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053B1 -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053B1
KR102406053B1 KR1020170115167A KR20170115167A KR102406053B1 KR 102406053 B1 KR102406053 B1 KR 102406053B1 KR 1020170115167 A KR1020170115167 A KR 1020170115167A KR 20170115167 A KR20170115167 A KR 20170115167A KR 102406053 B1 KR102406053 B1 KR 10240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luggage board
unit
vehicle
boar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111A (ko
Inventor
신한
김지아
김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53B1/ko
Priority to US15/838,864 priority patent/US10479279B2/en
Publication of KR2019002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8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of accordion-type, i.e. collapsible by sliding and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어 적재물이 적치되는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이 노출되지 않으면서 틸팅도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는, 차량 트렁크의 플로워 패널(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러기지 보드(20)와,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설치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시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휠(34)을 구비한 휠유닛(30)과,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탑승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핸들(40)과, 상기 휠유닛(30)과 상기 조작핸들(40)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작핸들(40)로 입력된 상기 탑승자의 조작력을 상기 휠유닛(30)으로 전달하는 케이블(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SLIDABLE LUGGAGE BOARD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어 적재물이 적치되는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이 노출되지 않으면서 틸팅도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레저활동의 증가, 창고형 할인마트 이용 증가 등으로 인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대한 편의사항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일부 차종에는 탑승자가 적재물이 적재되는 러기지 보드가 슬라이딩되도록 한 기술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레일(111)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적재물의 적재하거나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는 차량의 트렁크룸의 플로워 패널(110)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플로워 패널(110)의 상부에 러기지 보드(120)를 설치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기지 보드(120)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111)과 평행하게 러너(130)를 설치하고, 상기 러너(130)에 상기 레일(111)에서 주행하는 휠(132)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러기지 보드(120)가 상기 플로워 패널(1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132)의 일부는 상기 레일(111)에 삽입되고(도 4 참조), 상기 러너(1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131)가 상기 레일(111)에 삽입되어(도 5 참조), 상기 러기지 보드(120)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러기지 보드(120)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러너(130)에는 락커(133)가 설치된다. 상기 락커(133)는 상기 러기지 보드(120)에 설치되는 조작핸들(140)과 케이블(150)로 연결되고, 탑승자가 상기 조작핸들(140)을 조작하여 상기 락커(133)는 상기 레일(111)에 형성된 락킹홈(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120)가 슬라이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러기지 보드(120)를 인출하고, 다시 상기 러기지 보드(120)를 초기 위치로 수납하게되면 상기 락커(133)가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120)가 정해진 위치(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플로워 패널(110)에 상기 휠(132)과 상기 가이드(131)가 삽입되는 레일(111)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레일(111) 설치를 위한 공간이 소요되고, 그만큼 트렁크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111)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 상품성이 저하되며, 상기 레일(111)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장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상기 러기지 보드(120)는 상기 플로워 패널(110)에 대하여 평행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을 뿐, 상기 러기지 보드(120)가 상기 플로워 패널(110)에 대하여 틸팅이 불가능하여 상기 러기지 보드(120)의 출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차량용 슬라이드 갑판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P 2010-10560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러기지 보드가 출납되도록 하여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물을 싣고 내릴 때 틸팅된 상태로 출납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는, 차량 트렁크의 플로워 패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러기지 보드와, 상기 플로워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의 슬라이딩시 상기 러기지 보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휠을 구비한 휠유닛과, 상기 러기지 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탑승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핸들과, 상기 휠유닛과 상기 조작핸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작핸들로 입력된 상기 탑승자의 조작력을 상기 휠유닛으로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러기지 보드의 양측단은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게 절곡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는 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휠유닛이 조작되면, 상기 휠과 접촉하는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휠은 상기 조작핸들이 조작되면 상기 레일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유닛은, 상기 플로워 패널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휠브라켓과, 상기 휠브라켓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는 휠서포트와,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탑승자의 조작력이 상기 휠서포트의 하단으로 전달되면,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이 상기 레일에 인접해지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휠이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은 상기 휠이 회전하여 상기 휠이 상기 레일에 삽입되면 상기 레일을 정해진 높이만큼 상승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브라켓과 상기 휠서포트를 관통하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휠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과 상기 휠 사이에는 상기 휠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휠서포트에 연결되는 