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869B1 -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869B1
KR102443869B1 KR1020220080399A KR20220080399A KR102443869B1 KR 102443869 B1 KR102443869 B1 KR 102443869B1 KR 1020220080399 A KR1020220080399 A KR 1020220080399A KR 20220080399 A KR20220080399 A KR 20220080399A KR 102443869 B1 KR102443869 B1 KR 10244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lamp
locking
fastened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지오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지오토모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지오토모빌
Priority to KR102022008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2Attachment of seat frame to the slide, e.g. eyele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좌석의 하부에 제1체결수단, 제2체결수단 및 슬라이딩 수단이 장착되고, 차량 바닥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과 장착수단이 단순 끼움 체결되고, 장착수단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체결되됨으로써, 레저 차량 및 SUV 차량의 후부의 적재 공간에 좌석이 쉽게 추가설치됨은 물론 전 좌석 역시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Vehicle seat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좌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전 좌석을 용이하게 장착함은 물론, 레저 차량 또는 SUV 차량 후부의 적재 공간에 추가 좌석을 용이하게 탈착하여 많은 인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 차량(RV :Recreation Vehicle) 차량은 일반 승용차와 같이 주로 출퇴근 등의 탑승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기보다는 사람의 탑승은 물론이고 필요하면 화물의 적재 및 주말이나 휴일 등에 야외로 나가서 야영까지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갖춘 차량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여 제작된 다목적 차량이다. 이를 위해 레저 차량은 통상적인 세단과 달리 별도의 트렁크(trunk) 없이 차량의 후미까지 루프(roof)가 연장되어 넓은 실내공간을 갖는 왜건(wagon) 형태로 구성되고, 연장된 실내공간에 좌석이 1열 이상 추가 설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마련되며, 트렁크 리드 대신 백도어(back door)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의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의 앞부분 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운전자 등)은 프런트 도어를 통하여 승하차하게 되며,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리어 도어(승합차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승하차를 하게 된다.
이처럼, 레저 차량 또는 SUV 차량은 승용차에 비해 후부의 실내공간에 탑승 인원수를 늘리기 위해 좌석이 추가되고, 많은 물품을 실을 수 있도록 적재공간이 확장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최후열의 좌석을 접어 적재공간을 늘릴 수도 있고, 탑승 인원이 많으면 최후열의 좌석을 펼쳐 좌석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재공간의 활용보다는 탑승 인원수를 늘리기 위해 기존의 적재공간에 좌석을 추가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기를 원하는 요구가 있다.
또한, 일반 승용차는 물론 트럭 및 특수차 등을 포함한 모든 차량에도 좌석이 장착되고, 이 좌석이 차량 바닥에 고정되고, 앞뒤로 슬라이딩 되며, 좌석의 착탈이 용이하기를 원하는 요구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6126호(2004.12.17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좌석이 차량 바닥에 쉽게 장착되고, 좌석의 위치 조정을 위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된 된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는 차량 좌석의 하부이면서 좌우 양측 및 착석자의 무릎이 위치하는 앞쪽에 설치된 제1몸체, 좌우 양측의 제1몸체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제1연결바와, 제1몸체의 선단부위에 장착된 제1클램프를 구비한 제1체결수단; 좌석의 하부이면서 좌우 양측 및 착석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뒤쪽에 설치된 제2몸체, 좌우 양측의 제2몸체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제2연결바, 제2몸체의 선단부위에 장착된 제2클램프를 구비한 제2체결수단; 좌석의 하부이면서 제1체결수단과 제2체결수단 사이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몸체와, 좌우 양측의 슬라이딩몸체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슬라이딩바를 구비한 슬라이딩수단;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장착바, 이들 장착바를 가로질러 고정되면서 장착바의 앞뒤 부위에 위치되어 각각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와 체결되는 다수의 걸림체, 앞뒤 걸림체 사이에 위치되고 장착바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회전부재와 함께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걸림부재를 구비한 장착수단;과, 좌석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장착수단과 