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75B1 -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 Google Patents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875B1
KR101829875B1 KR1020160093730A KR20160093730A KR101829875B1 KR 101829875 B1 KR101829875 B1 KR 101829875B1 KR 1020160093730 A KR1020160093730 A KR 1020160093730A KR 20160093730 A KR20160093730 A KR 20160093730A KR 101829875 B1 KR101829875 B1 KR 10182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tretcher
sliding frame
ambulanc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886A (ko
Inventor
김승용
신동민
황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Priority to KR102016009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8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구급차의 승하차공간에 설치되고 그 상면을 따라 들것(100)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프레임(10)과,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 일측에 권취되고 타단은 들것(1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안전벨트(60,TB)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60,TB)의 일단을 권취하며 상기 안전벨트(60,TB)의 권출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안전벨트(60,TB)의 권출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모듈(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들것(100)이 구급차 외부로 꺼내어지는 과정에서 들것(100)이 급격한 속도로 이동하면 브레이크수단(55)이 안전벨트(60,TB)를 고정시키므로, 들것(100)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이동하거나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stretcher of ambulance}
본 발명은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들것이 구급차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급차는 응급환자를 인근 병원으로 후송하는 특수차량으로서 응급조치를 위한 각종 의료장비와 환자용 들것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내부공간에는 들것이 수용되는데, 들것은 내부공간 안으로 수납되거나, 꺼내어질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신속하게 환자를 이송할 수 있다.
환자가 실린 들것이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꺼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들것은 내부공간 바닥에 구비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꺼내어진다. 그리고, 외부로 꺼내어지는 순간 들것에 구비된 바퀴가 펼쳐지면서 들것이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들것이 내부공간으로부터 꺼내어지는 과정에서 자칫 들것이 바닥으로 낙하할 위험이 있다. 들것은 안전을 위해 금속재질의 견고한 프레임구조를 가질 뿐 아니라, 환자의 무게까지 더해지므로 큰 중량을 가지는데, 이로 인해 작업자가 들것을 꺼내는 과정에서 이를 놓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들것이 구급차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꺼내어져 분리되는 순간에 큰 하중이 가해지므로 들것이 낙하할 위험이 크다.
그리고 들것이 갑자기 낙하할 경우에 바닥에 부딪히면서 환자에게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므로, 들것의 낙하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24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급차의 내부로부터 들것이 꺼내어질 때 들것이 급격하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들것이 구급차 내부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급차의 승하차공간에 설치되고 그 상면을 따라 들것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 일측에 권취되고 타단은 들것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안전벨트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일단을 권취하며 상기 안전벨트의 권출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안전벨트의 권출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안전벨트를 매개로 상기 들것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안전벨트가 권취 또는 권출되며 상기 안전벨트의 권출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는 상기 들것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버클과, 제1고정단은 상기 고정버클에 고정되고 제2고정단은 상기 브레이크수단에 권취되는 웨빙을 포함하고, 상기 웨빙은 두 갈래로 구성되어 제2고정단을 구성하는 두 갈래 중 하나는 상기 브레이크수단에 권취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브라켓에 고정된다.
