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814Y1 -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 Google Patents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814Y1
KR200220814Y1 KR2019970045324U KR19970045324U KR200220814Y1 KR 200220814 Y1 KR200220814 Y1 KR 200220814Y1 KR 2019970045324 U KR2019970045324 U KR 2019970045324U KR 19970045324 U KR19970045324 U KR 19970045324U KR 200220814 Y1 KR200220814 Y1 KR 200220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us
clasps
button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563U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45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8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5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8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장가능한 버스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손잡이는 일반인의 평균적인 신장을 고려하여 차체바닥과의 일률적인 높이를 두고 상기 손잡이바에 부착하므로, 다소 신장이 작은 사람 특히, 아동의 경우에는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천정에 매달린 손잡이를 이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띠를 손잡이 본체내부로 관통되게 삽입하고 본체로부터 두가닥으로 빼낸 여분의 띠의 단부에는 걸림턱을 달아서 마감처리하며 상기 걸림턱을, 내부가 천공되고 손잡이 본체 중 손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걸림수단인 걸쇠 및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걸리고 풀리는 작동이 반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걸림턱의 단부를 탄성부재로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어, 다소 왜소한 체격의 승차자에게 편리한 자세유지를 위한 보조기구를 제공하며 특별히 부가적인 기구의 증설이 필요치 않고 간단하게 대체설치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동불능을 일으킬 소지가 적으면서 저렴하여 널리 보급이 기대되는 등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출구조를 내장한 버스손잡이
본 고안은 인출구조를 내장한 버스손잡이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인원수송용 버스의 천장 즉 루프패드(Roof pad)에 고정되는 종2열의 손잡이바에 띠를 매개로 결착되는 손잡이를 하방으로 신장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키 작은 입석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제안된 버스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원수송용 버스에는 입석승객을 위해 또는 승하차 승객의 버스내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보조기구로써 좌석의 상측부나 버스의 천장에 손잡이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잡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시내노선버스의 루프패드에 고정되는 종 2열의 손잡이바에 통상 합성수지제의 띠를 매개로 결착하는 손잡이는 그 재질을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된 것이 보통이고 외형은 원형내지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손잡이는 차량의 급제동이나 기어변환 그리고, 급한 출발시 등 차량운행중에 자세가 불안해 지게 되는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인의 평균적인 신장을 고려하여 차체바닥과의 일률적인 높이를 두고 상기 손잡이바에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다소 신장이 작은 사람 특히, 아동의 경우에는 그 만큼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기구의 선택의 폭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인장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다소 왜소한 사람들에게도 자세유지를 위한 보조기구의 선택의 폭을 늘여주고 특별히 부가적인 기구의 증설이 필요치 않고 간단하게 대체설치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동불능을 일으킬 소지가 적으면서 저렴하여 널리 보급이 기대되는 버스손잡이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상기 띠를 손잡이 본체내부로 관통되게 삽입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두가닥으로 빼낸 여분의 띠의 단부에는 걸림턱을 달아서 마감처리하며 상기 걸림턱을, 내부가 천공되고 손잡이 본체 중 손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걸림수단인 걸쇠 및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걸리고 풀리는 작동이 반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걸림턱의 단부를 탄력재로 각각 연결하여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손잡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손잡이의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손잡이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잡이 본체 2. 띠
3,3'. 걸림쇠 4. 파지부
5. 버튼 6. 스프링
7,7'. 걸쇠 8,8'. 힌지부
9. 탄성부재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버스손잡이의 단면도 및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인원수송용 버스의 천정에 종2열로 평행하게 부착되는 손잡이바에 체결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본체(1)를 두가닥으로 나뉘어 삽입관통되는 띠(2)와, 상기 띠(2)의 각각의 단부에 고착되는 걸림쇠(3)와, 상기 손잡이 본체(1)에서 분리되며 손으로 파지되는 파지부(4)와, 상기 파지부(4)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누룸방식의 버튼(5)과, 상기 파지부(4)에 내장되어 버튼(5)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6)과, 상기 버튼(5)의 상부에 형성된 테이퍼사면에 밀려 연동되었다가 상기 스프링(6)의 복원력의 작용을 받아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며 상기 걸림쇠(3)(3')의 이동을 구속하는 턱을 가진 걸쇠(7)(7')와, 상기 걸쇠(7)(7')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힌지부(8)(8')와, 상기 두 개의 걸림쇠(3)(3')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탄성적으로 그 사이가 수축되도록 한 탄성부재(9)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손잡이 본체(1)는, 일정 폭을 가진 상기 띠(2)가 내부를 타고 감기듯이 삽입되게 되므로, 종래의 손잡이가 그 폭방향과 손잡이바의 길이방향이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것과 달리, 손잡이 본체(1)의 폭방향과 손잡이바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본체(1)에 관통삽입된 띠(2)의 부분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쇠(3)(3')의 경우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걸쇠(7)(7')의 사면과 마찰되어, 