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800A -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800A
KR20040031800A KR1020020059667A KR20020059667A KR20040031800A KR 20040031800 A KR20040031800 A KR 20040031800A KR 1020020059667 A KR1020020059667 A KR 1020020059667A KR 20020059667 A KR20020059667 A KR 20020059667A KR 20040031800 A KR20040031800 A KR 2004003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deep
composition according
penins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자
임그리워
Original Assignee
임 그리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 그리워 filed Critical 임 그리워
Priority to KR102002005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1800A/ko
Publication of KR2004003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8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 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살균작용을 갖는 의약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농축물은 항균 또는 살균활성을 갖는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여 여드름치료를 포함한 각종 세균에 의한 질병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 약학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ncentrate of Bando Deep Ocean Water having antibacterial or sterilizing activity}
본 발명은 해양성 심층수인 반도 심층수를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및 살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수에는 염화나트륨 이외에 마그네슘, 칼륨, 규소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이 외에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미량의 원소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수는 표층수와 구별하여 해양심층수라고 불리우고 있는데, 해양 심층수라는 것은 해수 표면으로부터 200미터 이하의 해수를 일컫는 것으로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식물성장에 필요한 질소, 인, 규산 등의 무기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대기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및 태양균이나 일반세균에 오염되지 않으므로 해양성 세균수도 적어 물리적 청정성도 매우 뛰어나며, 필수 미량원소와 다양한미네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있고, 또한 4대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외 아연, 셀렌, 망간 등을 포함하여 스트레스나 체질 불량 등으로 발생되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도 우수하며, 식수로 사용하는 지표수나 지하수 등에 비해 청정도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 오염이 심각한 현재의 상태에서 표층수는 식음료로 적합하지 않으나, 해양심층수는 표면층에 비하여 생균수가 그다지 많지 않을뿐더러 병원성 생물이 조금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료로 선택하는 경우에 안전성이 지극히 높다고 할 수 있다(일본특허공고 평7-34728호).
이러한 해양 심층수의 특징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심해에서는 영양 물질을 소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없기 때문에 박테리아 등에 의하여 분해된 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부영양성(미네랄성)이 있고, 표면 해수로부터 200미터 이하에는 유기물의 농도가 낮고, 대장균 또는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이 없으며, 육지나 대기로부터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도 적은 청정성을 갖고 있으며, 일년 내내 저온으로 그 변화가 적고 안정된 낮은 수온성을 갖고, 해양 심층수는 수천년 동안 형성된 물이기 때문에 그 성질이 안정되어 있으며, 각종 효소들의 작용으로 인하여 숙성화되어 있는 숙성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 미량원소나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균형 있게 포함되어 있어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해양심층수는 해수를 가열 농축하고 그 농축액을 냉각한 후, 농축액으로부터 얻어진 결정분을 제거하고, 이를 농축액의 부피가 원래 부피의 1/1000이하로 농축될 때까지 지속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액 및 그 제조방법을 기재하고 있고 그 용액 일부를 음료수에 가함으로써 당뇨병, 알레르기성 질환, 심근경색 등의 현대병의 예방에 유효한 건강음료를 개시하고 있다(일본특허공보 제2580428호).
또한 이 해양 심층수에 염화나트륨 등의 전해질을 가하여 전기분해장치에서 전기분해를 시행하여 그 양극쪽으로부터 얻어진 강산성 산화수(pH 2.4 내지 2.7이하에서 산화환원전위가 1000mV 이상)와 음극 쪽으로부터 얻어진 알칼리 환원수가 알려져 있는데, 강산성 산화수의 용도로서는 그 산화력과 산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이용하여 의료용 기구의 소독살균 및 식품의 살균소독에 이용되어 왔다. 알칼리 환원수에 대해서는 위장내의 이상발효, 만성설사, 소화불량, 제산 및 위산과다 등의 위장질환에 대하여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1-198575호 참조).
또한 해양심층수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에 중점하여, 미네랄 성분부로서 종래에 알려진 칼슘, 마그네슘 이외에 동, 아연 등의 금속이나 요소 등의 필수 미네랄성분이 확인되어 이 미네랄 성분을 이용하기 위하여 해수를 탈염 처리하여 염화나트륨의 함유량을 저하시킨 해수에 비타민류 등을 가하여 영양음료로서 개발이 알려진 바가 있고(일본특허공개공보 제60-255729호), 생균수가 표층수보다 적기 때문에 이 심층수를 천연 미네랄수로 음료수에 첨가하여 미네랄 음료로서도 개발된 바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평5-219921호).