삭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안전벨트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권출될 때 이를 감지하여 안전벨트의 권출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관성을 이용한 기어모듈 또는 속도센서를 이용한 모터장치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 제어모듈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안전벨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연장방향을 가변시키는 풀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에 인접한 위치에는 풀리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풀리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안전벨트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에 의해 연장방향이 바뀐 안전벨트가 감겨 안전벨트의 연장방향이 들것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제2풀리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는 상기 들것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제1고정단은 상기 이동블럭을 통과하여 이동블럭 전면으로 돌출된 고정버클에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는 가이드레일이 요입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휠이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들것이 구급차 외부로 꺼내어지는 과정에서 들것이 급격한 속도로 이동하면 브레이크수단이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므로, 들것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이동하거나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들것의 낙하로 인하여 이송중인 환자가 더 큰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들것이 슬라이딩프레임 위를 이동할 때, 슬라이딩프레임에 설치된 이동블럭이 들것의 일측을 지지한 상태로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들것에 별도의 가이드장치를 두지 않더라도, 들것이 안정적인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동작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풀리모듈이 안전벨트에 가해지는 장력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주므로,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구동력을 낮출 수 있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슬라이딩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어모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어모듈의 구성을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들것이 이동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들것(100)이 구급차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들것(100)이 구급차 밖으로 꺼내어질 때 낙하될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들것(100)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듯이, 들것(100)은 베이스프레임(101)이 그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01)에는 환자가 실리는 안착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1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데, 직물,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들것(100)의 베이스프레임(101)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30)가 구비되고, 전륜프레임(150)과 후륜프레임(160)이 연결된다. 그리고 전륜프레임(150)과 후륜프레임(160)에는 각각 전륜(155)과 후륜(165)이 설치된다. 전륜프레임(150)과 후륜프레임(160)은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구조인데, 도 1에는 전륜프레임(150)과 후륜프레임(160)이 접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전륜프레임(150)과 후륜프레임(160)은 들것(100)이 구급차의 내부공간 밖으로 꺼내어진 후에 펼쳐져 들것(100)이 전륜(155)과 후륜(165)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170과 175는 보조프레임 및 보조바퀴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들것(100)의 기본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며,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것이고, 상기 전륜과 후륜은 임의로 부여한 명칭으로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들것(100)의 하부에는 연결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180)은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벨트(60,TB)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의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연결수단(180)에는 연결부(185)가 돌출되는데, 상기 연결부(185)에는 안전벨트(60,TB)의 고정버클(60)이 결합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프레임(10)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은 들것(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구급차의 내부공간 바닥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은 적어도 상기 들것(1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들것(10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몸체(12)는 대략 사각판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상면(11)에는 가이드레일(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3)은 들것(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들것(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3)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상면(11)에 요입된 형태이다. 상기 가이드레일(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블럭(30)의 가이드휠(36)이 삽입되고, 들것(100)의 이동과정에서 가이드휠(36)은 이동블럭(3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이동블럭(30)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전방에는 경사부(15)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부(15)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전방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들것(100)이 구급차 바깥으로 꺼내질 때 경사면을 형성해준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경사부(15) 내측에는 상기 들것(100)과 연결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안전장치는 들것(100)과 고정되어 들것(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후방, 즉 구급차의 내부공간 안쪽에 설치되는 부분에는 스토핑펜스(17)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핑펜스(17)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상면(11)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블럭(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술할 안전벨트(60,TB)의 웨빙(TB)은 상기 스토핑펜스(17)를 통과하여 이동블럭(30)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에는 이동블럭(3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블럭(30)은 슬라이딩프레임(10)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이동블럭(30)의 전면에는 안전벨트(60,TB)의 고정버클(60)이 설치되어 상기 들것(100)의 연결부(185)에 결합된다. 고정버클(60)이 연결부(185)에 결합되면 상기 이동블럭(30)은 들것(100)과 함께 슬라이딩프레임(10) 상부를 이동하게 되고, 들것(1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블럭(3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들것(100)과 결합되는 블럭몸체부(31)와, 블럭몸체부(31)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안착부(33), 그리고 하부안착부(33)의 저면에 연결되는 슬라이딩부(35)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슬라이딩부(35)에는 가이드휠(36)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3) 내부에서 구름동작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35)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블럭몸체부(31)의 후면에는 관통홀(31a,31b)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31a,31b)은 후술할 안전벨트의 웨빙(TB)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의 내부에는 고정프레임(14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어모듈(A)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4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풀리모듈(X1~X4) 중 일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모듈(A)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어 안전벨트(60,TB)의 일단을 권취하고, 상기 안전벨트(60,TB)의 권출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안전벨트(60,TB)의 권출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모듈(A)에 의해 안전벨트(60,TB)가 급격한 속도로 권출되어 들것(100)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이동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A)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모듈(A)은 크게 구동모터(50)와 브레이크수단(55)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5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안전벨트(60,TB)를 자동으로 권취하거나 일정한 속도로 권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구동모터(50)에 브레이크수단(55)이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수단(55)에 안전벨트(60,TB)가 권취되나, 상기 브레이크수단(55)도 구동모터(5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은 모터본체이다.
