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167A - 피스톤-실린더 장치 - Google Patents

피스톤-실린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167A
KR20040039167A KR1020030077116A KR20030077116A KR20040039167A KR 20040039167 A KR20040039167 A KR 20040039167A KR 1020030077116 A KR1020030077116 A KR 1020030077116A KR 20030077116 A KR20030077116 A KR 20030077116A KR 20040039167 A KR20040039167 A KR 2004003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essure pipe
piston rod
cylinder devi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크스비르트페터 투르만
이네스 키스텐브뤼거
한스 이얼리히
미하엘 아우어
아르놀트 실츠
한스위르겐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348768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48768A1/d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3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16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5)를 포함하는 피스톤이 그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원통형 압력 파이프(1)를 구비한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 로드(5)는 압력 파이프(1)의 한 단부에서는 상기 압력 파이프 단부를 폐쇄하는 벽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가이드 되며, 상기 압력 파이프(1)는 수축 튜브(8)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축 튜브는 피스톤 로드(5)의 배출측에서 대략 방사상 내부로 연장되고 피스톤 로드(5)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개구를 구비한다. 압력 파이프(1)의 피스톤 로드측 단부에 있는 정면의 링 영역(19)은 수축 튜브(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Description

피스톤-실린더 장치{PISTON-CYLINDER AGGREGATE}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피스톤이 그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원통형 압력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압력 파이프의 적어도 한 단부에서는 상기 압력 파이프 단부를 폐쇄하는 벽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가이드 되며, 상기 압력 파이프가 수축 튜브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축 튜브가 피스톤 로드의 배출측에서 대략 방사상 내부로 연장되고 피스톤 로드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개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피스톤-실린더 장치, 특히 가스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피스톤-실린더 장치에서는, 압력 파이프를 수축된 플라스틱 파이프에 의해 커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수축 튜브는 압력 파이프의 구부러진 단부 영역과 외부면에서 중첩된다. 압력 파이프와 수축 튜브 사이에서 외부 영역으로 통하는 갭 내부로는 습기가 침투할 수 있고, 상기 습기에 의해서는 압력 파이프의 외부면에서 단점적으로 갭 부식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압력 파이프 외부면에서의 갭 부식을 방지하는 부식 방지부가 간단한 방식으로 압력 파이프의 외부 경계부에 제공될 수 있는, 서문에 언급한 방식의 피스톤-실린더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도 1은 가스 스프링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섹션 "A"를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제 1 실시예.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섹션 "A"를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제 2 실시예.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섹션 "A"를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제 3 실시예.
도 5는 도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섹션 "A"를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제 4 실시예.
도 6은 도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섹션 "A"를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제 5 실시예.
도 7은 도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섹션 "A"를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제 6 실시예.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정면 링 영역이 압력 파이프의 피스톤 로드 배출측 단부에서 수축 튜브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으로써 해결된다.
수축 튜브가 압력 파이프를 견고하게 둘러쌈으로써, 압력 파이프용으로는 가공되지 않은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압력 파이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칼라층을 제조하기 위한 비싼 래커 코팅 공정이 포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축 튜브는 래커 코팅층보다 스크래칭 및 홈 형성에 대해 훨씬 덜 민감하다.
압축 파이프의 정면 링 영역을 수축 튜브로 둘러쌈으로써, 습기를 갭 내부로 침투시켜 압력 파이프의 외부면에 갭 부식을 야기할 수 있는 갭의 배출구가 수축 튜브와 압축 파이프의 외부면 사이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래커 코팅을 위해 압력 파이프를 준비시키기 위한 특별한 세척 조치가 포기될 수 있다.
수축 튜브를 제거하고 새로운 수축 튜브를 제공하는 작업도 마찬가지로 세척 조치 없이 가능하다.
압축 파이프의 정면을 간단히 폐쇄하기 위해, 압축 파이프는 피스톤 로드 배출측에서 대략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으로 변형되고, 특히 테두리가 구부러지고, 상기 단부벽은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 개구는 피스톤 로드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피스톤 로드와 상기 개구의 원통형 벽으로서 형성된 링 영역 사이에는 링형 갭이 형성되며, 상기 갭 내부로 수축 튜브의 배출구측 단부가 돌출한다.
