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967B1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967B1
KR100851967B1 KR1020070025209A KR20070025209A KR100851967B1 KR 100851967 B1 KR100851967 B1 KR 100851967B1 KR 1020070025209 A KR1020070025209 A KR 1020070025209A KR 20070025209 A KR20070025209 A KR 20070025209A KR 100851967 B1 KR100851967 B1 KR 100851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oot
roof
locking bar
slide member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601A (ko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102007002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9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장착풋의 고정과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루프렉, 루프렉 각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풋, 장착풋 각각에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장착풋 각각에 측방향으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장착풋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 장착풋 각각의 록킹바를 일방향으로 탄성되도록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성수단, 장착풋 각각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 장착풋 각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에 일단이 결합되는 한편 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대향되는 장착풋 상의 록킹바 후단에 결합되어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대향되는 타측 장착풋의 록킹바를 작동시키는 와이어 및 양측 루프렉에 장착된 대향되는 장착풋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와이어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70025209
루프패널, 루프렉, 장착풋, 캐리어, 루프캐리어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캐리어{Roof carrier for vehicles}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정면 구성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장착풋의 고정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장착풋의 고정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크로스바의 이동을 보인 작용도.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크로스바의 이동 후 고정장치에 의한 고정을 보인 작용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와이어 장력 조절용 인장스프링과 와이어 간섭방지용 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110. 루프렉
112. 레일홈 114. 고정홈
120. 장착풋 122. 지지간
124. 지지관통홈 126. 크로스바 결합홈
130.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132. 걸림간
134. 관통홈 136a. 지지막대
136b. 지지턱 136c. 복원스프링
140. 록킹바 142. 걸림턱
150. 지지턱 152. 탄성스프링
160. 풀리 170. 와이어
180. 크로스바 190. 구름롤러
200. 인장스프링 210. 와이어 지지구
212.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일측의 록킹바를 일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한편 와이어를 통해 타측 장착풋의 록킹바 역시 타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크로스바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라 함은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수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 상부에 장착되어 스키, 스노보드, 수상스키, 서프보드 및 자전거 등과 같은 레저스포츠용 장비는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루프캐리어는 그 장착방식에 있어 크게 자동차의 루프패널이나 리어 글라스 등에 장착풋을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방식과 자동차의 루프패널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루프렉(Roof Rack)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된 장착풋을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루프캐리어의 중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자동차의 루프패널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루프렉(Roof Rack)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된 장착풋을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러한 루프렉과 장착풋에 의한 방식은 차량의 출고시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에 장착되어 출고되지도 하지만 이미 출고된 차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다음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루프렉과 장착풋에 의한 루프캐리어를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렉과 장착풋에 의한 방식의 루프캐리어를 보인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2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0) 상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루프렉(22), 양측 루프렉(22) 각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지되 양측 루프렉(22) 각각에 2개씩 장착되는 장착풋(24) 및 장착풋(24)을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바(2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20)의 크로스바(26)는 그 상부로 적재하기 위한 장비나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전후의 간격이 조정 가능하다. 즉, 루프렉(22) 각각에 전후로 장착된 장착풋(24)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착풋(24)을 연결하는 크로스바(26) 사이의 전후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루프캐리어(20)의 장착풋(24)은 루프렉(22)의 대향면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22a)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홈(22a)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22b) 상에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 록킹바(24a)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통해 루프렉(22) 상에 고정 및 고정해제된다. 이때, 록킹바(24a)의 고정해제시 장착풋(24)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장착풋(24)에는 구름롤러(24b)가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를 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제조에 따른 고가의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는 사용자 일인이 루프렉 양측에 장착된 장착풋의 고정을 해제할 수 없거나 고정해제 구조가 복잡해 크로스바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에서 와이어를 이용한 방식의 루프캐리어의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되어 원활한 조작의 어려움과 작동불량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음은 물론, 작동시 와이어의 소음이 발생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장착풋의 고정과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를 통해 록킹바의 고정과 고정해제를 보다 단순하게 함으로써 루프캐리어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와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인장스프링의 구성을 통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와이의 장력 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는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대향면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과 레일홈 각각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이 구성된 루프렉; 루프렉 각각의 레일홈 상에 외측단 일부가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풋; 장착풋 각각에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일측에는 관통홈이 형성된 걸림간이 구비되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장착풋 각각에 측방향으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홈에 관통되어지되 그 후단의 걸림턱을 통해 걸림간에 걸림되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루프렉의 고정홈과 결합 및 결합해제를 통해 장착풋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 장착풋 각각의 록킹바 선단을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성수단; 장착풋 각각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 장착풋 각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에 일단이 결합되는 한편 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대향되는 장착풋 상의 록킹바 후단에 결합되어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대향되는 타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타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와이어; 