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335A -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335A
KR20080042335A KR1020060110610A KR20060110610A KR20080042335A KR 20080042335 A KR20080042335 A KR 20080042335A KR 1020060110610 A KR1020060110610 A KR 1020060110610A KR 20060110610 A KR20060110610 A KR 20060110610A KR 20080042335 A KR20080042335 A KR 20080042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fixing
hole
fixing devic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746B1 (ko
Inventor
박병화
김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1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746B1/ko
Priority to US11/938,025 priority patent/US7766200B2/en
Publication of KR2008004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패널의 양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사이드레일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크로스바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돌출된 핀을 갖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의 고정공에 걸림되는 고정돌기와 돌출된 핀을 갖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와 링크부재의 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작동공과, 이 작동공에 연통되어 핀이 삽입되는 이동공이 천공되고, 상기 크로스바에 힌지되어 회전되면서 록킹부재와 링크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부재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일측 고정장치의 조작만으로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킴으로써, 크로스바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차량,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고정장치, 사이드레일

Description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Cross-bar lock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루프캐리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링크부재와 록킹부재 및 레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와 크로스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작동시 링크부재와 록킹부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루프패널 10 : 루프캐리어
20 : 사이드레일 30 : 크로스바
40 : 고정장치 100 : 루프캐리어
200 : 사이드레일 210 : 걸림돌부
220 : 고정공 300 : 크로스바
310 : 요홈 320 : 개구부
400 : 고정장치 410 : 링크부재
411 : 돌출핀 412 : 걸림부
413 : 걸림턱 420 : 록킹부재
421 : 고정돌기 422 : 돌출핀
423 : 걸림돌부 424 : 돌출부
425 : 탄성체 430 : 레버
431 : 손잡이 432 : 작동공
433 : 이동공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간편하게 고정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차량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짐이나 물건 등의 수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의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루프캐리어는 루프패널의 양측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바(Cross bar)로 이루어지고, 이 크로스바가 사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화물의 크기에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루프캐리어(10)는 차량의 루프패널(2)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루프캐리어(10)는, 차량의 루프패널(2) 상면 양측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사이드레일(20)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20) 사이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횡설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사이드레일(2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30)는 양 사이드레일(20)상에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그 폭이 조정되고, 소정의 고정장치(40)로서 크로스바(30)의 양단부가 각각 양 사이드레일(20)상에 고정 및 해제된다.
상기 고정장치(40)는, 크로스바(3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작동되면서 사이드레일(20)에 고정 및 해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루프캐리어(10)의 고정장치(40)는, 크로스바(30)를 사이드레일(20)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40)가 크로스바(30)의 양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크로스바(30)의 조정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크로스바(30)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먼저 한쪽의 고정장치(40)를 해제한 후, 반대쪽으로 돌아가서 나머지 쪽의 고정장치(40)를 해체시키고, 크로스바(30)의 고정시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차량의 양쪽을 번갈아 가면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측의 고정장치 조작만으로도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크로스바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루프패널의 양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사이드레일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고 정장치는, 크로스바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돌출된 핀을 갖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의 고정공에 걸림되는 고정돌기와 돌출된 핀을 갖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와 링크부재의 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작동공과, 이 작동공에 연통되어 핀이 삽입되는 이동공이 천공되고, 상기 크로스바에 힌지되어 회전되면서 록킹부재와 링크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부재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공은 타원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은 작동공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간의 반경 차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와 링크부재 사이에는 양 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캐리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패널(2) 상면 양측에 사이드레일(200)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 사이드레일(200) 사이에는 복수개의 크로스바(300)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 사이드레일(200)의 마주하는 