 끼워 넣어 분할축(45)을 단속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켰다.
상기 몸체(31)는 2개의 패널을 간격봉(36)에 의해 이격시켜 고정하였으며, 몸체(31)의 후방에 2개의 가이드봉(33)(33-1)을 형성하되 전후방 및 상하로 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였고, 각 가이드봉(33)(33-1)의 단부는 절곡하여 가이드봉(33)의 단부는 하향하도록 하며 가이드봉(33-1)의 단부는 상향하도록 하였고, 가이드봉(33)의 상측에 걸림봉(34)을 형성하여 차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록킹레버(61)의 걸림턱(64)이 걸려지도록 하였다.
또한, 몸체(31)의 하단 일측에 록킹축공(35)을 형성하여 차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록킹쇠(71)의 록킹축(75)의 양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37)는 2개의 손잡이몸체(38)(38-1)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간격봉(36-1) 및 각각의 축봉에 의해 패널부분이 이격 되어진 상태에서 일체로 고정 형성하였다.
상기 유통공(40)의 상단 후측에 스톱퍼축공(44)을 형성하며, 차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스토퍼(54)를 장착하도록 하였으며, 유통공(40)의 후방에 슬라이드공(41)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슬라이딩축(70)의 양단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하였고, 슬라이드공(41)의 후방에 레버축공(42)을 형성하여 록킹레버(61)를 장착하도록 하였으며, 손잡이부분은 손잡이몸체(38)(38-1)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손잡이패킹(39)을 끼워 손잡이파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단속부(51)는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기어(52)의 상측에 스토퍼(54)를 구비하였고, 래치기어(52)의 후방에 록킹쇠(71)를 구비하였으며, 록킹쇠(71)의 후방으로 록킹레버(61)를 구비하였다.
상기 스토퍼(54)는, 전방하측에는 걸림턱(55)을 형성하고 걸림턱(55)의 전면에는 만곡부(56)를 형성하며, 스토퍼(54)의 중앙에는 축공(57)을 형성하고, 스토퍼(54)의 후방에는 오목한 형상의 누름쇠(58)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축공(57)과 토션스프링(60)의 통공을 일치시켜 축(59)을 끼워 넣되 토션스프링(60)의 중앙은 스토퍼(54)의 후단하측을 받쳐지도록 하고 토션스프링(60)의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도록 하였고, 축(59)의 양단부는 손잡이몸체(38)(38-1)의 스톱퍼축공(44)에 끼워지도록 하였고, 스토퍼(54)의 걸림턱(55)은 래치기어(52)의 방향으로 항상 밀어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누름쇠(58)를 누름으로써 래치기어(52)에서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록킹쇠(71)는, 상단 전방에 걸림턱(72)을 형성하고, 걸림턱(72)의 상측으로 만곡부(73)를 형성하였으며, 록킹쇠(71)의 하단에는 축공(74)을 형성하고, 축공(74)과 토션스프링(76)의 중심을 일치시켜 록킹축(75)을 끼워 넣되 토션스프링(76)의 중앙은 록킹쇠(71)의 후방에 당접시키고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하단모서리에 걸리도록 하였으며, 축공(74)의 양단은 몸체(31)의 록킹축공(35)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였고, 록킹쇠(71)는 래치기어(52)의 방향으로 항상 밀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스토퍼(54)와 록킹쇠(71)의 후방으로 록킹레버(61)를 장착하되, 록킹레버(61)는 영문자‘S’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최상단은 누름부로써 넓적하게 형성하였고, 전방의 돌출부 중앙에 축공(62)을 형성하였으며 후방의 돌출부에 핀공(63)을 형성하였고, 하단 단부에는 걸림턱(64)을 형성하였으며, 걸림턱(64)의 하측에는 만곡부(65)를 형성하였다.
상기 축공(62)과 토션스프링(66)의 중심의 일치시켜 축(59-1)을 끼우되 토션스프링(66)의 중앙은 록킹레버(61)의 후측 모서리에 당접시키고,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하단 모서리 일측에 당접시켜 록킹레버(61)가 항상 세워지도록 하였다.
작동편(67)은, 가이드편을 양측으로 이격시켜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였고, 전방에는 슬라이딩축(70)을 끼워 고정하였으며, 후방에는 장공(68)을 형성하여 상기 록킹레버(61)의 핀공(63)과 장공(68)에 슬라이딩핀(69)을 끼워 넣어 슬라이딩핀(69)이 장공(68)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슬라이딩축(70)의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슬라이드공(41)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하였다.
