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431B1 -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431B1
KR100801431B1 KR1020060000890A KR20060000890A KR100801431B1 KR 100801431 B1 KR100801431 B1 KR 100801431B1 KR 1020060000890 A KR1020060000890 A KR 1020060000890A KR 20060000890 A KR20060000890 A KR 20060000890A KR 100801431 B1 KR100801431 B1 KR 10080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wire pulley
cross bar
mov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224A (ko
Inventor
조현영
김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0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4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 우측의 조작 레버중 어느 한 조작 레버만을 조작하더라도 좌/우측의 록킹 핀이 동시에 동작되어 운전자 혼자서도 크로스 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바를 한 쌍의 루프 랙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는 일단은 크로스 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 랙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각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해지는 제 1 조작 레버 및 제 2 조작 레버; 각 하우징 내에 탄력 설치되어, 제 1 조작 레버 또는 제 2 조작 레버에 의해 연동되면서 루프 랙에 걸리거나 또는 루프 랙으로부터 걸림해제되는 제 1 록킹 핀 및 제 2 록킹 핀;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와 제 1 및 제 2 록킹 핀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 바, 고정, 루프 랙, 록킹 핀, 조작 레버

Description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Cross-bar fix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 바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가 크로스 바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좌측 루프 랙 120 : 우측 루프 랙
200 : 크로스 바 310 : 제 1 조작 레버
331,341 : 탄력부재 320 : 제 2 조작 레버
330 : 제 1 록킹 핀 340 : 제 2 록킹 핀
400 : 연동부 410 :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
420 :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 430 :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
440 :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 510 : 제 1 하우징
520 : 제 2 하우징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우측의 조작 레버 중 어느 한 조작 레버만을 조작하더라도 좌/우측의 록킹 핀이 동시에 동작되어 운전자 혼자서도 크로스 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roof carrier)는 차량의 천장 위에 설치되어, 각종 화물, 스키 장비 등과 같이 차체의 폭에 비해 부피가 크거나 차체의 전장에 비해 길이가 긴 짐들을 적재하는 장비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루프 캐리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천장 양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루프 랙(10)과, 상기 루프 랙(10)에 결합되는 크로스 바(20) 및 상기 크로스 바(20)를 상기 루프 랙(10)에 고정하는 고정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 바(20)는 상기 각 루프 랙(1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크로스 바(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의 저면은 상기 각 루프 랙(10)의 면상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루프 랙(10)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듯, 전술한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크로스 바(20)의 양단에 결합된 각 고정부(30)가 서로 별개의 동작에 의해 상기 크로스 바(20)를 루프 랙(10)에 구속시키거나 혹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루프 캐리어에 적재되는 화물(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 바(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명의 작업자가 상기 크로스 바(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각 고정부(30)를 동시에 조작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물론, 한 명의 작업자가 각 고정부(30)를 순차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크로스 바(20)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작업상의 불편함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5591호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차량의 한 측편에서 캠(25)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압축 로드(21)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찰 패드(22)를 루프 랙(10)에 밀착시켜 상기 마찰 패드(22)와 상기 루프 랙(10) 상호간의 마찰력으로 상기 크로스 바(20)가 고정되도록 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화물의 하중을 견디는 구성이 단순한 마찰 패드(22)와 루프 랙(10)의 마찰력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상기 마찰력에 비해 차량의 주행시 화물에 작용되는 관성력이 더욱 클 경우(예컨데, 차량의 급정거 혹은, 급출발 등) 화물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안전운전에 큰 위험이 되고 있다.