압력 파이프를 폐쇄하는 벽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압력 파이프를 폐쇄하는 벽은 압력 파이프의 대략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축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를 가이드 하고 압축 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밀봉시키기위해, 압력 파이프는 피스톤 로드 배출측에서 피스톤 로드 가이드 및 밀봉 유닛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을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고 상기 유닛이 폐쇄 벽을 형성하는 폐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링은 압력 파이프의 단부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특히 테두리가 구부러져 있다.
수축 튜브가 압력 파이프의 링 영역을 지나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수축 튜브의 피스톤 로드를 둘러싸는 배출구 영역이 홈 내부에서 보호되도록 하기 위해, 폐쇄링 또는 압력 파이프를 폐쇄하는 벽은 피스톤 로드의 배출측으로 향한 정면 그리고 상기 폐쇄링의 링형 개구 쪽으로 개방되어 방사상 둘레에 있는 스냅 링 그루우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한 가지 가능성은, 상기 단부벽의 관통 개구가 스냅 링 그루우브의 방사상 둘레에 있는 외부 원통형 벽과 직경이 같거나 또는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다.
다른 가능성은, 상기 단부벽의 관통 개구가 상기 스냅 링 그루우브의 방사상 둘레에 있는 외부 원통형 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다.
상기 두 가지 가능성에서는, 수축 튜브의 배출구측 단부가 꺾이지 않고 방사상 둘레에 있는 스냅 링 그루우브 내부로 돌출하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 수축 튜브의 배출구측 단부 영역이 압력 파이프의 내부벽에 인접할 때까지 대략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을 둘러싸면, 한편으로는 압력 파이프와 수축 튜브 사이에 있는 갭이 매우 우수하게 밀봉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수축 튜브가 또한 상기 갭을 밀봉시키는 위치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밀봉 효과의 상승은 수축 튜브의 배출구측 단부 영역이 방사상 내부로 피스톤 로드 쪽으로 향하여 스냅 링 그루우브의 바닥에 접하는 경우에도 달성된다.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축 튜브의 단부 영역이 방사상 내부로 향하고 피스톤 로드의 원통형 외부면에 접하는 것도 또한 밀봉 효과의 상승을 위해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수축 튜브의 관통 개구의 배출구가 피스톤 로드를 둘러쌀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수축 튜브의 단부 영역의 자유 단부가 링 형태로 또는 파이프 형태로 피스톤 로드를 둘러싸는 것이다.
압력 파이프의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으로 변형되는 천이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것도 마찬가지로 수축 튜브의 꺾임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자세히 기술된다.
도시된 가스 스프링은 압력 파이프(1)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내에서는 피스톤이 내부 공간을 2개의 챔버로 세분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닥(2)에 의해 폐쇄된 압력 파이프(1)의 한 단부에서 상기 바닥(2)에 배치된 나사 축(4) 상에는 가스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3)가 나사 체결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은 동축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5)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바닥(2)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압력 파이프(1)의 단부에서 피스톤 로드 가이드 및 밀봉 유닛(6)을 통과해 압력 파이프(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외부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에서는 피스톤 로드(5)에 나사선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선 상에는 가스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2 연결 부재(7)가 나사 체결되어 있다.
가공되지 않은 외부 표면을 갖는 압력 파이프(1)의 전체 표면은 부식 방지부로서 작용하는 수축 튜브(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경우 수축 튜브(8)는 또한 연결 부재(3)의 일부분도 둘러싼다.
압력 파이프(1)의 단부는 피스톤 로드(5)의 배출측에서 라운딩 처리되어 방사상 내부로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단부의 구부러진 영역은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10)를 구비한, 피스톤 로드(5)의 종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부벽(9)을 형성한다. 이 경우 단부벽(9)의 개구(10)는 피스톤 로드(5)보다 확연하게 더 큰 직경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개구(10)의 원통형 벽과 피스톤 로드(5) 사이에는 링형 갭(11)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 가이드 및 밀봉 유닛(6)은 축방향으로 압력 파이프(1)의 내부 공간을 향한 단부에 피스톤 로드(5)를 밀봉 리브(12)로 둘러싸는 밀봉링(13)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링의 방사상 둘레 외부면은 압력 파이프(1) 내부로 밀봉 방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 가이드 및 밀봉 유닛(6)은 압력 파이프(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단부에 폐쇄링(14)을 구비하며, 상기 폐쇄링의 축 방향으로 외부로 향하는 방사상 외부 단부는 방사상으로 둘레가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상기 라운딩부(15) 둘레로 압력 파이프(1)의 단부가 방사상 내부로 구부러져 있음으로써, 폐쇄링(14)은 축 방향으로 단부벽(9)에 지지된다.
