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912U - 벨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912U
KR20160003912U KR2020150002875U KR20150002875U KR20160003912U KR 20160003912 U KR20160003912 U KR 20160003912U KR 2020150002875 U KR2020150002875 U KR 2020150002875U KR 20150002875 U KR20150002875 U KR 20150002875U KR 20160003912 U KR20160003912 U KR 201600039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lt
coupled
ratchet whe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태
Original Assignee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2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912U/ko
Publication of KR20160003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벨트 고정 장치는 프레임, 권취 부재, 조임 부재, 래칫 휠, 스토퍼, 고정 부재를 갖는다. 프레임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관통공을 갖는다. 권취 부재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며, 삽입 슬롯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여 벨트를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1 삽입 절결부를 갖는다. 조임 부재와 래칫 휠은 권취 부재에 결합한다. 스토퍼는 래칫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한다. 고정 부재는 벨트의 일측 단부와 결합한다.

Description

벨트 고정 장치{Belt Tensioner}
본 고안은 벨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 선박 등에 탑재된 화물을 벨트를 이용하여 고정할 때 벨트의 양단을 결합 고정하여 화물을 차량 등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또는 선박에 탑재된 화물은 운송 중에 흔들려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로프나 벨트로 화물을 차체 또는 선체에 결박시킨다.
벨트 고정 장치는,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벨트의 일측을 먼저 고정하고, 벨트의 타측을 감는 등의 방법으로 당겨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511367호의 벨트 고정 장치를 보면, 격자형 몸체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 슬롯이 형성된 권취바, 권취바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고정 부재, 권취바에 연결되고 격자형 몸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임 볼트가 돌출 형성된 래칫 휠(ratchet wheel), 래칫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511367호의 벨트 고정 장치는 권취바의 벨트 슬롯에 벨트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는 방식이어서, 벨트를 삽입 고정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작업도 쉽지 않다. 이 장치는 조임 볼트로 구성하고 있어, 볼트를 회전시키는 장비가 있어야 벨트를 잡아 당길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벨트의 타측 단부에 별도의 걸쇠를 연결하고, 이것을 벨트 고정 장치의 고정 부재에 걸어 고정하는 방식이어서, 운행 중에 걸쇠가 고정 부재에서 빠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벨트의 길이가 길더라도 벨트를 벨트 고정 장치에 쉽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고,
둘째, 벨트를 감아 벨트 장력을 조절할 때, 볼트 회전 장비와 같은 별도 장비가 없어도 막대기와 같은 주위 도구를 이용하여 벨트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셋째, 벨트의 타측 단부도 고정 부재에 쉽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벨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벨트 고정 장치는 프레임, 권취 부재, 조임 부재, 래칫 휠, 스토퍼, 고정 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프레임의 회동 관통공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데, 중앙부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양 단부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권취 부재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는데, 삽입 슬롯은 일측에 벨트를 벨트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1 삽입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임 부재는 프레임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래칫 휠은 프레임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스토퍼는 일측이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이 래칫 휠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래칫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벨트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프레임의 일부 또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권취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벨트 고정 장치에서, 조임 부재는 외면에 다수의 평면을 갖는 볼트 조임 부재와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임 관통공을 갖는 관통공 조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벨트 고정 장치에서, 고정 부재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 슬롯을 포함하고, 일측에 벨트를 벨트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제2 삽입 절결부에 인접하여 벨트가 이탈하지 않게 하는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벨트 고정 장치에서, 스토퍼는 회전부, 지지부,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회전부는 일측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이 래칫 휠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는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는 일측이 지지부에 결합하고 타측이 회전부에 결합하여 회전부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다른 예는, 프레임, 권취 부재, 조임 부재, 래칫 휠, 스토퍼, 고정 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프레임의 회동 관통공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며, 중앙부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양 단부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임 부재는 프레임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조임 부재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임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래칫 휠은 프레임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스토퍼는 일측이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이 래칫 휠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래칫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벨트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프레임의 일부 