하부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고정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부의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부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서포트의 상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의 측면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휠서포트의 측면과 평면으로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을 관통하도록 상부캡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캡의 하단은 상기 하부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러기지 보드의 양측단에 상기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플로워 패널의 양측단에 각각 휠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러기지 보드의 상부면에 노출되고, 탑승자가 손으로 움켜잡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링크작동부와, 상기 러기지 보드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작동부가 회전하면 상기 링크작동부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링크작동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작동부의 전단에는, 상기 링크작동부로부터 상기 연동레버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동레버의 하부에서 상기 연동레버의 모서리에 경사지게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워 패널에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회전된 휠유닛을 원래위치로 복원시키는 휠유닛 복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유닛 복원수단은, 상기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고 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휠유닛을 탄성지지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복원스프링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휠서포트의 측면에 접촉하는 컨택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 따르면, 플로워 패널에 레일이 설치되지 않고, 휠은 러기지 보드에 가려지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품이 없어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플로어 패널에는 휠유닛을 설치할 공간만 있으므로 되므로, 레일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적재공간을 늘일 수 있다.
아울러, 틸팅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재물을 싣고 내리기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조작부의 조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휠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휠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조작핸들 조작시 휠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러기지 보드의 슬라이딩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러기지 보드의 슬라이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러기지 보드의 틸팅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 러기지 보드의 틸팅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는, 차량 트렁크의 플로워 패널(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러기지 보드(20)와,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설치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시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휠(34)을 구비한 휠유닛(30)과,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탑승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핸들(40)과, 상기 휠유닛(30)과 상기 조작핸들(40)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작핸들(40)로 입력된 상기 탑승자의 조작력을 상기 휠유닛(30)으로 전달하는 케이블(50)을 포함한다.
러기지 보드(20)는 차량의 트렁크의 저면을 구성하는 플로워 패널(1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상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상부면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다.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양측단에는 각각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양측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20a)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0a)의 높이만큼 상기 러기지 보드(20)는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대하여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후술되는 휠유닛(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러기지 보드(20)에서 상기 절곡부(20a)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T방향)을 따라 레일(21)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21)은 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시 후술되는 휠유닛(30)의 휠(34)이 삽입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을 원활해지도록 한다. 상기 레일(21)은 단면은 휠(34)이 상기 레일(21)에 삽입되면 휠(34)의 둘레를 감싸 상기 레일(21)이 휠(34)에 지지된 상태가 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이 용이해지도록 한다(도 11c 참조).
도 6에는 차량의 트렁크에서 왼쪽 절반만 도시된 것으로서, 우측에도 동일한 구성이 적용되고, 우측단에도 휠유닛(30)이 설치된다.
휠유닛(30)은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슬라이딩될 때에만 상기 러기지 보드(20)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슬라이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러기지 보드(20)와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휠유닛(30)은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시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내측면, 즉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절곡부(20a) 내측면에 설치된 레일(21)에 접하는 휠(34)을 포함하고, 상기 휠(34)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휠(34)은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슬라이딩할 때에는 상기 레일(21)에 접촉하도록 대략 지면과 평행한 방향(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으로 위치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슬라이딩하지 않을 때에는 지면과 수직(회전축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휠브라켓(31)는 상기 플로워 패널(10)의 수용홈(11)의 저면에 체결된다. 상기 휠브라켓(31)는 내부에 상기 휠(34)을 지지하는 휠서포트(32)가 위치하고, 상기 휠서포트(32)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체결된다.
휠서포트(32)는 상기 휠브라켓(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휠서포트(32)는 상부에 휠(34)이 설치되고, 하부는 후술되는 케이블(50)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이 상기 휠브라켓(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휠브라켓(31)과 상기 휠서포트(32)를 관통하는 회전축(33)에 의해서 상기 휠서포트(32)가 상기 휠브라켓(3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축(33)은 차량의 길이방향(T방향), 즉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휠서포트(32)는 상단과 하단이 차량의 폭방향(L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휠서포트(32)는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에는 지면과 수직한 상태가 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슬라이딩되지 않을 떼에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가 된다.
