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382A -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382A
KR20060062382A KR1020040101203A KR20040101203A KR20060062382A KR 20060062382 A KR20060062382 A KR 20060062382A KR 1020040101203 A KR1020040101203 A KR 1020040101203A KR 20040101203 A KR20040101203 A KR 20040101203A KR 20060062382 A KR20060062382 A KR 20060062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slider
locking pin
cros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1075B1 (ko
Inventor
양희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0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루프 래크(Roof Rack)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1개의 레버 및 와이어를 사용하여 레버의 회동에 따라 양측의 슬라이더에 설치된 2개의 록킹핀이 순차적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루프 패널(1)의 상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2)(22)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바(3)의 양단에는 레버의 회동에 따라 록킹핀(9)(19)이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더(5)(15)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각 슬라이더(5)(15)에 록킹핀(9)(19)을 수평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31)(32)으로 탄력 설치하고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록킹핀 중 어느 일측의 록킹핀(19)에는 도르래(33)를 설치함과 동시에 도르래가 설치되는 반대편에 위치하는 슬라이더(5)에는 레버(34)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레버(34)에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35)가 반대편에 위치된 도르래(34)를 경유하여 레버측 슬라이더에 설치된 록킹핀(9)에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Apparatus for locking a cross bar of a roof rack for automobiles}
도 1은 일반적인 루프 래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3a는 크로스바가 잠긴 상태도
도 3b는 크로스바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a는 크로스바가 잠긴 상태도
도 5b는 크로스바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루프 패널 2, 22 : 가이드레일
2a, 22a : 록킹공 3 : 크로스바
5, 15 : 슬라이더 9, 19 : 록킹핀
31, 32 : 스프링 33 : 도르래
34 : 레버 35 : 와이어
36 : 스토퍼 37 : 삽입공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루프 래크(Roof Rack)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측의 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각 사이드 레일의 록킹공에 끼워지는 2개의 록킹핀이 동시에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레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는 한정된 실내 공간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차동차의 루프 패널 상에 루프 래크(일명 "루프 캐리어"라고도 함)를 장착하여 상기 루프 래크 상에 레저에 필요한 화물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루프 래크는 자동차의 루프 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과, 상기 사이드 레일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크로스바가 사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적재하는 화물을 형태에 따라서 크로스바의 위치를 변경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루프 래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루프 패널(1)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과, 상기 가이드레일(2)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바(3)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크로스바(3)는 양측에 설치되는 잠금장치(4)에 의해 가이드레일(2) 상에서 그 위치가 결정된다.
즉, 적재할 화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가이드레일(2) 상에서 잠금장치(4)를 조작하여 한 쌍의 크로스바(3)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였다가 크로스바(3)의 위치가 조절되고 나면 잠금장치(4)에 의해 크로스바(3)가 가이드레일(2)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 후 크로스바(3)에 화물을 고정시키게 된다.
종래의 잠금장치(4)는 크로스바(3)의 양측에서 각각 조작하여 가이드레일(2)에서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조작에 많은 불편이 수반되어 일 측의 잠금장치(4)를 조작함에 따라 크로스바(3)의 양측에 위치된 잠금장치(4)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미국 특허 제6,779,696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루프 패널(1)의 양측에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록킹공(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크로스바(3)의 양단에는 슬라이더(5)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크로스바(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가이드로울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슬라이더(5)에 캠면(7a) 및 래치홈(7b)을 갖는 레버(7)가 힌지핀(8)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더(5)에는 힌지핀(8)이 관통하는 장공(9a) 및 돌출핀(9b)를 갖는 록킹핀(9)이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10)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핀(9)에 와이어(1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의 타단은 반대편에 위치하는 레버(27)의 걸고리(28)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핀(12)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11)(21)의 사이에는 크로스바(3)의 록킹시 록킹핀(9)(19)의 신속한 복귀를 위한 복귀스프링(29)이 걸려 있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각 레버(7)(27)가 슬라이더(15)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레버(7)(27)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핀(9)(19)이 각 가이드레일(2)(22)의 록킹공(2a)(22a)에 끼워져 있어 크로스바(3)가 