또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권취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다른 예에서, 고정 부재는 고정 슬롯을 구비하고, 고정 슬롯의 일측에 벨트를 벨트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제2 삽입 절결부에 인접하여 벨트가 이탈하지 않게 하는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또다른 예는, 프레임, 권취 부재, 조임 부재, 래칫 휠, 스토퍼, 고정 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프레임의 회동 관통공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며, 중앙부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양 단부는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임 부재는 프레임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래칫 휠은 프레임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스토퍼는 일측이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이 래칫 휠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래칫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벨트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프레임의 일부 또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권취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고정 슬롯을 구비하고, 고정 슬롯의 일측에 벨트를 벨트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또다른 예에서, 고정 부재는 제2 삽입 절결부에 인접하여 벨트가 이탈하지 않게 하는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벨트 고정 장치는, 제1 삽입 절결부를 통해 벨트를 측방 결합할 수 있어, 벨트 길이가 길더라도 벨트의 삽입 고정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벨트 고정 장치는, 조임 부재에 조임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어, 벨트를 감아서 장력을 조절할 때 볼트 회전 장비와 같은 별도 장비가 없어도 막대기, 드라이버 등의 주위 도구를 이용하여 벨트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벨트 고정 장치는, 고정 부재에 제2 삽입 절결부를 통해 벨트의 연결 고리를 직접 삽입하여 걸 수 있으므로, 벨트를 벨트 고정 장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고정하는 방법도 쉽다. 나아가, 제2 삽입 절결부에 단턱을 구비하고 있어, 벨트의 연결 고리가 고정 부재의 고정 슬롯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고정 장치(100)는 벨트(200)를 이용하여 화물(300)을 결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화물(300)이 작아서 화물(300)만을 결박하는 경우, 벨트(200)의 일측을 벨트 고정 장치(100)의 일측에 고정하고, 화물(300)을 벨트(200)로 둘러싼 후 벨트(200)의 타측을 벨트 고정 장치(100)의 타측에 연결한다. 벨트 고정 장치(100)는 타측에 연결된 벨트(200)를 감아 돌리면서 벨트(200)의 장력 조절할 수 있다.
벨트 고정 장치(100)는 화물(300)을 차체에 고정하는 경우에도, 벨트(200)로 화물(300)과 차체를 전부 결박하는 것 외에는 화물(300)만을 결박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화물(300)을 결박할 수 있다.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벨트 고정 장치(100)는 프레임(110), 권취 부재(120), 볼트 조임 부재(130), 래칫 휠(140), 스토퍼(150), 고정 부재(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내부에 권취 부재(120)가 벨트(200)를 감아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권취 부재(120)의 양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회동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다수의 플레이트(111~114)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111,113)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플레이트(112,114)는 플레이트(111,113)에 수직되게 결합하여 플레이트(111,113)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도 2a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을 개방하는 박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하 방향에는 벨트(200)가 삽입할 수 있는 절결홈을 형성할 수 있다.
권취 부재(120)는 바(bar)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권취 부재(120)는 프레임(110)의 회동 관통공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여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권취 부재(120)의 중앙부는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양 단부는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일측 돌출부에는 볼트 조임 부재(130)와 래칫 휠(140)이 결합하고, 타측 돌출부에는 결합턱을 구비할 수 있다.
권취 부재(120)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S1)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 슬롯(S1)은 벨트(200)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삽입 슬롯(S1)은 권취 부재(120)의 대략 중양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 슬롯(S1)은 가장자리 근처에 외부와 연통하는 제1 삽입 절결부(H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삽입 절결부(H1)는 벨트(200)를 권취 부재(120)에 결합할 때, 벨트(200)를 벨트(200)의 폭 방향으로, 즉 측방으로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물을 결박하고 남은 벨트(200)가 길더라도 벨트(200)를 삽입 슬롯(S1)에 쉽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다.
볼트 조임 부재(130)는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120)의 일측 돌출부에 결합할 수 있다. 볼트 조임 부재(130)는 외면에 다수의 평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스패너와 같은 볼트 조임 도구를 볼트 조임 부재(130)의 외면에 결합하여 볼트 조임 부재(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볼트 조임 부재(130)가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권취 부재(120)가 회전하고, 나아가 삽입 슬롯(S1)에 삽입된 벨트(200)가 권취 부재(120)에 감기면서 벨트(200)의 길이 및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래칫 휠(140)은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120)의 돌출부에 결합할 수 있다. 래칫 휠(140)은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다수의 나사산을 외면에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140)은 일측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 저지 수단이 있을 경우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도 2a는 래칫 휠(140)을 볼트 조임 부재(130)에 인접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래칫 휠(140)을 볼트 조임 부재(130)의 반대편, 즉 프레임(110)의 타측 돌출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스토퍼(150)는 일측이 프레임(110)에 결합하고, 타측이 래칫 휠(14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래칫 휠(140)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다.
