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207A -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207A
KR20060066207A KR1020040104721A KR20040104721A KR20060066207A KR 20060066207 A KR20060066207 A KR 20060066207A KR 1020040104721 A KR1020040104721 A KR 1020040104721A KR 20040104721 A KR20040104721 A KR 20040104721A KR 20060066207 A KR20060066207 A KR 20060066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oof
locking
roof rack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686B1 (ko
Inventor
양희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6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루프에 설치되는 루프랙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언록킹함에 있어 크로스바의 일측에 구비된 잠금수단을 조작하여 반대편 크로스바의 잠금수단을 동시에 록킹/언록킹할 수 있는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홀(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루프랙(10)과; 이 루프랙(10)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크로스바(20)와; 이 크로스바(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및제2작동레버(30)(40)와; 이 제1및제2작동레버(30)(40)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루프랙(10) 각각에 형성된 고정홀(11)에 삽입 고정 가능한 제1및제2록킹핀(50)(60)을 포함하는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및제2록킹핀(50)(60)에는 각각 제1및제2로드(110)(120)가 체결되며, 이 제1및제2로드(110)(120)는 상기 크로스바(20)에 힌지 고정된 회전체(13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어, 조작력 전달부재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작동 신뢰성을 높이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록킹핀, 로드, 회전체.

Description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a crossbar for a roof rack}
도 1은 종래의 루프랙이 설치된 차량의 루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요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루프랙 20 : 크로스바
30 : 제1작동레버 40 : 제2작동레버
50 : 제1록킹핀 60 : 제2록킹핀
110 : 제1로드 120 : 제2로드
130 : 회전체 133 : 힌지핀
본 발명은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루프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루프랙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바를 록킹/언록킹하는 잠금장치에 있어, 크로스바의 일측에 구비된 잠금수단을 조작함으로써 반대편 크로스바의 잠금수단을 동시에 록킹/언록킹하도록 하는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의 루프 상에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루프캐리어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루프캐리어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루프랙과, 이 루프랙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진다.
크로스바는 적재물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시에는 크로스바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한 후에 루프랙에 견고히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때, 크로스바의 양측 단부는 각각 루프랙에 체결되므로 사용자는 차량의 한쪽에 서서 크로스바 한쪽의 잠금장치를 록킹/언록킹 조작한 후에 다시 차량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나머지 크로스바의 잠금장치를 록킹/언록킹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사용자는 크로스바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조작하기 위해서는 차량 의 한쪽과 반대쪽을 여러 번 왕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크로스바 한쪽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록킹/언록킹하는 조작에 의해 크로스바 반대편의 잠금장치도 동시에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로스바 잠금장치가 종래기술로서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서, 제프리 엠 아프타나스(Jeffrey M. Aftanas) 외 다수에 의해 발명된 미국특허 6,779,696(특허일 2004.08.24)에는 일측에서 해제 가능한 크로스바가 구비된 물품 캐리어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이하, 제프리 외 다수에 의해 제안된 상기 미국특허를 참고하여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루프랙이 설치된 차량의 루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차체 루프(1) 상에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의 루프랙(10)이 견고히 고정되며, 이 루프랙(10)에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크로스바(2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참고로 도 1상의 앞쪽에 위치하는 크로스바와 뒤쪽에 위치하는 크로스바의 구성과 작동은 서로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전방에 위치하는 크로스바와 후방에 위치하는 크로스바를 서로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크로스바(20)의 양 측부에는 각각 루프랙(10)과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잠금부재가 구비된다.
이 잠금부재는 서로 두 개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한쪽 잠금부재에서 조작이 이루어지면 두 개의 케이블에 의해 조작력이 반대편의 잠금부재로 전달되도록 한 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크로스바(20)의 양 측부에는 각각 제1작동레버(30)와 제2작동레버(40)가 힌지 체결되며, 이 제1및제2작동레버(30)(4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제1록킹핀(50)(60)이 구비된다.
