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261A -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261A
KR20040035261A KR1020020064043A KR20020064043A KR20040035261A KR 20040035261 A KR20040035261 A KR 20040035261A KR 1020020064043 A KR1020020064043 A KR 1020020064043A KR 20020064043 A KR20020064043 A KR 20020064043A KR 20040035261 A KR20040035261 A KR 2004003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engine
mounting bracket
vehic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5261A/ko
Publication of KR2004003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2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형장착홈(21a)이 형성되고 이 원형장착홈(21a)의 측부에 걸림턱(21b)을 갖는 핀구멍(21c)이 형성되면서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측으로 볼팅체결되어 설치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상기 원형장착홈(21a)으로 삽입되면서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22)와, 이 인슐레이터(22)의 상단측 내부로 일단이 압입되면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스터드(23)와, 일측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의해 관통되면서 인슐레이터(22)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핀구멍(21c)을 통해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진동감쇠수단(24)과, 일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의해 관통되어 진동감쇠수단(24)상에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엔진(E)의 소정부위와 볼팅체결되면서 결합되는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체결되면서 진동감쇠수단(24)과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를 인슐레이터(22)상에 체결시키도록 하는 체결너트(26)로 구성되어져, 엔진(E)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E)이 장착되는 차체부의 내구성이 향상됨음 물론 차량의 전체적인 NVH성능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structure of engine mount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유동변위가 큰 진동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와 일체로 구성되는 엔진을 차체상에 장착시키도록 하는 엔진마운트조립체는 엔진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 엔진의 유동이 발생할 때 이 유동량을 제어하여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현상을 예방하며, 엔진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차실내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엔진마운트조립체의 종래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측으로 볼팅체결되어 설치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트(11)와, 이 차체마운팅브라켓트(11)에 의해 하단부의 외주면이 감싸여지면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12)와, 이 인슐레이터(12)의 상단측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인너스톱퍼(13)와, 상기 인슐레이터(12)의 상단측 내부로 일단이 압입되어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스터드(14)와, 일단은 상기 인슐레이터(12)의 상측으로 돌출된 인슐레이터스터드(14)에 의해 관통되고 타단은 상기 인너스톱퍼(13)의 하측으로 위치되면서 중첩을 이루도록 굴곡형성됨은 물론 상기 인너스톱퍼(13)와는 상측으로 이격되면서 설치되는 어퍼스톱퍼(15)와, 일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14)에 의해 관통되어 어퍼스톱퍼(15)상에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엔진(E)의 소정부위와 볼팅체결되면서 결합되는 엔진마운팅브라켓트(16)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14)에 결합되면서 어퍼스톱퍼(15)와 엔진마운팅브라켓트(16)를 체결시키도록 하는 체결너트(17)로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상태(시동시, 급출발 및 급정거시, 코너링 주행시, 과속방지턱과 같은 요철도로의 주행시 등)에 따라 엔진유동이 발생되면, 엔진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은 엔진마운팅브라켓트(16)를 통해 인슐레이터(12)로 전달되어 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인슐레이터(12)는 인너스톱퍼(13)와 어퍼스톱퍼(15)사이에 형성된 상부갭(C1)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고, 또한 상기 인너스톱퍼(13)와 어퍼스톱퍼(15)사이에 형성된 측면갭(C2)내에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인슐레이터(12)의 유동은 인슐레이터(12)로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유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엔진의 유동이 클 경우에는 인슐레이터(12)로 전달되어 오는 진동의 크기도 커지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이 비교적 큰 진동이 전달되어 올 때 엔진마운트조립체를 구성하는 인슐레이터(12)의 유동량이 부족하게 되면 결국에는 어퍼스톱퍼(15)가 인너스톱퍼(13)로부터 이탈되면서 파손이 되게 되고, 이로 인해진동감쇠 및 유동제어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차량의 NVH성능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유동변위가 큰 진동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엔진의 유동제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엔진장착부의 내구성을 전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NVH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장착홈이 