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247B1 -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247B1
KR100722247B1 KR1020060031755A KR20060031755A KR100722247B1 KR 100722247 B1 KR100722247 B1 KR 100722247B1 KR 1020060031755 A KR1020060031755 A KR 1020060031755A KR 20060031755 A KR20060031755 A KR 20060031755A KR 100722247 B1 KR100722247 B1 KR 10072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ain bar
locking portion
rack gea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홍
한완식
Original Assignee
장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홍 filed Critical 장재홍
Priority to KR102006003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1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바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기어홈이 형성된 로킹부가 랙기어와 맞물리는 로킹구조이고, 한쪽 노브의 조작에 의한 힘이 크로스바의 내부에 설치된 스틱 및 레버에 의해 반대쪽 로킹부에도 전달되어 크로스바의 양단부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메인바의 안쪽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메인바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전단부에 기어홈이 형성된 로킹부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로킹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단부가 상기 로킹부에 연결된 노브와; 한쪽 노브의 조작에 의한 힘을 반대쪽 로킹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메인바, 크로스바, 로킹장치, 랙기어, 로킹부, 링크, 노브, 슬라이드 하우징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Side single release system for roof rack of vehicle}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랙의 크로스바 로킹장치를 나타내는 일부발췌평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랙의 크로스바 로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일부발췌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랙의 로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발췌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한 단면도로서, 루프랙의 로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바 11 : 크로스바
12 : 로킹장치 13 : 랙기어
14 : 로킹부 14' : 몸체
15 : 노브 15a : 푸쉬돌기
15b : 로킹돌기 16 : 슬롯홈
17 : 슬라이드 하우징 18 : 가이드로드
19 : 스프링 20 : 회전축
21 : 제1링크 22 : 제2링크
23 : 레버 23a : 핀
24 : 브라켓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바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기어홈이 형성된 로킹부가 랙기어와 맞물리는 로킹구조이고, 한쪽 노브의 조작에 의한 힘이 크로스바의 내부에 설치된 스틱 및 레버에 의해 반대쪽 로킹부에도 전달되어 크로스바의 양단부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용차의 경우에는 화물을 차량 실내 또는 트렁크 룸 내부에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실내 또는 트렁크 룸 내부의 수용공간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크거나 길이가 긴 화물 등은 적재할 수 없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RV 차량이나 SUV 차량 또는 소형 승합차량의 경우에는 루프 패널의 상측 으로 루프 랙(roof rack)을 설치하여 화물을 적재하고 있다.
이러한 루프 랙은 루프 패널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메인바(main bar)을 포함하며, 크로스바(cross bar)가 좌측과 우측의 두 메인바 상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바, 이 크로스바아는 메인바 상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크로스바의 양단에 장착된 로킹 장치의 경우, 한쪽 로킹장치의 잠금해제 버튼을 눌러서 잠금해제함에 따라 크로스바가 메인바를 따라 움직이게 되고, 반대쪽 로킹장치는 별도로 움직이므로 두사람이 동시에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에 일정한 간격으로 로킹홀이 형성되고, 와이어를 매개로 로킹핀(100)을 연결하여 한쪽의 노브(knob)(101)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크로스바(102)의 양단부가 동시에 메인바에서 잠금 및 해제되는 로킹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로킹핀(100)은 메인바의 안쪽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쪽 로킹핀(100)의 후단부에 결합된 제1고정와이어(103)가 반대쪽 노브의 안쪽에 결합되며, 한쪽 노브(101)의 안쪽에 핀결합된 제2고정와이어(104)가 반대쪽 로킹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로킹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한쪽 노브(101)를 회전축(105)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고정와이어(104)가 바깥쪽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반대편의 로킹핀 후단부를 당기게 되어 반대쪽이 잠금해제되게 된 다.
