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462B1 -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462B1
KR100946462B1 KR1020080103619A KR20080103619A KR100946462B1 KR 100946462 B1 KR100946462 B1 KR 100946462B1 KR 1020080103619 A KR1020080103619 A KR 1020080103619A KR 20080103619 A KR20080103619 A KR 20080103619A KR 100946462 B1 KR100946462 B1 KR 10094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crossbar
link
release lev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영
이우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462B1/ko
Priority to DE102009034972A priority patent/DE102009034972A1/de
Priority to US12/510,864 priority patent/US8302828B2/en
Priority to CN200910165566A priority patent/CN10172290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Abstract

크로스바 본체(800); 크로스바 본체(800)의 양단에 마련된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700);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700) 각각에서 탄성 돌출되는 제1로킹핀(220) 및 제2로킹핀(240); 제1브라켓(100)의 내부에서 제1로킹핀(220)에 힌지결합된 링크(300); 링크(300)와 힌지결합되며 회전축(444)을 매개로 설치된 연결부(440) 및 외부로 노출된 그립부(420)로 구성되며 회전시 상기 링크(300)와 제1로킹핀(220)을 크로스바 본체(800) 측으로 당기는 릴리즈레버(400); 및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와 제2로킹핀(240)을 연결하는 와이어(500);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가 소개된다. 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에 따르면, 릴리즈레버가 일측에만 설치되고, 와이어가 하나만 사용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루프 크로스바, 크로스바 와이어

Description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Cross Bar Of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여가생활을 즐기고자 RV 차량이나 벤 차량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차량은 내부 공간의 제약 때문에 그 루프에 각종 화물이나, 레저 장비를 탑재할 필요가 있고, 차량의 루프에는 루프 캐리어가 장착된다.
차량용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루프의 양측을 따라 마련되는 사이드바와 그 사이드바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된 크로스바로 구성된다. 크로스바는 화물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사이드바에 고정되나, 그 위치를 이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고정이 풀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탑승자가 화물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크로스바의 위치를 적당히 맞추고, 그 자리에 크로스바가 사이드바에 고정되게끔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살펴보면, 차량의 루프 상단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사이드바(90)가 양측에 설치되며, 사이드바(90) 사이에는 크로스바(10)가 설치된다. 크로스바(10)의 양 단에는 브라켓(30)이 결합되고, 로킹 핀(70)이 돌출되어 있고, 사이드바(90)의 내측에는 로킹핀(7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9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바(10)의 로킹핀(70)은 선택적으로 돌출 또는 후퇴되게끔 마련되어 임의의 고정홈(92)에 걸려 고정되게끔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킹핀(70)을 후퇴시킨 후 크로스바(10)의 위치를 조정하고, 다시 로킹핀(70)을 돌출시켜 크로스바(10)를 고정한다. 물론, 크로스바(10)는 사이드바(90) 내측의 레일을 타고 슬라이딩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는 다수 개의 와이어와 스프링 및 레버를 사용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높았으며, 와이어의 장기 사용시 노후화로 인한 제품의 내구성 문제가 있었다.
또한, 레버가 작동되지 않아도 로킹핀이 사이드바로부터 이탈 가능하여, 차량이 거친 노면을 달릴 경우 그 진동으로 인하여 로킹핀이 이탈되고 화물이 루프로부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와이어를 사용하며 일측에만 레버를 장착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2 단계의 로킹 방식을 사용하여 로킹핀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는, 루프 양측에 마련된 사이드바 사이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 본체; 상기 크로스바 본체의 양단에 사이드바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 각각에 사이드바 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설치된 제1로킹핀 및 제2로킹핀; 상기 제1브라켓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제1로킹핀에 힌지결합된 링크; 상기 링크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며 제1브라켓의 내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된 연결부 및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 그립부로 구성되어, 회전시 상기 링크와 제1로킹핀을 크로스바 본체 측으로 당기는 릴리즈레버; 및 상기 크로스바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릴리즈레버의 연결부와 제2로킹핀을 연결하여 릴리즈레버의 회전시 제2로킹핀을 크로스바 본체 측으로 당기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즈레버의 연결부는 중앙부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링크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며 후단부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그립부는 연결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링크가 제1로킹핀의 수평선과 이루는 각(a)은 2 단 로킹시 5 ~ 10도가 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후단부는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와이어의 당김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제1,2브라켓에는 각각 로킹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로킹핀은 일부가 로킹핀 지지부를 관통하며, 관통한 부분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와 로킹핀 지지부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어 사이드바 측으로 탄성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에는 크로스바 본체 측 단부에 릴리즈레버의 연결부가 결합되는 레버고정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로킹핀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리즈레버의 연결부는 레버고정부의 내측에서 힌지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링크는 릴리즈레버 연결부의 내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측방향 유동이 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2로킹핀의 링크 또는 와이어와 연결된 부분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제1,2로킹핀이 로킹핀 지지부를 관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릴리즈레버의 그립부가 제1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링크는 연결부 측이 상승되어 제1로킹핀과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하여 제1로킹핀의 유동이 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에 따르면, 릴리즈레버가 일측에만 설치되고, 와이어가 하나만 사용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 된다.