및 양측 루프렉에 장착된 대향되는 장착풋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와이어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록킹바 탄성수단은 록킹바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턱; 및 장착풋 각각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간과 록킹바 선단의 지지턱 사이인 록킹바 외주에 결합되어 록킹바를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착풋 각각의 외측단 전후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루프렉의 레일홈 상에서 장착풋이 전후 슬라이드시 구름을 통해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구름롤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각각의 와이어에는 양측 끝단이 각각의 와이어에 결합 고정되어 와이어의 장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각각의 크로스바 내부에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의 이동시 와이어 상호의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크로스바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가 관통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지지하는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이 형성된 와이어 지지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시 이를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걸림간 선단부 일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장착풋의 지지간을 관통하는 지지막대; 지지막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턱; 및 지지막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지되 지지간과 지지턱 사이에 지지되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정면 구성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장착풋의 고정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장착풋의 고정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크로스바의 이동을 보인 작용도,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크로스바의 이동 후 고정장치에 의한 고정을 보인 작용도이다.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0) 상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루프렉(110), 루프렉(110) 각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풋(120), 장착풋(120) 각각에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장착풋(120) 각각에 측방향으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록 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장착풋(120)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140), 장착풋(120) 각각의 록킹바(140)를 일방향으로 탄성되도록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성수단, 장착풋(120) 각각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160), 장착풋(120) 각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일단이 결합되는 한편 풀리(160)를 경유하여 타단이 대향되는 장착풋(120) 상의 록킹바(140) 후단에 결합되어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대향되는 타측 장착풋(120)의 록킹바(140)를 작동시키는 와이어(170) 및 양측 루프렉(110)에 장착된 대향되는 장착풋(120)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와이어(170)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18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사용자 혼자서도 대향 설치된 록킹바(140)를 루프렉(110)으로부터 동시에 고정해제시켜 장착풋(12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이동시키면 일측 장착풋(120)에 구성된 록킹바(140)가 일측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되는 동시에 일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170)를 통해 연결된 타측 장착풋(120)의 록킹바(140) 역시 타측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이동시 이동되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연결된 록킹바(14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의해 이동되어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되고, 타측 또는 일측의 록 킹바(140)는 와이어(170)의 일동에 따른 당김 작용에 의해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루프렉(110)은 후술하는 장착풋(120)을 장착하여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루프렉(110)은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루프패널(10)의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 고정된다. 이때, 루프렉(110)은 양측 대향면 상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112)과 레일홈(112)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11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양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은 일대일 대응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양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을 일대일 대응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은 크로스바(180)를 통해 연결되는 양측 장착풋(120)이 동일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착풋(120)은 양측 대향되는 장착풋(120)을 연결하는 전후의 두 크로스바(18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착풋(120)은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루프렉(110)에 전후로 두 개씩 네 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지되 양측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착풋(120)은 그 각각의 외측단 일부가 루프렉(110) 각각의 레일홈(112) 상에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장착풋(120)이 루프렉(110) 각각의 레일홈(112) 상에서 원활한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착풋(120) 각각의 외측단 전후에는 구름롤러(1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구름롤러(190)가 설치됨으로써 장착풋(120)은 루프렉(110)의 레일홈(112)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착풋(120) 각각의 내측에는 루프렉(1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높이의 지지간(122)이 형성되고, 이 지지간(122)에는 후술하는 록킹바(140)와 지지막대(136a)가 관통 지지되는 지지관통홈(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풋(120) 각각의 후단에는 후술하는 크로스바(180)가 삽입 연결되는 크로스바 결합홈(126)이 형성된다.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좌우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록킹바(140)와 루프렉(110) 상의 고정홈(114)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장착풋(12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풋(120) 각각의 후단부 상부면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하부의 선단부 상에는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간(132)과 걸림간(132)에 록킹바(1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관통홈(134)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이 더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각각의 걸림간(132) 선단부 일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장착풋(120)의 지지간(122)에 형성된 지지관통홈(124)을 관 통하는 지지막대(136a), 지지막대(136a)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턱(136b) 및 지지막대(136a)의 외주면에 결합되어지되 지지간(122)과 지지턱(136b) 사이에 지지되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복원스프링(136c)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복원스프링(136c)이 장착풋(120)의 지지간(122) 상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턱(136b)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지지턱(136b)이 형성된 지지막대(136a)는 복원스프링(136c)의 탄성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지지막대(136a)가 일체로 연결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역시 복원스프링(136c)의 탄성방향으로 원위치 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복원스프링(136c)의 탄성력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루프렉(110)의 고정홈(114)과 록킹바(140)의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그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그 즉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복원스프링(136c)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된다.