상기 휠서포트(32)의 상단에는 하부고정부(3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양측에는 평면인 접촉면(32a)이 형성된다.
하부고정부(35)는 상기 휠서포트(32)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부(35)의 일부가 상기 휠서포트(32)의 상단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휠서포트(32)의 상단과 상기 하부고정부(35)를 고정핀(36)이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하부고정부(35)는 상기 고정핀(36)으로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6)은 상기 회전축(33)과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차량의 폭방향(L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부(35)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T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틸팅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고정부(35)는 휠(34)을 지지하도록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부(35)의 하부는 상기 휠서포트(32)의 상단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5a)가 된다. 상기 삽입부(35a)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35a)의 측면은 상기 휠서포트(32)의 접촉면(32a)과 면접촉하는 접촉면(35b)이 된다. 상기 휠서포트(32)와 상기 하부고정부(35)는 상기 접촉면(32a)(35b)을 통하여 서로 면접촉되고, 상기 고정핀(36)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휠(34)은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경사진 상태로 슬라이딩할 때, L방향의 유동없이 T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상기 휠(34)은 상기 하부고정부(3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휠(34)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고정부(35)에 체결되는 상부캡(3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휠유닛 복원수단은 상기 휠유닛(30)이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지지하지 않을 때, 상기 휠유닛(30)이 원래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즉, 상기 휠유닛(30)은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슬라이딩할 때에만,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지지하므로,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휠유닛(30)이 상기 수용홈(1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와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휠유닛 복원수단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휠유닛(30)을 원래위치로 복원하게 되는데, 상기 휠유닛(30)이 상기 수용홈(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이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휠유닛(30)이 상기 러기지 보드(20)와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휠유닛 복원수단의 구체적인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 같이, 통형(筒形)의 스프링 하우징(61)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61)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62)과, 상기 복원스프링(62)의 전단에 설치되는 컨택터(63)를 포함한다.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가 중공(中空)인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로워 패널(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61)에서 플로워 패널(10)측에 고정된 부위의 반대편 단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복원스프링(62)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휠유닛(30)을 원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탄성력을 발휘한다. 예컨대, 상기 복원스프링(62)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휠유닛(30)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컨택터(63)는 상기 복원스프링(62)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휠서포트(32)의 측면에 접촉한다. 상기 컨택터(63)가 상기 휠서포트(32)의 상부(회전축의 상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복원스프링(62)이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상기 컨택터(63)가 상기 휠서포트(32)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휠서포트(32)가 회전하면서 상기 휠유닛(30)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조작핸들(40)은 상기 러기지 보드(20)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조작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핸들(40)은 상기 러기지 보드(2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탑승자가 상기 조작핸들(40)을 조작하면, 상기 조작핸들(40)은 회전하면서 상기 휠유닛(30)이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핸들(40)은 탑승자가 조작하는 조작부(41)와, 상기 러기지 보드(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42)와, 상기 회전부(42)와 함께 회전하는 링크작동부(43)와, 상기 링크작동부(43)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레버(45)를 포함한다.
조작부(41)는 바(bar)의 형태로 형성되어,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41)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핸들(40)을 회전시킨다.
회전부(42)는 상기 조작부(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42)는 상기 조작핸들(40)의 회전축을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조작부(41)가 당겨지면, 상기 조작부(41)가 상기 회전부(4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부(42)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L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42)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면, 상기 차량의 트렁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조작핸들(40)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링크작동부(43)는 상기 회전부(4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41)가 조작되면, 상기 링크작동부(43)가 상기 조작핸들(40)과 상기 휠유닛(30)을 연결하고 있는 케이블(50)을 당기게 된다.