체결되도록 차량 바닥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면에 넓은 간격과 좁은 간격이 교대로 위치하는 걸림구멍을 구비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장착수단이 레일에 체결되면 걸림부재와 회전부재가 걸림구멍의 아래에 위치되고, 걸림부재가 축회전하면서 걸림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림구멍의 넓은 간격 부위에 끼워져 체결되어 좌석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몸체가 하방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몸체의 돌출된 선단부가 걸림부재 또는 회전부재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와 걸림구멍의 체결이 해제되어 좌석이 앞뒤로 슬라이딩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체결수단 또는 제2체결수단은 갈고리 형상의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를 축회전시키도록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에 설치된 체결레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레버에 의해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가 축회전하면서 장착수단의 걸림체에 체결 및 체결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바닥에 고정된 레일과 좌석 하부에 장착된 장착수단이 단순 끼움 체결되고, 장착수단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체결됨으로써, 좌석을 손쉽게 차량에 착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후부의 적재공간에 용이하게 좌석을 추가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가 좌석에 장착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고정장치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좌석이 뒤집혀져 고정장치가 잘 보이도록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제3에서 고정장치가 제2체결수단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주요부위가 확대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체결수단이 확대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장착부재가 분리되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주요부위가 확대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장착부재가 차량 바닥에 고정되는 레일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F)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좌석(S)의 하단에 장착되고, 제1체결수단(100), 제2체결수단(200), 슬라이딩수단(300), 장착수단(400)과 레일(500,도 9 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제1체결수단(100)과 제2체결수단(200)의 설치 위치는 좌석의 앞쪽과 뒤쪽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서로 바뀔 수 있다.
먼저, 제1체결수단(100)은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몸체(110), 제1연결바(120)와, 제1클램프(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몸체(110)는 도 4와 6에서 보듯이, 좌석(S)의 하부이면서 착석자의 무릎이 위치하는 앞쪽에 체결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축회전하면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몸체(110)는 좌석(S)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1연결바(120)에 의해 동시 동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몸체(110)는 좌석(S)의 하방으로 항상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연결바(120)는 도 4와 도 6에서 보듯이, 좌석(S)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제1몸체(110)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측의 제1몸체(110)가 외력에 의해 축회전되면 타측의 제1몸체(110)도 함께 축회전될 수 있다. 물론, 제1연결바(120)에 외력을 가하여 제1몸체(110)가 축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1연결바(120)는 좌우 양측의 제1몸체(110)가 일직선상에서 상호 대칭하는 위치를 유지시키고, 제1몸체(110)들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좌우 양측 제1몸체(110)가 일직선상에 대칭하여 위치되지 않은 경우, 평면에서 보면 좌우 양측의 제1몸체(110)에 각각 체결된 양측 장착수단(400) 중 어느 하나가 좀 더 앞 또는 뒤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 양측의 장착수단(400)과 레일(500) 간의 체결 위치가 대칭에서 벗어나게 되고, 앞쪽으로 튀어나온 일측 장착수단(400)과 레일(500)은 체결되지만, 뒤쪽에 위치하는 타측 장착수단(400)과 레일(500)은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좌우 양측 장착수단(400)과 레일(500) 간의 체결이 완벽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좌우 양측 제1몸체(110)가 앞 또는 뒤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대칭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좌우 양측 제1몸체(110)를 연결하여 제1연결바(12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좌우 양측의 장착수단(400)이 레일(500)과의 체결이 양측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면 좌우 양측의 제1몸체(110)가 완벽히 