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658B1 -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658B1
KR100605658B1 KR1020050050373A KR20050050373A KR100605658B1 KR 100605658 B1 KR100605658 B1 KR 100605658B1 KR 1020050050373 A KR1020050050373 A KR 1020050050373A KR 20050050373 A KR20050050373 A KR 20050050373A KR 100605658 B1 KR100605658 B1 KR 10060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oof
roof rack
lock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치호
이원규
이근식
염영진
Original Assignee
(주)진원
한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원, 한치호 filed Critical (주)진원
Priority to KR102005005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과 연결된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크로스바가 루프랙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록킹부재와, 고정핀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크로스바와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와, 록킹부재와 연결되어 일측의 작동레버의 조작으로도 타측의 록킹부재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와, 크로스바가 루프랙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지부재 및 위치가 고정되어 탄지부재를 지지하며,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크로스바와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일측의 록킹장치의 조작으로도 타측의 록킹장치를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록킹

Description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Locking apparatus for roof rack and cross bar of roof carrier}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루프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록킹장치에서 작동레버를 회동시켰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록킹장치에서 엑츄에이터에 의한 록킹장치의 이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에 도시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서 작동레버에 의한 록킹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서 엑츄에이터에 의한 록킹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록킹부재 110... 록킹돌기
120... 걸림턱 200... 작동레버
210... 견인핀 300... 연결부재
400... 탄지부재 500... 엑츄에이터
600... 록킹장치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짐이나 물건 등의 수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자동차의 루프캐리어(5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의 상부에 장착되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Roof rack)(10)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10)과 연결된 크로스바(Cross bar)(2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루프캐리어(50)에서 크로스바(20)는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 폭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20)의 로킹 및 해제 구조가 일인의 작동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루프캐리어(50)에서 크로스바(20)는 루프랙(1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루프캐리어(50)는 루프랙(10)과 크로스바(20)의 록킹장치(30)가 크로스바(20)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혼자서는 양측을 모두 해제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는 구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크로스바(2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한쪽의 록킹장치(30)를 해제한 후 반대쪽으로 돌아가서 다른쪽의 록킹장치(30)를 다시 해제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바 일측의 록킹장치 조작만으로도 타측의 록킹장치를 연동시켜,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킨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과 연결된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크로 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록킹부재와, 고정핀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와, 상기 록킹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의 조작으로도 상기 타측의 록킹부재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지부재 및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탄지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루프랙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레버의 이동에 따라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견인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부재와 상기 엑츄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록킹부재의 견인홀에는 상기 작동레버가 삽입되어 회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핀과 이격되며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결합된 견인핀과,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견인핀이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재의 견인홀에 삽입 이탈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엑츄에이터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나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는, 크로스바(미도시)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크로스바가 루프랙(미도시)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록킹부재(100)와, 크로스바 또는 다른 고정할 수 있는 부재와 고정된 고정핀(230)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200)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는, 상기 록킹부재(100)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의 조작으로도 상기 타측의 록킹부재(100a; 도 6a참조)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지부재(400) 및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탄지부재(400)를 지지하며,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엑츄에이터(5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작동레버(200)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핀(230)과 이격되며,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결합된 견인핀(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230)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작동레버(200)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20)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핀(23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견인핀(210)이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200)의 일단부가 도 3에 도시된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35)에 삽입과 이탈을 반복하면서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100)는 일단부에 상기 루프랙에 형성된 삽입홈(15; 도 6a참조)에 삽입되는 록킹돌기(110)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에 따라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견인홀(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부재(400)와 상기 엑츄에이터(500)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부재(100)에는 상기 작동레버(200)의 견인핀(210)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형상의 견인홀(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홀(135)에는 상기 작동레버(200)가 삽입되어 회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턱(1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100)는 록킹돌기(11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견인홀(135)과 수용홀(145)은 상기 록킹부재(100)에 관통형성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500)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외 유압실린더 등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이용가능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은 작동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작동스위치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자동차 내부에서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루프캐리어 또는 자동차의 손잡이 등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자동차의 외부에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작동스위치는 과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식 버튼이나 터치버튼 및 푸쉬 버튼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레버와 엑츄에이터를 포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작동레버(200)와 상기 엑츄에어터(5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작동레버(200)와 상기 록킹부재(100)와 각각 고정연결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00)는, 일단이 일측의 록킹부재(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의 작동레버(200)에 연결되는 구조로 각각 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연결부재(300)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 외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것으로의 사용도 가능하다.