또한 이 심층수를 역삼투압 장치를 이용하여 담수(淡水)화된 물에 해수를 취하여 얻어진 쓴 맛의 즙과 광산(鑛酸)을 첨가한 음료가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평10-150960호).
그러나, 상기한 제조공정들은 역삼투압이나 전기분해 등의 증발농축단계를 필수적으로 거치기 때문에 미네랄 농축액과 미네랄분이 희박하거나 함유되지 않는 물도 생산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광천수로부터 미네랄 성분을 제거한 물에 탈염처리하여 얻어진 심층수로부터 얻은 미네랄성분을 첨가한 광천수 음료에 대한 연구도 시행된 바가 있다(일본특허공개 제2001-190256호).
이러한 심층수는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피부치료를 위한 겔 제제로서 개발되거나(일본특허공개공보 평9-110702호), 두부 등과 같은 식품가공품 및 의약부외품 등에 배합하거나(일본특허공개공보 평9-28269호), 이 해양 심층수를 기본구성으로 하여 원료액즙, 당질원료, 부원료, 음료용수 등을 가하여 건강 음료로 개발하거나(일본특허공개공보 제5-219921호), 빵을 만드는 공정 중에 사용하는 제조공정 중에 사용되는 수분 또는 액체로서 심층수를 사용하는 제조방법 등이 연구된 바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0-333592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사용되는 해양 심층수는 일본 근해의 후지야마만(富山灣) 등지에서 채집한 심층수를 원료로 사용한 것이다.
인체 등에 있어서의 체취는, 땀샘이나 피지선에서 분비물을 피부상균이 분해함으로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피부상균은 그램양성의 구형상의 세균인 마이크로코커스속(Micrococcus spp.), 스타필로코커스속(Staphylococcus spp.)과 그램양성의 항균이고, 브레비박테리움속(Brevibacterium spp.)의 균, 코리네폼(Coryneform,다형태분기형)균인 코리네박테리움속(Corynebacterinm spp.), 프로피오니박테리움속(Propionibacterium spp.)의 균이 알려져 있고, 체취 중에서도 특히 문제로 되는 겨드랑이 냄새는 코리네폼균이 원인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피부상재균에 의한 분해생성물의 주된 성분은 초산, 프로피온산, 이소낙산, 이소길초산, 카프론산 및 카프린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이다.
종래에, 이러한 체취의 소취나 탈취방법으로서 살균제나 제한제에 의한 체취의 억제 혹은 향료에 의한 체취의 마스킹 등이 실시되어 왔으나, 종래의 살균제에 대해서는 인체 등으로의 안정성 문제로 인해 최소한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고, 또, 제한제에 대해서도 인체 등의 중요한 생리현상을 억제하는 것이므로 국부적인 사용으로 한정되었다. 그 때문에 겨드랑이와 같이 땀이나 피지의 분비가 많고, 피부상재균의 증식하기 쉬운 곳에서는 체취를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특히, 향료에 의한 체취의 마스킹은 향료의 향기와 체취가 혼합하여 오히려 악취로 되는 일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 등에 안전한 항균제가 하기와 같이 제안되었는데, 일본특허공개공보 소61-291503호에서는 아카로이드수지액과 초산, 프로피온산 등의 산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균방배제가 제안되어 있으나, 사용되는 초산이나 프로피온산 자체가 체취의 악취성분인 점에서 반드시 실용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으며, 일본특허공개공보 소60-42765호와 일본특허공개공보 평2-40043호에는 천연파르네솔, 합성파르네솔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균제가 명시되어 있는데, 이들의 유효성분은 스타필로코커스속의 균에 대한 효과를 보이지만, 코리네박테리움속의 균에 대한 항균성이 약하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속 균과 같은 다른 피부상균에 대한 항균성 데이터는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평8-40861호 에는 중쇄지방산의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발냄새의 방지 및 치유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방법의 경우도 피부상재균이 생성하는 리파제 작용에 의하여 중쇄지방산의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로부터 카프릴산, 카프린산 등의 악취성분이 발생하므로 실용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그리고,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에 발현하는 피부질환으로서, 병명은 심상성좌창이며, 임상적으로는「모낭지선계를 중심으로 털구멍에 발생하는 만성의 염증성 변화」로 정의되어 있고, 여러 가지의 요인이 복잡하게 서로 얽혀 있는 피부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피지분비과잉, 모낭각화, 모낭내 세균이 주된 요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여드름은 코리네폼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룸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가 원인균인 것이 알려져 있으며, 모포관내에서 증식하며 리파세를 생산하여 피지중의 주성분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수분해함으로서 유리지방산을 발생하며 국부적인 염증을 발생시키며, 이것이 여드름발생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 이러한 여드름의 예방이나 치료방법으로서 여성호르몬에 의한 피지분비의 억제, 항생물질 등에 의한 살균, 유황 등에 의한 각질박리가 실시되고 있으나, 여성호르몬은 부작용의 염려가 있고, 항생물질은 피부상의 