루프랙(10)에는 제1및제2록킹핀(50)(6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11)이 형성된다. 이 고정홀(11)은 루프랙(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1및제2록킹핀(50)(60)이 고정되는 고정홀(11)의 위치에 따라서 크로스바(20)는 해당 루프랙(10)의 위치에서 록킹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및제2록킹핀(50)(60)에는 가이드돌기(51)(61)가 형성되며 제1및제2작동레버(30)(40)에는 가이드면(31)(41)이 형성되어, 가이드돌기(51)(61)는 가이드면(31)(41)과 접촉된다.
또한, 제1및제2록킹핀(50)(60)의 후단에는 각각 리턴스프링(52)(62)이 탄지되어 가이드돌기(51)(61)는 제1및제2작동레버(30)(40)의 가이드면(31)(41)과 항상 밀착되어 동작이 이루어진다.
제1록킹핀(50)은 제2작동레버(40)와 제1케이블(53)로 연결되며, 제2록킹핀(60)은 제1작동레버(30)와 제2케이블(63)로 연결된다.
제1케이블(53)과 제2케이블(63)은 스프링(70)으로 연결되어 제1및제2작동레버(30)(40)가 작동 시에 원위치로 리턴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3은 종래의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작동레버(30)를 당겨 회전시키면 제1작동레버(30)의 가이드면에 밀착된 제1록킹핀(50)의 가이드돌기(51)는 뒤로 밀리게 되며 제1록킹핀(50)은 고정홀(11)에서 빠지면서 크로스바(20)의 좌측은 루프랙(10)과 언록킹된다.
한편, 제1작동레버(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작동레버(30)와 제2케이블(63)로 연결된 제2록킹핀(60)도 뒤로 밀리게 되면서 제2록킹핀(60)도 고정홀(11)에서 빠져 크로스바(20)의 우측도 루프랙(10)과 언록킹된다.
즉, 제1작동레버(30)의 조작만으로 제1록킹핀(50)과 제2록킹핀(60)이 루프랙(10)과 언록킹되어 크로스바(2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크로스바(20)의 위치 조정이 완료한 후에는 회전 상태에 있던 제1작동레버(30)를 놓게 되면 제1록킹핀(50)과 제2록킹핀(60)은 각각 압축되었던 리턴스프링(52)(62)에 의해 다시 전진하여 다른 위치의 고정홀(11)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크로스바(20)의 양 측부는 루프랙(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제1및제2작동레버와 제1및제2록킹핀 사이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부재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작동 신뢰성을 높이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루프랙과; 이 루프랙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크로스바와; 이 크로스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및제2작동레버와; 이 제1및제2작동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루프랙 각각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고정 가능한 제1및제2록킹핀을 포함하는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및제2록킹핀에는 각각 제1및제2로드가 체결되며, 이 제1및제2로드는 상기 크로스바에 힌지 고정된 회전체의 양측 단부에 고정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의 요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 종래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루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홀(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루프랙(10)과; 이 루프랙(10)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크로스바(20)와; 이 크로스바(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및제2작동레버(30)(40)와; 이 제1및제2작동레버(30)(40)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 의 루프랙(10) 각각에 형성된 고정홀(11)에 삽입 고정 가능한 제1및제2록킹핀(50)(60)의 구성 및 작동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로스바 양측부 사이의 조작력 전달부재는 제1및제2록킹핀(50)(60)에 각각 제1및제2로드(110)(120)가 체결되며, 이 제1및제2로드(110)(120)는 상기 크로스바(20)에 힌지 고정된 회전체(13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두 개의 고정블록(131)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서 견고히 중공의 크로스바 내측의 대략 중앙에 고정되며, 두 개의 고정블록(131)에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두 개의 고정판(132)이 견고히 고정된다.
두 개의 고정판(132) 사이에는 회전체(130)의 중앙부가 힌지핀(133)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회전체(130)의 양측 단부에는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가 체결되며,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는 고정판(131)을 관통하여 각각 다시 제1록킹핀(50)과 제2록킹핀(60)의 후단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30)가 힌지핀(133)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핀(133)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판과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크로스바 내측에 힌지핀(133)이 직접 고정되어 회전체(130)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크로스바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작동레버(30) 를 잡아 당겨 올리게 되면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작동레버(30)에 의해 제1록킹핀(50)이 후퇴하면서 루프랙(10)의 고정홀(11)에서 빠진다.