폐쇄링(14)은 외부로 향한 정면에서 방사상 둘레에 스냅 링 그루우브(16)를 구비하고, 상기 그루우브는 축 방향으로 폐쇄링(15)의 외부 정면 쪽으로 뿐만 아니라 방사상 내부로 피스톤 로드(5) 쪽으로도 개방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단부벽(9)의 개구(10)의 직경이 스냅 링 그루우브(16)의 외부 방사상 둘레 벽(17)의 직경보다 더 크다.
도 3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단부벽(9)의 개구(10)의 직경이 스냅 링 그루우브(16)의 외부 방사상 둘레 벽(17)의 직경보다 더 작다.
도 2에서 피스톤 로드(5)의 배출측에서는 수축 튜브(8)가 단부벽(9)에 인접하여 방사상 내부로 그리고 단부벽의 정면 링 영역(19)을 원호 형태로 커버하면서 링형 갭(11)을 거쳐 스냅 링 그루우브(16) 내부로 가이드 된다. 스냅 링 그루우브(16) 내에서는 수축 튜브(9)가 방사상 내부로 향하여 피스톤 로드(5)를 둘러싸고, 상기 튜브 벽두께의 크기만큼 피스톤 로드(5)에 인접한다. 그럼으로써, 외부로부터 압력 파이프(1) 내부로 침투되는 습기가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수축 튜브는 단부벽(9)에 인접하면서 방사상 내부로 가이드 되어 자신의 정면 링 영역(19)을 둘러싸며, 압력 파이프(1)의 내부벽(20)에 인접할 때까지 스냅 링 그루우브(16') 내부로 연장된다.
도 3에서는 수축 튜브(8)가 이곳에서 종료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수축 튜브는, 상기 튜브의 배출구측 단부 영역(21)이 방사상 내부로 피스톤 로드 쪽으로 향하여 스냅 링 그루우브(16')의 바닥(22)에 접하도록 계속해서 가이드 되며, 이경우 도 4의 수축 튜브(8)의 단부 영역은 관통 개구의 배출구(18)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5)에 대해 약간의 간격을 갖는 반면, 도 5에서 수축 튜브(8)의 배출구(18)는 피스톤 로드에 인접하면서 상기 피스톤 로드를 둘러싼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수축 튜브(8)의 단부 영역이 더 계속해서 가이드 되며, 상기 수축 튜브의 자유 단부(23 또는 23')는 도 6에서는 피스톤 로드(5)를 링 형태로 둘러싸고, 도 7에서는 피스톤 로드(5)를 파이프 형태로 둘러싼다.
수축 튜브(8)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튜브는 먼저 압력 파이프(1)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압력 파이프(1) 위로 미끄러진다. 수축 튜브(8)의 가열 후에는 상기 파이프가 접히지 않은 상태로 압력 파이프(1), 단부벽(9) 및 상기 단부벽(9)의 정면측 링 영역(19)에 밀봉 방식으로 접하고, 링형 갭(11) 및 스냅 링 그루우브(16) 내부로 삽입된다. 도 2,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수축 튜브(8)의 배출구(18) 또는 자유 단부(23 및 23')도 또한 밀봉 방식으로 피스톤 로드(5)를 둘러싼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압력 파이프 2, 22: 바닥
3: 연결 부재 4: 나사 축
5: 피스톤 로드 6: 피스톤 로드 가이드 유닛
7: 제 2 연결 부재8: 수축 튜브
9: 단부벽 10: 개구
11: 링형 갭12: 밀봉 리브
13: 밀봉링 14: 폐쇄링
15: 라운딩부 16, 16': 스냅 링 그루우브
17: 벽 18: 배출구
19: 링 영역20: 내부벽
21: 단부 영역 23, 23': 자유 단부

Claims (14)

  1.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피스톤이 그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원통형 압력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압력 파이프의 적어도 한 단부에서는 상기 압력 파이프 단부를 폐쇄하는 벽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가이드 되며, 상기 압력 파이프는 수축 튜브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축 튜브가 피스톤 로드의 배출측에서 대략 방사상 내부로 연장되고 피스톤 로드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개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피스톤-실린더 장치, 특히 가스 스프링에 있어서,
    정면 링 영역(19)이 압력 파이프(1)의 피스톤 로드 배출측 단부에서 수축 튜브(8)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파이프(1)가 피스톤 로드 배출측에서 대략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9)으로 변형되고, 특히 테두리가 구부러지고, 상기 단부벽은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10)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 개구(10)는 피스톤 로드(5)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피스톤 로드(5)와 상기 개구(10)의 원통형 벽으로서 형성된 링 영역(19) 사이에는 링형 갭(11)이 형성되며, 상기 갭 내부로 수축 튜브(8)의 배출구측 단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파이프(1)를 폐쇄하는 벽이 상기 압력 파이프(1)의 대략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9)에 의해 둘러싸이고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파이프(1)가 피스톤 로드 배출측에서 피스톤 로드 가이드 및 밀봉 유닛(6)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유닛을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5)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고 