면은 개구되고, 이 개구의 상하 양단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돌출된 걸림돌부(210)가 형성되며, 개구의 반대면에는 다수의 고정공(220)이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천공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300)는 그 양단부가 각각 양 사이드레일(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크로스바(300)의 일측에는 상기 사이드레일(200)의 걸림돌부(210)에 걸림되는 요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10)과 이격된 크로스바(300)에는 후술되는 레버(430)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3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300)는 중공의 사각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그 일면이 완전 개구된 대략 "ㄷ"자 단면의 사각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사이드레일(200)에 설치된 크로스바(300)의 양단부에는 크로스바(300)를 사이드레일(200)상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40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410)와, 록킹부재(420) 및 레버(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부재(410)는, 크로스바(300)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 양측면에는 돌출된 돌출핀(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410)의 양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410)보다 작은 직경으로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된 걸림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12)의 단부 양측에는 외향 돌출된 걸림턱(4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420)는, 크로스바(300)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링크부재(410)의 양 걸림부(412)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록킹부재(420)는 대략 "ㄷ"자 단면으로서 상기 링크부재(410)의 걸림부(412)에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고, 이 개구의 양단부에는 상기 걸림부(412)의 걸림턱(413)에 걸림되는 걸림돌부(42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420)의 일측에는 사이드레일(200)의 고정공(220)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4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420)의 양측면에는 상기 링크부재(410)의 돌출핀(411)과 같은 돌출핀(422)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410)의 걸림부(412)와 록킹부재(420) 사이에는 양 부재(410)(420)를 탄력 지지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체(425)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425)의 일단은 록킹부재(420) 내측의 돌출부(424)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레버(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300)의 개구부(320)에 대응한 판상으로 형성된 손잡이(431)와, 이 손잡이(431)의 후단 양측에 서로 이격된 타원형상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작동부(4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430)의 작동부(432)는 크로스바(300)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레버(430)는 크로스바(300)의 개구부(320)를 통해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430)의 작동부(432)에는 링크부재(410)와 록킹부재(420)의 돌출핀(411)(422)이 각각 삽입되는 타원형의 작동공(433)이 천공되고, 상기 작동공(433)의 장방향 측에는 직선형의 이동공(434)이 작동공(433)과 연통되게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30)의 회전 전에는 양 부재(410)(420)의 돌출핀(411)(422)이 작동공(433)의 장방향 즉 긴 직경 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레버(430)의 회전 후에는 돌출핀(411)(422)이 작동공(433)의 단방향 즉 짧은 직경 측으로 각각 이동되어 위치됨으로써, 양 부재(410)(420)가 서로 당겨지면서 사이드레일(200)로부터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때, 당겨지는 링크부재(410)에 의해 반대편의 록킹부재(420) 역시도 당겨지는데, 이와 같이 당겨지는 반대편의 양 부재(410)(420)의 돌출핀(411)(422)은 반대편의 레버(430)에 형성된 이동공(434)을 따라 수평 이동되어, 사이드레일(200)로부터의 고정이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공(433)은 긴 직경과 짧은 직경간의 반경(반지름) 차가 록킹부재(420)의 고정돌기(421)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434)의 길이는 양 부재(410)(420)의 이동거리 즉 작동공(433)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간의 반경 차와 같거나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430)의 작동부(432)를 복수개로 형성한 것을 그 일례로 도시하으나, 하나만 형성하여도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루프캐리어(100)의 크로스바(300)를 조정하기 전에는 고정장치(400)에 의해 크로스바(300)가 사이드레일(200)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420)의 고정돌기(421)가 사이드레일(200)의 고정공(220)에 삽입되어 걸림됨으로써 크로스바(300)가 사이드레일(2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물의 크기에 따라 크로스바(300)의 위치 조정시는, 크로스바(300)의 일측 개구부(320)를 통해 일측편의 레버(430)의 손잡이(431)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겨 레버(430)를 도 5와 같이 회전시킨다.
그러면, 레버(430)의 회전에 의해 작동공(433)의 긴 직경 측에 위치되어 있던 링크부재(410)와 록킹부재(420)의 양 돌출핀(411)(422)이 작동공(433)의 짧은 직경 측으로 이동되면서 양 부재(410)(420)는 그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체(425)를 압축시키며 당겨져 이동된다.
이때, 링크부재(410) 타측편의 돌출핀(411)은 타측편의 레버(430)의 이동공(434)을 따라 수평 이동되고, 이 링크부재(410)의 이동에 의해 타측편의 록킹부재(420) 역시도 링크부재(410)와 같이 이동되며, 이때 록킹부재(420)의 돌출핀(422)은 레버(430)의 이동공(434)을 따라 수평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록킹부재(420)의 이동거리가 사이드레일(200)의 고정공(220)에 삽입되어 걸림된 고정돌기(421)보다 길기 때문에, 양 사이드레일(200)로부터 양 록킹부재(420)의 고정이 해제되어, 크로스바(300)의 조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측 고정장치(400)의 레버(430) 조작만으로 양 고정장치(400)의 고정을 해제시킴으로써 크로스바(300)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정된 크로스바(300)의 고정시는 회전된 일측의 레버(430)를 전술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작동공(433)의 짧은 직경 측에 위치되어 있던 돌출핀(411)(422)이 작동공(433)의 긴 직경 측으로 이동되면서 양 부재(410)(420)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425)의 탄발력에 의해 당겨져 있던 양 부재(410)(420)가 서로 밀려 벌어진다.