또한, 로킹의 단계를 2 단계로 구성하여 로킹핀이 더욱 안정적으로 로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하나의 와이어만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두 개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시계, 반시계 방향의 용어는 상대적인 방향의 차이를 의미할 뿐,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 그 방향에 구속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의 제1브라켓 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는, 루프 양측에 마련된 사이드바 사이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 본체(800); 상기 크로스바 본체(800)의 양단에 사이드바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700); 상기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700) 각각에 사이드바 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설치된 제1로킹핀(220) 및 제2로킹핀(240); 상기 제1브라켓(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부(320)가 제1로킹핀(220)에 힌지결합된 링크(300); 상기 링크(300)의 타단부(340)와 힌지결합되며 제1브라켓(100)의 내부에 회전축(444)을 매개로 설치된 연결부(440) 및 연결부(440)에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 그립부(420)로 구성되어, 회전시 상기 링크(300)와 제1로킹핀(220)을 크로스바 본체(800) 측으로 당기는 릴리즈레버(400); 및 상기 크로스바 본체(800)를 관통하며 상기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와 제2로킹핀(240)을 연결하여 릴리즈레버(400)의 회전시 제2로킹핀(240)을 크로스바 본체(800) 측으로 당기는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는 크게 사이드바(도면 미도시) 및 크로스바 본체로 구성된다. 그 상세한 설명은 배경기술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크로스바의 고정을 위한 작동구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크로스바 본체의 양 단부에는 제1,2브라켓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각 브라켓에는 제1,2로킹핀이 탄성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2로킹핀이 돌출되어 사이드바에 고정되고, 제1,2로킹핀이 후퇴되어 크로스바 본체의 고정이 풀리고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우선 도 1을 참고하여 제1브라켓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는 제1브라켓(100)에만 릴리즈레버(400)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제1브라켓(100)의 릴리즈레버(400)를 당겨 제1,2로킹핀을 모두 해체할 수 있도록 한다.
릴리즈레버(400)에는 링크(300)와 제1로킹핀(220)이 연결되어 릴리즈레버(400)의 그립부(420)를 당겨 릴리즈레버(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을 따라 링크(300)가 굴곡지게 운동하며 그 링크(300)의 운동에 따라 제1로킹핀(220)이 후퇴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4를 참고하여 각 구성의 결합관계를 살펴본다. 제1브라켓(100)에는 릴리즈레버(400), 링크(300) 및 제1로킹핀(220)이 설치된다. 우선, 제1브라켓(100)의 최내측 단부에는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의 고정을 위한 레버고정부(140)가 형성된다. 그 레버고정부(140)는 일정 공간(144)을 형성하며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패널로 구성된다. 그 패널에는 릴리즈레버(400)의 회전축(444)이 설치되는 회전축홀(142)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100)의 중앙부에는 로킹핀 지지부(120)가 형성된다. 이 역시 상방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일 수 있다. 그 로킹핀 지지부(120)에는 제1로킹핀(22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제1로킹핀(220)은 이 관통홀(122)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또는 후퇴되며 직선으로 슬라이딩을 하게끔 지지된다. 