상기 링크작동부(43)의 단부에는 상기 링크작동부(43)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3a)가 상기 연장부(43a)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43b)을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43a)는 상기 링크작동부(43)보다 내측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연동레버(45)를 조작하기 용이해진다. 상기 경사면(43b)은 상기 조작핸들(40)의 작동시 연동레버(45)와 접촉하여 연동레버(45)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연동레버(45)는 일단은 상기 러기지 보드(20)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핸들(40)과 상기 휠유닛(30)은 연결하는 케이블(50)과 연결된다. 상기 연동레버(45)는 그 하부에 상기 링크작동부(43)의 연장부(43a)가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43b)과 경사진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40)이 작동하여 상기 링크작동부(43)가 회전하면, 상기 경사면(43b)이 상기 연동레버(45)를 경사접촉된 상태에서 상승하면서 상기 연동레버(45)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케이블(50)이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41), 상기 회전부(42) 및 상기 링크작동부(43)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내부에 상기 회전부(42)와 상기 링크작동부(43)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41)는 노출되어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50)은 상기 조작핸들(40)과 상기 휠유닛(30)을 연결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조작핸들(40)을 조작하면, 조작력을 상기 휠유닛(30)으로 전달하여 상기 휠유닛(30)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50)은 튜브의 내부에 와이어가 구비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는 상기 러기지 보드(20)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연동레버(45)와 상기 휠서포트(3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탑승자가 상기 조작핸들(40)을 조작하며 상기 휠서포트(32)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탑승자는 차량, 특히 SUV(sport utility vehicle)의 트렁크에 적재물을 적재시키거나 내리려고 하려면, 먼저 상기 차량의 테일게이트를 개방시킨다.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내리려고 하면,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차량의 후단쪽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러기지 보드(20)는 평상시에는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하단, 즉 상기 러기지 보드(20)에서 상기 절곡부(20a)의 하단이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슬라이딩이 용이하지 않다.
이때, 상기 탑승자는 상기 조작핸들(40)을 조작하여, 접혀진 상기 휠유닛(30)을 세워 상기 휠(34)이 상기 레일(21)을 지지하도록 한다.
탑승자가 상기 조작핸들(40)을 조작하면, 즉 상기 탑승자가 상기 조작핸들(40)의 조작부(41)를 잡아당기면, 상기 조작핸들(40)은 상기 회전부(4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기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41)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작동부(43)도 회전한다. 상기 링크작동부(43)가 회전하면, 상기 경사면(43b)은 상기 연동레버(45)의 모서리(45a)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상기 연동레버(45)는 상기 링크작동부(43)의 반대쪽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41)를 파지하여 회진시키면, 상기 연동레버(45)가 일측으로 회전해서, 상기 케이블(50)을 당기게 된다.
상기 케이블(50)이 당겨지면, 상기 휠유닛(30)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플로워 패널(10)과 수직한 상태로 직립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핸들(40)을 조작하기 전까지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유닛(30)이 접힌 상태로 상기 휠(34)은 상기 레일(21)과 분리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조작핸들(40)이 조작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50)이 화살표 D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휠서포트(32)는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화살표 E 참조).
이때, 상기 복원스프링(62)은 상기 휠서포트(32)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지만, 상기 조작력이 이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휠서포트(32)는 계속해서 직립되게 상기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탑승자가 상기 조작핸들(40)을 최대로 조작시키면, 상기 휠서포트(32)는 상기 플로워 패널(10)과 수직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휠서포트(32)가 상기 플로워 패널(10)과 수직해지면, 상기 레일(21)의 내부로 상기 휠(34)이 삽입된다.
상기 휠(34)이 상기 레일(21)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레일(21)의 각 단면은 상기 레일(21)의 저면과 상기 저면에 인접한 일부 부위도 상기 레일(21)에 접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휠(34)이 상기 레일(21)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휠유닛(30)은 상기 레일(21)을 약간 상승시킨다. 상기 레일(21)은 상기 휠(34)이 지면과 평행시의 상태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휠(34)이 상기 레일(21)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레일(21)은 상기 휠유닛(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일부 상승한다. 상기 휠유닛(30)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러기지 보드(20)는 이전의 위치인 P로부터 새로운 위치인 P'로 상승하게 되어, Δ(P'-P) 만큼 상승하고(도 11c 참조), 상기 러기지 보드(20)에서 절곡부(20a)의 하단은 상기 플로워 패널(10)과 이격된다.