둘째, 고정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23)는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될 경우 압축 로드(21)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24)가 끊어지는 등과 같은 불의의 사고시 고정이 강제로 해제되어 화물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셋째, 고정부를 구성하는 압축 로드(21)의 이동 거리는 상기 마찰 패드(22)를 상기 루프 랙(10)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되, 과도한 가압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확히 조절되어야만 함으로써 높은 가공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그 조립시의 주의가 필요시 되어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넷째, 고정부의 조작을 위한 캠(25)이 크로스 바(20)의 어느 한 측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크로스 바와 루프 랙 간의 고정 및 해제작업을 차량의 양 측중 어느 한 곳에서도 한 명의 운전자(혹은, 작업자)에 의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바를 한 쌍의 루프 랙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는, 일단은 상기 크로스 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 랙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해지는 제 1 조작 레버 및 제 2 조작 레버; 각 하우징 내에 탄력 설치되어, 제 1 조작 레버 또는 제 2 조작 레버에 의해 연동되면서 루프 랙에 걸리거나 또는 루프 랙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제 1 록킹 핀 및 제 2 록킹 핀;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와 제 1 및 제 2 록킹 핀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연동 수단은 제 1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와;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와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록킹 핀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와; 제 2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와;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와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록킹 핀과 일체로 결합된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와; 일단은 제 1 조작 레버와 연결된 채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를 연속적으로 감은 상태에서 타단은 제 2 조작 레버와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 바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 장치가 크로스 바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는 크게 좌측 루프 랙(110) 및 우측 루프 랙(120)과, 크로스 바(200) 및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루프 랙(120)은 차량의 천장 양측에 그 길이방향(차량의 전장방향)을 따라 각각 길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루프 랙(110,12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걸림공(111,121)이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각 루프 랙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루프 랙(110,120)의 내측면에는 고정장치의 끝단을 감싸면서 그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12,1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바(20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두 루프 랙(110,1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크로스 바(200)를 상기 각 루프 랙(110,12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 장치는 크게 한 쌍의 하우징(510,520)과, 한 쌍의 조작 레버(310,320)와, 한 쌍의 록킹 핀(330,340) 및 연동부(40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하우징(510,520)은 일단이 상기 크로스 바(200)의 도면상 좌측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도면상 좌측 루프 랙(1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하우징(510)과, 일단이 상기 크로스 바(200)의 도면상 우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 루프 랙(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하우징(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양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2,1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도록 다단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511,52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조작 레버(310,320)는 상기 각 하우징(510,520)에 그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 1 조작 레버(310)와 제 2 조작 레버(320)로 구성된다. 상기 각 조작 레버(310,320)는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적정 범위 내에서 좌우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한 쌍의 록킹 핀(330,340)은 상기 제 1 조작 레버(310) 또는 제 2 조작 레버(320)의 조작동작에 의해 상기 좌측 루프 랙(110)에 걸리거나 또는 좌측 루프 랙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록킹 핀(330)과, 상기 제 1 조작 레버(310) 또는 제 2 조작 레버(320)의 조작동작에 의해 우측 루프 랙(120)에 걸리거나 또는 우측 루프 랙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제 2 조작 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록킹 핀(3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록킹 핀(330,340)의 후방측에는 탄력부재(331,34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탄력부재(331,341)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각 록킹 핀(330,340)이 상기 각 루프 랙(110,120)의 각 걸림공(111,121)에 걸리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동부(400)는 적어도 어느 한 조작 레버가 좌우로 작동될 경우 제 1, 2 록킹 핀(330,340)이 동시에 록킹 또는 록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제 1, 2 고정 와이어 풀리(410,420)와, 제 1 및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430,440)와, 와이어(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410)는 제 1 하우징(510) 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420)는 제 2 하우징(520) 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430)는 제 1 하우징(520)내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430)는 제 2 하우징(520)내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430)는 상기 제 1 록킹 핀(33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440)는 상기 제 2 록킹 핀(34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450)는 그 일단이 상기 제 1 조작 레버(310)에 연결되고, 연이어서 상기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410),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430),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440),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420)를 연속적으로 감은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제 2 조작 레버(320)와 연결된다.
이하,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물을 루프 캐리어에 싣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화물의 크기에 따라 크로스 바(20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최초의 상태는 첨부된 도 3과 같다.