인체에 유용한 균총까지 파괴하는 위험성이 있고, 더욱이 유황은 피부자극이나 유황냄새의 발생에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인체 등에 있어서 특히 땀이나 피지의 분비가 많은 곳에서 피부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체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전한 항균제의 개발 및 겨드랑이냄새나 여드름의 원인으로 되는 코리네폼균을 우선적으로 억제함으로서, 피부상재균의 균총을 파괴하는 일없이 채취의 억제와, 여드름의 예방이나 치료효과를 보유하는 안전한 항균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한국 근해에서 채취가 가능한 심층수를 연구한 결과, 인체 등의 피부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하며, 특히 여드름의 예방에 효과적인 안전한 항균제로서 효과가 탁월한 심층수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 결과, 이 심층수가 의약품으로서 효능이 탁월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성 심층수인 반도 심층수를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및 살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 심층수의 농축 분말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탈염 처리 및 증발 농축하여 얻어진 반도 심층수의 농축 분말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반도 심층수는 대한민국 경기도 인근 지역 온천지의 지하 700 내지10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를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뿐만 아니라 셀레늄(Se), 아연 등의 항암작용을 갖는 무기성분과 철, 망간, 스트론튬 등의 금속이온을 다량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도 심층수에 다량 함유된 미네랄 성분을 항균제 또는 살균제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심층수를 처리하는 제조공정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취수한 반도 심층수를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탈염처리 공정을 거치거나, 심층수를 자연건조를 증발시키거나, 자연건조를 통하여 일부 수분을 제거하고 남은 농축된 심층수를 가열을 통하여 농축시켜서 얻어진 농축물로부터 생성된 염화나트륨 결정을 여과지를 통하여 분리시키는 증발농축과정을 수행하거나, 이조식(二槽式)의 전기분해장치를 통하여 염화나트륨 성분을 분해시키는 전기분해법을 수행하여 탈염시킨 농축물을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건조과정을 거쳐 탈염 건조된 심층수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통한 탈염 고정에 사용하는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음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양이온성 교환수지로는 AG 50W-x8, 앰버라이트(Amberlite) IR-120, 도웩스(Dowex) 50W-x8 등과 같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Amberlite) IRC-50, 바이오-렉스(Bio-Rex) 70, 듀올라이트 (Duolite)-436 등과 같은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Amberlite) IRA-67, 도웩스(Dowex) 3-x4A 등과 같은 약염기성 양이온 교환수지; AG 2x8, 앰버라이트 (Amberlite) IRA-400, 도웩스(Dowex) 2-x8계열 등과 같은 강염기성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CM-셀룰로오스, SE-셀룰로오스와 같은 양이온 교환수지, DEAE 셀룰로오스와 같은 음이온 교환 수지와 같은 개량된 섬유성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교환수지; 또는 가교 결합된 덱스트란으로 제조되는, 예를 들어, G-25 및 G-50 비드형 양이온 세파덱스형 수지, 아가로즈로 제조되는, 예를 들어, 세파로즈 CL 및 바이오겔 A 세파로즈형 수지 또는 프락토겔(Fractogels)이나 토요펄(Toyopearl) 수지와 같은 개량된 비드형 이온교환수지가 적합하며, 더욱더 바람직한 교환 수지는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인 토요펄 DEAE 형 교환수지가 바람직하며, 더욱더 바람직한 교환 수지는 토요펄 DEAE-650C 형 교환수지이다.
또한, 전기분해방법을 이용한 탈염 방법에 사용되는 전기분해장치로서는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격막이 나누어진 이조식을 사용하여, 저수조에 급수하여 일정기간동안 분해하는 형태, 수돗물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급수하는 형태 등이 바람직하다. 전기분해장치로서, 양극으로서는 페라이트 전극, 백금도금티탄 전극, 티탄 백금 소성 전극 등이 있고, 음극으로서는 스테인레스 전극, 백금도금티탄 전극, 티탄 백금 소성 전극 등 또는 격막으로서는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되는 이조식 저수식의 전기분해장치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을 거친 심층수의 농축물에는 풍부한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반도 심층수의 농축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재균 증식 예방 및 항균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항균은 여드름 억제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이다.