움직이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22)로부터 크로스바(3)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도 3b와 같이 어느 하나의 레버(7)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각각의 와이어(11)(21)에 고정된 록킹핀(9)(19)이 록킹공(2a)(22a)으로부터 동시에 빠져 나와 크로스바(3)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레버(7)를 도 3b와 같이 상부로 들어올리면 레버(7)의 캠면(7a)에 밀착되어 있던 돌출핀(9b)이 캠면의 형상에 의해 스프링(10)을 압축시키면서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록킹핀(9)이 가이드레일(2)의 록킹공(2a)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레버(7)의 걸고리(18)에 걸림핀(23)이 걸려진 와이어(21)는 레 버(7)가 힌지핀(8)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걸고리(18)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걸림핀(23)에 고정된 와이어(21)가 좌측으로 당겨지는 결과가 되므로 결국 우측에 위치된 록킹핀(19) 또한 가이드레일(22)의 록킹공(22a)에서 빠져 나와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좌측의 레버(7)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설명하였으나, 좌측 레버가 아닌 우측에 위치된 레버(27)를 상부로 들어올려도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장치는 어느 일 측에 위치된 레버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 의해 양측에 위치된 록킹핀을 록킹공으로부터 이탈시키거나, 록킹시키게 되므로 그 작동이 편리해지는 잇점을 갖으나, 그 부품이 많아 생산성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각 와이어의 사이에 복귀스프링을 걸어 와이어의 복귀 시 이를 보조하도록 되어 있으나, 장기간 사용에 따라 복귀스프링이 늘어난 경우에는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1개의 레버 및 와이어를 사용하여 레버의 회동에 따라 양측의 슬라이더에 설치된 2개의 록킹핀이 순차적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루프 패널의 상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바의 양단에는 레버의 회동에 따라 록킹핀이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각 슬라이더에 록킹핀을 수평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고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록킹핀 중 어느 일측의 록킹핀에는 도르래를 설치함과 동시에 도르래가 설치되는 반대편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에는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레버에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가 반대편에 위치된 도르래를 경유하여 레버측 슬라이더에 설치된 록킹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루프 패널(1)의 상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2)(22)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바(3)의 양단에는 슬라이더(5)(15)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슬라이더(5)(15)에 록킹핀(9)(19)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31)(32)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더(5)(15)에 설치되는 록킹핀 (9)(19) 중 어느 일측의 록킹핀(19)에 도르래(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르래(33)가 설치되는 반대편에 위치하는 슬라이더(5)에는 레버(3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34)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35)는 반대편에 위치된 도르래(33)를 경유하여 레버측 슬라이더(5)에 설치된 록킹핀(9)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버(34)가 설치되는 측의 록킹핀(9)에 스토퍼(36)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5)에는 스토퍼(36)가 끼워지는 삽입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레버(34)를 회동시킴에 따라 레버(34)가 설치된 슬라이더(5)측의 록킹핀(9)이 가이드레일(2)의 록킹공(2a)에서 빠져 나오면 스토퍼(36)에 의해 록킹핀(9)의 이동을 제한하므로써 반대편에 위치된 록킹핀(19)이 가이드레일(22)의 록킹공(22a)에서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측의 슬라이더(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34)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각 슬라이더(5)(15)에 설치된 록킹핀(9)(19)이 가이드레일(2)(22)의 록킹공(2a)(22a)에 끼워져 있으므로 크로스바(3)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크로스바(3)의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일 측의 슬라이더(5)에 설치된 레버(34)를 도 4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젖히기만 하면 각 슬라이더(5)(15)에 설치된 록킹핀(9)(19)이 가이드레일(2)(22)의 록킹공(2a)(22a)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크로스바(3)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레버(34)를 화살표방향으로 젖히면 레버(34)에 와이어(35)의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도르래(33)를 경유하여 레버측 슬라이더(5)에 설치된 록킹핀(9)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레버측 슬라이더(5)에 설치된 록킹핀(9)이 가이드레일(2)의 록킹공(2a)에서 빠져 나오게 되는데, 상기 록킹핀(9)이 스프링(31)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는 거리는 도 5b와 같이 록킹핀(9)에 형성된 스토퍼(36)가 삽입공(37)에 끼워져 이동이 제한되는 지점까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레버(34)가 설치된 측의 슬라이더(5)에 설치된 록킹핀(9)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레버(34)를 더욱 더 젖히면 레버측에 위치된 록킹핀(9)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어 도르래(33)가 설치된 록킹핀(19)이 도면상 좌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록킹핀(19)이 스프링(32)을 압축시키면서 가이드레일(22)의 록킹공(22a)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34)를 젖히는 1번의 동작으로 2개의 록킹핀(9)(19)이 가이드레일(2)(22)의 록킹공(2a)(22a)에서 각각 빠져 나오게 되므로 크로스바(3)의 위치를 원하는 지점까지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크로스바(3)의 위치를 가변시킨 다음 젖혀져 있던 레버(34)를 슬라이더(5)에 밀착시키면 와이어(35)의 당김 동작에 의해 록킹공(2)(22a)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던 록킹핀(9)(19)은 스프링(31)(32)의 복원력에 의해 각각 슬라이더(5)(15)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레일(2)(22)에 형성된 록킹공(2a)(22a)에 끼워져 록킹되므로 크로스바(3)의 위치가 결정됨과 동시에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의 슬라이더에만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1개의 와이어가 일측의 록킹핀을 경유하여 다른 일측의 록킹핀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레버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2개의 록킹핀이 순차적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구성 부품의 간소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1개의 와이어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복귀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귀스프링에 의한 동작불량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2)