상기 래치기어(52)는, 도3a 및 도3b에 도시한바와 같이 2개의 반달형상의 반달유통공(53)을 형성하였으며, 분할축(45)은, 2개를 한 쌍으로 구성하되 분할축(45)의 단부에는 가이드편(46)을 형성하였고 타측 단부에는 체결공(48)을 관통시켜 고정핀(5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체결공(48)에서부터 몸체(31)의 두께만큼 떨어진 위치에 가이드편(47)을 형성하였다.
즉, 상기 래치기어(52)의 반달유통공(53)에 분할축(45)을 각각 삽입시키고 몸체(31)와 손잡이(37)를 조립시킨 후에 체결공(48)에 고정핀(50)을 끼워 고정하도록 하여 분할축(45)의 가이드편(46)이 몸체(31)의 유통공(32)의 일측면에 당접되도록 하고 타측단부는 고정핀(50)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분할축(45)의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2개의 분할축(45)을 래치기어(52)에 끼움으로써 2개의 분할축(45)사이에는 로프삽입홈(46)이 형성되는 것이며 로프삽입홈(46)의 너비(D)는 20mm이상으로 형성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차 적재함(77)에 화물을 적재하고, 화물 묶음용 끈으로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묶은 다음에 화물 위에 올라서서 화물의 모서리에 상품보호대(78)를 대고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30)를 묶음용 끈에 걸게 된다. 즉, 몸체(31)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봉(33)과 가이드봉(33-1)의 사이와 분할축(45)의 로프삽입홈(46)에 끈을 끼워 넣고 몸체(31)에서 손잡이(37)를 들어 올려 래치기어(52)를 래치기어(52)의 회전시킴으로써 분할축(45)을 회전시켜서 끈을 당겨 조이는 것이다.
즉,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레버(61)를 누르면 록킹레버(61)의 걸림턱(64)이 걸림봉(34)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손잡이(37)가 들어 올려지게 되며, 손잡이(37)를 들어 올림으로써 스토퍼(54)의 걸림턱(55)은 만곡부(56)와 래치기어(52)의 경사면이 접촉하여 들춰지면서 스토퍼(54)와 손잡이(37)는 회전하게 된다.
일정한 각으로 회전한 후에 손잡이(37)를 몸체(31)쪽으로 내리게 되면 스토퍼(54)의 걸림턱(55)과 래치기어(52)의 턱이 걸려 래치기어(52)는 손잡이(37)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록킹쇠(71)는 만곡부(73)와 래치기어(52)의 경사면이 접촉하면서 록킹쇠(71)가 뒤로 밀려난 다음 다시 원상복귀 되는 것이다.
재차 손잡이(37)를 들어 올렸다가 다시 내리는 과정을 반복하면 래치기어(52)는 손잡이(37)를 작동시킨 변위만큼 회전하게 되고 래치기어(52)가 회전한 변위만큼 묶음 끈은 당겨져 분할축(45)의 외주에 감겨지게 되는 것이고, 감겨진 묶음 끈은 가이드편(46) 및 가이드봉(33)(33-1)에 의해 외측으로 벗겨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묶음 끈을 충분히 당겨서 견고하게 화물이 고정되었을 때에는 손잡이(37)를 몸체에 바짝 붙여 눌러주게 되면 록킹레버(61)의 걸림턱(64)은 몸체(31)에 걸림봉(34)에 걸리게 되어 차량운행 및 기타의 진동에 의해 손잡이(37)가 들려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묶음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도4b 및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레버(61)를 먼저 누르게되면 록킹레버(61)의 걸림이 해제되며,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손잡이(37)를 들어 올리게되고 계속적으로 록킹레버(61)를 누르면 록킹레버(61)의 슬라이딩핀(69)이 작동편(37)의 장공(68)에서 슬라이딩하게 되고, 좀더 눌러지게 지면 작동편(37)은 전진하게되며, 작동편(37)이 전진하게되면 작동편(37)의 전방에 고정된 슬라이딩축(70)은 슬라이드공(41)에서 슬라이딩하여 하향하게 된다.
슬라이드공(41)의 전방에 슬라이딩축(70)이 위치한 상태에서 스토퍼(54)의 누름쇠(58)를 록킹레버(61)와 동시에 누르고 손잡이(37)를 내리게 되면 슬라이딩축(70)이 록킹쇠(71)의 만곡부(73)에 당접되며, 계속적으로 손잡이(37)를 내리게 되면 결국 록킹쇠(71)는 후퇴하게되어 록킹쇠(71)에서 걸림을 해제하게 됨과 동시에 스토퍼(54)의 걸림턱(55)에서 걸림이 해제된다.