록킹바(140)는 장착풋(12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장착풋(1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루프렉(110)의 레일홈(112)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114)과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어 장착풋(120)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록킹바(140)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풋(120) 각각 에 측방향으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풋(120) 각각에 측방향으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바(140)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걸림간(132)에 형성된 관통홈(134)을 관통한 상태로 록킹바(140)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142)을 통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걸림간(132)에 걸림된다. 따라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가 원위치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걸림간(132)에 록킹바(140)가 걸림턱(142)을 통해 걸려 있기 때문에 록킹바(140)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록킹바(140)의 선단이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어 장착풋(120)의 고정이 해제된다.
물론, 루프렉(110)의 레일홈(112)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114)으로부터 록킹바(140)를 분리시켜 장착풋(120)을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이동시키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걸림간(132)에 록킹바(140)가 걸림턱(142)을 통해 걸려 있기 때문에 록킹바(140)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이동된 상태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록킹바(140)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의해 루프렉(110)의 고정홈(114) 방향으로 걸림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록킹바 탄성수단에 의해 이동 원위치 된다.
록킹바 탄성수단은 장착풋(120) 각각에 설치된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 록킹바 탄성수단은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바(140)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턱(150) 및 장착풋(120) 각각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간(122)과 록킹바(140) 선단의 지지턱(150) 사이인 록킹바(140) 외주에 결합되어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5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바 탄성수단은 장착풋(120) 각각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간(122)에 지지되어 지지턱(150)을 밀어내는 형태로 탄성스프링(152)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록킹바(140)가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그 즉시 탄성스프링(152)은 그 탄성력을 통해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바 탄성수단의 탄성스프링(152)이 그 탄성력을 통해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록킹바(140)는 그 후단의 걸림턱(142)을 통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걸림간(132)에 걸려있게 때문에 결국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역시 록킹바 탄성수단의 탄성스프링(152)에 의해서도 원위치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그 외력이 제거되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에 의해서도 원위치 되지만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의 복원력에 더하여 록킹바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더 작용하 여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복원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풀리(160)는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시 이에 따른 와이어(17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풀리(160)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풋(120) 각각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와이어(170)가 풀리(160)의 외주연 상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경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풀리(160)의 설치 위치는 와이어(170)가 휘돌아 경유하여야 하기 때문에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선단에 비해 루프렉(110)에 가까운 위치의 장착풋(120) 내측 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와이어(170)는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따른 힘을 타측 또는 일측의 록킹바(140)에 전달하여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타측 또는 일측의 록킹바(14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와이어(170)는 장착풋(120) 각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일단이 결합되는 한편 풀리(160)를 경유하여 타단이 대향되는 장착풋(120) 상의 록킹바(140) 후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17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방 향으로 일정범위 이동되어 대향되는 타측 또는 일측 장착풋(120)의 록킹바(140)를 잡아당겨 록킹바(140)의 선단이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170)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 추구하는 사용자 혼자서도 양측의 장착풋(120)을 고정해제시켜 전후로 일정범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로스바(180)의 전후 사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대응하는 장착풋(120)에는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170)가 구성된다.
즉,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지지간(132)에 걸림된 록킹바(140)는 그 즉시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범위만큼 이동되어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바(140)를 레일홈(112)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처럼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와이어(17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범위만큼 이동되어 타측 또는 일측의 록킹바(140)를 이동범위만큼 잡아당겨 결국 타측 또는 일측의 록킹바(140) 역시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결합이 분리되도록 하여 양측의 장착풋(120)이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되도록 한다.