  1. 루프 패널의 상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바의 양단에는 레버의 회동에 따라 록킹핀이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각 슬라이더에 록킹핀을 수평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고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록킹핀 중 어느 일측의 록킹핀에는 도르래를 설치함과 동시에 도르래가 설치되는 반대편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에는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레버에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가 반대편에 위치된 도르래를 경유하여 레버측 슬라이더에 설치된 록킹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측의 록킹핀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슬라이더에는 스토퍼가 끼워지는 삽입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20040101203A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92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03A KR100921075B1 (ko)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03A KR100921075B1 (ko)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82A true KR20060062382A (ko) 2006-06-12
KR100921075B1 KR100921075B1 (ko) 2009-10-08

Family

ID=3715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203A KR100921075B1 (ko)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07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56472B1 (ko) * 2006-01-03 2007-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로스바 고정 장치
KR100774409B1 (ko) *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록킹장치
KR100792903B1 (ko) * 2006-10-10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조립구조
KR100800962B1 (ko) * 2006-06-15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12498B1 (ko) * 2007-01-18 2008-03-1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812502B1 (ko) * 2007-01-18 2008-03-1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WO2008054049A1 (en) * 2006-10-30 2008-05-08 Lg Chem, Ltd. Roof carrier for vehicle
KR101238106B1 (ko) * 2006-10-18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770Y1 (ko) * 2005-09-07 2005-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22998B1 (ko) * 2006-06-13 2008-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72B1 (ko) * 2006-01-03 2007-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로스바 고정 장치
KR100800962B1 (ko) * 2006-06-15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74409B1 (ko) *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록킹장치
KR100792903B1 (ko) * 2006-10-10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조립구조
KR101238106B1 (ko) * 2006-10-18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WO2008054049A1 (en) * 2006-10-30 2008-05-08 Lg Chem, Ltd. Roof carrier for vehicle
KR100812498B1 (ko) * 2007-01-18 2008-03-1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812502B1 (ko) * 2007-01-18 2008-03-1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075B1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075B1 (ko)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US7229117B2 (en) Vehicle seat moving devices
US4487468A (en) Card edge connector locking device
DE69820097T2 (de) Laufstall
US20070152001A1 (en) Crossbar locking device
KR100962145B1 (ko) 시트백 테이블 로킹장치
JPH10100752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1161506A (zh) 车顶行李架的纵向杆与横向杆锁紧装置
CN102026509A (zh) 用于多部分的壳体的闭锁系统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EP1930213B1 (en) Apparatus for locking cross bar to side bars of roof carrier
KR20210000399U (ko) 양방향 릴리스 머리 받침 조정 장치 및 아동용 안전시트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20070241651A1 (en) Drawer slide with releasable latch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JP4010155B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KR100802676B1 (ko) 자동차 루프레일 록킹장치
JP4075232B2 (ja) シャッターの施解錠装置
KR20070079671A (ko) 차량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CN218448580U (zh) Isofix连接器
KR10033634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CN215663108U (zh) 汽车座椅的桌板
KR20020016616A (ko) 로드 플로어 래치
CN207916866U (zh) 一种铁路运输车及其牵引销锁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