형성되고 이 원형장착홈의 측부에 걸림턱을 갖는 핀구멍이 형성되면서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측으로 볼팅체결되어 설치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트와, 상기 원형장착홈으로 삽입되면서 차체마운팅브라켓트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와, 이 인슐레이터의 상단측 내부로 일단이 압입되면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스터드와, 일측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에 의해 관통되면서 인슐레이터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핀구멍을 통해 차체마운팅브라켓트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진동감쇠수단과, 일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에 의해 관통되어 진동감쇠수단상에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엔진의 소정부위와 볼팅체결되면서 결합되는 엔진마운팅브라켓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에 체결되면서 진동감쇠수단과 엔진마운팅브라켓트를 인슐레이터상에 체결시키도록 하는 체결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엔진마운트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차체마운팅브라켓트 21a - 원형장착홈
21b - 걸림턱 21c - 핀구멍
22 - 인슐레이터 23 - 인슐레이터스터드
24 - 진동감쇠수단 25 - 엔진마운팅브라켓트
26 - 체결너트 241 - 어퍼커버부재
241a - 관통구멍 241b - 플랜지부
241c - 파이프부 242 - 원통형부시부재
243 - 커버핀부재 243a,243b - 나사홈
243c - 걸림돌기 243d - 상단걸림턱
244 - 커버핀부시부재 245 - 상단스톱퍼부재
246,247 - 조립너트부재 E - 엔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상에 엔진을 장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엔진마운트조립체는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장착홈(21a)이 형성되고 이 원형장착홈(21a)의 측부에 걸림턱(21b)을 갖는 핀구멍(21c)이 형성되면서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측으로 볼팅체결되어 설치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상기 원형장착홈(21a)으로 삽입되면서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22)와, 이 인슐레이터(22)의 상단측 내부로 일단이 압입되면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스터드(23)와, 일측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의해 관통되면서 인슐레이터(22)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핀구멍(21c)을 통해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진동감쇠수단(24)과, 일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의해 관통되어 진동감쇠수단(24)상에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엔진(E)의 소정부위와 볼팅체결되면서 결합되는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체결되면서 진동감쇠수단(24)과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를 인슐레이터(22)상에 체결시키도록 하는 체결너트(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진동감쇠수단(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스터드(23)가 관통되도록 관통구멍(241a)이 형성되는 평판모양의 플랜지부(241b) 및 이 플랜지부(241b)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모양의 파이프부(241c)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플랜지부(241b)가 인슐레이터(22)상에 결합될 때 상기 파이프부(241c)는 핀구멍(21c)의 수직한 방향으로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어퍼커버부재(241)와, 상기 파이프부(241c)의 내면에 접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부시부재(242)와, 양단에는 나사홈(243a,243b)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중간위치에 해당되는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43c)가 형성되는데 일단이 원통형부시부재(242)를 관통하여 핀구멍(21c)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243c)가 핀구멍(21c)의 걸림턱(21b)에 걸려지면서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핀부재(243)와, 상기 원통형부시부재(24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커버핀부재(243)의 외주면에 접합되어 설치되는 커버핀부시부재(244)와, 상기 커버핀부재(243)에 의해 관통되어 커버핀부재(243)에 형성된 상단걸림턱(243d)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원통형부시부재(242)와는 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단스톱퍼부재(245)와, 상기 커버핀부재(243)의 나사홈(243a,243b)으로 각각 체결되면서 상단스톱퍼부재(245)를 고정시키고 핀구멍(21c)을 통해 돌출된 커버핀부재(243)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조립너트부재(246,247)로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상태(시동시, 급출발 및 급정거시, 코너링 주행시, 과속방지턱과 같은 요철도로의 주행시 등)에 따라 엔진(E)에 유동이 발생되면, 이 엔진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은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를 통해 어퍼커버부재(241)의 플랜지부(241b)로 전달되어 오게 되고, 또한 상기한 플랜지부(241b)를 통해 인슐레이터(22)로 전달되어 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인슐레이터(22)는 전달되어 오는 진동의 방향에 따라 차체의상하/전후/좌우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또는 탄력적으로 압축변형되는 바, 이러한 인슐레이터(22)의 유동 및 변형은 엔진(E)측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1차적으로 감쇠시키게 된다.