대칭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때 제1연결바(120)는 좌우 양측의 제1몸체(110)의 뒤틀림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클램프(130)는 도 6에서 보듯이, 장착수단(400)의 오른쪽 2개의 걸림체(420,도 9 참조)에 체결되도록 제1몸체(110)의 선단부위에 설치되고, 대략 갈고리 형태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2개의 제1클램프(130)는 갈고리 형태이면서 한 방향을 향하거나 상호 마주보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1클램프(130)의 갈고리 형태가 한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단단히 고정된 상태이고, 간단하게 각각의 걸림체(420)에 걸리게 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제1클램프(130)의 갈고리 형태가 상호 마주보는 경우,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체결레버(220)를 더 구비하고, 이 체결레버(220)가 작동되면 2개의 갈고리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걸림체(420)에 걸림 결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제2체결수단(200)의 제2클램프(240)의 상클램프 및/또는 하클램프가 체결레버(220)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걸림체(420)에 걸림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체결수단(200)은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좌석(S)에서 착석자의 엉덩이쪽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제2몸체(210), 체결레버(220), 제2연결바(230)와 제2클램프(2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몸체(210)는 도 6과 도 7에서 보듯이, 좌석(S)의 하부이면서 착석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뒷쪽에 체결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축회전하면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2몸체(210)는 좌석(S)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1연결바(120)에 의해 동시 동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몸체(210)는 좌석(S)의 하방으로 항상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레버(220)는 도 6과 도 7에서 보듯이, 제2몸체(210)에 장착되고, 제2클램프(240)에서 상클램프 또는 하클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레버(220)는 앞뒤 이동 또는 앞뒤 축회전하면 상클램프 및/또는 하클램프가 동작하면서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장착수단(400)의 걸림체(420)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바(230)는 도 6과 도 7에서 보듯이, 좌석(S)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제2몸체(210)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측의 제2몸체(210)가 외력에 의해 축회전되면 타측의 제2몸체(210)도 함께 축회전될 수 있다. 물론, 제1연결바(120)에 외력을 가하여 제1몸체(110)가 축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2연결바(230)는 좌우 양측의 제2몸체(210)가 일직선상에서 상호 대칭하는 위치를 유지시키고, 제2몸체(210)들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좌우 양측 제2몸체(210)가 일직선상에 대칭하여 위치되지 않은 경우, 평면에서 보면 좌우 양측의 제2몸체(210)에 각각 체결된 양측 장착수단(400) 중 어느 하나가 좀 더 앞 또는 뒤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 양측의 장착수단(400)과 레일(500) 간의 체결 위치가 벗어나게 되고, 앞쪽으로 튀어나온 일측 장착수단(400)과 레일(500)은 체결되지만, 뒤쪽에 위치하는 타측 장착수단(400)과 레일(500)은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좌우 양측 장착수단(400)과 레일(500) 간의 체결이 완벽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좌우 양측 제2몸체(210)가 앞 또는 뒤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대칭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좌우 양측 제2몸체(210)를 연결하여 제2연결바(23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좌우 양측의 장착수단(400)이 레일(500)과의 체결이 양측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면 제2몸체(210)가 완벽히 대칭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때 제2연결바(230)는 좌우 양측의 제2몸체(210)의 뒤틀림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클램프(240)는 도 3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수단(400)의 왼쪽 2개의 걸림체(420,도 9 참조)에 체결되도록 제2몸체(210)의 선단부위에 설치되고, 대략 갈고릴 형태의 한 쌍인 상클램프와 하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제2클램프(240)는 갈고리 형태이면서 상호 마주보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레버(220)에 의해 상클램프 및/또는 하클램프가 동작하여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걸림체(420)에 걸림 결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딩수단(300)은 좌석(S)의 하단이면서 제1체결수단(100)과 제2체결수단(200) 사이에 위치되면서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슬라이딩수단(300)은 좌석(S)의 