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846B1 -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846B1
KR100706846B1 KR1020060121509A KR20060121509A KR100706846B1 KR 100706846 B1 KR100706846 B1 KR 100706846B1 KR 1020060121509 A KR1020060121509 A KR 1020060121509A KR 20060121509 A KR20060121509 A KR 20060121509A KR 100706846 B1 KR100706846 B1 KR 10070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sidebar
wire
lock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복
Original Assignee
(주)몰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몰드피아 filed Critical (주)몰드피아
Priority to KR102006012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846B1/ko
Priority to JP2006348357A priority patent/JP4653067B2/ja
Priority to EP07001754A priority patent/EP1930213B1/en
Priority to AT07001754T priority patent/ATE501895T1/de
Priority to DE602007013167T priority patent/DE602007013167D1/de
Priority to US11/702,331 priority patent/US20080128461A1/en
Priority to CNA2007100802163A priority patent/CN10119536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쉽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작이 편리한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바와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와 연결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정홈이 일정간격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와; 상기 크로스바의 중앙 내부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절곡시켜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드바와 분리시키는 이격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와이어를 이용한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생산 비용을 줄이고 제작이 용이하고 일측의 버튼 조작만으로 양측 고정부재를 사이드바의 고정홈과 분리시켜 크로스바를 이동시킬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자 혼자 크로스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루프, 루프랙, 사이드바, 크로스바, 록킹 와이어

Description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A locking apparatus of side bar and cross bar in roof rack}
도 1은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사용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와 와이어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이드바 12: 고정홈
20: 크로스바 22: 이동 롤러
30: 고정 부재 32: 제 2 탄성부
40: 와이어 50: 이격 장치
60: 가압부 62: 제 1 탄성부
64: 요입홈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홈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절곡시켜 크로스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수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사용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프캐리어(1)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2)에 장착되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사이드 바(side bar)(10)와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10)와 연결된 크로스바(Cross bar)(2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루프캐리어(1)에서 크로스바(20)는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 간격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20)의 록킹 및 해제 구조가 일인의 작동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060949호, 미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US 6,779,696호, US 6,131,782호 등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크로스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가 사이드바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2)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면, 크로스 바는 이동 롤러(22)에 의해 사이드바와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들은 복잡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어렵고 생산에 고가의 비용이 요구된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 일인이 양측을 모두 해제할 수 없거나, 해제 과정이 복잡해 크로스바를 이동시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쉽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이 편리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바와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와 연결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정홈이 일정간격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와; 상기 크로스바의 중앙 내부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을 절곡시켜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드바와 분리시키는 이격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격 장치는 상기 와이어에 접촉되어 상기 와이어를 일측으로 밀기 위하여 상기 크로스바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와이어에 접촉되는 반대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밀려지는 와이어가 절곡되도록 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크로스바에 고정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제 1 탄성부가 포함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된 가압부가 이격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가압부는 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 부재는 제 2 탄성부가 포함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고 정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며, 상기 제 2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이드바(10)와 크로스바(20)와 고정 부재(30)와 와이어(40) 및 이격 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바(10)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록킹장치와 동일하게 자동차의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양 사이드바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바(20)는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10)에 결합되고, 크로스바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동 롤러(22)가 상기 가이드바의 홈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바(10)의 고정홈(12)와 결합되어 크로스바(20)를 사이드바(10)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30)는 크로스바(20)의 측면에 돌출되며 후술되는 이격 장치(50)에 의해 크로스바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다만, 상기 고정부재(30)는 제 2 탄성부(32)가 포함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탄성부(32)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고정 부재(30)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상기 크로스바(20) 내부 하우징에 구속되어 일정 거리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와이어(40)에 대해 살펴보면, 와이어(4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중앙 내부를 관통하여 한 쌍의 고정 부재(30)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양측의 고정 부재가 동시에 고정홈(12)에 결합 또는 분리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40)는 후술되는 이격 장치(50)에 의해 절곡되고, 절곡 후 다시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격 장치(5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이격 장치(50)는 상기 와이어(40)에 접촉되어 상기 와이어를 일측으로 밀기 위하여 상기 크로스바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가압부(60)와 상기 가압부의 반대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밀려지는 와이어가 절곡되도록 하는 고정부(70)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6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크로스바(20)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40)와 접촉하게 되며, 가압부(60)의 이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40)가 일측으로 밀려지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와 와이어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60)는 단부에 상기 와이어(40)가 결합되는 요입홈(64)이 형성되어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60)는 제 1 탄성부(62)가 포함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된 가압부(60)가 이격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탄성부(62)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가압부(60)가 와이어에 접촉되는 반대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60)에 의해 밀져지는 와이어(40)가 절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크로스바(20)에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60)에 의해 밀려지는 와이어(40)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70) 사이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가압부(60)의 이동으로 와이어(40)에 연결된 고정 부재(30)가 사이드바(10)의 고정홈(12)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와이어(40)와 접촉되므로 조작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 쌍의 회전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30)는 크로스바(20의 단부에 돌출되어 사이드 바(10)의 고정홈(12)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양측의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40)는 팽팽하게 양 부재를 연결하여 이격 장치에 의해 절곡되는 경우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바(20)의 고정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가압부를 도 5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의 내측으로 밀게 되면, 가압부(60) 및 고정부(70)에 의해 와이어(40)가 절곡된다.