상기 구동모터(50) 일측에 연결되는 브레이크수단(55)은 상기 구동모터(50)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여기에 안전벨트(60,TB)가 권취되거나 또는 권출된다. 상기 브레이크수단(55)은 안전벨트(60,TB)의 권출속도를 제어하는 기능도 하는데, 예를 들어 안전벨트(60,TB)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권출되면 이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즉, 들것(100)이 구급차 외부로 꺼내어지는 과정에서 들것(100)이 급격한 속도로 이동하면 브레이크수단(55)이 안전벨트(60,TB)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56은 브레이크수단(55)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상기 브레이크수단(55)은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수단(55)은 관성을 이용한 방식, 무게추에 의한 방식 또는 모터와 센서를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즉, 브레이크수단(55)은 안전벨트(60,TB)가 감겨진 휠의 회전과 관성판의 회전하지 않으려는 성칠 차이에서 생긴 힘으로 톱니바퀴 형태의 플레이트를 확장시켜 로킹하는 방식이 가능하고, 안전벨트(60,TB)가 빠른 속도로 당겨질 때 이를 감지하여 웨빙(TB)을 고정시키는 형식(ELR(Emergency Locking Retractor))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수단(55)에 권취된 안전벨트(60,TB)가 권출되는 속도를 센서로 감지하고 구동모터(5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브레이크수단(55)은 본 실시례와 같이 반드시 별도의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벨트(60,TB)의 고정버클(6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이동블럭(3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구동모터(5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안전벨트(60,TB)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안전벨트(60,TB)는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0) 일측에 권취되고 타단은 들것(1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들것(100)을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안전벨트(60,TB)는 이동블럭(30)을 매개로 들것(100)에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수단(55)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안전벨트(60,TB)는 상기 들것(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버클(60)과, 고정버클(60)에 연결되는 띠형태의 웨빙(TB)을 포함한다. 상기 웨빙(TB)의 양단 중에서, 제1고정단은 상기 고정버클(60)에 고정되고 제2고정단은 상기 브레이크수단(55)에 권취된다. 도면부호 65는 고정버클(60)의 클립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웨빙(TB)은 두 갈래(TB1,TB2)로 구성되어 제2고정단을 구성하는 두 갈래(TB1,TB2) 중 하나(TB1)는 상기 브레이크수단(55)에 권취되고 나머지 하나(TB2)는 고정브라켓(4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웨빙(TB)은 고정버클(60)을 통해 들것(100)에 연결되고, 동시에 브레이크수단(55) 및 고정브라켓(45)에 연결되는 일종의 삼점식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제2고정단에 과도하여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A) 일측에는 풀리모듈(X1~X4)이 설치된다. 상기 풀리모듈(X1~X4)은 상기 제어모듈(A)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안전벨트(60,TB)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60,TB)의 연장방향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풀리모듈(X1~X4)은 상기 구동모터(5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안전벨트(60,TB)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풀리(X1,X2)와, 상기 제1풀리(X1,X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X1,X2)에 의해 연장방향이 바뀐 안전벨트(60,TB)가 감겨 안전벨트(60,TB)의 연장방향이 들것(1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제2풀리(X3,X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풀리(X1,X2)는 다시 두 갈래(TB1,TB2)의 웨빙(TB)의 이동방향을 각각 변경하기 위해 두 개의 풀리(X1,X2)로 구성되고, 제2풀리(X3,X4) 역시 두 갈래(TB1,TB2)의 웨빙(TB)의 이동방향을 각각 변경하기 위해 두 개의 풀리(X3,X4)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환자가 실린 상태에서 들것(100)은 구급차 내부공간의 슬라이딩프레임(10)에 안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구급차가 멈춘 후에 환자를 내리기 위해서는 들것(100)을 슬라이딩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들것(100)은 슬라이딩프레임(10) 상면에서 슬라이딩된다.