상기 유닛이 폐쇄 벽을 형성하는 폐쇄링(14)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링이 압력 파이프(1)의 단부벽(9)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히 테두리가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링(14) 또는 압력 파이프(1)를 폐쇄하는 벽이 피스톤 로드(5)의 배출측으로 향하는 정면 그리고 상기 폐쇄링(14)의 링형 개구 쪽으로 개방되어 방사상 둘레에 있는 스냅 링 그루우브(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9)의 관통 개구(10)가 상기 스냅 링 그루우브(16)의 방사상 둘레에 있는 외부 원통형 벽(17)과 직경이 같거나 또는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9)의 관통 개구(10)가 상기 스냅 링 그루우브(16')의 방사상 둘레에 있는 외부 원통형 벽(17)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튜브(8)의 배출구측 단부가 방사상 둘레에 있는 스냅 링 그루우브(16, 16') 내부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튜브(8)의 배출구측 단부 영역(21)이 상기 압력 파이프(1)의 내부벽(20)에 인접할 때까지 대략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9)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튜브(8)의 배출구측 단부 영역(21)이 방사상 내부로 피스톤 로드(5) 쪽으로 향하여 스냅 링 그루우브(16, 16')의 바닥(22)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11.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배출구(18)를 포함하는 상기 수축 튜브(8)의 단부 영역(21)이 방사상 내부로 향하고 피스톤 로드(5)의 원통형 외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튜브(8)의 관통 개구의 배출구(18)가 피스톤 로드(5)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튜브(8)의 단부 영역(21)의 자유 단부(23, 23')가 링 형태로 또는 파이프 형태로 피스톤 로드(5)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14.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파이프(1)의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단부벽(9)으로 변형되는 천이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
KR1020030077116A 2002-11-02 2003-11-01 피스톤-실린더 장치 KR20040039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0967.0 2002-11-02
DE10250967 2002-11-02
DE10348768.9 2003-10-21
DE10348768A DE10348768A1 (de) 2002-11-02 2003-10-21 Kolbenzylinderaggreg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167A true KR20040039167A (ko) 2004-05-10

Family

ID=3209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116A KR20040039167A (ko) 2002-11-02 2003-11-01 피스톤-실린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19780B2 (ko)
EP (1) EP1416189B1 (ko)
JP (1) JP3981065B2 (ko)
KR (1) KR20040039167A (ko)
BR (1) BR0304807B1 (ko)
ES (1) ES224384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0304B4 (de) 2004-12-15 2010-01-14 Stabilus Gmbh Kolbenzylindereinhei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lbenzylindereinheit
US7735810B2 (en) * 2006-08-24 2010-06-15 William Pope Vehicle door strut support
JP4453779B2 (ja) * 2007-09-04 2010-04-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ガス圧式アクチュエータ
US8246287B1 (en) 2008-01-16 2012-08-21 Westendorf Manufacturing, Co. Guard structure for fluid conduits of hydraulic cylinders and hydraulic lines
US8408862B1 (en) 2008-09-11 2013-04-02 Westendorf Manufacturing Co., Inc. Guard structures for hydraulic cylinders, hydraulic lines, and loader arms
TW201028329A (en) * 2009-01-19 2010-08-01 Y S S Thailand Co Ltd Advanced triple piston damper
KR101276255B1 (ko) * 2009-03-13 2013-06-20 아크시스템 일렉트로메카닉 사나이 베 티카렛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삼중 동작형 마찰 쇽 업소버
DE102013101558B4 (de) * 2013-02-15 2019-02-28 Stabilus Gmbh Kolben-Zylinder-Einhei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lben-Zylinder-Einheit
US9260894B2 (en) * 2013-04-25 2016-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op rod end piece