결국 래치기어(52)는 결림이 해제된 상태로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묶음 끈은 풀려져 나가게 되고, 풀려진 묶음 끈에서 끈 조임장치(30)를 해체시키는 것이다.
묶음 끈에서 해체된 끈 조임장치(30)는 손잡이(37)에서 누름쇠(58)와 록킹레버(61)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토퍼(54)와 록킹레버(61) 및 록킹쇠(71)는 원상복귀 되고 손잡이(37)를 몸체(31)쪽을 바짝 눌러주게 되면 록킹레버(61)의 걸림턱(64)은 몸체(31)의 걸림봉(34)에 걸리게 된다.
상시 실시예에서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화물을 1차 적으로 묶고 화물의 위에 올라서서 2차 적으로 묶음 끈을 조였으나 화물의 부피 및 화물 자체의 견고성 등에 따라 화물의 측면에서 끈 조임장치(30)를 장착하여 끈을 조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30)는 분할축(45)의 로프삽입홈(46)에는 벨트는 물론 두께가 다소 두꺼운 로프 및 고무바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물 차량에 비치된 묶음용 끈을 즉시 사용할 수 있어 화물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끈 즉, 로프, 고무바, 벨트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로프삽입홈(46)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묶음 끈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며, 끼워진 다음 래치기어의 회전에 따라 분할축에 감겨지는 화물 묶음 끈이 가이드편(46)에 의해 외측으로 벗겨져 밀려나가지 않는 것이며, 화물용 묶음 끈으로 화물을 적재함에 묶어 놓은 상태에서 묶여진 묶음용 끈에 끈 조임장치(30)를 장착하여 묶음 끈은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 혼자서도 화물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와 손잡이의 분할축을 구비하고 분할축은 래치기어에 연동하여 손잡이의 전후방향 조작에 의해 단속적으로 분할축과 래치기어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몸체(31)와 손잡이(37)의 내측에 회전단속부(51)를 구성하고, 회전단속부(51)에 분할축(45)을 끼워 넣어 분할축(45)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킨 것과, 상기 몸체(31)는 패널을 간격봉(36)에 의해 이격시켜 고정하고, 몸체의 전방에는 유통공(32)을 형성하고, 몸체(31)의 후방에는 2개의 가이드봉(33)(33-1)을 이격시켜 형성하며, 가이드봉(33)(33-1)의 단부는 상·하측으로 절곡하고, 가이드봉(33)의 상측에 걸림봉(34)을 형성하며, 몸체(31)의 하단 일측에 록킹축공(35)을 형성한 것과, 상기 손잡이(37)는 2개의 손잡이몸체(38)(38-1)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간격봉(36-1) 및 각각의 축봉에 의해 패널부분이 이격 되어진 상태에서 일체로 고정형성하고, 유통공(40)의 상단 후측에 스톱퍼축공(44)을 형성하며, 유통공(40)의 후방에 슬라이드공(41)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슬라이드공(41)의 후방에 레버축공(42)을 형성하며, 손잡이부분은 손잡이몸체(38)(38-1)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손잡이패킹(39)을 끼워 넣은 것과, 상기 회전단속부(51)는, 래치기어(52)의 상측에 스토퍼(54)를 구비하고, 래치기어(52)의 후방에 록킹쇠(71)를 구비한 것과, 상기 스토퍼(54)는, 전방하측에는 걸림턱(55)과 만곡부(56)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축공(57)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누름쇠(58)를 형성하며, 상기 축공(57)에 토션스프링(60)을 일체로 축(59)을 끼워 넣어 토션스프링(60)의 중앙은 스토퍼(54)의 후단하측을 받쳐지도록 하고 토션스프링(60)의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도록 한 것과, 상기 록킹쇠(71)는, 상단 전방에 걸림턱(72)과 만곡부(73)를 형성하며, 록킹쇠(71)의 하단에는 축공(74)을 형성하고, 축공(74)에 토션스프링(76)을 일체로 록킹축(75)을 끼워 넣되 토션스프링(76)의 중앙은 록킹쇠(71)의 후방에 당접시키고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하단모서리에 걸리도록 한 것과, 상기 스토퍼(54)와 록킹쇠(71)의 후방으로 록킹레버(61)를 장착하되, 록킹레버(61)는 영문자‘S’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방의 돌출부 중앙에 축공(62)을 형성하고 후방의 돌출부에 핀공(63)을 형성하며, 하단 단부에는 걸림턱(64)을 형성하고, 걸림턱(64)의 하측에는 만곡부(65)를 형성하며, 상기 축공(62)에 토션스프링(66)을 일체로 축(59-1)을 끼우되 토션스프링(66)의 중앙은 록킹레버(61)의 후측모서리에 당접시키고,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하단 모서리 일측에 당접시켜 구성하는 것과, 상기 작동편(67)은, 양측으로 이격시켜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전방에는 슬라이딩축(70)을 끼워 고정하며, 후방에는 장공(68)을 형성하여 상기 핀공(63)과 장공(68)에 슬라이딩핀(69)을 끼워 넣어 슬라이딩핀(69)이 장공(68)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고, 슬라이딩축(70)의 양단부는 손잡이(38)(38-1)의 슬라이드공(41)에 끼워지도록 한 것과, 상기 래치기어(52)는 2개의 반달유통공(53)을 형성하되 반달유통공(53)간의 사이간격이 20mm 