또한, 한쪽 노브(101)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핀(100)의 가이드핀(100a)이 노브(101)의 곡면을 타고 뒤쪽으로 밀려나게 되어 로킹핀(100)이 메인바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로킹구조에 의하면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노브의 곡면을 타고 움직이는 가이드핀에 의해 노브의 곡면이 마모되면서, 이 마모에 의해 유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우측의 거리가 와이어에 의해 고정되므로 조립의 어려움이 있고, 로킹핀이 메인바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로킹홀에 삽입되는 바, 이때 좌우의 거리가 정확하게 잘 맞지 않으면 로킹되지 않고, 서로 잘 맞춰서 로킹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에 이미 천공된 로킹홀에만 고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동시에 양쪽의 로킹핀을 로킹홀에 삽입하여 고정하기 불편하고, 크로스바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메인바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기어홈이 형성된 로킹부가 랙기어와 맞물리는 로킹구조이고, 한쪽 노브의 조작에 의한 힘이 크로스바의 내부에 설치된 스틱 및 레버에 의해 반대쪽 로킹부에도 전달되어 크로스바의 양단부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 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바가 메인바의 랙기어에 의해 로킹되는 구조이므로, 어떤 특정한 위치가 아니더라도 원하는 위치에 크로스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바 상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의 안쪽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메인바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전단부에 기어홈이 형성된 로킹부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로킹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단부가 상기 로킹부에 연결된 노브와; 한쪽 노브의 조작에 의한 힘을 반대쪽 로킹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일단부가 한쪽 로킹부의 후단에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부가 반대쪽 로킹부의 후단에 결합된 제2링크와;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중심부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 제1 및 제2링크는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로킹부의 후단에는 가이드로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에 리턴수단이 삽입되어, 이 리턴수단에 의해 로킹부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브의 하단에는 상기 로킹부가 랙기어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킹부 후단에 로킹되는 로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랙의 로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발췌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메인바(10)에 크로스바(11)가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된 자동차용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로스바(11)가 각각 별도로 릴리스(release)되는 것이 아니라 한번의 동작으로 양쪽 모두 동시에 해제되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RV 차량이나 SUV 차량 또는 소형 승합차량의 경우에는 부피가 크거나 길이가 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루프 패널의 상측에 루프 랙(roof rack)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루프랙은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체결수단에 의해 차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메인바(10)와, 이 메인바(10)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크로스바(11)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바(11)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로킹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크로스바(11)의 양단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나, 한번의 조작으로 혼자서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로킹장치(12)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은 메인바의 안쪽면에 형성된 랙기어(13)와, 크로스바(11)의 양단에 설치되고 랙기어(13)와 맞물려 로킹부(14)와, 이 로킹부(14)를 후방향(차체길이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노브(15)와, 노브(15)의 조작력의 반대쪽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10)의 안쪽면에는 슬롯홈(16)이 형성되고, 슬롯홈(16)의 안쪽면에는 랙기어(13)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하우징(17)이 메인바(10)에 차체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하우징(17)의 전단부는 요철모양의 단면으로 슬롯홈(16)을 통과하여 걸쳐 있고, 상기 로킹부(14)의 전단부가 슬롯홈(16)을 통해 랙기어(13)에 붙었다 떨어졌다하면서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랙기어(13)는 메인바(10)의 안쪽면에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로킹부(14)는 노브(15)에 의해 메인바(10)의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하우징(1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14)의 전단에는 메인바(10)의 랙기어(13)와 맞물림 가능하도록 기어홈이 형성되어 있고, 로킹부의 몸체(14')는 슬라이드 하우징(17)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노브(15)의 회전시(로킹해제시) 노브(15)의 전단부가 회전되면서 로킹부(14)의 몸체(14')를 후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로킹부의 몸체(14')에 걸림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의 몸체(14') 후단에는 가이드로드(18)가 일체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로드(18)에는 스프링(19)과 같은 리턴수단이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7)의 상부에는 전단부가 회전축(20)에 의해 힌지결합된 노브(15)가 설치되고, 로킹부(14)가 메인바(10)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노브(15)의 전단부에는 푸시돌기(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브(15)의 전단부에서 회전축(20)을 사이에 두고 푸시돌기(15a)의 반대쪽 하방향으로 쐐기모양의 로킹돌기(15b)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로킹돌기(15b)는 노브(15)의 반대방향 회전시(로킹시) 로킹부(14)의 후단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로킹부 몸체(14') 후단에 걸려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크로스바(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쪽 로킹부 몸체(14')에 결합된 제1링크(21)와, 반대쪽 로킹부 몸체(14')에 결합된 제2링크(22)와, 제1링크(21) 및 제2링크(22)의 각 단부가 결합된 레버(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21) 및 제2링크(22)는 얇고 긴 형태이고, 그 단면은 원형, 직사각형 및 비원형이어도 상관없으며,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단단한(rigid) 와어어로 된 구조이다.
상기 제1링크(21)의 일단부는 한쪽 로킹부 몸체(14')에 결합되고, 제1링크(21)의 타단부는 레버(23)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22)의 일단부는 반대쪽 로킹부 몸체(14')에 결합되고, 제2링크(22)의 타단부는 레버(23)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버(23)의 중심부는 핀(23a)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크로스바(11)의 중간에 설치된 브라켓(24)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한 단면도로서, 루프랙의 로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쪽 노브(15)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노브(15)의 전단에 형성된 푸시돌기(15a)가 로킹부 몸체(14')의 걸림홀(14") 후단을 밀게 되고, 로킹부 몸체(14')가 메인바(10)의 안쪽(횡방향)으로 밀리면서, 로킹부 몸체(14')가 슬라이드 하우징(17)을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한쪽 로킹부 몸체(14')의 후단에 결합된 제1링크(21)가 크로스바(11)의 중앙에 설치된 레버(23)의 일단부를 밀게 되고, 이 힘에 의해 레버(23)는 핀(23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력에 의해 제2링크(22)가 당겨지게 되고, 제2링크(22)의 끝단에 결합된 반대쪽 로킹부가 반대쪽 메인바의 랙기어로부터 떨어뜨려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며, 한쪽 로킹부(14)도 노브(15)가 회전하면서 한쪽 메인바(10)의 랙기어(13)로부터 잠금해제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노브(15)를 하방향으로 내리면 로킹부 몸체(14') 후단에 설치된 스프링(19)의 관성력에 의해 로킹부(14)가 앞으로 밀리게 되어 로킹부(14) 의 전단부가 랙기어(13)와 맞물리게 되고, 이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노브(15)의 로킹돌기(15b)가 로킹부 몸체(14') 후단을 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에는 메인바에 일정한 간격으로 로킹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메인바(10)의 안쪽 전체면에 랙기어(13)가 형성되고, 이 랙기어(13)와 맞물리게 되는 로킹부(14)도 기어홈이 형성됨으로써, 메인바(10)의 특정한 위치가 아니더라도 크로스바(11)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고 조립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크로스바(11)의 로킹이 잘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노브(15)가 내려져 있을때 즉, 크로스바(11)에 물건이 장착되어 있거나 주행중에 급제동이나 충돌 등에 의한 가속력을 로킹부(14)가 받았을 때에 스프링(19)이 지지하고는 있지만 상기 노브(15) 하단에 형성된 로킹돌기(15b)가 로킹부(14)의 후단을 밀고있으므로, 로킹부(14)가 메인바(10)의 랙기어(13)에 로킹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에는 메인바에 일정한 간격으로 로킹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메인바의 안쪽 전체면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이 랙기어와 맞물리게 되는 로킹부도 기어홈이 형성됨으로써, 메인바의 특정한 위치가 아니더라도 크로스바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고 조립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크로스바의 로킹이 잘 이루어진다.