한편, 제1록킹핀(50)이 후퇴함에 따라 제1록킹핀(50)의 후단에 고정된 제1로드(110)는 회전체(130) 측으로 밀리면서(도 5 상에서 제1로드(110)는 우측으로 이동) 회전체(130)는 제2로드(120)를 당기면서(도 5 상에서 제2로드(120)는 좌측으로 이동) 회전한다.
즉, 제2로드(120)는 회전체(130)에 의해 당겨지므로 제2로드(120)와 연결된 제2록킹핀(60)도 루프랙(10)의 고정홀(11)에서 이탈되어 크로스바 양측 단부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제1작동레버(30)를 다시 원위치 시키면 제1록킹핀(50)과 제2록킹핀(60)은 각각 리턴스프링(52)(62)에 의해 다시 고정홀(11) 내에 삽입되어 크로스바 양측 단부는 록킹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는 크로스바 양측에 구비되는 잠금부재 사이에 하나의 로드와 회전체만으로 구성함으로써, 루프랙 크로스바의 양측 단부를 동시에 록킹/언록킹 조작하기 위하여 잠금장치에 있어 구성을 단순화하여 작동 신뢰성을 높이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루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루프랙과; 이 루프랙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크로스바와; 이 크로스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및제2작동레버와; 이 제1및제2작동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루프랙 각각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고정 가능한 제1및제2록킹핀을 포함하는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및제2록킹핀에는 각각 제1및제2로드가 체결되며, 이 제1및제2로드는 상기 크로스바에 힌지 고정된 회전체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20040104721A 2004-12-13 2004-12-13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92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721A KR100925686B1 (ko) 2004-12-13 2004-12-13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721A KR100925686B1 (ko) 2004-12-13 2004-12-13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207A true KR20060066207A (ko) 2006-06-16
KR100925686B1 KR100925686B1 (ko) 2009-11-10

Family

ID=3716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721A KR100925686B1 (ko) 2004-12-13 2004-12-13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6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66275B1 (ko) * 2005-12-0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KR100677672B1 (ko) * 2006-10-12 2007-02-02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22247B1 (ko) * 2006-04-07 2007-05-29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KR100785468B1 (ko) * 2007-02-12 2007-12-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1238106B1 (ko) * 2006-10-18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92B1 (ko) * 2002-11-15 2005-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캐리어
KR100462114B1 (ko) *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462113B1 (ko) *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677672B1 (ko) * 2006-10-12 2007-02-02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75B1 (ko) * 2005-12-0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KR100722247B1 (ko) * 2006-04-07 2007-05-29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KR100652507B1 (ko) * 2006-09-20 2006-12-01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77672B1 (ko) * 2006-10-12 2007-02-02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1238106B1 (ko) * 2006-10-18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785468B1 (ko) * 2007-02-12 2007-12-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686B1 (ko) 2009-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3904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s
KR101583966B1 (ko) 시트 폴딩 장치
US20110148059A1 (en) Infant Carrier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Handle Assembly
WO2012148492A1 (en) Universal wheeled bag system
KR100925686B1 (ko)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JPH11321402A (ja) 車両シ―ト用スライドレ―ルおよびこのスライドレ―ルを有するシ―ト
EP3112218A1 (en) Roof box for vehicles
US7410199B2 (en) Vehicle including a retractable sliding seat
US20040021357A1 (en) Seat arrangement
KR100462114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404770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N217396608U (zh) 一种童车推杆解锁装置
KR20080042335A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JP200323747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609489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08402606B (zh) 一种安全带
KR100666275B1 (ko)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US20080087059A1 (en) Apparatus for locking roof racks and cross bars of roof carrier
KR100722247B1 (ko)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KR10060565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460610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10078546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10371029B (zh) 车辆的行李舱隔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