한편, 엔진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를 통해 전달되어 오면, 이 진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2)의 유동 및 변형에 의해서도 감쇠되지만, 전술한 어퍼커버부재(241)의 플랜지부(241b)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쇠수단(24)으로도 전달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엔진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은 인슐레이터(22)의 유동 및 변형과 상기 진동감쇠수단(24)의 유동 및 변형에 의해 동시에 감쇠됨으로써 진동의 감쇠성능이 대폭적으로 증대되게 된다.
즉, 엔진(E)의 유동으로 인해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이 어퍼커버부재(241)의 플랜지부(241b)로 전달되어 오면, 상기 어퍼커버부재(241)의 파이프부(241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부시부재(242) 및 상단스톱퍼부재(245)사이에 형성된 상부갭(C3)내에서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또는 상기 원통형부시부재(242)의 상단부가 상단스톱퍼부재(245)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변형되게 되고, 이러한 유동 및 변형은 엔진(E)측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상하방향으로의 진동을 인슐레이터(22)와 더불어 2차 감쇠시키게 된다.
그리고, 엔진(E)의 유동으로 인해 차체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이 어퍼커버부재(241)의 플랜지부(241b)로 전달되어 오면, 상기 어퍼커버부재(241)의 파이프부(241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원통형부시부재(242)의 내경과 커버핀부시부재(244)이 외경 사이에 형성된 측면갭(C4,C5)내에서 차체의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또는 상기 원통형부시부재(242)와 커버핀부시부재(244)가 서로 접촉되면서 탄력적으로 압축변형되게 되고, 이러한 유동 및 변형은 엔진(E)측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전후/좌우방향으로의 진동을 인슐레이터(22)와 더불어 2차 감쇠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E)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된 진동이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를 통해 전달되어 오면, 이 진동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슐레이터(22) 및 진동감쇠수단(24)의 이중 감쇠작용으로 대부분이 감쇠되어 차체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미리 차단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소음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실내의 정숙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큰 도움이 있게 된다.
또한, 엔진(E)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의 감쇠효과가 향상되면 엔진(E) 장착부의 내구성도 대폭적으로 증대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전체적인 NVH성능도 향상되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잇점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쪽으로 전달되어 올 때 이 진동의 대부분은 인슐레이터 및 진동감쇠수단의 이중 감쇠작용으로 인해 차체쪽으로의 전달이 최소화되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이 장착되는 차체부의 내구성이 향상됨음 물론 차량의 전체적인 NVH성능이 향상되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원형장착홈(21a)이 형성되고 이 원형장착홈(21a)의 측부에 걸림턱(21b)을 갖는 핀구멍(21c)이 형성되면서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측으로 볼팅체결되어 설치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상기 원형장착홈(21a)으로 삽입되면서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22)와, 이 인슐레이터(22)의 상단측 내부로 일단이 압입되면서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스터드(23)와, 일측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의해 관통되면서 인슐레이터(22)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핀구멍(21c)을 통해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진동감쇠수단(24)과, 일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의해 관통되어 진동감쇠수단(24)상에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엔진(E)의 소정부위와 볼팅체결되면서 결합되는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와, 상기 인슐레이터스터드(23)에 체결되면서 진동감쇠수단(24)과 엔진마운팅브라켓트(25)를 인슐레이터(22)상에 체결시키도록 하는 체결너트(26)로 구성되는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수단(24)은 인슐레이터스터드(23)가 관통되도록 관통구멍(241a)이 형성되는 평판모양의 플랜지부(241b) 및 이 플랜지부(241b)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모양의 파이프부(241c)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플랜지부(241b)가 인슐레이터(22)상에 결합될 때 상기 파이프부(241c)는 핀구멍(21c)의수직한 방향으로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어퍼커버부재(241)와, 상기 파이프부(241c)의 내면에 접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부시부재(242)와, 양단에는 나사홈(243a,243b)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중간위치에 