제1브라켓(100)의 최외측에는 제1로킹핀(220)이 관통하는 또 다른 홀(160)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핀 지지부(120)는 제1,2브라켓(100,700)에 각각 형성되고, 제1,2로킹핀(220,240)은 일부가 로킹핀 지지부(120,720)를 관통하며, 관통한 부분에 걸림돌기(222,242)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222,242)와 로킹핀 지지부(120,720) 사이에 스프링(224)이 개재되어 사이드바 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1,2로킹핀(220,240)의 링크(300) 또는 와이어(500)와 연결된 부분에는 스토퍼(226)가 돌출 형성되어 제1,2로킹핀(220,240)이 로킹핀 지지부(120,720)를 관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릴리즈레버(400)는 연결부(440)와 그립부(420)로 구성된다. 연결부(440)는 제1브라켓(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된다. 연결부(440)는 중앙부에 회전축(444)이 형성되어 레버고정부(140)의 회전축홀(142)에 결합되고, 연결부(440)의 전단부는 링크(300)의 타단부(340)와 힌지결합된다. 그 연결부(440)의 전단부에는 공간(441)이 형성되고, 그 공간(441)에 링크(300)가 삽입된 후 핀(342)으로 결합되어 측방향의 유동이 방지된다. 연결부(440)의 후단부(446)에는 와이어(500)가 연결된다. 연결부(440)의 후단부(446)는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분에 와이어(500)가 연결되어, 회전축(444)을 중심으로 회전시 와이어(500)의 당김량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립부(420)는 연결부(44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그립부(420)를 당길 경우 릴리즈레버(400)가 회전축(44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부(440)에 힌지결합된 링크(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연결부(440)를 따라 굴곡지게 운동하고, 링크(300)에 핀(322)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로킹핀(220)은 직선운동하여 후퇴되고, 사이드바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릴리즈레버(40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와이어(500)가 당겨지고 제2로킹핀(240)이 후퇴되는 것이다.
또한, 제1로킹핀(220)의 연결부(440), 링크(300) 및 제1로킹핀(220)은 서로 단계적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되어 측방향의 유동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는 레버고정부(140)의 내측에서 힌지축(444)으로 설치되고, 연결부에는 공간(441)이 형성되며 링크가 그 공간(441)에 위치하여 연결부(440)의 내측에서 힌지결합되며, 제1로킹핀(220)은 링크(300)의 내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측방향 유동이 저지된다.
도 5는 제1브라켓 측을, 도 6은 제2브라켓 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700)은 크로스바 본체(8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그 제1,2브라켓(100,700)의 외부는 외부브라켓(600)으로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그 외부브라켓(600)은 제1,2브라켓(100,700)과 일체 또는 별물로 성형이 가능하다. 크로스바 본체(800)의 양단에는 사각의 홈(820)을 형성하여 릴리즈레버(400)의 연결 부(440)가 삽입되도록 한다. 먼저, 제1브라켓(100)의 릴리즈레버(400)의 그립부(420)를 당길 경우 릴리즈레버(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해 링크(300) 및 제1로킹핀(220)이 연동되며 제1로킹핀(220)이 제1브라켓(100) 내측으로 스프링(224)의 탄성을 이기며 후퇴한다. 한편,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에는 와이어(500)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44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와이어(500)가 당겨지며 와이어(500)의 당김에 따라 제2브라켓(700)의 제2로킹핀(240)이 제2브라켓(700) 내측으로 후퇴된다. 따라서, 하나의 릴리즈레버(400)의 작동만으로도 양측의 제1,2로킹핀(220,240) 모두가 후퇴되는 것이다.