스토퍼(150)는, 도 2a,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151), 지지부(153), 탄성부(155)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회전부(151)는 일측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래칫 휠(140)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153)는 프레임(110)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153)는 돌출부나 탄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탄성부(155)는 일측이 지지부(153)에 결합하고 타측이 회전부(151)에 결합하여 회전부(153)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155)는 평상시에 회전부(151)를 가압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래칫 휠(140)의 역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부(151)의 상부 일측을 가압하면 탄성부(155)가 압축되고, 그 결과 회전부(151)가 래칫 휠(140)에서 분리되어, 래칫 휠(140)은 자유롭게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부(155)는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 부재(160)는 벨트(200)의 일측 단부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160)는 권취 부재(12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부재(160)는 프레임(110)의 일부 또는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 부재(160)는 고정 슬롯(S2)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슬롯(S2)은, 도 2a와 같이, 앞뒤, 즉 폭방향으로 연통하고, 상하좌우, 즉 측방으로는 폐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벨트(200)의 연결 고리(210)는 고정 슬롯(S2)에 직접 결합하지 못하고, 걸쇠(220)와 같은 보조 결합 도구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벨트 고정 장치는 프레임(110), 권취 부재(120), 관통공 조임 부재(135), 래칫 휠(140), 스토퍼(150), 고정 부재(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의 제2 실시예는, 도 2a,2b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볼트 조임 부재(130)와 달리, 관통공 조임 부재(135)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관통공 조임 부재(135)를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관통공 조임 부재(135)는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권취 부재(120)의 일측 돌출부에 결합할 수 있다. 관통공 조임 부재(135)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임 관통공(T)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임 관통공(T)에 삽입되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삽입하여 관통공 조임 부재(135)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관통공 조임 부재(135)에 결합된 권취 부재(120)를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 삽입 슬롯(S1)에 삽입된 벨트(200)를 권취 부재(120)에 감으면서 벨트(200)의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벨트 고정 장치는 프레임(110), 권취 부재(120), 볼트 조임 부재(130), 래칫 휠(140), 스토퍼(150), 변형 고정 부재(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제3 실시예는, 도 2a,2b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고정 부재(160)와 달리, 변형 고정 부재(16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변형 고정 부재(1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변형 고정 부재(160')는 벨트(200)의 일측 단부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변형 고정 부재(160')는 권취 부재(120)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프레임(110)의 일부 또는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변형 고정 부재(160')는 변형 고정 슬롯(S2')을 구비할 수 있다. 변형 고정 슬롯(S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통하고, 측방 대부분은 폐쇄하되, 측방 일측에 벨트(200)를 벨트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 절결부(H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삽입 절결부(H2)는 벨트(200)가 변형 고정 슬롯(S2')에 측방 결합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벨트(200)의 연결 고리(210)는 변형 고정 슬롯(S2')에 직접 결합할 수 있어, 도 2a의 걸쇠(220)와 같은 보조 결합 도구가 필요없다. 도 2a의 걸쇠(220)는 차량이 흔들릴 때 고정 부재(160)에서 이탈하는 경우도 있지만, 벨트(200)의 연결 고리(210)가 변형 고정 부재(160')를 감싸면서 결합하므로, 벨트(200)가 변형 고정 부재(160')에서 이탈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변형 고정 부재(160')는 연결 고리(210)가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단턱은 제2 변형 고정 슬롯(S2')에 인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된 벨트(200)는 변형 고정 부재(160')에 한층 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고정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는 프레임(110), 권취 부재(120), 볼트 조임 부재(130), 관통공 조임 부재(135), 래칫 휠(140), 스토퍼(150), 변형 고정 부재(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프레임(110), 권취 부재(120), 볼트 조임 부재(130), 래칫 휠(140), 스토퍼(150), 제2 실시예의 관통공 조임 부재(135), 그리고 제3 실시예의 변형 고정 부재(160')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제4 실시예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제1~3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제1~3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b는 막대기(136)로 관통공 조임 부재(135)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는데, 조임 관통공(T)에 막대기(136)를 삽입하고, 막대기(136)의 단부 영역을 잡고 막대기(136)를 회전시키면, 관통공 조임 부재(135)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 여러 실시예로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벨트 고정 장치 110: 프레임
120: 권취 부재 130: 볼트 조임 부재
135: 관통공 조임 부재 136: 막대기
140: 래칫 휠 150: 스토퍼
160: 고정 부재 160': 변형 고정 부재
200: 벨트 300: 화물
S1: 삽입 슬롯 S2: 고정 슬롯
S2': 변형 고정 슬롯 H1,H2: 제1,2 삽입 관통부
T: 조임 관통공

Claims (8)

  1. 벨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관통공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회동 관통공에 삽입되고, 중앙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위치하고, 양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 슬롯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여 벨트를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1 삽입 절결부를 갖는 권취 부재;
    상기 권취 부재에 결합하는 조임 부재;
    상기 권취 부재에 결합하는 래칫 휠;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래칫 휠에 결합하여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스토퍼;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벨트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는
    외면에 다수의 평면을 갖는 볼트 조임 부재와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임 관통공을 갖는 관통공 조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고정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슬롯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여 벨트를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 절결부를 구비하는, 벨트 고정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래칫 휠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회전부;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지지부;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 장치.