DE102014202203A1 (de) * 2014-02-06 2015-08-06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Kolbenzylinder-Aggregates
CN103953674A (zh) * 2014-04-28 2014-07-30 贵州龙飞气弹簧有限责任公司 一种变阻尼气弹簧
USD811281S1 (en) 2015-12-21 2018-02-27 Y.S.S. (Thailand) Co., Ltd. Shock absorber
DE202016100438U1 (de) * 2016-01-29 2016-02-16 Thyssenkrupp Ag Schwingungsdämpfer
JP7190960B2 (ja) * 2018-05-15 2022-12-16 Dmg森精機株式会社 流体圧装置
DE102018116101A1 (de) * 2018-07-03 2020-01-09 Ab Elektronik Gmbh Stoßdämpfer mit Positionssensor
KR20210132434A (ko) * 2020-04-27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게이트 개폐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610754U1 (de) * 1976-04-07 1976-10-14 Stabilus Gmbh, 5400 Koblenz Gasfeder als elektrischer Leiter
JPS60169443A (ja) 1984-02-14 1985-09-02 Sumitomo Chem Co Ltd δ−オキソ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DE3434011A1 (de) 1984-09-15 1986-03-27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Gasfeder
DE3930372A1 (de) 1989-09-12 1991-03-21 Stabilus Gmbh Hydropneumatisches verstellelement
DE4209985C2 (de) 1992-03-27 2000-09-14 Stabilus Gmbh Zylinder-Kolbenstangeneinheit
JPH08324019A (ja) 1995-06-01 1996-12-10 Fujitsu Ltd レーザビームプリンタにおける高品位印刷方法
DE19721816C2 (de) * 1996-06-07 1999-04-29 Stabilus Gmbh Kolben-Zylinderaggregat mit einem Korrosionsschutz
US5791445A (en) * 1997-05-26 1998-08-11 Fichtel & Sachs Industries, Inc. Piston rod-cylinder assembly with shrink-wrap corrosion protective sleeve
JP4034845B2 (ja) * 1996-12-04 2008-01-16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緩衝器
DE10202529A1 (de) * 2002-01-24 2003-08-07 Suspa Holding Gmbh Kolben-Zylinder-Einhei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44605A1 (en) 2004-07-29
BR0304807A (pt) 2004-08-31
EP1416189A1 (de) 2004-05-06
ES2243849T3 (es) 2005-12-01
JP3981065B2 (ja) 2007-09-26
EP1416189B1 (de) 2005-07-20
BR0304807B1 (pt) 2014-02-11
US7219780B2 (en) 2007-05-22
JP2004156783A (ja)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9167A (ko) 피스톤-실린더 장치
US7766182B2 (en) Cap with threaded gasket vent
US6619701B1 (en) Connection of a metal pipe with a metal sleeve
JP6657334B2 (ja) 主燃焼封止型押しの内部の小型弾性封止特徴
KR20070026227A (ko) 케이블 글랜드
ES2250026T1 (es) Conjunto de cierre para un contenedor.
RU2571839C2 (ru) Чехол поршня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а и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чехлом
JPH02173308A (ja) 合成樹脂製オイルパン
KR20080053206A (ko) 조임 가능한 밴드 클램프
NO20011175L (no) Anordning ved rörflenstetning
KR20180101257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WO2015016065A1 (ja) シールド導電路
JP6054321B2 (ja) ピストン・シリンダユニット
CA2307149A1 (en) Sealing device of the gland type for a cable
JP2014091525A (ja) 吐出キャップ
JP2009093922A (ja) 真空バルブ
JP5670881B2 (ja) 照明装置のための高圧ガス放電ランプ
US11105446B1 (en) Reinforced plastic pipe b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7369011B2 (ja) シリンダ装置
KR20130097478A (ko) 전열온수관
ITMI982377A1 (it) Dispositivo per la posa a tenuta di tubi, conduttori o simili pezzi stampati allungati attraverso pareti di apparecchi e simili.
JP7340382B2 (ja) 継手構造
CN110017399B (zh) 防漏水角阀
KR200465837Y1 (ko) 탄성 커버에 의하여 보호되는 나사식 이음관 연결 구조
WO2018083954A1 (ja) シー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721

Effective date: 2007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