릴리즈레버(400)를 당겨 제1,2로킹핀(220,240)을 후퇴시며 로킹을 해제한 후에는 크로스바를 슬라이딩시킨다. 적당한 위치에 크로스바의 재조정이 끝나면 제1,2로킹핀(220,240)이 다시 돌출되며 1 단 로킹이 이루어진다. 1 단 로킹 상태에서는 제1로킹핀(220)과 링크(300)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그러한 1 단 로킹 상태에서 그립부(4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크로스바 본체(800) 또는 제1브라켓(100)에 밀착시킬 경우 릴리즈레버(400)는 1 단 로킹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약간의 회전을 하며, 그에 따라 링크(30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의 회전을 이루며 링크(300)의 연결부(440) 측이 상승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이러한 2 단 로킹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로킹핀(22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였던 링크(300)가 그 위치에서 틀어지면 제1로킹핀(220)을 제1브라켓(100) 내측으로 가압하여도 제1로킹핀(220)이 후퇴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제1로킹핀(220)이 후퇴되려면 링크(300)를 계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고, 링크(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면 릴리즈레버(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는데, 릴리즈레버(400)의 그립부(420)는 최하단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단 로킹 상태까지 완료된 경우 차량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이나 가압력이 제1로킹핀(220)에 전달되어도 그립부(420) 자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전까지는 제1로킹핀(220)이 후퇴할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립부(420)가 회전되지 않는다면 제2로킹핀(240) 역시 후퇴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로킹의 단계를 2단계로 구성함으로써 제1,2로킹핀(220,240)의 로킹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2 단 로킹시 링크(300)가 제1로킹핀(220)의 수평선과 이루는 각(a)이 5 ~ 10도가 되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의 제1브라켓 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로킹핀과 링크 및 릴리즈레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의 제1브라켓 측을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의 제2브라켓 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의 제1브라켓 측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브라켓 120 : 로킹핀 지지부
140 : 레버고정부 220 : 제1로킹핀
224 : 스프링 240 : 제2로킹핀
300 : 링크 400 : 릴리즈레버
420 : 그립부 440 : 연결부
444 : 회전축 500 : 와이어
600 : 외부브라켓 700 : 제2브라켓
800 : 크로스바 본체

Claims (8)

  1. 루프 양측에 마련된 사이드바 사이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 본체(800);
    상기 크로스바 본체(800)의 양단에 사이드바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700);
    상기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700) 각각에 사이드바 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설치된 제1로킹핀(220) 및 제2로킹핀(240);
    상기 제1브라켓(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부(320)가 제1로킹핀(220)에 힌지결합된 링크(300);
    상기 링크(300)의 타단부(340)와 힌지결합되며 제1브라켓(100)의 내부에 회전축(444)을 매개로 설치된 연결부(440) 및 연결부(440)에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 그립부(420)로 구성되어, 회전시 상기 링크(300)와 제1로킹핀(220)을 크로스바 본체(800) 측으로 당기는 릴리즈레버(400); 및
    상기 크로스바 본체(800)를 관통하며 상기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와 제2로킹핀(240)을 연결하여 릴리즈레버(400)의 회전시 제2로킹핀(240)을 크로스바 본체(800) 측으로 당기는 와이어(500);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는 중앙부에 회전축(444)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링크(300)의 타단부(340)와 힌지결합되며 후단부(446)에 와이어(500)가 연결되고, 그립부(420)는 연결부(44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300)가 제1로킹핀(220)의 수평선과 이루는 각(a)은 2 단 로킹시 5 ~ 10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00)가 연결되는 연결부(440)의 후단부(446)는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회전축(444)을 중심으로 회전시 와이어(500)의 당김량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브라켓(100,700)에는 각각 로킹핀 지지부(120,7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로킹핀(220,240)은 일부가 로킹핀 지지부(120,720)를 관통하며, 관통한 부분에 걸림돌기(222,242)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222,242)와 로킹핀 지지부(120,720) 사이에 스프링(224)이 개재되어 사이드바 측으로 탄성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00)에는 크로스바 본체(800) 측 단부에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가 결합되는 레버고정부(140)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로킹핀 지지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400)의 연결부(440)는 레버고정부(140)의 내측에서 힌지축(444)으로 설치되고 상기 링크(300)는 릴리즈레버(400) 연결부(440)의 내측에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로킹핀(220)은 링크(300)의 내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측방향 유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로킹핀(220,240)의 링크(300) 또는 와이어(500)와 연결된 부분에는 스토퍼(226)가 돌출 형성되어 제1,2로킹핀(220,240)이 로킹핀 지지부(120,720)를 관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400)의 그립부(420)가 가압에 의해 최하단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링크(300)의 연결부(440) 측이 상승되어 제1로킹핀(220)과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하여 제1로킹핀(220)의 유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20080103619A 2008-10-22 2008-10-22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94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619A KR100946462B1 (ko) 2008-10-22 2008-10-22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DE102009034972A DE102009034972A1 (de) 2008-10-22 2009-07-28 Querbalken eines Dachträgers für Fahrzeuge
US12/510,864 US8302828B2 (en) 2008-10-22 2009-07-28 Cross bar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CN200910165566A CN101722900A (zh) 2008-10-22 2009-07-30 车辆的顶部搬运装置的横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619A KR100946462B1 (ko) 2008-10-22 2008-10-22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462B1 true KR100946462B1 (ko) 2010-03-10