좌우 양측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몸체(310)와, 좌우 양측의 슬라이딩몸체(310)를 연결하여 설치된 슬라이딩바(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몸체(310)는 좌석의 하부에 외력에 의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슬라이딩몸체(31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와 체결되어 외력과 탄성복원력에 의해 축회전 및 복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바(320)는 좌우 양측의 슬라이딩몸체(310)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바(320)에 외력을 가하여 슬라이딩몸체(310)와 함께 하방 축회전하게 되고, 슬라이딩몸체(310)의 돌출된 선단부가 회전부재(430) 또는 걸림부재(440,도 9 참조)를 하방으로 밀어 걸림부재(440)와 레일(500)의 걸림구멍(510)이 체결 해제될 수 있다. 또, 슬라이딩바(320)에 외력이 제거되면 슬라이딩몸체(310)와 함께 상방 축회전하여 원위치되면서 걸림부재(440)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고, 회전부재(430)와 걸림부재(440)가 상방 축회전하여 원위치되면서 걸림부재(440)와 걸림구멍(51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좌석(S)이 앞뒤로 이동되고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착수단(400)은 도 4, 도 6,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듯이, 좌석(S)의 앞뒤로 설치된 제1체결수단(100)과 제2체결수단(200)에 양측 부위가 체결되도록 길이를 가지고, 한 쌍의 장착바(410), 다수의 걸림체(420), 회전부재(430), 걸림부재(440)와 스토퍼(4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바(410)는 동일한 길이이면서 한 쌍의 바(bar)를 구비하고, 양측에 배치되어 다수의 걸림체(420)와 회전축(431)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체(420)는 도 9에서 보듯이, 양측의 장착바(410)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고정되고, 앞뒤 부위에 각각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 걸림체(420)는 좌석(S)의 앞뒤에 위치한 제1클램프(130)와 제2클램프(240)에 체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430)는 도 9와 도 10에서 보듯이, 양측의 장착바(410)들 사이에 위치하여 장착되는 회전축(431)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회전부재(430)는 슬라이딩몸체(310)에 의해 상향 축회전된 원위치 상태가 유지되다가 슬라이딩몸체(310)가 하방 회전하면 자중에 의해 하향 축회전될 수 있다. 물론, 회전부재(430)는 탄성력에 의해 하향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몸체(310)가 회전부재(430)의 하향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향 축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다가 슬라이딩몸체(310)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하향 축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부재(440)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듯이, 일정 길이를 가지고,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441)를 구비하며, 일측부가 회전부재(430)의 선단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440)는 회전부재(430)로부터 연장된 상태이고, 회전부재(430)와 함께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축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걸림부재(440)가 상향 축회전된 원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걸림돌기(441)가 레일(500)의 걸림구멍(510)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몸체(310)의 하방 가압에 의해 하방 축회전되면 걸림돌기(441)와 걸림구멍(510)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440)는 회전부재(4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450)는 걸림부재(440)의 하방 축회전을 제한하도록 걸림부재(440)의 선단 부위에 위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스토퍼(450)는 장착바(410)에서 돌출된 돌기이거나, 양측 장착바(410)를 가로질러 설치된
끝으로, 레일(500)은 도 11에서 보듯이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좌석(S)의 좌우 양측에 앞뒤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레일(500)은 측면상 대략 '∩형태로 고정되고, 개방된 상면에는 다수의 걸림구멍(510)이 성형될 수 있다. 이 걸림구멍(510)은 도 11에서 보듯이 넓은 간격과 좁은 간격이 교대로 위치하는 형상이고, 넓은 간격에 걸림부재(440)의 걸림돌기(441)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레일(500)의 일측단에서 장착바(410)가 끼워지면서 상면의 아래에 걸림부재(440)가 위치되어 상호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레일(500)을 따라 장착바(410)가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서, 제1체결수단() 및 제2체결수단()을 매개로 좌석(S)이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제1체결수단
110:제1몸체 120:제1연결바
130:제1클램프.
200:제2체결수단
210:제2몸체 220:체결레버
230:제2연결바 240:제2클램프.
300:슬라이딩수단
310:슬라이딩몸체 320:슬라이딩바.
400:장착수단
410:장착바 420:걸림체
421:걸림돌기 430:회전부재
431:회전축 440:걸림부재
441:걸림돌기 450:스토퍼.
500:레일
510:걸림구멍.
F:고정장치 S:좌석.