상기 걸쇠(7)(7')가 힌지부(8)(8')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걸림쇠(3)(3')의 사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 한 걸림쇠(3)(3')는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파지부(4)로부터 상기 띠(2)가 인출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될 때의 각 구성요소의 작용에 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파지부(4)가 손으로 파지됨에 따라 상기 띠(2) 중 파지부(4)에 들어있는 부분에 인장력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쇠(7)(7')에는 상기 걸림쇠(3)(3')의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쇠(7)(7')는 각각의 힌지부(8)(8')를 중심으로 회전관성이 작용하기 시작하는데, 이 때 한편으로는 걸쇠(7)(7')의 힌지부(8)(8')를 중심으로 다른 걸쇠부분의 사면은 상기 버튼(5)의 테이퍼진 경사면을 마찰된 상태에서 밀어내려는 관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버튼(5)은 하방으로 밀려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버튼(5)의 원통둘레의 형성된 턱(10)이 버튼(5)의 하방으로의 진행을 막게 되며 결론적으로 상기 걸림쇠(3)(3')의 정지상태는 유지되게 되고 상기 띠(2)는 인출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파지부(4)에 수납된 띠(2)의 부분이 인출되는 과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손잡이 본체(1)와 분리되는 파지부(4)를 손으로 감아쥐어 파지하면 손가락의 단부가 오게 되는 파지부(4)의 지점에 상기 버튼(5)이 위치하게 되는데, 입석 승차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버튼(5)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5) 상부의 테이퍼진 사면이 상기 걸쇠(7)(7')의 사면을 밀어내게 되고 이어서 걸쇠(7)(7')가 힌지부(8)(8')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쇠(3)(3')의 사면과 마찰정지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걸쇠(7)(7')가 이격되면서, 상기 걸림쇠(3)(3')가 상기 파지부(4)의 양측부상면에 형성된 구멍에 이르기까지 이동되며 거기에서 걸림쇠(3)(3')의 진행은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4) 내부에 수납되었던 띠(2)부분은 노출되면서 파지부(4)는 손잡이 본체(1)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소정길이로 인장되게 된다.
이어서, 입석 승차자가 상기 파지부(4)을 놓게 되면 인출된 띠(2)부분이 다시 파지부(4)로 수납되는데 이것은 상기 걸림쇠(3)(3')를 연결하며 상기 파지부(4)에 내장된 탄성부재(9)의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며, 상기 걸림쇠(3)(3')의 사면이 상기 걸쇠(7)(7')에 다시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버튼(5)이 눌려지기까지 걸림쇠(3)(3')의 진행구속상태는 유지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인장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다소 왜소한 사람들에게도 자세유지를 위한 보조기구의 선택의 폭을 늘여주고 특별히 부가적인 기구의 증설이 필요치 않고 간단하게 대체설치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동불능을 일으킬 소지가 적으면서 저렴하여 널리 보급이 기대되는 등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인원수송용 버스의 천정에 종2열로 평행하게 부착되는 손잡이바에 체결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본체(1)를 두가닥으로 나뉘어 삽입관통되는 띠(2)와, 상기 띠(2)의 각각의 단부에 고착되는 걸림쇠(3, 3')와, 상기 손잡이 본체(1)에서 분리되며 손으로 파지되는 파지부(4)와, 상기 파지부(4)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누룸방식의 버튼(5)과, 상기 파지부(4)에 내장되어 버튼(5)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6)과, 상기 버튼(5)의 상부에 형성된 테이퍼사면에 밀려 연동되었다가 상기 스프링(6)의 복원력의 작용을 받아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며 상기 걸림쇠(3)(3')의 이동을 구속하는 턱을 가진 걸쇠(7, 7')와, 상기 걸쇠(7, 7')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힌지부(8, 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구조를 내장한 버스손잡이.
  2. 상기 걸림쇠(3, 3')의 회귀수단으로써, 상기 두 개의 걸림쇠(3)(3')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탄성적으로 그 사이가 수축되도록 한 탄성부재(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구조를 내장한 버스손잡이.
KR2019970045324U 1997-12-31 1997-12-31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KR200220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24U KR200220814Y1 (ko) 1997-12-31 1997-12-31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24U KR200220814Y1 (ko) 1997-12-31 1997-12-31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563U KR19990032563U (ko) 1999-07-26
KR200220814Y1 true KR200220814Y1 (ko) 2001-10-25

Family

ID=5389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324U KR200220814Y1 (ko) 1997-12-31 1997-12-31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8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56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3835A (en) Vehicle seatbelt deflection device
US5890762A (en) Child seat
US4919484A (en) Anti-cinch seat belt system
US5902015A (en) Seat belt gripping tool, and method of use
JPH0440988Y2 (ko)
GB2082279A (en) Strap tightener
US5845372A (en) Seat belt gripping device for use with child safety seats
JPH0553664B2 (ko)
US6604747B2 (en) Stowable rescue device for patient transport
JPH05211908A (ja) 乗物用安全装置及び安全装置用のタング・アセンブリ
KR0166376B1 (ko) 안전 벨트 견인기
JPH0889532A (ja) 車椅子固定装置
KR200220814Y1 (ko) 인출구조를내장한버스손잡이
US6666519B2 (en) Seat belt with a buckle tongue stop
WO2001095755A1 (en) A buckle
JP425944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844179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7275879B2 (ja) 車椅子固定具及び車椅子固定装置
EP0409874A1 (en) Restraint device
CN112672953B (zh) 用于运输人员的具有至少一个座椅设备和皮带约束系统的自行车挂件
GB2118117A (en) Car roof attachment
KR100800962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2137030B1 (ko) 자전거페달 보조장치
JPH0214522Y2 (ko)
KR200156432Y1 (ko) 화물자동차용 화물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