또한, 상기의 피부상재균은 코리네폼균,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속의 균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적어도 한 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상재균 증식 예방 및 항균 치료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농축분말을 0.0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비를 갖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반도 심층수 농축분말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균 배양액의 탁도 실험뿐만 아니라, 임상 실험을 수행한 결과, 여드름 균뿐만 아니라, 각종 병원성균에 대하여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므로 항균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농축물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축물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축물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의 제제는 경고제, 과립제,로션제,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imonades), 방향수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엑스제, 엘릭시르제(elixier), 연고제, 유당제, 유동엑스제, 에멀션제, 현탁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침제, 전제, 파스타제(pasta),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캡슐제, 트로키제(troches), 팅크제(tincture) 또는 환제(丸劑)가 바람직하나, 상기 제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제 및 그 항균제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항균제, 수렴제, 살균제, 피부분비억제제, 각질방지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향료, 색소, 알코올, 물 등의 보조성분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관한 항균제에 의하면, 피부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각종용도, 특히 체취의 발생을 억제하며, 또 여드름의 예방이나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안전한 화장품용 및 섬유나 의료품용으로 적당한 항균제가 얻어진다.
화장품으로서는 샴프, 린스, 헤어토닉, 육모제 등의 헤어케어제품, 비누, 보디샴프 등의 신체세정제, 겨드랑이나 발 등의 제한, 방취제품 등이 열거되며, 본 발명의 항균제는 이들의 화장품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화장품의 종류나 사용목적 등에 의하여 달리하는 일이 있지만, 전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의 범위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항균제를 속옷이나 양말 등의 의료품에 점착시켜서 항균·방취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항균제의 의료품의 덧붙이기는 도포, 침지, 분무 등이 수단으로 실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제 등에 배합하여 의료품의 세정, 세탁시에 점착시킬 수 있다. 또, 의료품이 합성섬유인 경우는 용융 방사시에 항균제를 혼합하여 방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농축 분말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유효성분으로서 체중 1kg당 0.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g의 양을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증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반도심층수의 분말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축 분말은 피부상재균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분말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분말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의 제조예 1
대한민국 경기도 인근 지역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반도 심층수 20㎏을 이조 저수식 전기분해장치의 양극 및 음극 각각의 공급조에 가하고, 0.1 내지 3.0A의 직류를 60분간 전류를 통하게 한 후, 전기 분해가 종료된 후에 음극쪽에서 얻어진 용액을 모아서 이를 80 내지 12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어진 농축액을 2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건조시켜 미네랄 분말 200㎎을 얻었다.
실시예 2.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의 제조예 2
대한민국 경기도 인근 지역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반도심층수 20㎏을 탈염 증류수로 평형화시킨 토요펄(Toyo pearlR, 토소(Tosoh)사, 일본) DEAE-650C 이온 교환 수지 160 ㎖에 연속적으로 넣어준 후, 여기에 0M, 0.1M, 0.2M, 0.3M, 3M 염화나트륨 용액을 500㎖씩 흘려보내는 단계적 용출법에 의해 용출 속도를 2㎖/시간으로 하여 용출시켜 얻은 용출액을 다시 투석막(평균 편평 두께 32mm, 용량 100㎖/피트 벤조일화 투석 튜빙, 시그마사, 미국)으로 4시간 동안 탈염 증류수로 3회 반복하여 투석한 다음, 동결건조기(삼원냉열 SFDSM24L, 한국)로 동결 건조하여 150㎎의 미네랄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3. 반도 심층수의 특성 및 그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반도 심층수와 종래의 해양성 심층수(일본산: 한국특허공개공보 2002-4598호 참조)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상의 차이를 갖고 있었으며, 이로부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미네랄 분말의 성분에 대하여 한국화학시험 연구원에서 APHA (1998년도 개정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성분 분석을 시험한 결과, 표 2와 같은 성분 분석 결과를 얻었다.