따라서, 와이어(40)에 연결되는 양측의 고정 부재(30)는 크로스바(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사이드바(10)의 고정홈(12)과 분리되어 크로스바(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가압부에 작용되는 힘을 제거하면, 가압부가 제 1 탄성부(62)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고정 부재(30)도 제 2 탄성부(32)에 의하여 크로스바의 단부로 돌출되면서 새로운 고정홈(12)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40)의 절곡 부위는 양측 고정 부재(30)가 상기 사이드바(10)의 고정홈(12)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하며, 양측 고정 부재의 이동 거리가 달라 일측 고정 부재만 고정홈과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일측의 고정 부재가 일정 이상의 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에 의해 구속되어 타측의 고정 부재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양측의 고정 부재가 고정홈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록킹장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60)는 일측의 조작만으로 타측의 고정부재도 와이어에 의해 고정홈과 분리되므로 크로스 바의 이동 시 사용자 1인의 한 손의 조작만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의 절곡를 이용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홈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절곡시켜 크로스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생산 비용을 줄이고 제작이 용이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측 가압부의 조작만으로 양측 고정부재를 사이드바의 고정홈과 분리시켜 크로스바를 이동시킬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자 혼자서 크로스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자동차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바와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와 연결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정홈이 일정간격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와;
    상기 크로스바의 중앙 내부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접촉되어 상기 와이어를 일측으로 미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와이어에 접촉되는 반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밀려지는 와이어가 절곡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를 절곡시킴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드바와 분리시키는 이격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크로스바에 고정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제 1 탄성부가 포함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된 가압부가 이격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제 2 탄성부가 포함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20060121509A 2006-12-04 2006-12-04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0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509A KR100706846B1 (ko) 2006-12-04 2006-12-04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JP2006348357A JP4653067B2 (ja) 2006-12-04 2006-12-25 ルーフキャリアのサイドバー及びクロスバーのロッキング装置
EP07001754A EP1930213B1 (en) 2006-12-04 2007-01-26 Apparatus for locking cross bar to side bars of roof carrier
AT07001754T ATE501895T1 (de) 2006-12-04 2007-01-26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querschiene an die seitenschienen eines dachträgers
DE602007013167T DE602007013167D1 (de) 2006-12-04 2007-01-26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Querschiene an die Seitenschienen eines Dachträgers
US11/702,331 US20080128461A1 (en) 2006-12-04 2007-02-05 Apparatus for locking cross bar to side bars of roof carrier
CNA2007100802163A CN101195361A (zh) 2006-12-04 2007-02-13 车顶行李架的纵向杆与横向杆锁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509A KR100706846B1 (ko) 2006-12-04 2006-12-04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846B1 true KR100706846B1 (ko) 2007-04-13

Family

ID=3816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509A KR100706846B1 (ko) 2006-12-04 2006-12-04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28461A1 (ko)
EP (1) EP1930213B1 (ko)
JP (1) JP4653067B2 (ko)
KR (1) KR100706846B1 (ko)
CN (1) CN101195361A (ko)
AT (1) ATE501895T1 (ko)
DE (1) DE602007013167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99B1 (ko) * 2007-05-01 2008-03-31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장치
KR100822827B1 (ko) * 2007-04-21 2008-04-16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와 사이드바의 록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61B1 (ko) * 2007-12-14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916262B1 (ko) * 2008-02-12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946462B1 (ko) * 2008-10-2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US10124738B2 (en) * 2013-11-05 2018-11-13 Dee Zee, Inc. Roof rack assemblies and securing mechanisms for roof rack assemblies
CN108116326A (zh) * 2017-12-11 2018-06-05 陈勇 一种线控式车顶旅行箱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4388A (ja) * 1991-03-22 1992-10-19 Kokusai Electric Co Ltd 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における多重化表示ramへの書き込み方式
JP2000355251A (ja) * 1999-05-26 2000-12-26 Jac Prod Inc 車輛用物品キャリヤ