즉, 한 쌍의 록킹 핀(330,340)은 각 루프 랙(110,120)의 어느 한 걸림공(111,121)을 관통하여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각 하우징(510,520)에 그 양단이 결합된 크로스 바(200)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작 레버(310,320)가 조작되면 한 쌍의 록킹 핀(330,340)이 그 후방측(크로스 바의 내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예컨데,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조작 레버(310)를 도면상 좌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 1 조작 레버(310)의 하단부에 연결된 와이어(450)가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410) 및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430)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도면상 좌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반면, 상기 제 2 조작 레버(320)는 제 2 하우징(520)에 걸려있어서 더 이상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제적으로 와이어(450)는 팽팽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와이어(450)의 당김력에 의해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430)와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440)는 탄력 부재(331,341)를 압축시키면서 각각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430)와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4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각 가동 와이어 풀리(430,440)와 결합된 각 록킹 핀(330,340)이 각 하우징(510,520)의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좌측 루프 랙(110) 및 우측 루프 랙(120)의 걸림공(111,1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결국, 각 하우징(510,520)은 상기 각 루프 랙(110,120)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사용자는 크로스 바(200)를 차량의 전방측 혹은,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화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 바(2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511,521)는 상기 각 루프 랙(110,120)의 가이드 레일(112,1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이후, 제 1 조작 레버(310)에 가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각 록킹 핀(330,340)은 그 후방측에 각각 구비된 탄력 부재(331,341)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즉, 각 탄력 부재(331,341)의 복원에 의해 각 록킹 핀(330,340)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각 루프 랙(110,120)의 걸림공(111,121)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크로스 바(200)의 양측 끝단은 각 루프 랙(110, 12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크로스 바(200)를 상기 각 루프 랙(110,120)으로부터 해제시키는 일련의 과정은 제 2 조작 레버(320)를 이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는 크로스 바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급정거 또는 급발진 시에도 화물의 떨어짐이 방지되어 안전 운행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 바 고정 장치는 한 명의 사용자로만으로도 루프 캐리어의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 바 고정장치는 차량의 양측중 어느 곳이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 바 고정 장치는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2)

  1. 일단은 상기 크로스 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 랙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조작 레버 및 제 2 조작 레버;
    상기 각 하우징 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제 1 조작 레버 또는 제 2 조작 레버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루프 랙에 걸리거나 또는 루프 랙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제 1 록킹 핀 및 제 2 록킹 핀;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와 제 1 및 제 2 록킹 핀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와,
    상기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와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록킹 핀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와,
    상기 제 2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와,
    상기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와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록킹 핀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와,
    일단은 상기 제 1 조작 레버와 연결된 채 상기 제 1 고정 와이어 풀리, 제 1 가동 와이어 풀리, 제 2 가동 와이어 풀리, 제 2 고정 와이어 풀리를 연속적으로 감은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제 2 조작 레버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2. 삭제
KR1020060000890A 2006-01-04 2006-01-04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80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890A KR100801431B1 (ko) 2006-01-04 2006-01-04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890A KR100801431B1 (ko) 2006-01-04 2006-01-04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224A KR20070073224A (ko) 2007-07-10
KR100801431B1 true KR100801431B1 (ko) 2008-02-11

Family

ID=3850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890A KR100801431B1 (ko) 2006-01-04 2006-01-04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4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88Y1 (ko) * 2005-09-07 2005-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88Y1 (ko) * 2005-09-07 2005-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02088호 Y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224A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091B1 (en) Infant vehicle seat and frame suitable for use with such an infant vehicle seat
US4832410A (en) Seat belt buckle assembly
KR101324371B1 (ko) 자동차의 화물 공간용 플로어 조립체
JPH11321402A (ja) 車両シ―ト用スライドレ―ルおよびこのスライドレ―ルを有するシ―ト
KR101829875B1 (ko)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US10173597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luggage compartment of an automotive vehicle
JP4284659B2 (ja) 車両用荷室仕切り装置
CN106458144B (zh) 用于具有能移出的带引导元件的安全带的调节设备
US10011245B2 (en) Adjustment device for seat belt mechanism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706846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0143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JP4448494B2 (ja) かご屋根上の整備員のための安全装置
KR200404769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1363462B1 (ko) 단일 측부에서 해제되는 횡단 바아를 가진 차량의 물품운반 장치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JP5430331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装置のロックユニット取付構造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GB1587361A (en) Safety device for cable hoisting apparatus
US10906436B2 (en) Quick release apparatus for a latch connector on a booster seat
KR100851967B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EP3446923B1 (en) Bike carrier
KR100515145B1 (ko) 자동차용 루프 랙
KR100534354B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