크로스바(180)는 양측 루프렉(110) 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대향 장 착된 두 장착풋(120)을 상호 연결하는 한편 그 내부를 통해 와이어(170)가 경유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크로스바(180)는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장착풋(120)의 크로스바 결합홈(126) 상에 결합되어 양측 루프렉(110) 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대향 장착된 두 장착풋(120)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크로스바(180)의 내부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바(180)의 내부인 중공으로는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70)가 삽입 설치되어 와이어(17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크로스바(180)를 통해 와이어(17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7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와이어 장력 조절용 인장스프링과 와이어 간섭방지용 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앞서의 구성에 더하여 와이어(170)의 장력을 조절하여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시 그에 따른 작용이 타측의 록킹바(140)에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스프링(2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장스프링(20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170)에 양측 끝단이 결합 고정되어 와이어(170)의 양측이 인장스프링(200)에 의해 잡아당겨 지도록 한다. 즉, 인장스프링(200)은 와이어(170)의 장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와이어(170)의 너울 현상과 와이어(170) 상호의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크로스바(180)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지지구(210)가 하나 이상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 지지구(21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18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와이어(170)가 관통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212)을 통해 와이어(170)가 관통 경유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70)의 너울 현상과 와이어(170) 상호의 간섭을 방지 및 크로스바(180)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와이어(170)의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바(140)가 루프렉(110)의 레일홈(112) 상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114)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114)에 결합되어 장착풋(120)이 루프렉(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7a 에서와 같이 좌측의 장착풋(120)에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걸림된 록킹바(140)가 좌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범위만큼 이동되어 좌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장착풋(120)에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좌측 록킹바(140)가 좌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좌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우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에 연결된 와이어(170)가 좌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의 이동범위만큼 이동되어 우측 장착풋(120) 상에 설치된 록킹바(140)를 잡아당겨 우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장착풋(120)에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측 록킹바(140)가 좌우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결합이 분리되도록 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양측 록킹바(140) 모두가 양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대향되는 양측 장착풋(120)을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시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장착풋의 고정과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를 통해 록킹바의 고정과 고정해제를 보다 단순하게 함으로써 루프캐리어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와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인장스프링의 구성을 통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와이의 장력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대향면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 각각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이 구성된 루프렉;
    상기 루프렉 각각의 레일홈 상에 외측단 일부가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풋;
    상기 장착풋 각각에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일측에는 관통홈이 형성된 걸림간이 구비되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상기 장착풋 각각에 측방향으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홈에 관통되어지되 그 후단의 걸림턱을 통해 상기 걸림간에 걸림되어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루프렉의 고정홈과 결합 및 결합해제를 통해 상기 장착풋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
    상기 장착풋 각각의 록킹바 선단을 상기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성수단;
    상기 장착풋 각각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
    상기 장착풋 각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에 일단이 결합되는 한편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대향되는 상기 장착풋 상의 록킹바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대향되는 상기 타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타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와이어; 및
    상기 양측 루프렉에 장착된 대향되는 장착풋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 탄성수단은 상기 록킹바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턱; 및
    상기 장착풋 각각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간과 상기 록킹바 선단의 지지턱 사이인 상기 록킹바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바를 상기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풋 각각의 외측단 전후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루프렉의 레일홈 상에서 상기 장착풋이 전후 슬라이드시 구름을 통해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구름롤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와이어에는 양측 끝단이 각각의 와이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로스바 내부에는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이동시 와이어 상호의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크로스바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지지하는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 지지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시 이를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더 구성되어지되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걸림간 선단부 일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풋의 지지간을 관통하는 지지막대;
    상기 지지막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턱; 및
    상기 지지막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지지간과 지지턱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20070025209A 2007-03-14 2007-03-14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0851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209A KR100851967B1 (ko) 2007-03-14 2007-03-14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209A KR100851967B1 (ko) 2007-03-14 2007-03-14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601A KR20070037601A (ko) 2007-04-05
KR100851967B1 true KR100851967B1 (ko) 2008-08-12

Family

ID=3815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209A KR100851967B1 (ko) 2007-03-14 2007-03-14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348B1 (ko) * 2015-08-12 2016-09-2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CN112742833A (zh) * 2020-12-24 2021-05-04 安徽永茂泰铝业有限公司 一种铝制合金生产车间环保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642B1 (ko) * 2005-06-02 2006-07-24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5B1 (ko) * 2005-06-09 2006-07-31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8B1 (ko) * 2005-06-13 2006-07-31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77672B1 (ko) * 2006-10-12 2007-02-02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642B1 (ko) * 2005-06-02 2006-07-24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5B1 (ko) * 2005-06-09 2006-07-31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8B1 (ko) * 2005-06-13 2006-07-31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77672B1 (ko) * 2006-10-12 2007-02-02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03642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05655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05658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77672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601A (ko)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9581A1 (en) Trunk-specific functional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8646667B2 (en) Roof rack device
KR100851968B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0851967B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CN108407726B (zh) 具有一体式车顶架和附件附连组件的车顶结构
KR20200142108A (ko) 화물 캐리어
CN204172664U (zh) 交通工具的滑动顶棚装置
US7213730B2 (en) Vehicle roof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cross rail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WO2004078521A3 (fr) Verrouillage de toit escamotable de vehicule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RU25898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багажной перекладины, устанавливаемой на крыше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багажных перекладин, соединенных при помощи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нескольких конфигурациях
KR20200022606A (ko) 차량용 루프캐리어
US20070241651A1 (en) Drawer slide with releasable latch
US7566098B2 (en) Seat rail structure of vehicle seat
CN104367012B (zh) 用于家具抽屉前面板的锁离系统
US20030193171A1 (en) Binding system for and on a ski or snowboard
CN110549949B (zh) 负载携带架
KR200404769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N204037457U (zh) 后备箱防护杆锁止机构
CN215361054U (zh) 一种支撑腿伸缩装置及儿童安全座椅
CN205186246U (zh) 新型折叠式婴儿推车
CN220147401U (zh) 一种婴儿推车车架
KR100561814B1 (ko) 차량용 루프 랙
KR10080143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