이렇게 상기 레일(21)에 상기 휠(34)이 삽입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상기 플로워 패널(10)과 이격되면, 상기 탑승자는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는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상부면에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핸들(40)를 놓게 되면, 상기 휠유닛(30)은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즉, 상기 조작핸들(40)을 놓으면, 상기 케이블(50)을 통하여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휠유닛 복원수단의 탄성력만 작용한다. 상기 복원스프링(62)이 상기 휠서포트(32)를 회전시켜 상기 휠유닛(30)이 다시 접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다시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원래위치로 수납하려면, 상기 조작핸들(40)을 조작하여, 상기 휠유닛(30)을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 상기 휠(34)이 상기 레일(2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상기 플로워 패널(10)과 이격되도록 한 후, 원하는 위치로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원하는 위치로 수납된 후, 상기 조작핸들(40)을 놓으면 상기 러기지 보드(20)와 상기 휠유닛(30)은 다시 분리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하단은 상기 플로워 패널(10)에 접촉하여 상기 러기지 보드(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는 틸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한다.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가 상기 러기지 보드(20)의 후단을 일정한 각도(α)로 들어올리면, 상기 고정핀(36)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고정부(35)와 상기 휠(34)도 상기 러기지 보드(20)와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탑승자가 용이한 자세로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종래기술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에서는 러기지 보드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고정되지만, 본 발명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러기지 보드(20)가 차량의 길이방향(T방향)을 따라 하나의 지점에서 상기 휠유닛(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휠유닛(30)에서 상기 하부고정부(35)가 상기 고정핀(36)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일정 각도(α)만큼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러기지 보드(20)를 출납할 수 있다.
10 : 플로워 패널 11 : 수용홈
20 : 러기지 보드 20a : 절곡부
21 : 레일 22 : 핸들 브라켓
30 : 휠유닛 31 : 횔브라켓
32 : 휠서포트 32a : 접촉면
33 : 회전축 34 : 휠
35 : 하부고정부 35a : 삽입부
35b : 접촉면 36 : 고정핀
37 : 상부캡 40 : 조작핸들
41 : 조작부 42 : 회전부
43 : 링크작동부 43a: 연장부
43b : 경사면 45 : 연동레버
45a : 모서리 50 : 케이블
61 : 스프링 하우징 62 : 복원스프링
63 : 컨택터 110 : 플로워 패널
111 : 레일 120 : 러기지 보드
130 : 러너 131 : 가이드
132 : 휠 133 : 락커
140 : 조작핸들 150 : 케이블

Claims (18)

  1. 차량 트렁크의 플로워 패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러기지 보드와,
    상기 플로워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의 슬라이딩시 상기 러기지 보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휠을 구비한 휠유닛과,
    상기 러기지 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탑승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핸들과,
    상기 휠유닛과 상기 조작핸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작핸들로 입력된 상기 탑승자의 조작력을 상기 휠유닛으로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의 양측단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는 상기 휠유닛이 조작되면, 상기 휠과 접촉하는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휠은 상기 조작핸들이 조작되면 상기 레일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레일은 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유닛은,
    상기 플로워 패널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휠브라켓과,
    상기 휠브라켓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는 휠서포트와,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탑승자의 조작력이 상기 휠서포트의 하단으로 전달되면,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이 상기 레일에 인접해지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휠이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휠이 회전하여 상기 휠이 상기 레일에 삽입되면 상기 레일을 정해진 높이만큼 상승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브라켓과 상기 휠서포트를 관통하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휠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과 상기 휠 사이에는 상기 휠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휠서포트에 연결되는 하부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서포트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고정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부의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휠서포트의 상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측면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휠서포트의 측면과 평면으로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을 관통하도록 상부캡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캡의 하단은 상기 하부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보드의 양측단에 상기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플로워 패널의 양측단에 각각 휠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러기지 보드의 상부면에 노출되고, 탑승자가 손으로 움켜잡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 보드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링크작동부와,
    상기 러기지 보드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작동부가 회전하면 상기 링크작동부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링크작동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작동부의 전단에는,