또한, 노브 하단에 형성된 로킹돌기가 로킹부의 후단을 밀고 있으므로, 주행중에 급제동이나 충돌 등에 의한 가속력을 로킹부가 받았을 때 크로스바의 로킹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메인바 상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의 안쪽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메인바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전단부에 기어홈이 형성된 로킹부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로킹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단부가 상기 로킹부에 연결된 노브와, 한쪽 노브의 조작에 의한 힘을 반대쪽 로킹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일단부가 한쪽 로킹부의 후단에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부가 반대쪽 로킹부의 후단에 결합된 제2링크와,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중심부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레버, 제1 및 제2링크는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의 후단에는 가이드로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에 리턴수단이 삽입되어, 이 리턴수단에 의해 로킹부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하단에는 상기 로킹부가 랙기어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킹부 후단에 로킹되는 로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KR1020060031755A 2006-04-07 2006-04-07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KR10072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755A KR100722247B1 (ko) 2006-04-07 2006-04-07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755A KR100722247B1 (ko) 2006-04-07 2006-04-07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247B1 true KR100722247B1 (ko) 2007-05-29

Family

ID=3827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755A KR100722247B1 (ko) 2006-04-07 2006-04-07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99B1 (ko) * 2007-05-01 2008-03-31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장치
KR100857078B1 (ko) * 2007-11-26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식 크로스바 장치 및 작동방법
KR100946462B1 (ko) 2008-10-2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782A (ja) * 1992-10-14 1994-05-13 Sony Corp ディスクのクランプ装置
JPH06216928A (ja) * 1993-01-14 1994-08-05 Oki Electric Ind Co Ltd Atm交換機の系切替方式
JP2000355251A (ja) * 1999-05-26 2000-12-26 Jac Prod Inc 車輛用物品キャリヤ
KR100561814B1 (ko) * 2004-06-30 200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랙
KR20060066207A (ko) * 2004-12-13 2006-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599493B1 (ko) * 2005-05-16 2006-07-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782A (ja) * 1992-10-14 1994-05-13 Sony Corp ディスクのクランプ装置
JPH06216928A (ja) * 1993-01-14 1994-08-05 Oki Electric Ind Co Ltd Atm交換機の系切替方式
JP2000355251A (ja) * 1999-05-26 2000-12-26 Jac Prod Inc 車輛用物品キャリヤ
KR100561814B1 (ko) * 2004-06-30 200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랙
KR20060066207A (ko) * 2004-12-13 2006-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599493B1 (ko) * 2005-05-16 2006-07-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6-0066207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561814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599493호
미국특허공보 6,131,782호
미국특허공보 6,216,9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2000-355251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99B1 (ko) * 2007-05-01 2008-03-31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장치
KR100857078B1 (ko) * 2007-11-26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식 크로스바 장치 및 작동방법
KR100946462B1 (ko) 2008-10-2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147B2 (en) Mounting of a container 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8167348B2 (en) Cable activated latch pawl for floor console armrest
US20070246982A1 (en) Child protec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20070108817A1 (en)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US9533624B2 (en)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JP463132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30037978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US20090200349A1 (en) Cross bar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KR100722247B1 (ko)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US7699398B2 (en) Backrest unit for a motor vehicle seat
US20060290126A1 (en) Vehicle with a Rollover-Protection System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JP6623027B2 (ja) キャリア装置
KR100817899B1 (ko)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장치
US10384570B2 (en) Child-seat restraint system
CN106515517B (zh) 座椅滑轨的无极双锁止结构
KR100757480B1 (ko)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US20180178688A1 (en) Armrest Release System
KR102443869B1 (ko)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WO2018135042A1 (ja) アームレスト
US6805394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seat frame
EP3967555B1 (en) Load carrier
KR100460610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핸들
CN117360228A (zh) 一种可翻转的副仪表板及车辆
JP4938535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