도 4와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작동레버를 회동시켰을 때와 엑츄에이터에 의한 록킹장치의 이동을 나타내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는,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200)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작동레버(200)를 고정핀(230; 도 2참조)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핀(210)이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200)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35)에 삽입되면서 회동하여, 상기 록킹부재(100)를 견인하게 되어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록킹부재(100)의 수용홀(145)에는 탄지부재(400)와 엑츄에이터(500)가 수용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엑츄에어터(50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탄지부재(400)는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100)가 이동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탄지부재(400)는 상기 엑츄에이터(500)와 록킹부재(100)에 의하여 눌려져서 탄성복원에너지를 지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레버(200)를 원위치로 다시 회동시켰을때, 상기 탄지부재(400)는 상기 록킹부재(100)를 상기 탄지부재(400)의 탄성복원력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록킹부재(10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일방향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600)는, 상기 작동레버(200)를 회동했을 때, 그 회동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그런 다음 다시 해제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는, 상기 작동레버(200)의 의한 록킹부재(100)의 이동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에 관계없이 상기 엑츄에이터(500)에 의한 상기 록킹부재(100)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엑츄에이터(500)에 의한 록킹부재(100)의 이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엑츄에이터(500)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것으로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작동스위치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으면 이에 따라 엑츄에이터(500)내의 푸쉬바(510)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록킹부재(100)를 강제적으로 밀어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킨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에 도시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에서 작동레버를 통한 록킹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양측에 록킹장치(600, 600a)를 구비한 크로스바는 양측의 록킹장치(600, 600a)에 의해 루프랙(1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로스바는 양측의 루프랙(10)의 삽입홈(15, 15a)에 록킹장치의 록킹돌기(110, 110a)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양측의 록킹장치(600, 600a)는 연결부재(300)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00)는 한 쌍으로서, 그 중 하나는 일측의 록킹부재(100)와 타측의 작동레버(200a)와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일측의 작동레버(200)와 타측의 록킹부재(100a)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일측의 록킹장치의 작동레버의 조작만으로 타측의 록킹장치를 작동시켜 크로스바를 해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장치(600)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측의 록킹장치(600)의 작동레버(200)를 위치가 고정된 고정핀(230; 도 2참조)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따라 견인핀(210)이 구비된 작동레버(200)의 일단부가 회전하여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35; 도 3참조)에 삽입되면서 상기 록킹부재(100)를 견인하게 되어 도면상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지부재(400)는, 위치가 고정된 엑츄에이터(50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재(100)의 이동에 의해 눌려져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레버(200)의 일단부와 연결된 연결부재(300)는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에 따라 당겨지게 되므로 도면상에 표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측의 록킹장치가 작동했을 때, 타측 록킹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일측의 작동레버(200)와 연결되어 일측의 작동레버(200)를 회동시켰을 때 연결된 연결부재(300)에 의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타측의 루프랙(10a)의 삽입홈(15a)에서 이탈하게 되며, 이로 인해 타측의 탄지부재(400a)는 일측의 탄지부재(400)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눌려져서 일측의 탄지부재(400)와 마찬가지로 록킹부재(100a)를 루프랙(10a)의 삽입홈(15a)의 방향으로 밀어낼려고 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일측의 작동레버(200)를 회동시키면, 일측의 록킹부재(100)는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일측의 록킹장치(600)는 일측의 루프랙(10)과 해제되고, 동시에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에 연결된 연결부재(300)에 의해 끌어 당겨져서, 결과적으로 타측의 록킹부재(100a)도 연동하여 타측의 루프랙(10a)과 해제된다.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일측의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다시 크로스바를 양측의 루프랙에 고정시키는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6b의 상태에서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의 작동레버(200)를 도면상에 나타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레버(200)는 견인핀(210)이 회동하여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35)을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엑츄에이터(500)에 의해 지지되고 눌려져서 탄성복원력을 지닌 탄지부재(400)는 원상태로 복원하려고 하여 상기 록킹부재(100)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 때문에 일측의 록킹부재(100)의 록킹돌기(110)는 일측의 루프랙(10)의 삽입홈(15)에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와 타측의 록킹부재(100a)와 연결된 연결부재(300)는 일측의 작동레버(200)의 작동으로 인해 느슨하게 되고, 이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300)와 연결된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타측의 탄지부재(400a)에 의해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록킹부재(100a)가 이동하게 되어 타측의 록킹돌기(110a)가 타측의 루프랙(10a)의 삽입홈(15a)에 끼워지게 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서 엑츄에이터에 의한 록킹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측의 록킹장치(600, 600a)는 도 6a의 상태에서 양측의 엑츄에이터(500, 500a)의 푸쉬바(510, 510a)에 의해 양측의 록킹장치(600, 600a)가 각각 이동하여 양측의 루프랙(10, 10a)의 삽입홈(15, 15a)에서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엑츄에이터(500)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것이며 이는 작동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는, 사용자가 일측의 록킹장치(600)의 조작만으로 타측의 록킹장치(600a)를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차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고정 또는 해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작동레버(20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작동레버(200)를 