  5. 벨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관통공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회동 관통공에 삽입하며, 중앙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양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을 갖는 권취 부재;
    상기 권취 부재에 결합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임 관통공을 갖는 관통공 조임 부재;
    상기 권취 부재에 결합하는 래칫 휠;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래칫 휠에 결합하여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스토퍼;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벨트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고정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슬롯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여 벨트를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 절결부를 구비하는, 벨트 고정 장치.
  7. 벨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관통공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회동 관통공에 삽입하며, 중앙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양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슬롯을 갖는 권취 부재;
    상기 권취 부재에 결합하는 조임 부재;
    상기 권취 부재에 결합하는 래칫 휠;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래칫 휠에 결합하여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스토퍼;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벨트의 일측 단부가 결합하는 고정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슬롯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여 벨트를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 절결부를 구비하는 제2 삽입 절결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제2 삽입 절결부에 인접하여 단턱을 구비하는, 벨트 고정 장치.
KR2020150002875U 2015-05-06 2015-05-06 벨트 고정 장치 KR201600039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75U KR20160003912U (ko) 2015-05-06 2015-05-06 벨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75U KR20160003912U (ko) 2015-05-06 2015-05-06 벨트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12U true KR20160003912U (ko) 2016-11-16

Family

ID=5770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75U KR20160003912U (ko) 2015-05-06 2015-05-06 벨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91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558A (ko) * 2017-06-09 2018-12-19 윤종철 벨트조임장치
KR101990511B1 (ko) * 2018-10-31 2019-06-18 이현종 화물결박용 결박끈의 자동권취장치
WO2021015304A1 (ko) * 2019-07-19 2021-01-28 이용기 화물차의 화물 결박기구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558A (ko) * 2017-06-09 2018-12-19 윤종철 벨트조임장치
KR101990511B1 (ko) * 2018-10-31 2019-06-18 이현종 화물결박용 결박끈의 자동권취장치
WO2021015304A1 (ko) * 2019-07-19 2021-01-28 이용기 화물차의 화물 결박기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608A (en) Strap tightening device
US8833718B2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EP1296850B1 (de) Spannratsche mit gurtmagazin und gurtmagazin
US20120110801A1 (en) Strap tensioning device
KR20160003912U (ko) 벨트 고정 장치
US20070221897A1 (en) Ratcheted winch bar
WO2007064364B1 (en) Packaging tie-downs
KR100756472B1 (ko) 크로스바 고정 장치
WO2018185149A1 (de) Lochwandsystem und befestigungselement
US4693097A (en) Portable chain lock
EP2978635B1 (en) Device for fastening a load strap
US8967595B2 (en) Ratchet adapter for strap tensioner
WO2013064149A1 (en) Means for strapping a load on a transport platform
KR101511367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US9220322B2 (en) Tensioning apparatus
US20160355119A1 (en) Device for securing of load
US9193294B1 (en) Tie-down fixture
US20110185541A1 (en) Strap adjustment device
US8407865B2 (en) Tie-down tension enhancer
KR200226124Y1 (ko)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US4518184A (en) Device for remotely passing a cord in or around an anchoring member
CN210039470U (zh) 凸轮式便捷锁具
WO2013173522A1 (en) Strap for securing cargo on a vehicle
KR101749868B1 (ko) 화물고정용 조임장치의 플랫벨트 결속방법
KR20170120527A (ko) 화물고정용 벨트 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