특 성
반도 심층수(한국산) 해양 심층수(일본산)
취수 수심 수심 800m 수심 200m
평균 온도 13.1 ℃ 20℃이상
경 도 8500 mg/ℓ이상 -
평균 pH 7.87
성 분 함 량
반도 심층수(한국산) 해양 심층수(일본산)
칼슘(Ca) >2800 mg/ℓ 1.00 %
마그네슘(Mg) >400 mg/ℓ 0.133 %
나트륨(Na) >3000 mg/ℓ 426mg/ℓ
스트론튬(Sr) >80 mg/ℓ 426mg/ℓ
철 분(Fe) >0.24 mg/ℓ 0.281 ㎍/ℓ
망간(Mn) >1.7 mg/ℓ 0.153 ㎍/ℓ
아연(Zn) >0.05 mg/ℓ 0.71 ㎍/ℓ
상기한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한 민국에서 취수한 반도 심층수와 일본근해에서 취수한 해양심층수는 근본적으로 취수 수심, 온도, 경도 및 pH 상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으며, 미네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반도 심층수가 일부 무기성분의 함량이 적게는 100배 많게는 10000배 가량 비교할 수 없이 많게 존재함을 알 수 있어, 반도 심층수와 해양 심층수는 근본적으로 성분상을 달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임상 실험
본인이 자발적으로 시험을 받은 피시험자(임이랑 , 25세, 서울시 서초구 거주)에게 해양성 심층수에서 얻은 분말 10mg을 조석으로 복용토록 하고, 반도 심층수를 여드름이 난 부위에 수건으로 적셔 저녁마다 맛사지를 10분씩 1달 동안 꾸준하게 수행토록 한 결과, 안면에 다발적으로 발생되었던 화농성 여드름이 완전하게 사라지고 피부도 깨끗하게 치료되었다.
본 발명의 농축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3.0 ㎎
메틸파라벤0.8 ㎎
프로필파라벤0.1 ㎎
주사용 멸균증류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200 ㎎
유당100 ㎎
전분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100 ㎎
유당50 ㎎
전분50 ㎎
탈크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2의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1000 ㎎
설탕20 g
이성화당20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1000 ㎎
비타민 혼합물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심층수 농축분말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반도 심층수 농축 분말은 특정의 피부상재균에 대하여 극히 우수한 증식 억제능을 보여주며,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어 의약 및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반도 심층수의 농축 분말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반도 심층수는 탈염 처리 및 증발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반도 심층수는 대한민국 경기도 인근 지역 온천지의 지하 700 내지 1000m 지점에서 취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셀레늄, 아연 등으로부터 선택된 무기성분과 철, 망간, 스트론튬 등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이온을 다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조성물.
  5. 반도 심층수의 농축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재균 증식 예방 및 항균을 위한 약학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항균은 여드름 억제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피부상재균은 코리네폼균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코리네폼균이 코리네박테리움속의 균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적어도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분말을 0.1 내지 80 중량%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또는 시럽제인 약학조성물.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체중 1 kg당 0.01 내지 10g인 약학 조성물.
  12.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반도심층수의 분말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0020059667A 2002-10-01 2002-10-01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KR20040031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667A KR20040031800A (ko) 2002-10-01 2002-10-01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667A KR20040031800A (ko) 2002-10-01 2002-10-01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800A true KR20040031800A (ko) 2004-04-14

Family

ID=3733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667A KR20040031800A (ko) 2002-10-01 2002-10-01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18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07B1 (ko) * 2006-06-15 2007-10-10 주식회사 워터비스 해양 심층수의 무기 이온을 활용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KR100891977B1 (ko) * 2007-08-08 2009-04-08 주식회사 워터비스 항균성 미네랄 수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401884B1 (ko) * 2012-08-21 2014-05-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천수를 함유한 칼슘 보충용 조성물
KR102034821B1 (ko) * 2019-01-21 2019-10-21 정재훈 항균 탈취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07B1 (ko) * 2006-06-15 2007-10-10 주식회사 워터비스 해양 심층수의 무기 이온을 활용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KR100891977B1 (ko) * 2007-08-08 2009-04-08 주식회사 워터비스 항균성 미네랄 수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401884B1 (ko) * 2012-08-21 2014-05-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천수를 함유한 칼슘 보충용 조성물
KR102034821B1 (ko) * 2019-01-21 2019-10-21 정재훈 항균 탈취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6924B2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20100101258A (ko)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CN104800261A (zh) 一种丁香复方漱口水
JPH09124438A (ja) 美容・健康向け組成物
KR20080056369A (ko)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6155A (ko) 천연 혼합물의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미백 및 보습기능성 조성물
KR100516355B1 (ko) 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화장료
CN115429738B (zh) 一种祛痘修护焕活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040031800A (ko)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KR20180075008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0310A (ko)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040030360A (ko) 반도 심층수 또는 그 농축분말을 함유하는 간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46622B1 (ko) 땅빈대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84904A (ko) 천연 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60058208A (ko)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KR20200092669A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20050014252A (ko) 반도 심층수 또는 그 농축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KR20200024464A (ko) 복합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 조성물
CN109077946A (zh) 虾青素的用途
KR20040031799A (ko)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KR102159128B1 (ko)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4075686A1 (ja) 皮膚常在菌叢改善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08553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및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CN103251672B (zh) 一种山葵口腔喷雾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