회동시켜 크로스바를 루프랙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방법 또는 작동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엑츄에이터(500)에 의해 자동으로 크로스바를 루프랙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간편하게 루프랙에서 크로스바를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일측의 록킹장치의 조작만으로도 타측의 록킹장치를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고정 또는 해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직접 작동레버를 회동시켜 크로스바를 루프랙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경우와, 작동스위치를 통해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크로스바를 루프랙에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경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과 연결된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10)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록킹부재(100)와;
    고정핀(230)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10)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200)와;
    상기 록킹부재(100)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의 조작으로도 상기 타측의 록킹부재(100)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10)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지부재(400); 및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탄지부재(400)를 지지하며,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10)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엑츄에이터(500)를 포함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00)는,
    일단부에 상기 루프랙(10)에 형성된 삽입홈(15)에 삽입되는 록킹돌기(110)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레버(200)의 이동에 따라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견인홀(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부재(400)와 상기 엑츄에이터(5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1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35)에는 상기 작동레버(200)가 삽입되어 회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턱(1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200)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핀(230)과 이격되며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결합된 견인핀(210)과,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230)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220)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20)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핀(23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견인핀(210)이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200)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35)에 삽입 이탈되어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500)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
  7.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작동레버(200)와 상기 엑츄에이터(5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록킹부재(100)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10)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600).
KR1020050050373A 2005-06-13 2005-06-13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73A KR100605658B1 (ko) 2005-06-13 2005-06-13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73A KR100605658B1 (ko) 2005-06-13 2005-06-13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658B1 true KR100605658B1 (ko) 2006-07-31

Family

ID=3718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373A KR100605658B1 (ko) 2005-06-13 2005-06-13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68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0851967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570A (en) * 1990-04-02 1991-04-16 Chrysler Corporation Luggage rack for a vehicle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US6131782A (en) * 1998-01-15 2000-10-17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for a vehicle
US6779696B2 (en) *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KR100462114B1 (ko) *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570A (en) * 1990-04-02 1991-04-16 Chrysler Corporation Luggage rack for a vehicle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US6131782A (en) * 1998-01-15 2000-10-17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for a vehicle
US6779696B2 (en) *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KR100462114B1 (ko) *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462114호 B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68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KR100851967B1 (ko) * 2007-03-14 2008-08-12 박현석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71372B (zh) 可伸缩手柄装置
JP3759475B2 (ja) 片側で取り外し可能なクロスバーを有する物品キャリア
US7631772B2 (en) Childproof knife support
JP4558803B2 (ja) クロスバーロック装置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62204B1 (ko) 일측 해제 방식의 차량용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60565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9489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09509653B (zh) 开关装置和相关联的开关
KR101776513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0923746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7096992B2 (en) Pole for hand pallet truck
JP200323747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925686B1 (ko)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1651677B1 (ko) 차량용 수납상자 잠금 시스템
KR100603642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EP3446923B1 (en) Bike carrier
KR10078546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462113B1 (ko)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20070118899A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0117351Y1 (ko) 자동차용 뒷자석 등받이 해제장치
JP2556491Y2 (ja) ベビーカーの押棒
KR100527930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20050126330A1 (en) Pole for hand pallet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