이와 같이 밀려 이동되는 록킹부재(420)는 그 일면의 고정돌기(421)가 사이드레일(200)의 고정공(2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반대편 고정장치(400)측의 록킹부재(420) 역시도 밀려 이동되는 링크부재(410)와 탄성체(425)의 탄발력에 의해 사이드레일(200)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돌기(421)가 고정공(2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일측 고정장치(400)의 조작만으로 양 고정장치(400)를 사이드레일(2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따르면, 일측 고정장치의 조작만으로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킴으로써, 크로스바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루프패널의 양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사이드레일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크로스바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돌출된 핀을 갖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의 고정공에 걸림되는 고정돌기와 돌출된 핀을 갖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와 링크부재의 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작동공과, 이 작동공에 연통되어 핀이 삽입되는 이동공이 천공되고, 상기 크로스바에 힌지되어 회전되면서 록킹부재와 링크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부재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은 타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은 작동공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간의 반경 차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와 링크부재 사이에는 양 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20060110610A 2006-11-09 2006-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92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610A KR100923746B1 (ko) 2006-11-09 2006-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11/938,025 US7766200B2 (en) 2006-11-09 2007-11-09 Cross bar lock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610A KR100923746B1 (ko) 2006-11-09 2006-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335A true KR20080042335A (ko) 2008-05-15
KR100923746B1 KR100923746B1 (ko) 2009-10-27

Family

ID=3941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610A KR100923746B1 (ko) 2006-11-09 2006-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66200B2 (ko)
KR (1) KR100923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62B1 (ko) * 2008-02-12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US8424733B2 (en) * 2010-04-02 2013-04-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oof rack bows with mechanism for automatic extension and retraction
US8499988B2 (en) 2011-09-21 2013-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of rack crossbar
CN107351774B (zh) * 2017-08-03 2020-10-16 浙江蓝域智能科技有限公司 车用防坠顶棚行李架装置
US10556548B1 (en) * 2018-08-27 2020-02-11 Dura Operating, Llc Adjustable roof rack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58707C (en) * 1998-01-15 2006-12-19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for a vehicle
US6779696B2 (en) *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KR100527961B1 (ko) * 2003-09-01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조정 가능한 크로스 레일을 가지는 차량용 루프 랙어셈블리
KR101238106B1 (ko) * 2006-10-18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22827B1 (ko) 2007-04-21 2008-04-16 (주)몰드피아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와 사이드바의 록킹장치
KR20090092206A (ko) * 2008-02-25 2009-08-31 박경태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레일바와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6237A1 (en) 2008-05-22
KR100923746B1 (ko) 2009-10-27
US7766200B2 (en) 201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746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JP3759475B2 (ja) 片側で取り外し可能なクロスバーを有する物品キャリア
JP5678329B2 (ja) イジェクト機構、引出しガイド、および、イジェクトシステム
JP5102218B2 (ja) 安全部材の作動部材のための固定化手段を有する形成工具
JP2019118788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レールキット
EP3440961B1 (en) Slide rail assembly and rail kit thereof
CN108528290B (zh) 用于儿童安全座椅的支撑底座
EP3488733B1 (en) Slide rail assembly and rail kit thereof
EP1930213B1 (en) Apparatus for locking cross bar to side bars of roof carrier
US20220192376A1 (en) Slide rail assembly and slide rail kit thereof
EP3564067A1 (en) Child seat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90087316A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JP2019524211A (ja) 引出し要素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引出し要素を変位可能に取り付けるための構成キット、家具及び屋内器具
CN107951237B (zh) 滑轨总成
KR10091626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9489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1238055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110018712A (ko)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0603642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925686B1 (ko)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60565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