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487B1 -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487B1
KR100814487B1 KR1020070027201A KR20070027201A KR100814487B1 KR 100814487 B1 KR100814487 B1 KR 100814487B1 KR 1020070027201 A KR1020070027201 A KR 1020070027201A KR 20070027201 A KR20070027201 A KR 20070027201A KR 100814487 B1 KR100814487 B1 KR 10081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fixing
fixing member
sidebar
oper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복
Original Assignee
(주)몰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몰드피아 filed Critical (주)몰드피아
Priority to KR102007002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487B1/ko
Priority to US11/871,822 priority patent/US200800870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쉽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록킹 해제의 조작이 편리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바와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와 연결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정홈이 일정간격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이드바의 고정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홈의 결합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제 1 탄성부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상기 고정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버튼부와; 상기 조작버튼부 및 고정 부재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조작버튼부 및 고정 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 버튼부를 상기 크로스바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홈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조작버튼부를 가압하면 와이어와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일측의 조작 버튼부를 수직으로 가압하여 양측 고정 부재를 동시에 사이드바의 고정홈과 분리시 켜 크로스바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편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루프랙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록킹 고정

Description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A locking apparatus of side bar and cross bar in roof rack carrier}
도 1은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사용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이드바 12: 고정홈
20: 크로스바 22: 이동 롤러
30: 고정 부재 32: 제 1 탄성부
40: 조작 버튼부 42: 제 2 탄성부
50: 와이어 60: 고정핀
100: 연결 장치 102: 중앙 링크
104: 핀 110: 탄성 부재
120: 지지대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 조작 버튼부를 조작하여 크로스바를 사이드바로부터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봐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수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사용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프캐리어(1)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2)에 장착되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사이드 바(side bar)(10)와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10)와 연결된 크로스바(Cross bar)(2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루프캐리어(1)에서 크로스바(20)는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 간격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20)의 록킹 및 해제 구조가 일인의 작동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060949호, 미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US 6,779,696호, US 6,131,782호 등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크로스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가 사이드바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2)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면, 크로스 바는 이동 롤러(22)에 의해 사이드바와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 일인이 양측을 모두 해제할 수 없거나, 해제 과정이 복잡해 크로스바를 이동시 불편함이 존재하고, 복잡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어렵고 생산에 고가의 비용이 요구된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2006-0091192호에서는 탄성 부재에 연결된 회동가능한 링크에 한 쌍의 지지대를 고정한 간이한 구조를 채택한 것을 특징으로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록킹 장치도 버튼을 수평 이동시켜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조작시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쉽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루프캐리어의 사 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록킹 해제의 조작이 편리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바와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와 연결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정홈이 일정간격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이드바의 고정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홈의 결합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제 1 탄성부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상기 고정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버튼부와; 상기 조작버튼부 및 고정 부재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조작버튼부 및 고정 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 버튼부를 상기 크로스바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홈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 내부에서 양측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가 포함되어, 일측의 고정 부재가 고정홈과 분리되면 타측의 고정부재가 상기 연결 장치에 의해 고정홈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크로스바의 중앙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중앙부가 고정되는 중앙 링크와; 상기 중앙 링크와 크로스바의 내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일단이 상기 중앙 링크 단부에 대향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일측이 이동되면 타측이 반대로 이동되는 한 쌍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크로스바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작 버튼부는 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조작 버튼부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적으로 조작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바(10)와 크로스바(20)와 고정 부재(30)와 제 1 탄성부(32)와 조작 버튼부(40)와 와이어(50) 및 고정핀(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바(10)와 크로스바(20)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루프랙과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며, 상기 사이드바(10)는 자동차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크로스바(20)는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10)와 각각 연결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크로스바가 사이드바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바(10)는 복수 개의 고정홈(12)이 일정간격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바(20)는 단부에 이동 롤러(22)가 형성되어 한 쌍의 사이드바(10)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부재(3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이드바(10)의 고정홈(12)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크로스바(20)를 사이드바(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1 탄성부(32)는 상기 고정 부재(30)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30)를 고정홈(12)의 결합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탄성부(32)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일단부는 고정 부재(3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크로스바(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부재(30)가 고정홈과 분리되는 경우 압축되어 상기 고정 부재(30)에 작용되는 작용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30)를 고정홈과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작 버튼부(4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부에 상기 크로스바(20)의 내측으로 수직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크로스바(20) 내측으로 상기 조작 버튼부(40)을 밀면 상기 와이어(50)가 상기 고정 부재(30)를 수평이동시켜 고정홈(12)과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0)는 사용자가 조작 버튼부(40)에 작용하는 힘을 고정 부재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며, 철사 형태로 일단부는 상기 조작 버튼부(40)의 내 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 부재(30)에 고정되는 것으로 굴곡성이 좋고 인장 강도가 높은 PE(polyurethane)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60)은 원형의 롤러로 형태로 상기 크로스바(2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50)가 상기 조작버튼부(40) 및 고정 부재(30)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와이어(50)의 중심부에 접촉되어 와이어를 수직으로 절곡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핀(60)은 상기 크로스바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50)가 이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고정핀(60)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50)가 고정핀(60)에 밀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버튼부(40)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42)가 포함되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탄성부(42)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일단부는 상기 조작 버튼부(4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크로스바(20)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작 버튼부(40)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조작 버튼부(40)가 탄성적으로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연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크로스바(10) 내부에 양측 고정 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장치(100)는 일측의 고정 부재의 이동을 타측 고정 부재의 이동으로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상기 크로스바의 중앙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중앙부가 고정되는 중앙 링크(102)와 탄성부재(110) 및 지지대(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중앙 링크(102)는 상기 크로스바(2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핀(104)에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 부재(110)는 상기 크로스바(20) 및 중앙 링크(102)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어 중앙 링크(102)의 회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 부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120)는 일단이 상기 중앙 링크(102)에 대향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재(30)에 연결되어, 일측 고정 부재의 움직임을 타측 고정 부재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20)는 종래에 연결 부재로 사용되는 와이어와 달리 강체로 제작되며, 상기 중앙 링크(102)의 단부에 대향고정되므로 일측의 조작만으로 타측을 결합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a)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고정 부재가 사이드 바의 고정홈과 분리되어 크로스바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부재가 다시 크로스바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사이드바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고정 부재는 결합되는 제 1 탄성부에 의하여 각 사이드 바의 고정홈과 결합되어 크로스바가 완전히 사이드바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앞서 살펴본 일측의 조작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 버튼부는 크로스바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조작 버튼부와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상기 일측 고정부재를 이동시켜 일측 고정 부재와 고정홈을 분리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 버튼부의 이동에 따른 고정 부재의 이동 방향을 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핀을 통해 양측과 연결되어, 조작 버튼부의 이동에 따른 작용력을 고정 부재의 수평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에는 연결 장치의 지지대가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지지대가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타측의 지지대를 이동시켜 타측의 고정 부재를 사이드바의 고정홈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를 이동 후 조작 버튼부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링크에 고정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대와 연결된 고정 부재가 다시 사이드바의 고정홈에 결합되어 크로스바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가 동시에 사이드바의 고정홈과 해제되어 일측의 조작 버튼의 조작만으로 크로스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작 버튼부와 고정 부재를 고정핀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수직으로 연결한 간이한 구조를 채택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버튼부를 가압하면 와이어와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간이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용이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의 조작 버튼부를 수직으로 가압하여 양측 고정 부재를 동시에 사이드바의 고정홈과 분리시켜 크로스바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편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자동차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바와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바와 연결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정홈(12)이 일정간격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10)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바(20)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이드바의 고정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 부재(30)와;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홈의 결합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제 1 탄성부(32)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상기 고정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버튼부(40)와;
    상기 조작버튼부 및 고정 부재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50)와;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조작버튼부 및 고정 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핀(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 버튼부를 상기 크로스바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홈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내부에서 양측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가 포함되어, 일측의 고정 부재가 고정홈과 분리되면 타측의 고정부재가 상기 연결 장치에 의해 고정홈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크로스바의 중앙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중앙부가 고정되는 중앙 링크(102)와;
    상기 중앙 링크와 크로스바의 내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10);
    일단이 상기 중앙 링크 단부에 대향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일측이 이동되면 타측이 반대로 이동되는 한 쌍의 지지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60)은,
    상기 크로스바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부(40)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42)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조작 버튼부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적으로 조작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20070027201A 2006-10-12 2007-03-20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1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201A KR100814487B1 (ko) 2007-03-20 2007-03-20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11/871,822 US20080087059A1 (en) 2006-10-12 2007-10-12 Apparatus for locking roof racks and cross bars of roof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201A KR100814487B1 (ko) 2007-03-20 2007-03-20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487B1 true KR100814487B1 (ko) 2008-03-17