Claims (3)

  1. 차량 좌석(S)의 하부이면서 좌우 양측 및 착석자의 무릎이 위치하는 앞쪽에 설치된 제1몸체(110), 좌우 양측의 제1몸체(110)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제1연결바(120)와, 제1몸체(110)의 선단부위에 장착된 제1클램프(130)를 구비한 제1체결수단(100);
    상기 좌석(S)의 하부이면서 좌우 양측 및 착석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뒤쪽에 설치된 제2몸체(210), 좌우 양측의 제2몸체(210)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제2연결바(230), 제2몸체(210)의 선단부위에 장착된 제2클램프(240)를 구비한 제2체결수단(200);
    상기 좌석(S)의 하부이면서 제1체결수단(100)과 제2체결수단(200) 사이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몸체(310)와, 좌우 양측의 슬라이딩몸체(310)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슬라이딩바(320)를 구비한 슬라이딩수단(300);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장착바(410), 이들 장착바(410)를 가로질러 고정되면서 장착바(410)의 앞뒤 부위에 위치되어 각각 제1클램프(130) 또는 제2클램프(240)와 체결되는 다수의 걸림체(420), 앞뒤 걸림체(420) 사이에 위치되고 장착바(410)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430)와, 이 회전부재(430)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회전부재(430)와 함께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걸림부재(440)를 구비한 장착수단(400);과
    상기 좌석(S)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장착수단(400)과 체결되도록 차량 바닥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면에 넓은 간격과 좁은 간격이 교대로 위치하는 걸림구멍(510)을 구비하는 레일(500);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수단(400)이 레일(500)에 체결되면 걸림부재(440)와 회전부재(430)가 걸림구멍(510)의 아래에 위치되고, 걸림부재(440)가 축회전하면서 걸림부재(440)의 걸림돌기(441)가 걸림구멍(510)의 넓은 간격 부위에 끼워져 체결되어 좌석(S)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슬라이딩몸체(310)가 하방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몸체(310)의 돌출된 선단부가 걸림부재(440) 또는 회전부재(430)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걸림부재(440)의 걸림돌기(441)와 걸림구멍(510)의 체결이 해제되어 좌석(S)이 앞뒤로 슬라이딩 되도록 이루어진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체결수단(100) 또는 제2체결수단(200)은 갈고리 형상의 제1클램프(130) 또는 제2클램프(240)를 축회전시키도록 제1몸체(110) 또는 제2몸체(210)에 설치된 체결레버(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레버(220)에 의해 제1클램프(130) 또는 제2클램프(240)가 축회전하면서 장착수단(400)의 걸림체(420)에 체결 및 체결해제되도록 이루어진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KR1020220080399A 2022-06-30 2022-06-30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KR10244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399A KR102443869B1 (ko) 2022-06-30 2022-06-30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399A KR102443869B1 (ko) 2022-06-30 2022-06-30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869B1 true KR102443869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399A KR102443869B1 (ko) 2022-06-30 2022-06-30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8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85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뒷좌석시트 고정장치
JP2000175759A (ja) * 1998-12-21 2000-06-27 Fuji Kiko Co Ltd 車両用座席装置の調節及び固定装置
KR20040106126A (ko)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확장장치
JP2007516901A (ja) * 2003-12-30 2007-06-28 ルノー・エス・アー・エス 自動車の座席の固定装置
JP2017056842A (ja) * 2015-09-16 2017-03-23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車両用座席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85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뒷좌석시트 고정장치
JP2000175759A (ja) * 1998-12-21 2000-06-27 Fuji Kiko Co Ltd 車両用座席装置の調節及び固定装置
KR20040106126A (ko)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확장장치
JP2007516901A (ja) * 2003-12-30 2007-06-28 ルノー・エス・アー・エス 自動車の座席の固定装置
JP2017056842A (ja) * 2015-09-16 2017-03-23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車両用座席固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27B1 (ko) 자동차의 승객용 좌석 장치
US10710487B2 (en) Seating cargo retention and lounging system
KR100837911B1 (ko) 자동차용 더블폴딩 시트의 리어캐치 이동구조
US7510227B2 (en) Vehicle rear seat
US9533624B2 (en)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US6874840B2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JP3712880B2 (ja) 自動車のシート
KR102443869B1 (ko)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US20140077536A1 (en) Fold-flat seat assembly
CN114684273A (zh) 车辆的封闭模块框架结构
WO2006092210A3 (de) Kraftfahrzeug
KR102295867B1 (ko)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KR100568742B1 (ko)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JP3632737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EP0990552A1 (en) Automotive seating assembly
KR100316070B1 (ko) 폴딩 리어시트의 원터치식 힌지 체결장치
KR19990010127U (ko) 승합차 리어시트용 더블 폴딩 장치
KR200199187Y1 (ko) 다목적 차량의 시트 고정장치
JPH0322025Y2 (ko)
KR100199611B1 (ko) 다인승 차량의 시트 회전구조
KR200198895Y1 (ko) 승합차용 보조시트 체결장치 커버
JP3460982B2 (ja) 床下格納シート構造
KR19990027522A (ko) 해치백형 자동차의 시트백 고정장치
KR19990027521A (ko) 해치백 타입의 자동차용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