이상인 것과, 상기 분할축(45)은. 2개를 한 쌍으로 구성하되 분할축(45)의 단부에는 가이드편(46)을 형성하며 타측 단부에는 체결공(48)을 관통시키고, 체결공(48)에서 몸체(31)의 두께만큼 떨어진 위치에 가이드편(47)을 형성하여 상기 래치기어(52)의 반달유통공(53)에 각각 삽입시킨 후에 체결공(48)에 고정핀(50)을 끼워 고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20000031982U 2000-11-15 2000-11-15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226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82U KR200226124Y1 (ko) 2000-11-15 2000-11-15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82U KR200226124Y1 (ko) 2000-11-15 2000-11-15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124Y1 true KR200226124Y1 (ko) 2001-06-01

Family

ID=7309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82U KR200226124Y1 (ko) 2000-11-15 2000-11-15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12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97B1 (ko) 2013-10-02 2013-12-10 정도근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KR101420570B1 (ko) 2013-04-29 2014-08-13 정도근 로프 물림장치가 구비되는 래칫 작업판
KR20150106285A (ko) * 2014-03-11 2015-09-21 박근식 화물 고정용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101572754B1 (ko) 2014-04-08 2015-11-27 박근식 화물 고정용 벨트 텐셔너
CN110239420A (zh) * 2019-06-25 2019-09-17 中山市百思途旅行用品有限公司 绑带打卷紧固器
KR20200000287U (ko) * 2018-07-26 2020-02-05 김태원 차량의 뒷좌석 고정장치
KR102431034B1 (ko) * 2021-12-27 2022-08-10 주식회사 진테크텍스 수직형 추락방지망용 라쳇 버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570B1 (ko) 2013-04-29 2014-08-13 정도근 로프 물림장치가 구비되는 래칫 작업판
KR101340097B1 (ko) 2013-10-02 2013-12-10 정도근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KR20150106285A (ko) * 2014-03-11 2015-09-21 박근식 화물 고정용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101578715B1 (ko) * 2014-03-11 2015-12-21 박근식 화물 고정용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101572754B1 (ko) 2014-04-08 2015-11-27 박근식 화물 고정용 벨트 텐셔너
KR20200000287U (ko) * 2018-07-26 2020-02-05 김태원 차량의 뒷좌석 고정장치
KR200491552Y1 (ko) * 2018-07-26 2020-04-24 김태원 차량의 뒷좌석 고정장치
CN110239420A (zh) * 2019-06-25 2019-09-17 中山市百思途旅行用品有限公司 绑带打卷紧固器
KR102431034B1 (ko) * 2021-12-27 2022-08-10 주식회사 진테크텍스 수직형 추락방지망용 라쳇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47633B2 (en) Tie down and tensioning system
EP1766168B1 (en) Lockable tie down
US10988071B2 (en) Heavy duty ratchet
US20070221897A1 (en) Ratcheted winch bar
JP5819516B2 (ja) バンド締付け具
US9663255B2 (en) Hinged strap-binder
KR200226124Y1 (ko)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US20050283951A1 (en) Connector device for suspending straps
US10883568B1 (en) Sheet-securing device
US4693097A (en) Portable chain lock
US60499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djustable cord
JPS6033690B2 (ja) 帯片を利用してコンテナを壁に向けて拘持する装置
US7497398B2 (en) Strap roll up device
EP2978635B1 (en) Device for fastening a load strap
US11118655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mely and secur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US5440789A (en) Scissors-type clamps and clamping assemblies
GB2152003A (en) Ratchet
KR20160003912U (ko) 벨트 고정 장치
US8407865B2 (en) Tie-down tension enhancer
KR200293785Y1 (ko)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307502Y1 (ko) 화물 묶음용 끈 조임 장치
KR20170120527A (ko) 화물고정용 벨트 조임장치
JP6348443B2 (ja) バンド締付け具
JP6348444B2 (ja) バンド締付け具
KR200166926Y1 (ko)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