Family

ID=3941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201A KR100814487B1 (ko) 2006-10-12 2007-03-20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39A (ko) * 2017-10-12 2019-04-22 이완영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928B1 (en) * 1992-10-28 2001-04-17 The American Team Vehicle article carrier with movable cross rail operable from either side of vehicle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928B1 (en) * 1992-10-28 2001-04-17 The American Team Vehicle article carrier with movable cross rail operable from either side of vehicle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52507호 B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39A (ko) * 2017-10-12 2019-04-22 이완영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KR101995125B1 (ko) 2017-10-12 2019-07-01 이완영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846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8079639B2 (en) Bouncer
JP5177353B2 (ja) 移動家具、天板付き家具及び椅子
US20050029775A1 (en) Collapsing device for carrier
CN104780800A (zh) 带扣
JP2009190721A (ja) 車両用ループキャリアクロスバー
KR100862204B1 (ko) 일측 해제 방식의 차량용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14487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JP4686576B2 (ja) 折畳み式取っ手及びこれを備えたかばん
US20060142679A1 (en) Backscratcher for relieving itches
KR100784342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65250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20080087059A1 (en) Apparatus for locking roof racks and cross bars of roof carrier
KR100822827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와 사이드바의 록킹장치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05151110A (zh) 一种能快速拆卸的童车提篮
KR20200022603A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90092206A (ko)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레일바와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 장치
KR100609489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US20070102616A1 (en) Seat rail structure of vehicle seat
KR100950500B1 (ko)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200404769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EP3446923B1 (en) Bike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