해당되는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43c)가 형성되는데 일단이 원통형부시부재(242)를 관통하여 핀구멍(21c)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243c)가 핀구멍(21c)의 걸림턱(21b)에 걸려지면서 차체마운팅브라켓트(2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핀부재(243)와, 상기 원통형부시부재(24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커버핀부재(243)의 외주면에 접합되어 설치되는 커버핀부시부재(244)와, 상기 커버핀부재(243)에 의해 관통되어 커버핀부재(243)에 형성된 상단걸림턱(243d)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원통형부시부재(242)와는 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단스톱퍼부재(245)와, 상기 커버핀부재(243)의 나사홈(243a,243b)으로 각각 체결되면서 상단스톱퍼부재(245)를 고정시키고 핀구멍(21c)을 통해 돌출된 커버핀부재(243)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조립너트부재(246,2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KR1020020064043A 2002-10-19 2002-10-19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KR20040035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43A KR20040035261A (ko) 2002-10-19 2002-10-19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43A KR20040035261A (ko) 2002-10-19 2002-10-19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61A true KR20040035261A (ko) 2004-04-29

Family

ID=3733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043A KR20040035261A (ko) 2002-10-19 2002-10-19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52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223A (ko) * 2015-03-16 2016-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마운팅 시스템의 이중절연구조
KR20190047297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특성 가변형 엔진마운트
CN112124061A (zh) * 2020-10-09 2020-12-2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
CN117227451A (zh) * 2023-11-13 2023-12-15 常州万才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无轨胶轮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70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엔진 롤(Roll)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20010066532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70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엔진 롤(Roll)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20010066532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223A (ko) * 2015-03-16 2016-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마운팅 시스템의 이중절연구조
KR20190047297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특성 가변형 엔진마운트
CN112124061A (zh) * 2020-10-09 2020-12-2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
CN112124061B (zh) * 2020-10-09 2021-10-0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
CN117227451A (zh) * 2023-11-13 2023-12-15 常州万才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无轨胶轮车
CN117227451B (zh) * 2023-11-13 2024-02-09 常州万才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无轨胶轮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1441B2 (en) Torque rod
GB2412712A (en) A bushing-type engine mount
KR20070102957A (ko) 배관 고정 구조
CN110356215B (zh) 驱动源的支承构造
US10850598B2 (en) Elastic device of a motor-vehicle engine suspension
KR20040035261A (ko) 차량용 엔진마운트조립체의 구조
US10759263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S60139935A (ja) バンパーバウンド
WO2019131510A1 (ja) 電気自動車用防振装置の配設構造
KR100533462B1 (ko) 차량의 롤 로드 시스템
KR100836100B1 (ko) 쉬프트 케이블 매스댐퍼
KR100428110B1 (ko) 차량의 엔진 마운팅용 롤 로드
JP2002174289A (ja) 制振ボルト及び制振機能を付与した締結構造
JP5829239B2 (ja) 防振装置
US11518239B2 (en) Driv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7305520B2 (ja) 防振装置
JP2001165242A (ja) 防振装置及びそのストッパ金具
KR102598415B1 (ko) 자동차용 롤 마운트
JP7404055B2 (ja) 防振装置
KR100466126B1 (ko) 상용차에 장착되는 변속기의 진동감쇠구조
JP6995012B2 (ja) 防振装置
KR20030000064A (ko) 자동차의 롤스톱퍼마운팅어셈블리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JP2000297837A (ja) 防振装置及びそのストッパ金具
JP2002070695A (ja) 内燃機関のインジェク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