들것(100)이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들것(1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이동블럭(30)이 들것(100)과 함께 이동된다. 이동블럭(30)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휠(36)이 슬라이딩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이동되므로 들것(100)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동블럭(30)에 고정된 고정버클(60)(도 2참조)이 들것(100)의 연결부(185)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이동블럭(30)이 들것(1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안전벨트(60,TB)의 웨빙(TB)이 함께 권출되면서 이동된다.
도 5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들것(100)과 이동블럭(30)이 이동되고, 들것(100)이 슬라이딩프레임(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들것(100)의 전륜프레임(150)과 후륜프레임(160)이 펼쳐지면서 들것(100)이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들것(100)이 슬라이딩프레임(10)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과정에서 자칫 낙하할 위험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수단(55)이 이를 방지한다. 즉, 안전벨트(60,TB)의 웨빙(TB)이 권출되는 과정에서 권출속도가 갑자기 빨라지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수단(55)이 웨빙(TB)의 권출을 정지시킨다(도 6의 화살표② 방향). 들것(100)은 연결부(185)를 통해 안전벨트(60,TB)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웨빙(TB)이 정지되면 들것(100)의 이동도 제한되고, 들것(100)의 낙하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반드시 들것(100)의 낙하 동작뿐 아니라, 들것(100)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 브레이크수단(55)이 작동하여 이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풀리모듈(X1~X4)이 안전벨트(60,TB)에 가해지는 장력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주므로, 구동모터(50)에 가해지는 구동력을 낮출 수 있다.
들것(100)이 지면에 안전하게 안착된 후에는, 작업자가 안전벨트(60,TB)의 고정버클(60)을 분리시킨다. 즉, 상기 들것(100)의 연결부(185)로부터 고정버클(60)을 분리시키면, 상기 들것(100)이 슬라이딩프레임(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들것(100)을 다시 슬라이딩프레임(10) 상부로 싣는 과정은 앞서 설명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들것(100)을 슬라이딩프레임(10)에 가까운 위치에 이동시킨 후에, 고정버클(60)을 들것(100)의 연결부(185)에 고정한다. 그리고, 구동모터(50)를 작동시켜 상기 들것(100)이 슬라이딩프레임(10)의 안쪽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구동모터(50)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들것(100)을 슬라이딩프레임(10) 상부에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슬라이딩프레임 13: 가이드레일
15: 경사부 17: 스토핑펜스
30: 이동블럭 36: 가이드휠
50: 구동모터 55: 브레이크수단
60: 고정버클 100: 들것
A: 제어모듈 TB: 웨빙

Claims (8)

  1. 구급차의 승하차공간에 설치되고 그 상면을 따라 들것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 일측에 권취되고 타단은 들것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안전벨트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일단을 권취하며 상기 안전벨트의 권출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안전벨트의 권출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안전벨트를 매개로 상기 들것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안전벨트가 권취 또는 권출되며 상기 안전벨트의 권출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는
    상기 들것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버클과,
    제1고정단은 상기 고정버클에 고정되고 제2고정단은 상기 브레이크수단에 권취되는 웨빙을 포함하고,
    상기 웨빙은 두 갈래로 구성되어 제2고정단을 구성하는 두 갈래 중 하나는 상기 브레이크수단에 권취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안전벨트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권출될 때 이를 감지하여 안전벨트의 권출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관성을 이용한 기어모듈 또는 속도센서를 이용한 모터장치로 구성되는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안전벨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연장방향을 가변시키는 풀리모듈을 포함하는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에 인접한 위치에는 풀리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풀리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안전벨트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에 의해 연장방향이 바뀐 안전벨트가 감겨 안전벨트의 연장방향이 들것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제2풀리를 포함하는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7.