    상기 링크작동부로부터 상기 연동레버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동레버의 하부에서 상기 연동레버의 모서리에 경사지게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워 패널에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회전된 휠유닛을 원래위치로 복원시키는 휠유닛 복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휠유닛 복원수단은,
    상기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고 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휠유닛을 탄성지지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복원스프링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휠서포트의 측면에 접촉하는 컨택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KR1020170115167A 2017-09-08 2017-09-08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KR10240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67A KR102406053B1 (ko) 2017-09-08 2017-09-08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US15/838,864 US10479279B2 (en) 2017-09-08 2017-12-12 Slidable luggage board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67A KR102406053B1 (ko) 2017-09-08 2017-09-08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11A KR20190028111A (ko) 2019-03-18
KR102406053B1 true KR102406053B1 (ko) 2022-06-08

Family

ID=6563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167A KR102406053B1 (ko) 2017-09-08 2017-09-08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79279B2 (ko)
KR (1) KR102406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51A (ko)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회전 장치
KR20220028646A (ko)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조립식 러기지 보드
KR102391372B1 (ko) 2020-08-31 2022-04-2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회전 장치
KR20220028649A (ko)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회전 장치
KR102431485B1 (ko) 2020-10-22 2022-08-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수레로 변환가능한 러기지 보드
KR20230031483A (ko) 2021-08-27 2023-03-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602A (ja) 2008-10-31 2010-05-13 Shiroki Corp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JP2010105603A (ja) 2008-10-31 2010-05-13 Shiroki Corp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JP2010105601A (ja) * 2008-10-31 2010-05-13 Shiroki Corp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2034B1 (en) * 1999-11-23 2001-11-06 Mink & Associates Llc Vehicle bed and cargo area liner with integrated sliding floor extension
JP2002087166A (ja) 2000-09-19 2002-03-26 Kasai Kogyo Co Ltd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装置
US7201418B2 (en) * 2004-06-25 2007-04-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ing vehicle load floor
JP5007160B2 (ja) * 2007-06-13 2012-08-2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KR101231354B1 (ko) 2010-12-03 201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US8840166B1 (en) * 2011-12-13 2014-09-23 SlideLiner, L.L.C. Slidable cargo area floor liner and cargo management device
US9387891B2 (en) * 2014-10-31 2016-07-12 Currentwrx, LLC Slidable conveyanc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602A (ja) 2008-10-31 2010-05-13 Shiroki Corp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JP2010105603A (ja) 2008-10-31 2010-05-13 Shiroki Corp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JP2010105601A (ja) * 2008-10-31 2010-05-13 Shiroki Corp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11A (ko) 2019-03-18
US20190077319A1 (en) 2019-03-14
US10479279B2 (en)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053B1 (ko) 슬라이딩 가능한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US7735894B2 (en) Tailgate assemblies and vehicles including same
US20080169668A1 (en) Vehicle trunk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structure
US20150251606A1 (en)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11242011B2 (en) Luggage box apparatus for vehicle
US8616642B2 (en) Fold-and-dive apparatus for vehicle seat
CN101161506A (zh) 车顶行李架的纵向杆与横向杆锁紧装置
JP2010116151A (ja) 自動車用リアマスキング装置および関連するリアアセンブリ
CN108263290A (zh) 车辆中用于移动设备的储存装置
JP2009241631A (ja) 自動車荷室のボード開閉装置
KR101905487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CN210191639U (zh) 用于划分车辆载货空间的分隔器组件和车辆
KR101905530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102431485B1 (ko) 수레로 변환가능한 러기지 보드
JPH1178634A (ja) 自動車用補助シート
KR100784342B1 (ko)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210852164U (zh) 车载小桌板结构及车辆
KR101757186B1 (ko) 컵홀더
US20240092270A1 (en) Luggage space-extensible slidable and pivotable board structure
JP6399449B2 (ja) 固定装置
KR100463151B1 (ko) 자동차의 루프 랙
WO2019229833A1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JP6754718B2 (ja) 物品保持装置、及び物品保持装置を備えたセンターコンソール
JP6799663B2 (ja) 車両用荷室構造
KR101780090B1 (ko) 차량용 시트 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폴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