Family

ID=4205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619A KR100946462B1 (ko) 2008-10-22 2008-10-22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02828B2 (ko)
KR (1) KR100946462B1 (ko)
CN (1) CN101722900A (ko)
DE (1) DE102009034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9988B2 (en) 2011-09-21 2013-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of rack crossbar
EP3013647B1 (en) * 2013-06-24 2018-05-23 Mont Blanc Industri AB A support foot for luggage carrier
EP3478537A1 (en) * 2016-06-30 2019-05-08 Horizon Global Americas Inc. Vehicle roof box with central, external attachment system
CN111204273A (zh) * 2020-01-07 2020-05-29 郑州蓝图土地环境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土地整治工程的检测车
EP3936387A1 (en) * 2020-07-10 2022-01-12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roof rail system for being arranged on the roof of a vehicle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roof rail system
US11577658B2 (en) 2020-11-25 2023-02-14 Plasman Us Holdco Llc Crossmember assembly with a scotch yoke for an adjustable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US11299104B1 (en) 2020-11-25 2022-04-12 Dus Operating Inc. Universal crossmember assembly for a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95B1 (ko) 2005-06-02 2006-07-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9489B1 (ko) * 2005-06-13 2006-08-0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22247B1 (ko) 2006-04-07 2007-05-29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7212Y (zh) * 1993-07-13 1994-06-01 杨松筠 高压袖珍气筒
US5924614A (en) * 1997-04-03 1999-07-20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longitudinally adjustable from one side of a motor vehicle
CA2233930C (en) * 1997-04-03 2006-06-06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adjustable within a range of infinite operating positions
CA2258707C (en) * 1998-01-15 2006-12-19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for a vehicle
US6112964A (en) * 1998-02-17 2000-09-05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US6779696B2 (en) *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US7044345B2 (en) * 2002-02-25 2006-05-16 Jac Products, Inc. Single sided releaseable article carrier using leaf spring
CA2416108A1 (en) * 2002-03-13 2003-09-13 Jac Products, Inc. Locking mechanism for cross bar of a vehicle article carrier
US7441679B1 (en) * 2003-11-12 2008-10-28 Sportrack Llc One sided adjustable cross rail
US7926685B2 (en) * 2005-12-02 2011-04-19 Jac Products, Inc. Single side release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 and method
KR100756472B1 (ko) * 2006-01-03 2007-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로스바 고정 장치
KR100706846B1 (ko) * 2006-12-04 2007-04-13 (주)몰드피아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바와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12502B1 (ko) * 2007-01-18 2008-03-1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785468B1 (ko) * 2007-02-12 2007-12-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80103619A (ko) 2007-02-23 2008-11-28 한국정보통신서비스 주식회사 고객 서명 정보 출력 기능이 구비된 카드단말기와 이를이용한 고객 서명 정보 출력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US7802707B2 (en) * 2007-05-10 2010-09-28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apparatus having single sided release and method therefor
US7806306B2 (en) * 2007-05-10 2010-10-05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 release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95B1 (ko) 2005-06-02 2006-07-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9489B1 (ko) * 2005-06-13 2006-08-0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22247B1 (ko) 2006-04-07 2007-05-29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2828B2 (en) 2012-11-06
CN101722900A (zh) 2010-06-09
DE102009034972A1 (de) 2010-04-29
US20100096422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462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916262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794899B1 (ko) 차량 시트 잠금장치
KR101088550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20080232944A1 (en) Automatic Folding Fork Device for Forklift Trucks
US8616642B2 (en) Fold-and-dive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6552958B2 (ja) スキーキャリアクランプ
US20060273643A1 (en) Belt Extension Apparatus
US9440521B2 (en) Vehicular deflector device
US20180361882A1 (en) Automobile seat
US7481458B2 (en) Roll-over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160280122A1 (en) Vehicle with load-carrying platform
KR10091626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US20030222481A1 (en) Sunroof device
US10994642B2 (en) Headrest moving device
US20050045679A1 (en) Vehicle roof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cross rail
JP4205491B2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7469807B2 (en) Crossbar assembly for a vehicle
JP4784802B2 (ja) 跳上げ可能なスライド式折畳みシート
CN108608911B (zh) 靠背锁止机构和车辆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KR100568749B1 (ko) 자동차용 루프 랙
EP3040243B1 (en) Ski carrier clamp
KR100353734B1 (ko) 승합차의 사다리
CN101984313B (zh) 一种冰箱轨道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