US6216928B1 (en) * 1992-10-28 2001-04-17 The American Team Vehicle article carrier with movable cross rail operable from either side of vehicle
JP2004002088A (ja) * 2002-05-30 2004-01-08 Shin Etsu Chem Co Ltd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焼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307A (en) * 1873-06-24 Improvement in door-latches
US2474722A (en) * 1946-02-14 1949-06-28 Herbert E Blume Adjustable walking aid
US2630730A (en) * 1949-03-28 1953-03-10 Kearney James R Corp Elongated foldable handle for tools
USRE26309E (en) * 1963-03-20 1967-11-28 Freight bracing apparatus
US3217664A (en) * 1965-01-21 1965-11-16 Pullman Inc Load partition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US4015454A (en) * 1976-03-29 1977-04-05 Union Products, Incorporated Latching assembly for cap door
US5190198A (en) * 1991-03-27 1993-03-02 John A. Bott Vehicle article carrier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US5692855A (en) * 1994-06-21 1997-12-02 Farmers' Factory Co. Automatic quick-connect coupler for implements
US6050467A (en) * 1997-04-03 2000-04-18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adjustable within a range of infinite operating positions
CA2258707C (en) * 1998-01-15 2006-12-19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for a vehicle
US6158639A (en) * 1998-04-20 2000-12-12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for vehicle
CA2316587C (en) * 2000-08-14 2009-12-01 Charles M. Schmeichel Tonneau cover having rear bar lock
FR2816564B1 (fr) * 2000-11-14 2003-02-28 Wagon Automotive Snc Barre de galerie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stinee a etre montee sur des longerons non paralleles
US6749383B1 (en) * 2001-01-09 2004-06-15 Benedict Engineering Co. Track mounted stanchion and clamp assemblies for storage and dunnage systems
US6779696B2 (en) *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US6692233B2 (en) * 2002-06-26 2004-02-17 Hoo Cheung Group Ltd. Lockable quick-release blade assembly for ceiling fans
JP2004276826A (ja) * 2003-03-18 2004-10-07 Mitsuhiro Nakamura 自動車のトランクカバー
US7926685B2 (en) * 2005-12-02 2011-04-19 Jac Products, Inc. Single side release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4388A (ja) * 1991-03-22 1992-10-19 Kokusai Electric Co Ltd 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における多重化表示ramへの書き込み方式
US6216928B1 (en) * 1992-10-28 2001-04-17 The American Team Vehicle article carrier with movable cross rail operable from either side of vehicle
JP2000355251A (ja) * 1999-05-26 2000-12-26 Jac Prod Inc 車輛用物品キャリヤ
JP2004002088A (ja) * 2002-05-30 2004-01-08 Shin Etsu Chem Co Ltd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焼結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02088호
미국특허공보 4,294,3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355251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27B1 (ko) * 2007-04-21 2008-04-16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와 사이드바의 록킹장치
KR100817899B1 (ko) * 2007-05-01 2008-03-31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0213B1 (en) 2011-03-16
CN101195361A (zh) 2008-06-11
ATE501895T1 (de) 2011-04-15
JP2008137620A (ja) 2008-06-19
DE602007013167D1 (de) 2011-04-28
JP4653067B2 (ja) 2011-03-16
EP1930213A1 (en) 2008-06-11
US20080128461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846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EP1892145B1 (en) Seat sli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0677672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916262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2406053B1 (ko)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946462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784342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14487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22827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와 사이드바의 록킹장치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20080087059A1 (en) Apparatus for locking roof racks and cross bars of roof carrier
KR200404769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200022603A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90092206A (ko)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레일바와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 장치
JP2006256582A (ja) 車両用荷受装置
KR100609489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07351887B (zh) 一种折叠式手推车
CN112841949B (zh) 滑轨机构
KR100774409B1 (ko) 루프랙의 크로스바 록킹장치
KR20039745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100534354B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이동장치
KR100792903B1 (ko) 루프랙의 크로스바 조립구조
EP1579785A1 (en) An extractable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