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는 상기 들것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제1고정단은 상기 이동블럭을 통과하여 이동블럭 전면으로 돌출된 고정버클에 연결되는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는 가이드레일이 요입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휠이 구비되는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KR1020160093730A 2016-07-22 2016-07-22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KR10182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30A KR101829875B1 (ko) 2016-07-22 2016-07-22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30A KR101829875B1 (ko) 2016-07-22 2016-07-22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86A KR20180010886A (ko) 2018-01-31
KR101829875B1 true KR101829875B1 (ko) 2018-02-20

Family

ID=6108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730A KR101829875B1 (ko) 2016-07-22 2016-07-22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309B1 (ko) 2023-01-31 2023-05-09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52343T2 (hu) * 2018-01-12 2021-04-28 Stem Srl Hordágy kisegítõ rakodóberendezése
IT201800000793A1 (it) * 2018-01-12 2019-07-12 Stem Srl Dispositivo ausiliario di carico di una barella
CN110547921A (zh) * 2019-09-17 2019-12-1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辅助老人上下私家车的装置
CN111728778A (zh) * 2020-07-02 2020-10-02 刘鹏程 一种救护车用救护床
KR102540238B1 (ko) * 2023-02-09 2023-06-08 주식회사 메타비클 구급차용 들것 견인 베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762Y1 (ko) 1997-12-29 2000-08-01 정몽규 차량의 안전 벨트 구속장치
WO2002000466A1 (en) * 2000-06-29 2002-01-03 Glide-Rite Products Limited Load handling
KR200260717Y1 (ko) 2001-09-03 2002-01-17 조성만 관 또는 환자 탑재용 승차장치
KR101208936B1 (ko) 2004-06-30 2012-12-10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KR101592489B1 (ko) 2014-07-08 2016-02-05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용 들것 하역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762Y1 (ko) 1997-12-29 2000-08-01 정몽규 차량의 안전 벨트 구속장치
WO2002000466A1 (en) * 2000-06-29 2002-01-03 Glide-Rite Products Limited Load handling
KR200260717Y1 (ko) 2001-09-03 2002-01-17 조성만 관 또는 환자 탑재용 승차장치
KR101208936B1 (ko) 2004-06-30 2012-12-10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KR101592489B1 (ko) 2014-07-08 2016-02-05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용 들것 하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309B1 (ko) 2023-01-31 2023-05-09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86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75B1 (ko) 구급차의 들것 승하차장치
US9333129B2 (en) Wheelchair securement system and device for wheelchair accessible vehicles
US4455046A (en) Safety device for the vehicular transport of a person travelling in a wheelchair
EP1858731B1 (en) Safety net
KR20180100540A (ko) 승객 시트들을 갖는 화물 자전거
JP2020096847A (ja) 衝突安定性の簡易ベッド締結具トラックを有する簡易ベッド締結システム
US9932209B2 (en) Vehicle top lift and storage system
CN111141499A (zh) 安全带测试装置
JP2002527283A (ja) 乗物の拘束提供システム
JP4067841B2 (ja) 車椅子昇降固定システム
JP6480736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SE429716B (sv) Lyftanordning for t ex rullstol
EP3647255B1 (en) Assist device with hand portions for holding baggage
JP425944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9943453B2 (en) Overhead loading device
JP2019034704A (ja) 二輪車駐車装置
JP2016173013A (ja) 駐車装置
JPH09277834A (ja) 車両用車椅子積降し装置
JP2020534129A (ja) 娯楽用乗り物のための乗客収容保持装置、このような乗客収容保持装置の運転方法、及びこのような乗客収容保持装置を備えた娯楽用乗り物
US11059408B2 (en) Mortuary cargo loading system and method
EP3426216A2 (en) A system for use with a wheeled passenger support
KR200223606Y1 (ko) 차량시트의 유아보호 장치
GB2578895A (en) Load restraint system
KR20160102765A (ko) 안전밸트 장치
WO2021239169A1 (en) An automobile module for transport of handicapped persons, a handling assembly for this module, an automobile with the assembly,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